KR20090001565A -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565A
KR20090001565A KR1020070041091A KR20070041091A KR20090001565A KR 20090001565 A KR20090001565 A KR 20090001565A KR 1020070041091 A KR1020070041091 A KR 1020070041091A KR 20070041091 A KR20070041091 A KR 20070041091A KR 20090001565 A KR20090001565 A KR 20090001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information
chart
server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밥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밥새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밥새우
Priority to KR102007004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565A/ko
Publication of KR2009000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들간의 의료 정보 및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병원의 사내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 중앙 서버 및 사내 서버에 저장하고, 병원과 병원 사이에 웹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여, 환자가 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을 경우, 이송전에 치료를 받았던 상기 병원내의 사내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의 중앙 서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병원과 다른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위치하는 병원의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교환 및 공유할 수 있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앙 서버, 진료 이력 차트 공유

Description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Chart and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erver and method using in the hospit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간단한 설명**
10:중앙 서버 20: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
21:데이터 변환부 22:데이터 분류부
23:검색엔진 30:회전정보 데이터 베이스
본 발명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 버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들간의 의료 정보 및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병원의 사내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 중앙 서버 및 사내 서버에 저장하고, 병원과 병원 사이에 웹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여, 환자가 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을 경우, 이송전에 치료를 받았던 상기 병원내의 사내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의 중앙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병원과 다른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위치하는 병원의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교환 및 공유할 수 있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현대인의 질병이나 고통은 지구환경의 오염, 풍족한 식생활, 불규칙한 생활양태, 운동 부족,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보다 다양해지고 복잡해져 가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이 전세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복잡 다양한 질병 등을 치료하고 진단해주는 의료기관 역시 종래의 현실세상의 의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의 안방까지 연결되어진 사이버(Cyber) 상에 존재하는 각종 의료기관들로 그 영역이 넓어지고 다양해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다양한 의료기관들로부터 개개인에게 제공되는 의료정보를 발생 경로에 따라 살펴보면, 먼저 실 세상에서 발생하는 의료 건강 정보는 상담기록, 검사기록, 수술기록, 처방 기록 등과 같은 병원의 진료 기록과, 약국에서 조제되는 처방에 관한 기록과, 헬스클럽이나 산후조리원, 요양원 등과 같은 건강 관련 기관에서 작성되는 각종 기록과, 그 밖의 여행, 레저, 스포츠 등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기타 생활 건강 기록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사이버 세상에서 발생하는 의료 건강 정보로는 사이버 종합병원에서 발생하는 상담기록을 통해 발생하는 기록, 사이버 약국에서 발생하는 조제 정보, 텔레-메디슨(Tele-medecine)을 통해 발생하는 건강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제/가상 의료기관 들을 통하여 발생되는 개개인의 의료 건강 관련 정보들은 각 의료정보 간의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해당 의료 기관들에 의해 각각 독점 관리되어짐에 따라, 환자들은 자신의 현재의 질병이나 향후 예상될 수 있는 질병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하여 제대로 자각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치유 활동 및 예방 활동이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각종 의료 정보들은 각 의료기관들에 의해 분산되어 저장됨에 따라 정보간의 교류와 통합 분석이 어려웠고, 환자가 원하는 의료 정보를 실시간으로 즉시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소정의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는 상기 환자가 방문하는 의료 기관에서만 저장하고 있어 상기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상기 의료 기관은 이전 의료 기관에서 저장하고 있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 행위에 있어서 임상 진단은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기술의 발전은 정확한 임상 진단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에, 컴퓨터 단층촬영(CT:computer tomograph), 자기 공명영상(MRI:Magnetic Resonance Imagine)등의 의료 영상 장비들은 현대의학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는데 불구하고, 그간의 의료 서비스는 의료 영상 장비들로 환자의 이상 부위를 찍고 그것을 필름으로 인화하여 환자의 주치의에게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임상 진단을 내리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 비효율적인 자원 운영뿐만 아니라, 병원의 재정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으며, 무엇보다 환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가 없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X-ray 필름을 5년 동안 의무적으로 보관토록 규정하고 있는바, 각 병원에서는 X-ray필름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보관하고 있는데, 갈수록 병원의 규모가 커지고 환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보관해야 할 X-ray 필름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름의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공간 및 인력낭비 등의 문제 예를 들면, 보관상태가 좋지 않은 불량필름 및 필름 분실로 인한 재촬영, 필름 분실로 인한 의료 분쟁, 보관된 필름을 찾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계에서도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병원 전체에 컴퓨터 통신망을 설치하고, 모든 X-ray 필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 화한 다음, 서버로 연결된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시에 각 진료실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환자의 X-ray 화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ACS:Pictur Arching Communication system)(이하, 'PACS'라고 약칭함)이 최근에 도입되었다.
상기 PACS는 의료 영상들을 디지털 형태로 획득한 다음, 고속의 통신망(Network)을 통하여 전송하고, 의료 영상은 과거의 X-ray필름 대신에 디지털 데이터로 보관되기 때문에 방사선과 의사들과 임상 의사들이 기존의 필름 뷰박스(Flim view box)대신에 영상조회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영상관리 시스템 및 전송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PACS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과 조회경로 방식에 따라 중앙집중형 시스템과 분산형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앙집중형 시스템은 모든 영상 데이터를 중앙의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조회 요구시에는 해당 데이터를 조회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모든 사용자(의사)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모든 영상 데이트를 억세스(Access)할 수 있는 반면에, 조회요구 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요구된다.
반면에, 분산형 시스템은 업무 특성에 맞춰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시스템으로서, 각 워크스테이션은 조회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캐쉬(cache)성격의 로컬 이미지 스토리지(Local image storage)특성을 가지며, 중앙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비교적 속도가 느린 저속 네트워크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조회를 요구한 영상 데이터가 로컬 워크스테이션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데이터 전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병원들간의 의료 정보 및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병원의 사내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 중앙 서버 및 사내 서버에 저장하고, 병원과 병원 사이에 웹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여, 환자가 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을 경우, 이송전에 치료를 받았던 상기 병원내의 사내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의 중앙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병원과 다른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위치하는 병원의 의사들간 의료 정보를 교환 및 공유할 수 있는 의료정보 및 차트 공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된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
상기 중앙서버(10)를 통하여 접속하는 회원에 대한 기본 신상에 관련된 각종사항을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로 구성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상기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은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중앙서버(10)와 상기 중앙 서버(10)에 구성되어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와 상기 중앙 서버(10)를 통하여 접속하는 회원에 대한 기본 신상에 관련된 각종 사항을 저항하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는 웹 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21)에 의해 상기 환자의 차트 및 의료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21)에 의해 변환된 의료정보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22), 상기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의료정보 내용을 추출하는 검색엔진(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트 및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는 상기 웹 서버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인 증 사항 및 방문횟수, 상기 환자의 병원이력, 진료 횟수 및 치료단계, 치료방법 및 특이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의 전체 순서도이다.
상기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은 우선,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환자 및 상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웹 서버에 회원가입을 및 로그-인(log-in)을 하고(S1),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회원관리 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단하여(S2),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되어 있는 환자 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S3) 받는다.
상기 환자 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 받은 후, 상기 환자가 자신의 병명 및 이력, 치료방법 등이 나타나있는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구성되어진 상기 중앙서버(10)에 요청하면(S4),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되어진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상기 환자의 병원 이력 및 차트 , 특이사항을 검색(S5)하여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되어진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로 자료를 요청한다.(S6)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에서 검색되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의료정보내용을 추출하는 검색엔진(23)을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서 상기 정보를 검색(S7)하고, 상기 회원 및 상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게 상기 정보를 전송한다.(S8)
또한, 상기 중앙서버(10)와 병원의 사내 서버를 연결하여, 상기 중앙서버(10)와 상기 병원의 상기 사내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이송시 이송된 병원에서 상기 환자의 병원 이력 및 치료사항, 특이사항을 상기 이송된 병원의 사내서 버나 상기 웹 서버의 중앙서버 내부에 저장되어 진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환자의 치료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병원과 해외에 위치하는 병원의 사내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병원과 타 병원과의 의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인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 및 하기의 청구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들간의 의료 정보 및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병원의 사내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 중앙 서버 및 사내 서버에 저장하고, 병원과 병원 사이에 웹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여, 환자가 타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을 경우, 이송전에 치료를 받았던 상기 병원내의 사내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의 중앙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원과 다른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간의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위치하는 병원의 의사들간 의료 정보를 교환 및 공유할 수 있어 의학발전에 도움이 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하여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
    상기 중앙서버(10)를 통하여 접속하는 회원에 대한 기본 신상에 관련된 각종사항을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는 웹 서버를 통해 전달되는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21);
    상기 데이터 변환부(21)에 의해 변환된 의료정보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22);
    상기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의료 정보내용을 추출하는 검색엔진(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및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는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회원인증 사항 및 방문횟수, 상기 환자의 특이사항 및 진료사항, 진료횟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는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로그인한 상기 사용자이외에 타인이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형성되어진 상기 중앙 서버(10)와 상기 병원내에 형성되어진 상기 사내 서버에 상기 환자 차트 및 의료정보가 이중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서버.
  6.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프로그램은 우선,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환자 및 상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웹 서버에 회원가입을 및 로그-인(log-in)을 하는 1단계(S1);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 회원관리 프로그램의 유무를 판단하는 2단계(S2);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Up-load)되어 있는 환자 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받는 3단계(S3);
    상기 환자 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 받은 후, 상기 환자가 자신의 병명 및 이력, 치료방법 등이 나타나있는 상기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구성되어진 상기 중앙서버(10)에 요청하는 4단계(S4);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되어진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에서 상기 환자의 병원 이력 및 차트 , 특이사항을 검색하는 5단계(S5);
    상기 중앙서버(10)에 구성되어진 차트 및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20)로 자료를 요청하는 6단계(S6);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30)에서 검색되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따라 필요한 의료정보내용을 추출하는 검색엔진(23)을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요청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서 상기 정보를 검색하는 7단계(S7);
    상기 회원 및 상기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게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8단계(S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 공유 방법.
KR1020070041091A 2007-04-27 2007-04-27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KR20090001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91A KR20090001565A (ko) 2007-04-27 2007-04-27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091A KR20090001565A (ko) 2007-04-27 2007-04-27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65A true KR20090001565A (ko) 2009-01-09

Family

ID=4048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091A KR20090001565A (ko) 2007-04-27 2007-04-27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5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35A2 (ko) * 2011-04-13 2012-10-18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장치,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방법
US8700889B2 (en) 2009-07-07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web page that represents health information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106243A (ko) 2017-03-17 2018-10-0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5901A (ko) 2019-07-10 2019-07-19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10391002A (zh) * 2019-06-28 2019-10-29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以医联体为服务对象的智慧医联体云平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0889B2 (en) 2009-07-07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web page that represents health information
WO2012141435A2 (ko) * 2011-04-13 2012-10-18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장치,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방법
WO2012141435A3 (ko) * 2011-04-13 2013-01-10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장치,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방법
KR20180103524A (ko) 2017-03-10 2018-09-19 서울대학교병원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106243A (ko) 2017-03-17 2018-10-0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10391002A (zh) * 2019-06-28 2019-10-29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以医联体为服务对象的智慧医联体云平台
CN110391002B (zh) * 2019-06-28 2023-07-25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以医联体为服务对象的智慧医联体云平台
KR20190085901A (ko) 2019-07-10 2019-07-19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635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Emick et al. Repeat imaging in trauma transfer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omputed tomography scans repeated upon arrival to a level I trauma center
US10573410B2 (en) Medical imaging study retrieval system
WO20130328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health data record
US118685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ecure database for storing a patient operational longitudinal record
KR20090001565A (ko)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Kim et al.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Games and athletes’ usage of ‘polyclinic’medical services
US20210090717A1 (en) Cloud-based patient data exchange
Müller et al. Integration of mobile sensors in a telemedicine hospital system: remote-monitoring in COVID-19 patients
WO2001065449A1 (en) A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communications deliver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09176173A (ja) 検査データ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bboud et al. Telemedicine consultation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disorders is reliable
Amendolia et al. Grid databases for shared image analysis in the mammogrid project
CN109698025A (zh) 医疗信息管理系统及方法
Cristofaro et al. Patient access to an online portal for outpatient radiological images and reports: two years’ experience
KR101524181B1 (ko)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
Subramanian et al. Healthcare@ Home: Research Models for Patient-Centred Healthcare Services
CN109741801A (zh) 信息交互的数据管理系统及方法
KR100614033B1 (ko) 온라인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83058A (ja) 広域医療情報システム
Abdul et al. Telemedicin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conducted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and the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N213877603U (zh) 区域医学影像远程诊断系统
Stolba et al. EHealth integrator-clinical data integration in lower austria
US202401849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ecure database for storing a patient operational longitudinal record
Türkmen et al. A holistic view of remote health care: Digital health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