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013B1 -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13B1
KR102033013B1 KR1020190079375A KR20190079375A KR102033013B1 KR 102033013 B1 KR102033013 B1 KR 102033013B1 KR 1020190079375 A KR1020190079375 A KR 1020190079375A KR 20190079375 A KR20190079375 A KR 20190079375A KR 102033013 B1 KR102033013 B1 KR 10203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examination
health
hospital
medical re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Priority to KR102019007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Health 2.0에 따라 의료소비자 스스로 정보 수집, 공유, 교환이 가능한 영역에서 개인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헬스케어 비즈니스모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여러 병원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건강검진 결과들을 통합 및 비교 분석하며, 통합 및 비교 분석된 각 병원들의 검진결과들을 표준화하여 생성된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CUSTOMIZED HEALTHCARE OFFERING SYSTEM}
본 발명은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Health 2.0에 따라 의료소비자 스스로 정보 수집, 공유, 교환이 가능한 영역에서 개인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헬스케어 비즈니스모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국에서 임상 빅데이터 분석과 임상시험 솔루션을 제공하는 메디데이터는 시가총액이 41억달러(약 4조 4,000억원)에 달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이처럼 보건의료 데이터를 올리고 거래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처가 마련되고 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에 대학병원 등 40개 기관이 참여하여 국내 5,000만 명 이상의 환자 진료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빅데이터로 구축되는 진료정보는 건강보험 정보이며, 개인의 종합건강검진 데이터를 통합 및 표준화 하는 기업 및 기관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개인의무기록 통합 기술개발 연구 및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령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개인진료정보와 건강정보를 개인이 통합 관리 분석하여 맞춤형 개인건강 증진 및 보건 의료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여 개인건강기록 서비스가 Health ICT의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IT, BT, NT 등의 기술이 의료 서비스와 Convergence 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산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확산, 개인건강기기, 모바일헬스 기술 등 관련 기술과 함께 향후 산업화가 예상되는 개인건강기록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무기록 통합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과의 연계를 통한 PHR 정보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정 관련 기관들(의료기관, 보험사 등)이 공유ㆍ연동할 수 있는 병원 시스템에서 종속되지 않는 Interconnected PHR 로 발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Interconnected PHR은 다양한 의료기관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아서 분산된 다수의 서버 혹은 하나의 서버에 통합하여 저장하는 형태의 PHR 이다.
특정 의료기관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이 본인의 건강기록에 대해 완벽한 관리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진료 정보교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개인의 완전한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로 다른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양식의 의무기록을 전송받아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서식과 용어 표준화 등이 선결되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표준화 대상은 용어, 코드 등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부터 진료방식, 서식, 행정시스템 등 각 건강, 의료기관들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도 있으며 그 중에도 용어는 가장 큰 장애 요인이며 국가 표준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679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28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주요 검진실시 기관의 건강검진관리코드 수집 및 코드분류 표준화하고, 단순 데이터베이스 수집이 아닌 의료진에 의한 코드분류 진행하여 병원별로 상이한 검진결과 취합할 수 있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병원 별 검진상품관리 및 검진결과 업데이트하고, 병/의원 결과통계업무 프로그램 개발하며, 병원별로 상이한 개인건강검진결과에 대한 연속적 관리(분석관리)하며, 수집된 개인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유형별 질환예측 및 질병예방을 위해 필요 건강검진 항목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의료기관별 상이한 건강검진 결과를 표준화된 포맷으로 도출 가능하고, 건강검진결과 표준화로 개인이 병원간 진료기록 및 건강검진 결과를 비교 분석 가능하며, 다년간의 건강검진 결과를 통합/비교 분석 가능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은,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여러 병원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건강검진 결과들을 통합 및 비교 분석하며, 통합 및 비교 분석된 각 병원들의 검진결과들을 표준화하여 생성된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웝페이지를 접속하여 병원 검진예약 및 결과 코드 생성, 건강검진 상품 구성, 검강검진 예약자 현황 관리, 건강검진 예약완료 관리, 건강검진 결과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통계 및 건강검진 수검자 고객관리 리포트를 제공받거나,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의무기록 분석 결과를 통한 맞춤형 건강검진 항목 추천 예약, 건강검진 예약 현황 및 상태 변경, 건강검진 결과 확인,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및 일상생활 헬스케어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실시간 병원 정보 탐색, 의무기록 표준화, 병원 담당자와 검진 예약자 간의 실시간 병원항목 연동 및 개인의무기록을 반영한 실시간 병원의 검진항목 비교분석하여 의무기록을 구조화하는 의무기록 셋팅부;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환자의 검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진실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하는 개인정보 수집부; 각 병원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표준화 및 통합시킴으로써 병원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하고, 누적된 건강검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진료결과를 반영한 사후관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개인의무기록 결과를 분석하여 병원 별 의무기록을 통합하는 의무기록 통합분석부; 및 개인의무기록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주치의 기능을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의무기록을 확인 및 분석하며, 환자의무기록관리 병원 전용 시스템을 제공하여 개인의무기록을 빅데이터화하는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무기록 통합분석부는, 표준화 작업 대상 병의원 대상을 수집하는 제1 단계; 각 병의원 검강검진 코드 전산화를 진행하는 제2 단계; 표준화가 되는 건강검진코드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각 병의원 건강검진 결과값을 추출하는 제4 단계;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값을 자동 변환시키는 제5 단계; 변환된 결과값을 활용하여 질환 별로 판정값을 적용하는 제6 단계; 검진결과값 및 판정값의 로직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 7 단계; 및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표준화 작업 방법을 이용하여 의무기록 방식의 표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환자의 진료 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진료 기록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 또는 식재료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식 또는 식재료를 판매하고 있는 음식점 또는 판매처를 탐색하여 해당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이 나열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의 후기를 SNS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 SNS 상에서 후기가 많은 순서 또는 평점이 높은 음식점 또는 판매처로부터 제1 리스트의 순서를 재정렬 하는 단계; 및 해당 환자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을 지도에 매핑시켜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증 및 설정, 공지사항, 검진결과서 및 건강 콘텐츠 제공, 검진센터 리스트 제공 및 검진 결과 별 추가 일정관리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수검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부;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통지하는 공지사항 알림부; 수검자 검진결과서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관심항목을 이용하여 검진결과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후관리를 제공하는 사후 관리부; 사용자에게 제공될 검진센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검진센터 리스트 중에서 추천검진센터를 선택하여 해당 추천검진센터에 대한 사전 문진표의 작성, 저장 및 전송하는 검진센터부; 및 사용자의 검진 결과 별로 추가 일정을 관리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환자의 진료 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진료 기록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환자의 질병명으로부터 해당 질병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키워드를 동영상 컨텐츠 제공 플랫폼의 검색 키워드로 하여 해당 키워드과 관련된 연관 동영상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동영상들이 나열된 제2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리스트에 나열된 동영상들을 "좋아요"를 받은 회수, 재생 회수 또는 해당 동영상 제작자의 구독자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준으로 처방 동영상 리스트의 동영상들을 재정렬 하는 단계; 및 재정렬된 제2 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동영상을 이용한 질병 개선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병원별 상이한 검진결과 취합하고, 병원별 상이한 검진결과 표준화 지표 개발하며, 병원별 검진상품관리 및 검진결과를 업데이트하며, 병원별로 상이한 개인건강검진결과에 대한 연속적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헬스케어 제공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헬스케어 제공 서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설명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에 의한 회원 인증 방법 등을 설명하는 순서도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네트워크(300)를 통해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로부터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인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300)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300)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여러 병원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건강검진 결과들을 통합 및 비교 분석하며, 통합 및 비교 분석된 각 병원들의 검진결과들을 표준화하여 생성된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웝페이지를 접속하여 병원 검진예약 및 결과 코드 생성, 건강검진 상품 구성, 검강검진 예약자 현황 관리, 건강검진 예약완료 관리, 건강검진 결과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통계 및 건강검진 수검자 고객관리 리포트를 제공받거나,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의무기록 분석 결과를 통한 맞춤형 건강검진 항목 추천 예약, 건강검진 예약 현황 및 상태 변경, 건강검진 결과 확인,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및 일상생활 헬스케어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10)은, 병원별 상이한 검진결과 취합하고, 병원별 상이한 검진결과 표준화 지표 개발하며, 병원별 검진상품관리 및 검진결과를 업데이트하며, 병원별로 상이한 개인건강검진결과에 대한 연속적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헬스케어 제공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의무기록 셋팅부(211), 개인정보 수집부(212),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 및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214)를 포함한다.
의무기록 셋팅부(211)는, 실시간 병원 정보 탐색, 의무기록 표준화, 병원 담당자와 검진 예약자 간의 실시간 병원항목 연동 및 개인의무기록을 반영한 실시간 병원의 검진항목 비교분석하여 의무기록을 구조화한다.
개인정보 수집부(212)는,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환자의 검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진실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한다.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는, 각 병원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표준화 및 통합시킴으로써 병원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하고, 누적된 건강검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진료결과를 반영한 사후관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개인의무기록 결과를 분석하여 병원별 의무기록을 통합한다.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214)는, 개인의무기록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주치의 기능을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의무기록을 확인 및 분석하며, 환자의무기록관리 병원 전용 시스템을 제공하여 개인의무기록을 빅데이터화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는, 이하 후술하는 표준화 작업 방법을 이용하여 의무기록 방식의 표준화를 수행할 수 있다.
표준화 작업 방법은, 표준화 작업 대상 병의원 대상을 수집하는 제1 단계, 각 병의원 검강검진 코드 전산화를 진행하는 제2 단계, 표준화가 되는 건강검진코드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각 병의원 건강검진 결과값을 추출하는 제4 단계,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값을 자동 변환시키는 제5 단계, 변환된 결과값을 활용하여 질환 별로 판정값을 적용하는 제6 단계, 검진결과값 및 판정값의 로직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 7 단계; 및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는 제8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는, 이하 후술하는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할 수 있다.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은, 먼저 환자의 진료 기록(즉, 어느 병원에서 어떠한 진료를 수행하였는 지)을 검색한다.
해당 환자의 지료 기록이 검색되면, 검색된 진료 기록의 질병 코드 등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예를 들어, 감기, 독감 또는 당뇨병 등)을 판독한다.
징병멱이 판독되면, 판독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 또는 식재료를 검색한다.
즉,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은, 음식 또는 식재료 검색하는 단계를 통해, 의사의 처방전 이외에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특정 질병의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 또는 식재료를 검색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질병은 단순히 치료약을 복용하는 것만으로 호전될 수 없는 것이고, 치료약을 복용하는 이외에 해당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체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식습관을 해당 치료약이 보다 강하게 발현되거나 면역력을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따라서, 환자는 단순히 치료약을 보용하는 이외에, 본원 발명에 따라 추천되는 음식 또는 식재료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식습관을 가짐에 따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질병을 보다 단기간에 극복할 수 있는 지름길을 제안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검색된 음식 또는 식재료를 판매하고 있는 음식점 또는 판매처를 탐색하여 해당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이 나열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의 후기를 SNS 상(예를 들어, 인?그램, 페이스북 또는 카카오스토리 등)에서 검색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도록 SNS 상에서 후기가 많은 순서 또는 평점이 높은 음식점 또는 판매처로부터 제1 리스트의 순서를 재정렬 하는 단계 및 해당 환자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을 지도에 매핑시켜 환자에게 제공한다.
즉,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은, 퇴원 후 질병의 조속한 극복을 도와줄 수 있는 음식 등을 추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주거지 근처에 해당 음식을 판매하는 곳을 제공함으로써 질병 극복을 위한 식습관 개선을 도와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헬스케어 제공 서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의무기록 셋팅부(211), 개인정보 수집부(212),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214)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의무기록 셋팅부(211), 개인정보 수집부(212), 의무기록 통합분석부(213) 및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214)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5)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증 및 설정, 공지사항, 검진결과서 및 건강 콘텐츠 제공, 검진센터 리스트 제공 및 검진 결과 별 추가 일정관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건강검진결과서의 온라인 조회 기능 제공하며, 검진 결과에 대한 시각화를 통한 주요 검진 결과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 주요 항목별 검진 결과 내용과 연계된 건강 콘텐츠 연계 제공(피트니스, 외식, 전문병원 연계) 및 검진 결과와 건강 콘텐츠와 연계된 광고 및 추천서비스를 활용한 수익모델 개발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관리와 검진센터 안내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유도를 위해, 검진결과 이후 필요한 진료나 운동 등에 대한 스케줄러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유도하고, 검진센터 안내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확대 및 향후 기능 추가 기반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편 로그인 서비스 제공을 통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건강검진 수검자와 일반 회원 가입 기능 지원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수검자 개인정보를 활용한 로그인 최소화 기능 구현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3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설명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5)는, 사용자 인증부(2151), 어플리케이션 설정부(2152), 공지사항 알림부(2153), 사후 관리부(2154), 검진센터부(2155) 및 건강관리부(215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2151)는, 1) 수검자 정보 입력, 2) 약관/개인정보동의, 검진결과서 Data 동의(수급, 저장, 전송), 3) 본인 인증(실명인증 및 DB 가져오기) 4) 수검자 로그인, 5) ID/PW 찾기 등을 통해 수검자 인증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설정부(2152)는, 1) PUSH 메시지/Alarm 설정, 2) App 잠금설정, 3) 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등을 통해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수행한다.
공지사항 알림부(2153)는,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통지한다.
사후 관리부(2154)는, 수검자 검진결과서(검진종합소견 확인, 주요항목별 검진결과(주요 시각화 항목), 항목/결과 별 의료콘텐츠, 검진영상 등록 가이드 및 검진결과 가져오기 등을 포함)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관심항목(건강 관심 항목 선택 및 선택 항목별 주요 콘텐츠 등을 포함)을 이용하여 이전 검진결과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후관리(예를 들어,휘트니스 연계, 체형교정, 식단관리 또는 전문병원 연계 등)를 제공한다.
검진센터부(2155)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검진센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검진센터 리스트 중에서 추천검진센터를 선택하여 해당 추천검진센터에 대한 사전 문진표의 작성, 저장 및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진센터부(2155)는, 검진센터 소개, 검진/진료시간 안내, 검진 시 유의 사항, 검진상품 소개, 약도 및 교통편, 전화 예약, 상담번호 남기기 또는 FAQ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전 문진표 작성/저장/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건강관리부(2156)는, 사용자의 검진 결과 별로 추가 일정을 관리(추가일정 등록/조회, 일정별 결과 등록(진료, 건강상담, 운동 등), 등록 일정별 관리 지수 등록/조회 및 식단일기 등)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환자 맞춤형 동영상을 이용한 질병 개선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할 수 있다.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은, 먼저 환자의 진료 기록(즉, 어느 병원에서 어떠한 진료를 수행하였는 지)을 검색한다.
해당 환자의 지료 기록이 검색되면, 검색된 진료 기록의 질병 코드 등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예를 들어, 감기, 독감 또는 당뇨병 등)을 판독한다.
질병명이 판독되면, 판독된 환자의 질병명으로부터 해당 질병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질병명이 "감기"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는 키워드로는, "김기", "해열", "생강차", "쌍화차" 또는 "합병증"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기타 해당 징병으로 인해 연관될 수 있는 키워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광의의 개념인 것이다.
추출된 키워드를 동영상 컨텐츠 제공 플랫폼인 구글社의 "유튜브"의 검색 키워드로 하여 해당 키워드과 관련된 연관 동영상을 탐색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대해지는 동영상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는 동영상 제공 플랫폼인 구글社의 "유튜브"는, 간단한 유머 콘텐츠로부터 전문적인 의료 콘텐츠까지 총망라되는 콘테츠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는 의료 초보자인 환자들에게 한게가 분명한 만큼, 본원 발명에서는 글로서 환자에게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해당 질병와 관련된 정보를 동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정보를 습득하여 보다 빠르게 질병을 극복하도록 보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탐색된 동영상들이 나열된 제2 리스트를 생성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생성된 제2 리스트에 나열된 동영상들을 "좋아요"를 받은 회수, 재생 회수 또는 해당 동영상 제작자의 구독자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준으로 처방 동영상 리스트의 동영상들을 재정렬 하는 단계 및 재정렬된 제2 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즉, 환자 맞춤형 동영상을 이용한 질병 개선 방법은, 환자 맞춤형 동영상을 검색한 후 제공함으로써, 의료 지식이 부족한 일반 환자들이 보다 쉽게 자신의 질병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도록 도와주고, 이를 통해 조속한 질병 극복을 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서버 등의 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관리자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관리자 관리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입력되는 순서에 따른 순위에 따라 나열된 관리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관리 모듈은, 관리자의 관리 능력에는 상관없이 모듈로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즉 최초 입력되는 관리자를 일 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최선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차 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차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삼 순위 관리자로 인정되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일 장치의 유지/보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관리자를 기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관리 모듈은,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집 주소 등)를 관리자 별로 등록하여 두어야 할 것이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나,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다른 관리자를 기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의 선택은, 별도의 순위 없이 무작위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나, 이하 에서와 같이 관리자 선택에 순위를 두어 이벤트 해결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 선택의 우선순위 선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 중에서 최선순위(이때, 최초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최선순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관리 능력의 우열에 따라 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관리자 리스트에 추가되는 순위에 따른 것임)로부터 관리자를 선택하여 해당 이벤트의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최초 선택받은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기 못하거나, 이벤트 해결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차순위로 리스트에 올라 있는 관리자에게 동일한 해결 요청을 전송하며, 이러한 과정은 해당 이벤트가 해결될 때까지 진행하게 된다.
특정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면 관리자 선택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포인트 부여가 완료되면, 관리자 관리 모듈은,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데, 이때 관리자들 간의 순위 판단에 상기 이벤트 해결에 따라 주어진 포인트를 고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는 후순위에 위치하였던 관리자라도 특정 이벤트 해결에 따라 수여된 포인트로 인하여 선순위로 순위가 상승할 수 있고, 선순위에 있던 관리자라도 이벤트 해결에 대응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관리자의 이벤트 해결로 인하여 해당 관리자의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역량은 평가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장치의 이벤트 해결에 보다 적합한 관리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평가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평가 모듈은, 우선 이벤트 해결에 참가한 회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점수의 포인트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관리자가 특정 장치에 발생된 수리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고, 차후 다른 장치에 발생된 보수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역시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았다고 할 경우, 총 20점의 포인트를 통해 A의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 이벤트 해결에 따라 부여받는 포인트는 모든 이벤트에 동일하게 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해결에 필요로 하는 전문성 또는 이벤트 해결에 따라 동원해는 노동 정도에 따라 각 이벤트마다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장치의 순찰하는 등과 같이 특별한 노동력이나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이벤트의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 해결에 비교적 낮은 점수인 1점을 산정하는 반면, 서버교체작업 등과 같이 일반 저숙련 관리자의 해결을 기대할 수 없어 고숙련자의 투입이 필요로는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인 10점을 부여하는 등과 같이 정비의 난이에 따라 부여되는 포인트의 고저를 산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다른 장비에 대하여 기존 장비와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 장비의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되며, 해당 이벤트를 요청받은 관리자가 해결할 경우 관리자 평가 모듈은 이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장치 별로 해당 장치에 보다 전문성을 갖출 관리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각 장치 별로 관리자 리스트를 따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200)는, 시스템에 새로운 장비가 도입되는 경우, 해당 새로운 장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에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의 유무를 판독하며,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기 생성된 리스트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기 생성된 리스트를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하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 지식이 있는 관리자 유무를 판독한다.
이때, 사전 지식의 유무 판단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관리자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해당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없는 경우, 해당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비를 판독하고, 판독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새롭게 도입된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해당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도입되는 모든 장치 각각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새롭게 도입되는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로 하여금 정비를 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새로운 관리자를 선별하여 스카우트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헬스케어 제공 서버
211: 의무기록 셋팅부
212: 개인정보 수집부
213: 의무기록 통합분석부
214: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
2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Claims (2)

  1. 여러 병원에 산재하여 존재하는 건강검진 결과들을 통합 및 비교 분석하는 헬스케어 제공 서버; 및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로부터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통합 및 비교 분석된 각 병원들의 검진결과들을 표준화하여 생성된 상기 검진결과 표준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웝페이지를 접속하여 병원 검진예약 및 결과 코드 생성, 건강검진 상품 구성, 검강검진 예약자 현황 관리, 건강검진 예약완료 관리, 건강검진 결과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관리, 건강검진 판정결과 통계 및 건강검진 수검자 고객관리 리포트를 제공받거나,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의무기록 분석 결과를 통한 맞춤형 건강검진 항목 추천 예약, 건강검진 예약 현황 및 상태 변경, 건강검진 결과 확인,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및 일상생활 헬스케어 가이드를 제공받으며,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실시간 병원 정보 탐색, 의무기록 표준화, 병원 담당자와 검진 예약자 간의 실시간 병원항목 연동 및 개인의무기록을 반영한 실시간 병원의 검진항목 비교분석하여 의무기록을 구조화하는 의무기록 셋팅부; 여러 형태의 의무기록의 저장방식을 표준화하여 통합하며, 환자의 검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진실시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의무기록을 저장 구간별로 통합하는 개인정보 수집부; 각 병원에서 사용 중인 의무기록 방식을 저장하면 표준화 코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표준화 및 통합시킴으로써 병원 별로 상이한 의무기록 방식을 표준화하고, 누적된 건강검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진료결과를 반영한 사후관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개인의무기록 결과를 분석하여 병원별 의무기록을 통합하는 의무기록 통합분석부; 및 개인의무기록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주치의 기능을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의무기록을 확인 및 분석하며, 환자의무기록관리 병원 전용 시스템을 제공하여 개인의무기록을 빅데이터화하는 의무기록 빅데이터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무기록 통합분석부는, 표준화 작업 대상 병의원 대상을 수집하는 제1 단계; 각 병의원 검강검진 코드 전산화를 진행하는 제2 단계; 표준화가 되는 건강검진코드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각 병의원 건강검진 결과값을 추출하는 제4 단계;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값을 자동 변환시키는 제5 단계; 변환된 결과값을 활용하여 질환 별로 판정값을 적용하는 제6 단계; 검진결과값 및 판정값의 로직 타당성을 검토하는 제 7 단계; 및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표준화 작업 방법을 이용하여 의무기록 방식의 표준화를 수행하며,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환자의 진료 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진료 기록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 또는 식재료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식 또는 식재료를 판매하고 있는 음식점 또는 판매처를 탐색하여 해당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이 나열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의 후기를 SNS 상에서 검색하는 단계; SNS 상에서 후기가 많은 순서 또는 평점이 높은 음식점 또는 판매처로부터 제1 리스트의 순서를 재정렬 하는 단계; 및 해당 환자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음식점 또는 판매처들을 지도에 매핑시켜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개선 사후 보조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하고,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증 및 설정, 공지사항, 검진결과서 및 건강 콘텐츠 제공, 검진센터 리스트 제공 및 검진 결과 별 추가 일정관리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수검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정부;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통지하는 공지사항 알림부; 수검자 검진결과서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관심항목을 이용하여 검진결과의 분석을 기반으로 사후관리를 제공하는 사후 관리부; 사용자에게 제공될 검진센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검진센터 리스트 중에서 추천검진센터를 선택하여 해당 추천검진센터에 대한 사전 문진표의 작성, 저장 및 전송하는 검진센터부; 및 사용자의 검진 결과 별로 추가 일정을 관리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헬스케어 제공 서버는, 환자의 진료 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진료 기록을 통해 해당 환자의 질병명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환자의 질병명으로부터 해당 질병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키워드를 동영상 컨텐츠 제공 플랫폼의 검색 키워드로 하여 해당 키워드과 관련된 연관 동영상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동영상들이 나열된 제2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리스트에 나열된 동영상들을 "좋아요"를 받은 회수, 재생 회수 또는 해당 동영상 제작자의 구독자 수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준으로 처방 동영상 리스트의 동영상들을 재정렬 하는 단계; 및 재정렬된 제2 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동영상을 이용한 질병 개선 방법을 통해 환자의 퇴원 후까지 질병 개선을 보조하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79375A 2019-07-02 2019-07-02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KR10203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75A KR102033013B1 (ko) 2019-07-02 2019-07-02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75A KR102033013B1 (ko) 2019-07-02 2019-07-02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13B1 true KR102033013B1 (ko) 2019-10-16

Family

ID=6842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75A KR102033013B1 (ko) 2019-07-02 2019-07-02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915A (zh) * 2019-12-31 2020-05-12 重庆医科大学附属儿童医院 儿童保健随访及病案管理系统
KR20220022319A (ko) 2020-08-18 2022-02-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기금에 기초한 건강 친화적 소비 문화의 조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366A (ko) 2020-08-28 2022-03-08 제론바이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건강 케어 보상 서비스 블록체인 플랫폼 및 방법
KR20220124674A (ko) * 2020-04-29 2022-09-1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102666179B1 (ko) * 2021-10-13 2024-05-16 서울대학교병원 맞춤 검진프로그램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22A (ko) * 2009-02-26 2010-09-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799B1 (ko) 2010-05-10 2011-01-10 서성보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7589A (ko) * 2010-06-17 2011-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맞춤형 건강식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096285A (ko) 2011-02-22 2012-08-30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hd 표준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0385B1 (ko) * 2017-01-13 2018-02-28 김호익 증강 현실을 이용한 건강 검진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119834A (ko) * 2017-04-26 2018-11-05 한국과학기술원 혈액종합검사 소견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22A (ko) * 2009-02-26 2010-09-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799B1 (ko) 2010-05-10 2011-01-10 서성보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7589A (ko) * 2010-06-17 2011-12-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맞춤형 건강식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096285A (ko) 2011-02-22 2012-08-30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hd 표준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0385B1 (ko) * 2017-01-13 2018-02-28 김호익 증강 현실을 이용한 건강 검진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119834A (ko) * 2017-04-26 2018-11-05 한국과학기술원 혈액종합검사 소견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915A (zh) * 2019-12-31 2020-05-12 重庆医科大学附属儿童医院 儿童保健随访及病案管理系统
KR20220124674A (ko) * 2020-04-29 2022-09-1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102605710B1 (ko) 2020-04-29 2023-11-2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20220022319A (ko) 2020-08-18 2022-02-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기금에 기초한 건강 친화적 소비 문화의 조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366A (ko) 2020-08-28 2022-03-08 제론바이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건강 케어 보상 서비스 블록체인 플랫폼 및 방법
KR102666179B1 (ko) * 2021-10-13 2024-05-16 서울대학교병원 맞춤 검진프로그램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Mohammed et al. Creating a patient-center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 care quality from the patient perspective
US11769571B2 (en) Cognitive evaluation of assessment questions and answers to determine patient characteristics
Adler-Milstein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 adoption in US hospitals: progress continues, but challenges persist
Jencks et al. Quality of medical care delivered to Medicare beneficiaries: a profile at state and national levels
US20170061093A1 (en) Clinical Dashboar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140214439A1 (en) Managing the care of a client in a care management system
US20140324457A1 (en) Integrated health care predicting system
US20200388359A1 (en) Methods and system of blockchain-based medical service management
Jung et al. Who are portal users vs. early e-Visit adopters? A preliminary analysis
Bommersbach et al. National trends of mental health care among US adults who attempted suicide in the past 12 months
EP2896015A1 (en) Clinical dashboar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Gernant et al. Access to medical records’ impact on community pharmacist–delivered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a pilot from the medication safety research network of indiana (Rx-SafeNet)
Angeles et al.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plex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US20200152305A1 (en) Healthcare compliance process over a network
Rector Exhaustion of drug benefits and disenrollment of Medicare beneficiaries from managed care organizations
Soril et al. Achieving optimal technology use: a proposed model for health technology reassessment
McBain et al. Estimating psychiatric bed shortages in the US
KR102033010B1 (ko) 개인의무기록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Liddy et al. Improving access to specialist care for an aging population
Rucci et al. Integration between primary care and mental health services in Italy: determinants of referral and stepped care
KR20200109666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956390A (zh) 综合保健系统及方法
US20080114613A1 (en) Integrated Electronic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Osamor et al. Tuberculosis–Diagnostic Expert System: An architecture for translating patients information from the web for use in tuberculosis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