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666A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666A
KR20200109666A KR1020190029062A KR20190029062A KR20200109666A KR 20200109666 A KR20200109666 A KR 20200109666A KR 1020190029062 A KR1020190029062 A KR 1020190029062A KR 20190029062 A KR20190029062 A KR 20190029062A KR 20200109666 A KR20200109666 A KR 20200109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smart device
management server
do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Priority to KR102019002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666A/ko
Publication of KR2020010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을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되,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의료관리서버; 및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의료관리서버는, 진찰 또는 서비스 받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설문조사부;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추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commending health care provider using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앱 실행을 통해 환자의 개인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그 질환정보와 질환별 의사 평가 점수를 매칭하여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의사를 머신러닝에 의해 추천해주는 기술이다.
현대 사회는 인구 증가와 함께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바쁜 현대인은 특정 질병의 초기증상이 나타나도 병원을 곧바로 찾지 않고, 만성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야 종합검진이나 진료를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자신의 증상에 맞는 병원이 어디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화자가 오프라인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의료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병원과 의사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여러 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즉, 환자는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에 대한 판단을 병원 방문 및 진료를 시작한 후에야 할 수 있어 병원 및 진료 받을 의사를 사전에 결정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주치의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 않은 국내에서는 환자가 질병이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의사를 직접 찾아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질환별로 평가 계량화여 부여한 점수별로 환자의 질환에 적합한 상위 점수의 의사를 추천하고, 환자정보를 토대로 추천 의사를 지역 또는 진찰비용 중에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추천하며, 환자의 치료이력 데이터를 토대로 현재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2901호(2011.10.1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질환별로 평가 계량화여 부여한 점수별로 환자의 질환에 적합한 상위 점수의 의사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받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되는 환자정보를 토대로 지역 또는 진찰비용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함은 물론 카테고리별 조건에 부합하는 의사를 추천받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으로서,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을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되,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의료관리서버; 및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의료관리서버는, 진찰 또는 서비스 받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설문조사부; 의사의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관리서버는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점수관리부; 및 점수관리부로부터 인가받은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별 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해 매칭프로그램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인공지능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천부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의 내역을 상기 진료평가 점수정보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사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의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블록체인부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하는 인증부; 및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인증부로부터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추천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은, 의료관리서버가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a) 단계; 및 의료관리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단계는, 의료관리서버가 진찰받은 환자 또는 서비스 받은 동료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a-1) 단계; 의료관리서버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a-2) 단계; 및 의료관리서버가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a-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2) 단계 이후, 의료관리서버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c) 단계; 및 의료관리서버가 의사의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의 질환정보 및 개인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해 매칭프로그램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 단계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의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하는 (b-1)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블록 형태로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하는 (b-2) 단계; 및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b-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질환별로 평가 계량화여 부여한 점수별로 환자의 질환에 적합한 상위 점수의 의사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되는 환자정보를 토대로 지역 또는 진찰비용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함은 물론 카테고리별 조건에 부합하는 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의 의료관리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10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104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20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S)은,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을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되,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의료관리서버(100) 및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의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의료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S)의 세부 구성들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 중에 어느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며, 온라인을 통해 배포되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관리서버(100)는 진찰 또는 서비스 받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설문조사부(102)와,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04)와,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점수관리부(106), 점수관리부(106)로부터 인가받은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별 질환정보 및 개인정보를 머신러닝으로 학습하여 매칭프로그램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인공지능 학습부(108), 및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추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사에 대한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치료기간, 병의원 위치 또는 접근성 중에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요청정보는 환자의 질환, 처방전, 건간검진 내역, 관심의료 질의내역, 진단서, 환자의 위치, 병의원의 위치 또는 성별(남의사 또는 여의사)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추천정보는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의 내역을 상기 진료평가 점수정보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사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설문조사부(102)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이외에 동료 의사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4)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 또는 소셜사이트로부터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 그리고 병의원 정보(위치정보, 사진 및 동영상)를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4)는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의사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위치정보를 토대로 환자의 위치와 인접한(기 설정된 거리 이내) 위치에서의 병의원에서 진료하는 의사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천부(110)는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의 내역을 상기 진료평가 점수정보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사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의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부(202)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블록체인부(202)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하는 인증부(204), 및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인증부(204)에 의해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의료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추천확인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S)의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수신한 처방전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등록하고, 상담요청에 따라 의료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추천정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이처럼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환자가 앓고 있는 질환에 대한 치료이력 데이터를 토대로 질환에 적합한 의사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실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의료관리서버(100)가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S100).
그리고, 의료관리서버(100)가 스마트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20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10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의료관리서버(100)가 진찰받은 환자 또는 서비스 받은 동료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S102).
뒤이어, 의료관리서버(100)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한다(S104).
그리고, 의료관리서버(100)가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06).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104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4단계 이후, 의료관리서버(100)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한다(S108).
그리고, 의료관리서버(100)가 의사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별 질환 정보를 머신러닝기법을 통해 매칭프로그램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 및 관리한다(S11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의 제S20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0단계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한다(S202).
이어서,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블록 형태로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한다(S204).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의료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한다(S206).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100: 의료관리서버
102: 설문조사부
104: 데이터베이스
106: 점수관리부
108: 인공지능 학습부
110: 추천부
200: 스마트 디바이스
202: 블록체인부
204: 인증부
206: 추천확인부

Claims (8)

  1.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을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되,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의료관리서버; 및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상기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관리서버는,
    진찰 또는 서비스 받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설문조사부;
    의사의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관리서버는,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점수관리부; 및
    상기 점수관리부로부터 인가받은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별 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해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인공지능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사의 내역을 상기 진료평가 점수정보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사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블록체인부에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하는 인증부; 및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상기 인증부로부터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추천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5. (a) 의료관리서버가 기 등록된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환자의 만족도 각각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점수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b) 의료관리서버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추천정보를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의료관리서버가 진찰받은 환자 또는 서비스 받은 동료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여 의사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
    (a-2) 의료관리서버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a-3) 의료관리서버가 수신한 요청정보와 부합하는 의사 및 병의원을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 이후,
    (c) 의료관리서버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기 부여된 점수와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선택된 항목을 매칭시켜 의사 각각에 대한 진료평가 점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의료관리서버가 진료평가 점수정보와 환자의 질환정보 및 개인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해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기록, 진단서 또는 소견서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암호화하여 내부 저장소의 각 영역에 블록 형태로 구분해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b-2) 스마트 디바이스가 개인 의료정보 저장시 설정한 암호정보를 입력받아 블록 형태로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를 색인하는 단계; 및
    (b-3) 스마트 디바이스가 환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와 색인한 개인 의료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의료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추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방법.
KR1020190029062A 2019-03-14 2019-03-14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62A KR20200109666A (ko) 2019-03-14 2019-03-14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62A KR20200109666A (ko) 2019-03-14 2019-03-14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66A true KR20200109666A (ko) 2020-09-23

Family

ID=7270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062A KR20200109666A (ko) 2019-03-14 2019-03-14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6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3164A (zh) * 2021-01-07 2021-04-30 中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病例共享方法、系统及私钥存储介质
KR20220129923A (ko) * 2021-03-17 2022-09-26 이창엽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KR102511466B1 (ko) * 2022-06-13 2023-04-24 주식회사 미스블럭 블록체인 기반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588429B1 (ko) * 2023-04-13 2023-10-13 로봇앤컴주식회사 Crm과 emr 등을 통합한 환자 및 병원 간 소통 기반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901A (ko) 2010-04-08 2011-10-1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901A (ko) 2010-04-08 2011-10-1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3164A (zh) * 2021-01-07 2021-04-30 中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病例共享方法、系统及私钥存储介质
CN112733164B (zh) * 2021-01-07 2023-12-08 中南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病例共享方法、系统及私钥存储介质
KR20220129923A (ko) * 2021-03-17 2022-09-26 이창엽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KR102511466B1 (ko) * 2022-06-13 2023-04-24 주식회사 미스블럭 블록체인 기반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588429B1 (ko) * 2023-04-13 2023-10-13 로봇앤컴주식회사 Crm과 emr 등을 통합한 환자 및 병원 간 소통 기반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A hybrid recommender system for patient-doctor matchmaking in primary care
KR20200109666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33219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pidemiological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display
US20140324457A1 (en) Integrated health care predicting system
US20110313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citing an expert opinion from a care provider and managing health management protocols
US20150199744A1 (en) System for clustering and aggregating data from multiple sources
US857981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disease over time
US20160103973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imilar patients
KR102212732B1 (ko)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된 온라인 반려 동물 생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9003504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of Options and Choices based on User Provided Inputs
US20140100878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mobile medical data into a database centric analytical process, and clinical workflow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Archenaa et al. Health recommender system using big data analytics
US11710572B2 (en) Experience engine-method and apparatus of learning from similar patients
US20190206575A1 (en) Smart clustering and cluster updating
CA2970931C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imilar patients
Saunders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 as a platform for audiological research: data validity, patient characteristics, and hearing-aid use persistence among 731,213 US veterans
US20110071852A1 (e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606155B1 (ko)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시스템
KR102395921B1 (ko) 사용자 정보 및 쿼리 분석을 통해 의료대상 추천 방법
KR102033010B1 (ko) 개인의무기록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00034969A (ko) 온라인 건강 멘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01427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동료 의사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87948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uccess based health care payment
US84948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treatment op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