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901A -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901A
KR20110112901A KR1020100032113A KR20100032113A KR20110112901A KR 20110112901 A KR20110112901 A KR 20110112901A KR 1020100032113 A KR1020100032113 A KR 1020100032113A KR 20100032113 A KR20100032113 A KR 20100032113A KR 20110112901 A KR20110112901 A KR 2011011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terminal
subject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425B1 (ko
Inventor
윤영호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0003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4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제공 서버장치가 개시되어있다.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을 통한 진료방법은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피진료자에게 추가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의료진의 정보 및 상기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진료자에게 의료진을 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진료인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효율적이고 빠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METHOD OF PERSONALIZED HEALTH CARE AND TREATMENT USING ON-LIN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RVER DEVICE FOR ONLINE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진료자에게 개인별 특성에 기초한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송신과 수신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원격의료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진료방법이 도입되었다. 원격의료는 원격의료장비를 이용하여 의사가 실시할 수 있는 문진, 정진, 시진을 하여 환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고 검사결과를 온라인을 통해 환자에게 송신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이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로 구성된 실버타운과 같이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장소인 경우, 원격진료를 활용한다면 피진료자가 공간 및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외에도 지속적으로 환자의 생활관리가 필요한 당뇨병이나 심장병 또는 암수술 후의 환자와 같은 경우, 원격진료를 통해 환자가 주기적으로 병원에 진찰을 받으러 가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환자 진료 외의 생활전반에 걸쳐 환자의 건강상태를 쉽게 체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7382호("의료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에서는 이러한 원격진료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있다. 환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데이터를 산출하여 제1 차 진단정보를 산출하고 의사로부터 진단결과를 비교 연산하여 순차적으로 심도있는 진료방법을 통해 제2 차 진단정보를 얻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정밀한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피진료자의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진은 의료진단에 필요한 간단한 질의사항을 피진료인에게 전달하고 의료진의 질문에 기초한 피진료인의 답변을 제1 차 진단정보로 수신받는다. 이러한 진료과정이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하나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진료방식이 피진료자에게 초기의 효율적인 진단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의료진이 피진료자를 진단할 때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진단방법인 문진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초기의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료는 문진(History Taking)과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으로 나뉘고 이학적 검사는 시진(Inspection), 촉진(Palpation), 타진(Percusion), 청진(Auscultation)으로 나뉜다. 초진의 경우 문진의 비중이 높아 통상적으로 초기에 환자가 의사를 방문시 문진을 통해 병을 진단하게 된다. 문진은 현재 몸 상태에 대한 질문이나, 이전의 피진료자가 가졌던 병력, 가족력 등을 묻게 된다. 문진의 경우, 환자와 의사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쉽게 할 수 있는 진료방법으로 환자를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통신장비와 의료장비기술의 발전으로 문진 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진단방법 역시 직접 의료진과 대면하지 않고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학적 검사의 경우, 온라인상의 화상을 통해서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눈으로 하는 진찰방법인 시진이 가능하다. 또한 감각의 정도를 일정 수치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한다면 의사가 다른 진료방법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촉진과 타진 역시 의료진과 환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촉진과 타진은 의사가 직접 환자를 손으로 만져보고, 때려보는 것인데, 이 역시 현재 활용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진료에서도 가능하다. 최근 중동 지역에서 있었던 전투에서 부상당한 장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사이버 장갑이 있어서 이것을 끼고 환부에 갖다 대면 그 느낌이 원격지에 있는 의사에게 전달이 되는 것이다. 청진 역시 가능한데, 사이버 청진기를 환자의 신체에 접촉을 하면 그 음이 통신을 통해 의사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문적인 의료장비 뿐만이 아니라 현재 개발되고 있는 많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신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신의 수면주기를 측정하거나 또는 하루동안 자신이 걸어다니면서 소비한 열량을 계산하는 방식의 간단한 신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을 통한 진료방법들은 실제로 개인별 특성에 정확하게 맞춰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고 자신의 정보를 타인과 비교할 수 없었다. 또한 기존의 설문지는 설문 그자체로 그쳐 작성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병에 대한 주치의를 선정받기 위해서는 피진료인이 별도로 자신의 노력을 들여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또한 일부 환자들의 경우 병의 재발을 막기 위해 생활전반에 걸친 생활습관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단순히 병의 처방만을 주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진료를 이용해서는 피진료인의 생활습관을 피진료인 혼자서 제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그 뿐만 아니라 유전적 소인을 가지는 질환들은 개인의 치료뿐만 아니라 유전적 소인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병을 가진 환자의 주변 가족들 역시 특정 질병에 고위험군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서 특정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 지속적인 관리 및 보호관찰이 필요한 질환으로 도박, 알코올, 흡연과 같은 중독성이 있는 습관을 가진 환자라든지 당뇨병이나 심장병과 같이 수술 후 식이요법의 조절이 필수적인 환자의 경우, 환자의 주변사람 도움이 없이는 환자의 치료는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환자의 개별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효율적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환자의 개별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서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피진료자에게 추가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의료진의 정보 및 상기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진료자에게 의료진을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는 추가의 진료정보인 제2 진료정보를 상기 피진료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진료정보 및 상기 제2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의해 추가로 제공된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 및 원격의료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후,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인의 진료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정보를 기초로 한 추가의 평가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료자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피진료자에게 식단정보, 투약정보, 생활습관정보,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피진료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한 신체상태정보, 심리치료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 및 상기 피진료자가 이용가능한 원격의료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의해 추가로 제공된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피진료자로부터 추가의 진료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의 진료정보에 기초한 추가의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1 진료정보, 상기 제2 진료정보,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제2 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질문에 대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서 작성된 응답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게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게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별로 개별적인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서버에 제공된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상기 제1 진료정보 및 상기 제2 진료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의료진의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의료진에게 추가의 진료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아 추가 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료정보는 상기 피진료인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피진료인의 기본적인 생체정보, 생활습관, 병력, 거주환경 정보일 수 있다.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제1 진료정보와 다른 피진료자들의 제1 진료정보,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제1 진료정보 및 일반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제1 진료정보와 상기 피진료자에 의해 상기 제1 진료정보를 작성하기 이전에 작성된 상기 피진료자의 진료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진료자에게 추가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의료진의 정보 및 상기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진료자에게 의료진을 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된 추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진을 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을 배정하는 것은 상기 서버에 포함되는 상기 의료진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진료정보 및 의료진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와 상기 의료진을 매칭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 대한 정보, 상기 피진료자를 제외한 피진료자들의 진료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와 관련된 일반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와 상기 지지집단의 단말기로 제공할 진단결과를 만들어내는 의료 서비스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에 따르면 피진료인은 자신의 신체정보 및 의료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면서 의료진과 유기적인 접촉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수술 후 환자나 전문적인 의료진에 의해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피진료자들은 집에서 손쉽게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진료인 뿐만 아니라 피진료자의 주변 지지집단을 활용하여 피진료자의 주변인들로부터 피진료자의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온라인 방식의 의료진단을 통해 피진료자가 진료를 받는데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막아준다. 즉, 5분의 진료를 받기위해 사람이 많을 때는 경우에 따라 1시간이상을 기다려야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환경을 개선하여 피진료인의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의료진의 경우에도 순간적인 판단이 아닌 환자의 상태를 좀 더 상세히 볼 수 있도록 자신의 진료 스케쥴을 더욱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진료 서비스 화면의 메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 서버로 제공되는 설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설문조사에 기초한 설문조사결과를 일반인과 비교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일반인뿐만 아니라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도 비교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자신의 결과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비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료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해 의료진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료를 위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료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진료자는 온라인 화면상에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활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의 범위에 따라 피진료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의 인터페이스는 종류와 구성을 달리 할 수 있다. 온라인 진료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웹상에 구현될 수 있고 피진료자의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피진료자가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메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일정한 설문조사의 형태 또는 멀티미디어 형식의 동영상 또는 일정한 텍스트 형식의 문서가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의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는 노트북, 모바일폰, 스마트폰, 랩탑과 같은 기존의 단말기일 수 있고 이하 후술할 온라인 진료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새롭게 제작한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딩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사용하여 피진료자와 의료진에게 단말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하 후술할 온라인 진료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을 참조하면 화면의 메뉴는 예를 들어, 증상관리(101), 가족(103), 실존적 삶(105), 장애재활(107), 직업복귀(109), 동반질환(111), 절주(113), 금연(115), 삶의 질(117), 2차 암검진(119), 체중관리(121), 진료예약(123)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각 화면의 메뉴에 입력장치를 통해 일정한 신호를 보내면 각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초기화면이 전환되어 피진료자는 소기의 목적에 맞는 의료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상관리(101)메뉴를 피진료자가 선택하는 경우, 의학적 치료 후의 증상에 대한 관리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거나 자신이 가진 증상에 대한 변화를 직접 입력하여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오프라인을 통한 의사의 진찰 후 피진료인에게 전달한 피진료인이 주의해야할 점과 같은 의료진의 처방이 기억나지 않는 다면 온라인을 통해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도록 메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담당의사에게 질문이 있다면 또 다른 메뉴구조를 통해 질문을 등록하여 이에 대한 의료진의 답변을 피진료인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체중관리(121)메뉴에 들어가는 경우 의료진에 의해 제시된 식단정보 및 자신의 운동량을 기록하는 정보를 통해 식단과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자신의 체중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게 전달함으로써 피진료인의 상태에 대한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메뉴의 구성 중 원격진료를 할 수 있는 진료예약(123)은 의료진과 일정한 온라인 진료시간을 예약한 후 그 시간에 맞추어 의료진과 화상을 통한 진료 또는 기타 원격의료장비 및 검사장비를 활용하여 의료진에게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온라인으로 의료진과 상담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진료자가 온라인상으로 작성하는 온라인 설문지의 설문형식을 나타낸다. 피진료자는 자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온라인상에 설문지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설문지의 형태는 질문에 대해 긍정 또는 부정으로 답할 수 있는 형태의 설문지가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형태로 도 2의 설문처럼 자신의 상태를 1~10과 같은 일정한 간격의 수로 그 정도를 표시하여 자신의 신체상태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온라인 설문을 작성시 자신의 신체상태를 객관식의 형태가 아닌 주관식의 설문형태를 활용하여 설문으로 표현할 수 없는 개인적 특이증상이 있는 경우 이를 설문지에 입력하여 추후의 추가적인 피진료자의 진료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문지는 피진료인이 집에서 작성하여 온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렇지 않고 만약 피진료인이 의료진을 직접 방문하여 진찰을 받을 경우에는 의료진과 면담하기 전 대기실에 이러한 구성의 설문지를 대기실에 위치한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진에 의한 정확한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하게 할 수 있다.
설문지는 설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내적 일치도 방법(Internal Consistency Method)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이 유사한 문항을 설문내용에 포함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정보가 유출 될 수 있는 민감한 설문문항에 대해서는 피진료자가 답을 하기 원하지 않는 경우 문항을 건너뛰고 설문을 작성하게 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설문 문항의 속성에 비추어, 예를 들어 흡연여부를 묻는 질문이 있다면 흡연자는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설문으로 넘어가지만 비흡연자의 경우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설문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나이 또는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일관적인 설문양식이 아니라 피진료인 별로 개별적으로 문제를 가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행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피진료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설문조사를 행할 수 있다.
피진료자의 설문에 대한 정보는 개인만이 열람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피진료자가 작성한 설문정보는 암호화 과정을 거쳐 다른 피진료자들의 정보와 함께 진료에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문조사 정보는 피진료자의 진료를 위한 제1 진료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피진료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조사결과는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값을 내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1차적으로 통계화 과정 및 결과 분석과정을 거쳐 피진료자에게 설문조사결과(제1 진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 보호해야 하는 개인적 정보가 있을 때에는 서버에서 개인정보를 보안화하는 과정을 거쳐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고 피진료자측에서도 수신된 제1 진단결과를 보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통해서 자신의 고유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피진료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상의 평가결과를 나타낸다. 설문조사 결과는 그래프(310)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고 텍스트의 형식을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제1 진단결과)가 환자에게 최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도록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한 제1 진단결과를 피진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진료인의 설문조사 결과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피진료자들이 기존에 작성해놓은 설문조사의 결과값과 비교하여 피진료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만약에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예를 들어, 피진료자의 가족이나 주변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이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지지집단의 동의를 얻어 피진료자에게 지지집단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일정한 수치로 제공되거나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되어 피진료자가 자신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진료자의 설문조사 결과값과 비교하고 분석할 대상은 다른 피진료자의 제1 진단결과와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설문조사결과 뿐 아니라 만약 설문조사의 내용이 일반인의 결과값과 비교할 수 있는 성질의 설문조사 문항일 경우, 피진료자의 설문조사 결과와 일반인의 결과값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의 내용이 피진료자가 전에 작성한 설문문항에 기초하여 피진료자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인 경우 피진료자의 누적된 설문조사 결과치를 측정하여 비교된 결과값을 보여줌으로써 계속적으로 그래프나 텍스트형식을 활용하여 피진료자의 상태 변화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피진료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피진료자가 제공한 데이터값을 기초로 일반적인 진단을 제공할 수 있는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피진료자의 제1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한 피진료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진단정보(3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진료자가 흡연을 하고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는 설문조사의 결과가 있을 때에는 금연을 하기위한 방안 또는 금연 클리닉을 소개하는 방식의 간단한 처방이 가능하고 또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요인을 분석해 흡연, 스트레스 및 식습관이 문제라고 판단이 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 피진료자의 자기 전에 흡연습관, 야식을 먹는 습관에 대한 조언 및 스트레스 관리방안에 대해 간단한 텍스트 형식이나 기타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피진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에 서버에 전술한 진단과 관련된 도움이 될 수 있는 동영상(예를 들어, 금연체조 또는 자기전의 명상)이 있는 경우 피진료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만약에 설문조사 양식 중 주관식 정보가 있는 경우 이는 차후에 의료진에 의한 문진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고 주관식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처리될 수 있는 간단한 정보의 형태인 경우 이를 활용하여 제1 진단결과에 반영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피진료인의 신체상태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의 설문조사를 통해 계속 동일한 처방결과를 피진료인에게 제공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진료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피진료인의 상태에 따른 피진료인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설문지를 다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설문정보에서 부가적으로 변할 수 있는 정보만을 추려내어 이를 바탕으로 피진료인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진단결과에 따른 처방이 내려진 경우, 이 진단결과를 피진료자가 활용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피진료자에게 수시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진료자가 흡연을 한다거나 식이요법이 필요한 경우라면 피진료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개별 식단을 짜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단말기로 식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만약에 흡연을 한다면 흡연욕구를 저지하기 위한 명상방법 또는 흡연욕구를 낮추기 위한 생활습관을 주기적으로 제안해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피진료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휴대용단말기가 있는 피진료인의 경우, 휴대형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형태로 피진료자에게 생활습관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고, 휴대용단말기의 휴대형 단말기가 피진료자의 신체와 밀착되어 있다는 점을 활용한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진료자의 생체정보(호흡, 수면리듬, 체온, 맥박)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해 피진료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규칙적 운동이 필요한 비만환자는 휴대용단말기에 자신이 걸은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운동량을 꾸준히 체크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른 활용형태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환자는 휴대형 단말기 내의 수면주기를 체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자신의 수면리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료방법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외부로 확인될 수 있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지 않는다면 피진료자의 신체에 병이 될 수 있는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피로, 체중조절, 식습관, 성생활, 스트레스 등 영역별로 특성화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피진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역시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휴대용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온라인 접속수단을 활용하여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의 양식중 유전적인 발병 가능성이 있는 질병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설문양식을 도입하여 만약 유전적인 영향을 크게 받아 가족력이 있는 질병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유전적인 발병률이 큰 질병일 경우 피진료자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설문의 양식을 활용하여 유전적 질병의 가계도에 일정한 정보를 기입하는 양식을 도입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가질 수 있는 유전적 질병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특정한 유전적인 소인을 가질 수 있는 병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를 활용하여 예를 들어, 트리구조와 같은 것을 프로그램상에 활용하여 유전적 질병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유전적 질병에 대해 검사를 받아야 하는 정기적인 주기,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피진료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진료자의 가족의 동의가 있는 경우 동일한 정보를 피진료자의 가족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간단한 정도의 진료를 넘어서 직접적인 의료진에 의한 피진료자의 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의료진을 피진료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은 전술한 피진료자가 진료를 받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피진료자는 단말기를 사용해 서버로 선택한 메뉴별로 요구되는 개별 정보(제1 진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410). 이때 개별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의 목적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는 설문지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정한 수치를 기록하는 것일 수도 있고, 원격의료장치를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개별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410)는 회원가입절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회원가입절차 없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단계 (410)을 통해 얻은 제1 진료정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 후 데이터베이스 상의 기존의 정보를 활용하여 제1 진료정보에 대한 진단결과인 제1 진단결과를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단계 420). 이 결과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치화된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보여주는 방식일 수 있고 이러한 그래프를 분석해서 피진료자의 현재 상태를 텍스트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결과에 따른 간략한 진단도 내려 피진료자가 자신의 건강관리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자신의 진단결과와 연관된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기존의 단말기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피진료인의 치료에 활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이나 심장병과 같이 지속적으로 관리를 행해야 하는 질환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피진료자의 생체정보를 갱신하여 서버를 통해 의료진의 단말기에 전달됨으로써 피진료인의 신체에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바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단계 425).
다음 단계로는 만약 피진료인에게 추가적인 진료행위가 필요한 경우, 서버의 피진료자에 따라 의료진을 추천해주는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의료진을 추천할 수 있다(단계 430). 의료진의 추천은 서버에 있는 의료진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피진료자에게 가장 적합한 의료진을 추천하는 방안을 사용할 수 있다. 의료진의 추천은 피진료인의 인적정보를 활용해서 가장 효과적이고 빠르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하여 추천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피진료자에 의해 부가적인 설문지나 정보입력을 통해 의료진을 추천할 수도 있다. 추천된 의료진이 피진료자의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상기의 절차를 반복하여 의료진을 재선택할 수 있다. 의료진의 선택이 마쳐진 후 만약에 온라인 상담이 피진료자에 의해 요청된 경우 온라인 상담을 신청하고 피진료자는 선택된 의료진으로부터 추가적인 질문을 온라인을 통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수신하고 피진료자가 추가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형태로 진료가 진행될 수 있다.
추천된 의료진에 의해 얻어진 피진료인의 추가적인 진료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진의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제2 진단결과가 서버를 통해 피진료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단계 440). 제2 진단결과는 제1 진단결과와 마찬가지로 결과에 따라 피진료인에게 필요한 일정한 프로그램을 서버에서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다운받아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을 활용하여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진단결과는 제1 진단결과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형식 또는 그래프를 활용한 형식으로 피진료인의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또한 제2 진단결과와 함께 처방전과 같은 부수적인 서류 역시 온라인을 통해 피진료인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는 지지집단의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이다(단계 450). 지지집단을 제공받는 단계는 단계(410)과 함께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진료절차 중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순서에 상관없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집단은 피진료자의 가족 뿐 아니라 직장동료와 같이 피진료자와 생활반경을 공유하는 경우에 지지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유전적 정보가 필요한 피진료자의 진료를 위해서는 가족이 지지집단으로 될 수 있고 이러한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발생된 질병의 수술 후에 피진료인을 관리함에 있어서는 피진료자의 생활공동체로 지지집단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집단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진료자의 내밀한 정보와 같이 사생활의 보호가 요구되는 경우, 지지집단을 가족에 한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금연과 같은 경우, 지지집단을 피진료자의 생활공동체인 직장동료까지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집단은 피진료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함께 덧붙여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유전적 소인이 발병의 원인이 되는 질병의 경우, 지지집단이 독립된 피진료자로서 자신의 개별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지지집단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1 진단결과 및 제2 진단결과 또는 지지집단에게 필요한 또 다른 지지집단 수신용 정보를 지지집단의 단말기를 통해 지지집단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460). 단계(460)은 단계(440)과 함께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지지집단에게는 피진료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정보는 필요없기 때문에 지지집단으로서 피진료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지지집단의 단말기로 전송해 지지집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지지집단의 역할 별로 지지집단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는 상이할 수 있다.
추가로 피진료자의 정보가 갱신될 필요가 있는 부분은 피진료자가 자신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서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단계 470). 예를 들어, 체중관리와 같은 경우 지속적으로 변하는 피진료자의 몸무게 정보, 식사정보, 운동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입력하여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당뇨병 또는 고혈압과 같은 질환은 원격의료장비를 이용해 혈당량을 체크하거나 혈압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고, 원격의료장비가 아니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피진료자의 휴대형단말기를 통해 호흡수, 체온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업데이트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피진료자의 추가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추가의 정보를 피진료인에게 요구하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추가의 평가결과를 피진료인에게 제시할 수 있다(단계 480).
상기 전술한 단계는 필요에 따라 순서를 달리하여 제공될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 제공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단계의 숫자가 순서를 의미하여 제한적인 순서로 이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전술한 단계는 일부를 생략하여 진료방법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단계(430)의 의료진을 추천하여 의료진과 피진료자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세화한 순서도이다.
피진료자의 개별적 인적정보를 활용하여 의료진을 피진료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피진료자의 성향에 따라 비용, 피진료자로부터 의료진까지의 접근성(거리) 및 피진료자의 성별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의료진을 피진료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단계 510). 이러한 매칭에 필요한 의료진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피진료자의 성향과 가장 알맞은 의료진을 피진료자에게 매칭해줄 수 있다.
분석된 피진료인의 인적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천된 의료인 이 피진료자의 기호와 맞지 않는 경우 새로운 의료진을 추천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피진료인에게 의료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추천된 의료진에 의해 진료를 받을 건지를 물어보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단계 520).
피진료자가 의료진과 자신의 매칭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의료진을 추천하는 단계를 다시 시행할 수 있다(단계 530). 예를 들어, 피진료자가 부산에 거주하는 경우, 피진료자가 가질 수 있는 질병의 가장 권위자가 서울에 있다면 서울에 있는 의료진을 부산에 거주하는 피진료자에게 추천하는 것은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피진료자와 의료진이 온라인 진료만을 할 경우에는 부산과 서울의 거리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못한다. 또한 만약 부산에 사는 피진료자가 거리의 차를 무시하고 서울에 있는 의료진에게 진단을 받기 원한다면 서울에 있는 의료진을 매칭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다. 하지만 서울에 있는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피진료인이 부담하기에는 엄청난 금액이 들어간다면 이 또한 적절한 추천이 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이러한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단계(530)을 통해 피진료인에게 적합한 의료진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
의료진을 재추천하는 단계(단계 530) 후 재추천된 의료진을 선택할 것인지를 피진료인으로 하여금 결정하게 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단계 540).
피진료인이 추천된 의료진을 선택할 경우 추천된 의료진과 제2차 진료가 이루어 질 수 있다(단계 550). 일정한 영상장치를 활용하거나 혈당수치 또는 혈압, 체온 등 간단하게 자신의 신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구를 활용하여 온라인 진료가 이루어 질 수 있고, 온라인을 통해 주관식의 설문지를 활용한다거나, 전화통화를 통해 상세하게 자신의 상태에 대해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피진료자로부터 얻은 추가적 정보를 활용하여 의료진은 제1 진단결과와 온라인 진료결과에 기초하여 제2 진단결과를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오프라인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 오프라인 진료를 할 것인지 여부를 피진료자 또는 의료진에게 선택받을 수 있다(단계 560). 오프라인 진료가 요구되는 경우 추천된 의료진과 진료예약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피진료자가 대기하는 시간이 최대한 짧을 수 있도록 의료진의 진료 스케쥴을 고려한 예약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단계 570).
도 6은 각 주체별 진료를 받기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략화해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610), 지지집단의 단말기(620), 의료서비스제공서버(630), 의료진의 단말기(640), 데이터베이스(650)이 사용된다. 피진료자의 단말기(610)는 진료를 받기 위해 일정한 온라인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자가 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진료를 받은 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수술 후의 환자일 수도 있다. 지지집단의 단말기(620)은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와 가까운 가족이나 직장동료와 같은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와 가까운 생활공동체를 구성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의료서비스제공서버(630)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온라인 진료를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온라인 진료 서버, 피진료자에 의해 작성된 진료 정보 와 그에 따른 진단 정보를 통신말에 제공하는 전송서버, 피진료자의 정보보안을 위한 보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술한 서버를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650)피진료자들의 인적정보, 의료진의 정보, 각종 영역별 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의료진의 단말기(640)은 실제의 각 병원에 존재하는 의료진의 개별적 단말기 또는 클라우딩 컴퓨팅을 이용하여 의료진에게 주어진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제공서버(630)(이하, 서버라고 약칭한다.)를 중심으로 정보의 흐름을 설명해보면 서버(630)는 피진료자의 단말기(610)로부터 제1 진료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제1 진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650)에 존재하는 다른 피진료자의 진료정보와 비교 및 분석하여 제1 진단결과를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에 제공한다. 이때 제1 진단결과 뿐 아니라 피진료인에게 도움이 될 만한 어플리케이션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지지집단의 단말기(620)에게 피진료자(610)의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피진료자가 피진료자의 단말기(610)를 통해 의료진과의 추가적인 진료를 원하는 경우 서버(630)는 의료진 데이터베이스(650)와 피진료자의 데이터베이스(650)정보를 활용하여 의료진을 추천하고 추천된 정보를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와 의료진의 단말기(640)에 전송할 수 있다.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에 의해 의료진이 선택된 경우 피진료자는 단말기(610)을 통해 서버(630)로 그 결과를 통보하고 서버(630)는 의료진의 단말기(640)와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을 이용하여 피진료자와 의료진을 연결해줄 수 있다.
의료진이 단말기(640)를 통해 피진료인을 온라인 진료하는 경우, 의료진은 자신이 피진료자에게 원하는 추가의 정보를 서버(630)를 통해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에게 전달할 수 있고 피진료자는 이에 대한 답변을 서버(6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에 의해 추가로 작성된 제2 진료정보와 기존의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의료진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해 제2 진단결과를 서버(630)에 제공하고 서버(630)는 이를 피진료자의 단말기(610) 및 지지집단의 단말기(620)에 일정한 양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제1 진단정보와 마찬가지로 서버(630)에 있는 피진료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피진료자의 단말기(6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에 있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피진료자에게 추가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의료진의 정보 및 상기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진료자에게 의료진을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는 추가의 진료정보인 제2 진료정보를 상기 피진료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진료정보 및 상기 제2 진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의해 추가로 제공된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 및 원격의료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후,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인의 진료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보를 기초로 한 추가의 평가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피진료자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피진료자에게 식단정보, 투약정보, 생활습관정보,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피진료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한 신체상태정보, 심리치료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 및 상기 피진료자가 이용가능한 원격의료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의료진의 단말기에 의해 추가로 제공된 제2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피진료자로부터 추가의 진료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추가의 진료정보에 기초한 추가의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1 진료정보, 상기 제2 진료정보,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제2 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질문에 대하여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서 작성된 응답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게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게 상기 제1 진단결과 및 상기 제2 진단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별로 개별적인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서버에 제공된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상기 제1 진료정보 및 상기 제2 진료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은,
    상기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의료진의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의료진에게 추가의 진료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아 추가 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료정보는,
    상기 피진료인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된 상기 피진료인의 기본적인 생체정보, 생활습관, 병력, 거주환경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제1 진료정보와 다른 피진료자들의 제1 진료정보,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의 제1 진료정보 및 일반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1차로 작성된 제1 진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진료정보에 기초한 제1 진단결과를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피진료자의 제1 진료정보와 상기 피진료자에 의해 상기 제1 진료정보를 작성하기 이전에 작성된 상기 피진료자의 진료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진료자에게 추가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의료진의 정보 및 상기 제1 진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진료자에게 의료진을 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진료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된 추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진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의료진을 배정하는 것은,
    상기 서버에 포함되는 상기 의료진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 및 진료방법.
  19.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피진료자의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진료정보 및 의료진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와 상기 의료진을 매칭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피진료자의 지지집단에 대한 정보, 상기 피진료자를 제외한 피진료자들의 진료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와 관련된 일반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진료자와 상기 지지집단의 단말기로 제공할진단결과를 만들어내는 의료 서비스를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100032113A 2010-04-08 2010-04-08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10114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13A KR101141425B1 (ko) 2010-04-08 2010-04-08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13A KR101141425B1 (ko) 2010-04-08 2010-04-08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901A true KR20110112901A (ko) 2011-10-14
KR101141425B1 KR101141425B1 (ko) 2012-05-04

Family

ID=4502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113A KR101141425B1 (ko) 2010-04-08 2010-04-08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4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973A1 (en) * 2012-01-19 2013-07-25 Unitedhealth Group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ustomer-selected care path for treatment of a medical condition
US8682690B2 (en) 2003-10-15 2014-03-25 Optuminsight,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medical costs
KR101998819B1 (ko) * 2019-01-31 2019-10-02 국립나주병원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20200109666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3923A (ko) * 2019-05-21 2020-12-01 (의) 삼성의료재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면 인식을 이용한 관련 질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1427A (ko)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동료 의사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4432B1 (ko) * 2021-06-08 2022-01-24 김유현 사용자를 위한 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74250A (ko) * 2020-11-27 2022-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20121484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덴트시그널 치아 진단 및 진료 예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28B1 (ko) * 2012-06-22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20160133300A (ko) 2015-05-12 2016-11-22 박명률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03131B1 (ko) 2015-10-29 2016-03-15 박명률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437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라온즈 생체신호수집과 통신망 기반의 야외활동인원의 생활활력징후 정보제공 및 응급상황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190061826A (ko) 2017-11-28 2019-06-05 (주)블라우비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792B1 (ko) * 2018-09-14 2021-02-10 주식회사 스카이즈 식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자가진단 체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방법
KR102248751B1 (ko) * 2018-11-12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200398B1 (ko) 2018-11-15 2021-01-08 주식회사 라온즈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47B1 (ko) * 2005-12-22 2007-12-24 설진안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37382B1 (ko) * 2006-05-01 2007-07-09 이경수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KR101506981B1 (ko) * 2007-12-31 2015-03-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2690B2 (en) 2003-10-15 2014-03-25 Optuminsight,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medical costs
WO2013109973A1 (en) * 2012-01-19 2013-07-25 Unitedhealth Group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ustomer-selected care path for treatment of a medical condition
US8805701B2 (en) 2012-01-19 2014-08-12 Unitedhealth Group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a customer to select a care path for treatment of a medical indication, to select providers based on quality and cost and to estimate medical costs
KR101998819B1 (ko) * 2019-01-31 2019-10-02 국립나주병원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20200109666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3923A (ko) * 2019-05-21 2020-12-01 (의) 삼성의료재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면 인식을 이용한 관련 질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WO2020235939A3 (ko) * 2019-05-21 2021-02-04 (의) 삼성의료재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면 인식을 이용한 관련 질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1427A (ko)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동료 의사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74250A (ko) * 2020-11-27 2022-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20121484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덴트시그널 치아 진단 및 진료 예약 시스템
KR102354432B1 (ko) * 2021-06-08 2022-01-24 김유현 사용자를 위한 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425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im et al. Impact of personal health records and wearables on health outcomes and patient response: three-ar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20200194121A1 (en) Personalized Digital Health System Using Temporal Models
Demiris Electronic home healthcare: concepts and challenge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KR20170130493A (ko) 환자 간호 시스템
KR20120076615A (ko)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Pastore et al. School-based health center utilization: a survey of users and nonusers
US201301105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hronic conditions
KR20220122729A (ko) 행동-변화 프로그램에서 개인을 돕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0059794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hang et al. The impact of an mHealth app on knowledge, skills and anxiety about dressing chang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Falsiroli Maistrello et al.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neck pain: a systematic critical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with meta-summary and meta-synthesis
Berry et al. Self-care support fo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iCancerHealth
Ahmadi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based self-care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in Iran
KR20190007609A (ko)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0731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US11185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dentifying posology efficacy for an an individual
Eslami Jahromi et al. Impact of telecare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KR101252654B1 (ko) 자가진단 건강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