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819B1 -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819B1
KR101998819B1 KR1020190012969A KR20190012969A KR101998819B1 KR 101998819 B1 KR101998819 B1 KR 101998819B1 KR 1020190012969 A KR1020190012969 A KR 1020190012969A KR 20190012969 A KR20190012969 A KR 20190012969A KR 101998819 B1 KR101998819 B1 KR 10199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atment
counseling
counselor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현
김형연
김현정
홍우현
시영화
송제헌
정향숙
Original Assignee
국립나주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나주병원 filed Critical 국립나주병원
Priority to KR102019001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으며, 마음건강 안심(安心)클리닉에서 원스톱으로 상담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치료기관은 심리치료를 위해 치료기관에 방문한 피상담자(예: 직장인)의 개인정보를 피상담자(예: 직장인)가 근무하는 회사에 전혀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을 피상담자(예: 직장인)가 근무하는 회사에 청구하여 입금받고, 반면 회사는 치료기관의 진료비 청구내역에 포함된 일정 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에 대한 검증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Integrated system for counseling and curing psychological problems of employee}
본 발명은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료기관은 심리치료를 위해 치료기관에 방문한 피상담자(예: 직장인)의 개인정보를 피상담자(예: 직장인)가 근무하는 회사에 전혀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일정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을 피상담자(예: 직장인)가 근무하는 회사에 청구하여 입금받고, 반면 회사는 치료기관의 진료비 청구내역에 포함된 일정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에 대한 검증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반응(emotional reaction)은 우울, 불안, 강박, 수면장애, 정신이상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정서적 반응 피해는 상담전문가에 의한 심리학적 치료방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심리치료는 심리치료실 분위기와 치료도구 그리고 상담전문가의 치료행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상담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받아야 하는 횟수는 다르지만 보통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병원 또는 치료기관에 내방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병원 또는 치료기관에 내방해서 심리치료를 받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이유는 상담치료를 받는 사람을 정신질환자로 취급하는 사회적 인식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0389호에는 사용자가 정신건강병원이나 정신건강 상담소를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트레스 및 우울증 등을 포함한 정신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조언과 지지요법(supportive psychotherapy), 동기부여, 또는 인지전환(사고전환) 등의 정신 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온라인 심리치료라 할지라도, 상담치료실에서의 심리치료보다 치료의 효과가 좋을 수 없다. 가장 좋은 심리치료는 심리치료실 분위기와 치료도구 그리고 상담전문가의 치료행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마다 예를들어 적어도 한 달에 한번은 병원 또는 치료기관에 내방하여 심리치료를 받아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0389호 (공개일 2014.01.03)
일반적으로, 피상담자가 정신건강병원이나 정신건강 상담소를 방문하는 경우 치료기관의 접수창구에서는 내방한 피상담자의 개인정보를 등록했다. 그리고 치료기관의 원무과에서는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치료 후 개인정보가 포함된 치료비청구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하였다. 따라서 피상담자의 병원방문 및 치료 기록이 남아서 근무하는 직장 또는 이직을 하는 경우 이직하고자 하는 직장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료기관에 내방한 피상담자가 치료기관의 접수창구 및 원무과에 방문하지 않고 상담진료실에 바로 심리치료를 받고 귀가할 수 있도록 하며, 비보험처리 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피상담자의 병원방문 및 심리치료 기록과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피상담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받아야 하는 횟수는 다르지만 보통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병원 또는 치료기관에 내방해야 한다. 그러므로 피상담자는 한달에 3∼4번 병원비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 치료기관에 방문하여 심리치료를 받는 것을 꺼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치료기관은 일정 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을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에 청구하여 입금받을 수 있다.
그런데, 회사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직원들 중 어떤 직원이 치료기관에서 무슨 심리치료를 받아 치료비가 책정되었는지를 전혀 알 수 없어 치료기관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필요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료기관의 청구내역에 포함된 일정기간의 총치료직원수와 그에 따른 총비용에 대한 검증이 가능한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담전문가는 심리치료를 받는 내방자가 많아질수록 저장해야 할 데이터가 많아진다. 더군다나 피상담자 심리치료 데이터는 비밀사항으로써 보안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치료 데이터가 필요함에도 심리치료 데이터는 보안유지가 최우선이라는 인식 때문에 복수의 치료기관 간의 데이터 공유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치료기관에서 실시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복수의 치료기관 간에 데이터 공유을 지원할 수 있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출력부와 입력부와 통신부와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며 상담치료실에 방문한 피상담자에게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내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치료기기로 치료한 피상담자의 심리치료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와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미승인’으로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 대한 치료기관 감독국의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승인완료’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주변기기로부터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기업식별정보와 기업의 치료비지원금정보와 직장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업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기업정보를 토대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긍정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치료기관에 설치되는 제1 주변기기와 치료기기와 피상담자 관리장치와 치료기관 감독국에 설치되는 검증장치를 포함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주변기기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상담자 관리장치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내방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치료기기로 치료한 피상담자의 심리치료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와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내방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와 심리치료정보와 처방정보와 상담전문가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검증장치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장치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 통신부와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주변기기와; 상기 제2 주변기기로부터 제1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청구내역 검증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주변기기로부터 검증이 완료된 청구내역 검증처리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운영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운영서버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며 상담치료실에 방문한 피상담자에게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표시부와 입력부와 제1 통신부와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제1 주변기기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내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치료기기로 치료한 피상담자의 치료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정신건강 상담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운영서버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와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피상담자가 치료기관의 접수창구를 거치 않고 상담치료실에서 원스톱으로 상담 및 치료를 받도록 구현됨으로써,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치료기관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안심하고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다.
둘째, 심리상담 및 치료에 따른 비용을 비보험 처리할 수 있고,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에 심리상담 및 치료에 따른 비용을 피상담자의 개인정보 노출 없이 청구할 수 있다.
셋째, 치료기관을 관리 감독하는 상급기관인 치료기관 감독국의 확인절차를 통해 피상담자에게 치료비를 지원하는 기업들이 신뢰할 수 있다.
넷째, 피상담자정보와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관리하여 피상담자가 직장을 옮기더라도 심리상담 및 치료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비보험처리와 직장제출용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섯째, 피상담자의 개인정보와 상담 및 치료 이력을 치료기관이 아닌 원격지에 위치한 운영서버에 저장하여 피상담자정보가 치료기관에서 노출되는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치료기관에서 실시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복수의 치료기관 간에 심리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또다른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상담치료”는 우울증, 강박관념, 수면 장애와 같이 사람의 심리와 생체리듬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들을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치료기기는”는 평안요법, 음악요법, 명상요법, 색채요법, 아로마요법 등과 같은 상담전문가가 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한편,“내방정보”는 피상담자가 심리치료실에 내방하고자 하는 예약정보와 심리치료실에 실제로 내방하여 심리치료실에 출입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에 근무하는 다수의 직장인들이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치료기관(110)과 치료기관 감독국(1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직장(피상담자가 근무하는 곳)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은 예를 들어, 소방서, 우체국, 법원, 경찰서, 스포츠구단 등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직장마다 해결하기 어려운 극심한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적 고충 등으로 인해 대인관계 갈등, 우울, 불안, 분노, 강박관념, 수면 장애와 같이 심리불안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직장인들의 마음 건강을 증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업무능률을 높이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자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위탁운영하는 직장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심리상담은 피상담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피상담자가 원하는 적절한 시간에 이루어진다. 직장은 피상담자의 심리상담횟수, 심리상담시간, 심리치료와 처방에 따라 비용을 지원해준다. 현재는 일부 회사들만 이러한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앞으로 직장인들에게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복지정책을 채택하는 직장들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장인들에게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직장 내 비용처리부서는 치료기관(110)으로부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받는다.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는 일례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 비용산출 기간
2.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3.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4. 피상담자 직장정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는 피상담자의 이름, 주소, 나이, 연락처정보, 근무하는 부서와 같이 직장에서 근무하는 동료가 알 수 있는 피상담자의 어떠한 개인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 심지어 피상담자의 생체정보 예컨대, 지문정보, 홍체정보, 사진이미지 등의 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 내 비용처리부서는 치료기관(110)으로부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받아 일정기간 내 치료기관에서 심리상담 또는 심리치료 및 처방정보를 받은 모든 피상담자들의 비용을 확인하고 결제를 처리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회사에서는 자신의 직원들 중 어떤 직원이 치료기관에서 무슨 심리치료를 받아 치료비가 책정되었는지를 전혀 알 수 없어 치료기관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필요로 한다.
직장 내 비용처리부서는 치료기관(110)으로부터 받은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은 경우, 치료기관 감독국(10)에 치료기관(110)으로부터 받은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검증요청서에 포함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를 치료기관(110)에서 받은 상담치료 원본데이터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치료기관에서 받은 상담치료 원본데이터정보는 일례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 피상담자 내방정보
2.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 심리치료정보 또는 처방정보
3. 상담전문가정보
4. 피상담자 직장정보
치료기관 감독국(치료기관의 활동을 관리 및 감독하는 곳)
치료기관 감독국(10)은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와 같은 공공기관이 될 수 있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치료기관(110)에서 전송하는 원본데이터정보와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 및 검증처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치료기관(110)은 원본데이터정보를 일반인들이 전혀 볼 수 없도록 외부에 노출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극비사항으로 처리한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어떤 직장으로부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서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검증요청서에 포함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를 치료기관(110)에서 받은 원본데이터정보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확인결과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치료기관(110)에 통지하고 원인분석과 시정조치와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치료기관 감독국(10)은 정기적인 감사를 통해 치료기관(110)에서 수행한 내용이 제대로 이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기관(110)은 일례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미승인’으로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 대한 치료기관 감독국의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승인완료’로 변경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치료기관은 ‘미승인’으로 설정되어 있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치료기관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출하여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치료기관은 ‘승인완료’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직장에 제출하여 비용을 받을 수 있다.
치료기관(상담전문가가 상주하는 곳)
치료기관(110)은 직장에 근무하는 다수의 직장인이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병원일 수 있다. 치료기관(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치료실과 상담전문가를 구비한다. 상담치료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200)을 구비한다.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200)은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피상담자 관리장치(210)와 주변기기(220)와 치료기기(230)와 측정기기(2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측정기기(240)는 피상담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측정기기(240)는 스트레스 진단기와 세포 분석기와 인바디(In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스 진단기는 신체조절 능력과 스트레스 저항도 및 피로도 등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장치이다. 세포 분석기는 손과 발의 전극을 통하여 부위별 저항값을 측정한다. 인바디(Inbody)는 체지방,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비만도 등 체성분을 측정한다.
치료기기(230)는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며 상담치료실에 방문한 피상담자에게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치료기기(230)는 파워브리딩기기와 알파스팀기기와 아이스캔슬립기기와 편백 족욕기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브리딩기기는 바이오피드백 심호흡 트레이닝을 통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주의력과 집중력 향상, 심폐기능 향상, 트라우마 개선, 우울증 및 불명증을 개선시켜준다. 알파스팀기기는 1mA 미세전류가 피부를 통해 뇌에 자극함으로써 뇌파 등 알파파를 유도하여 불안, 초조, 우울증과 불면증 치료에 도움을 준다. 아이스캔슬립기기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불면증이나 우울증, 만성피로 등을 없애 수 있도록 돕는 안경형태의 기기로 눈에 착용한 후 움직이는 빛을 따라 좌우로 일정하게 눈을 움직여 안구운동을 유도한다. 편백 족욕기는 피로회복과 발의 혈관을 확장하여 상체와 하체간의 혈액순환으로 머리를 말게 해주고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치료기기(230)는 경두개자기자극술을 이용하여 수술이나 마취 없이 뇌의 신경세포를 자극시켜 우울증, 불안증, 불면증, 치매 등을 치료하는 기기, 뇌파분석과 즉각적인 피드백 프로그램을 통해 두뇌 조절능력을 키움으로써 긴장과 불안감을 완화,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220)는 출력부(221)와 입력부(222)와 통신부(223)를 포함한다. 출력부(221)는 기계적인 데이터를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모니터, LCD, LED, 또는 O-LED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22)는 키보드, 마우스, 나아가 터치펜, 음성인식기기, 터치스크린, 스캐너 등 글자나 이미지를 CPU 또는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통신부(223)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범용직렬버스(USB) 방식, RFID, LTE를 포함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222)는 글자나 이미지 외에도 소리와 빛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스피커와 촬영장치(예컨대 CCTV)와 생체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일례로 스피커와 촬영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캠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장치(예컨대 CCTV)는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 내부에 장착되며 날짜와 시간과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저장하는 IP카메라장치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인식기는 상담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인식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정보나 생체정보는 치료기관에서 확인할 수 없고 오직 치료기관 감독국(10)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극비사항으로 처리되며 이로써 상담자의 개인정보를 일반인에게 노출하지 않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컴퓨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기기(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와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와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와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는 주변기기(220)로부터 피상담자 등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등록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 식별코드와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등록정보는 다른 예로 피상담자의 생체정보(예: 지문, 홍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피상담자 식별코드는 예컨대 가명 또는 상담전문가가 생성한 환자식별번호일 수 있다. 피상담자 직장정보는 예컨대 4대보험 가입정보, 재직증명서 또는 명함정보일 수 있다. 피상담자 연락처정보는 휴대폰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주변기기(220)로부터 상담치료실에 내방하고자 하는 피상담자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일례로 음성이나 문자를 통한 인간과의 대화를 통해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챗봇(chatbot)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예약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는 날짜, 시간, 상담전문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는 치료기관의 접수창구나 원무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담치료실에서 상담 및 치료를 받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하지 않는 ‘비보험’수가를 적용할 경우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일반인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주변기기(220)로부터 심리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 출입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례로, 피상담자 출입정보는 피상담자 식별코드 인식정보, 피상담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동영상정보 또는 생체정보(예: 지문, 홍체)일 수 있다.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는 주변기기(220)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정보 또는 심리치료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는 상담치료실에서 치료기기(230)와 측정기기(240)를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는 상담전문가와의 심층면담 후 필요한 경우 피상담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주변기기(220)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일정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를 산출하고,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치료비산정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서 상담전문가에 받은 심리상담 또는 심리치료와 약물 등 처방에 따른 비용을 포함한다.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30분, 1시간, 1시간 30분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사용한 치료기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처방정보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처방된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정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은 예컨대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1개월 또는 2개월 동안 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음으로써 발생한 치료비산정정보 중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이 치료기관에 지급하는 실제 비용이다.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마다 치료비지원정보 즉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 약물 등 처방에 따른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주변기기(220)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일정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을 산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회사의 직원이 복수명인 경우,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산출된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와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를 설명한다.
구분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
(단위:만원/시간)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
(만원/1일)
처방에 따른 비용
(최대지원금:만원/1일)
A 직장(1) 1 2 4
B 직장(2) 1.5 3 5
C 직장(3) 2 4 6
표 1을 보면, A 직장(1)에 근무하는 피상담자가 심리상담 1시간을 받고 심리치료를 받았다면,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은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1만원)과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2만원) 총 3만원이다. 따라서 A 직장(1)은 치료기관에 3만원을 결제하면 된다.
반면에, C 직장(3)에 근무하는 직장인이 심리상담 1시간을 받고 심리치료를 받았다면,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은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2만원)과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4만원) 총 6만 원이다. 따라서 C 직장(3)은 치료기관에 6만원을 결제하면 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일례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미승인’으로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주변기기(220)로부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 대한 치료기관 감독국(10)의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승인완료’로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기관 관리자는 일정 기간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 및 심리치료 건수와 전체 비용을 확인할 수 있고, 치료기관 감독국(10)의 승인대기 건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정보 처리부(219)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업정보 처리부(219)는 주변기기(220)로부터 기업식별정보와 기업의 치료비지원정보와 직장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는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기업정보를 토대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긍정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피상담자가 이전에는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직장에 근무하였는데 현재는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지 않는 회사에 근무한다면 치료기관은 이러한 기업에 직장인 정신건강 지원캠페인 및 홍보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지속적으로 피상담자의 정신건강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기업정보를 획득하여 홍보 마케팅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2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피상담자 관리장치(210)와 제1 주변기기와 검증장치(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와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와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와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SSD, USB, NA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부는 원격지에 설치되는 데이터센터에 구비되는 운영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가 NA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에 구비되는 운영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인증 및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서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일반인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주변기기는 출력부(221)와 입력부(222)와 제1 통신부(223)를 포함한다. 출력부(221)는 기계적인 데이터를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모니터, LCD, LED, 또는 O-LED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22)는 키보드, 마우스, 나아가 터치펜, 음성인식기기, 터치스크린, 스캐너 등 글자나 이미지를 CPU 또는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23)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범용직렬버스(USB) 방식, RFID, LTE를 포함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222)는 글자나 이미지 외에도 소리와 빛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스피커와 촬영장치(예컨대 CCTV)와 생체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2)는 일례로 스피커와 촬영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캠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장치(예컨대 CCTV)는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 내부에 장착되며 날짜와 시간과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제1 통신부(223)를 통해 서버에 저장하는 IP카메라장치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인식기는 상담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인식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정보나 생체정보는 치료기관에서 확인할 수 없고 오직 치료기관 감독국(10)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극비사항으로 처리되며 이로써 상담자의 개인정보를 일반인에게 노출하지 않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등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등록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 식별코드와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등록정보는 다른 예로 피상담자의 생체정보(예: 지문, 홍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피상담자 식별코드는 예컨대 가명 또는 상담전문가가 생성한 환자식별번호일 수 있다. 피상담자 직장정보는 예컨대 4대보험 가입정보, 재직증명서 또는 명함정보일 수 있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내방하고자 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일례로 음성이나 문자를 통한 인간과의 대화를 통해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챗봇(chatbot)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약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는 치료기관의 접수창구를 거치지 않고 상담치료실에서 상담 및 치료를 받고, 비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하지 않는 ‘비보험’수가를 적용하여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일반인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주변기기(220)로부터 심리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 출입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례로, 피상담자 출입정보는 피상담자 식별코드 인식정보, 피상담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동영상정보 또는 생체정보(예: 지문, 홍체)일 수 있다.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 또는 치료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는 상담치료실에서 치료기기(도 1의 참조부호 230)와 측정기기(도 1의 참조부호 240)를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는 상담전문가와의 심층면담 후 필요한 경우 피상담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일정기간의 직장별 전체치료비를 산출하고,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일정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을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한 회사의 직원이 복수명인 경우,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산출된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와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산출된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 비용산출 기간,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상담치료실 내부의 동영상 정보와 피상담자 내방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와 심리치료정보와 처방정보와 상담전문가정보와 피상담자정보와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입력받아 검증장치(250)로 전송한다.
검증장치(250)는 치료기관 감독국(10)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컴퓨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검증장치(250)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주변기기와 제어부(251)와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주변기기는 출력부와 입력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기계적인 데이터를 사람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모니터, LCD, LED, 또는 O-LED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키보드, 마우스, 나아가 터치펜, 음성인식기기, 터치스크린, 스캐너 등 글자나 이미지를 CPU 또는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범용직렬버스(USB) 방식, RFID, LTE를 포함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제어부(251)는 제2 주변기기로부터 제1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청구내역 검증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제2 주변기기로부터 검증이 완료된 청구내역 검증처리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저장부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SSD, USB, NA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부는 원격지에 설치되는 데이터센터에 구비되는 운영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가 NA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에 구비되는 운영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인증 및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서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일반인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저장부는 치료기관 등록정보와 상담치료 원본데이터와 청구내역 검증요청정보와 청구내역 검증처리정보를 저장한다.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는 1. 피상담자 내방정보, 2.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 심리치료정보 또는 처방정보, 3. 상담전문가정보, 4.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청구내역 검증요청정보는 검증을 요청한 회사 또는 치료기관의 정보와 검증을 요청한 날짜와 시간과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는 1. 비용산출 기간, 2.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3.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4.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청구내역 검증처리정보는 검증을 처리한 담당자 정보와 처리 날짜와 검증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와 확인결과를 수신할 수신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치료기관 감독국(10)은 확인결과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았으면 이를 치료기관에 통지하고 원인분석과 시정조치와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에 근무하는 다수의 직장인들이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를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치료기관(110, 120, 13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치료기관 감독국(10)과 앱 서버(410)와 운영서버(4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치료기관(110, 120, 130)은 대학병원, 일반병원, 개인병원일 수 있다. 앱 서버(410)는 예를 들어 음악, 영화, 도서 등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모바일폰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앱을 저장하는 서버이다.
본 명세서에서“앱”이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앱 서버(110)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폰을 위한 플레이스토어와 IOS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애플의 아이폰을 위한 앱 스토어를 포함한다.
앱 서버(110)는‘상담 앱’과 제1 내지 제3 치료기관(110, 120, 130)에서 개발한‘상담치료 앱’과‘상담치료 측정 앱’을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앱은 상담전문가와 피상담자 간의‘1:1 채팅’,‘1:N 채팅’및‘최근알림’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상담 앱은 피상담자로 하여금‘상담치료 앱’또는‘상담치료 측정 앱’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의 개인정보와 상담 및 치료 이력을 치료기관이 아닌 원격지에 위치한 운영서버(420)에 저장하여 피상담자정보가 치료기관에서 노출되는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료기관에서 실시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복수의 치료기관 간에 심리치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운영서버(420)는 제1 내지 제3 치료기관(110, 120, 130)별 관리자 회원정보와 상담전문가 회원정보 및 피상담자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자 회원정보와 상담전문가 회원정보는 운영서버(140)에 접속권한이 있음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아이디/비밀번호와 피상담자 단말기로부터 상담 글 또는 기록정보 또는 측정결과정보가 입력되었음을 상담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 식별정보(예를 들어, 스마트폰 번호, 이-메일)를 포함한다.
운영서버(4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통신부와 저장부를 포함한다. 제3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범용직렬버스(USB) 방식, RFID, LTE를 포함하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저장부에는 피상담자 등록정보, 피상담자 내방정보, 피상담자 치료정보 및 피상담자 비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운영서버(420)는 일례로,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데이터 중에 피상담자 치료정보 및 피상담자 비용정보를 요청하는 상담전문가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피상담자 등록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 식별코드와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식별코드는 예컨대 가명 또는 상담전문가가 생성한 환자식별번호일 수 있다. 피상담자 직장정보는 예컨대 4대보험 가입정보, 재직증명서 또는 명함정보일 수 있다. 피상담자 내방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와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와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와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등록정보를 입력받아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한다.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213)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고자 하는 내방정보를 입력받아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한다.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215)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 또는 치료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한다. 피상담자는 상담치료실에서 치료기기(230)와 측정기기(240)를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는 상담전문가와의 심층면담 후 필요한 경우 피상담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하고, 일정 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을 산출하고,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한다.
치료비산정정보는 일례로,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서 상담전문가에 받은 심리상담 또는 심리치료와 약물 등 처방에 따른 비용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30분, 1시간, 1시간 30분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사용한 치료기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약물 등 처방에 따른 비용은 예컨대 처방된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정 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은 예컨대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1개월 또는 2개월 동안 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음으로써 발생한 치료비산정정보 중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이 치료기관에 지급하는 실제 비용이다. A 직장(1), B 직장(2), C 직장(3)마다 치료비지원정보 즉 심리상담에 따른 비용, 심리치료에 따른 비용, 약물 등 처방에 따른 비용이 다를 수 있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주변기기(220)로부터 입력된 비보험적용정보와 직장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운영서버(420)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일정기간의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을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한 회사의 직원이 복수명인 경우,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직장별 일정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를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산출된 직장별 피상담자 치료비지원금, 비용산출 기간,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피상담자가 근무하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217)는 일례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미승인’으로 설정하여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에 저장하고, 주변기기(220)로부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 대한 치료기관 감독국(10)의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승인완료’로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상담자 관리장치(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정보 처리부(219)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업정보 처리부(219)는 주변기기(220)로부터 기업식별정보와 기업의 치료비지원정보와 직장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입력받아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4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211)는 운영서버(420)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기업정보를 토대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긍정인 경우 변경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운영서버(42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피상담자가 전에는 치료비를 지원하는 회사에 근무하였는데 현재는 치료비를 지원하지 않는 회사에 근무한다면 치료기관은 이러한 회사에 직장인 정신건강 지원캠페인 및 홍보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피상담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기업정보를 획득하여 홍보 마케팅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상담치료실이 구비된 치료기관 내에 설치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으로서,
    출력부와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는 카메라장치 또는 생체인식기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통신부와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주변기기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치료기관의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며 상담치료실에 방문한 피상담자에게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 내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치료기기로 치료한 피상담자의 심리치료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심리상담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기업식별정보와 치료비지원정보와 직장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업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하지 않는 ‘비보험’수가 적용정보가 입력되면 기업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피상담자의 개인정보와 상담내용이 노출되지 않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치료기관 감독국에 제출하기 위한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는,
    비용산출 기간,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는,
    상담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의 동영상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와 심리치료정보와 처방정보, 상담전문가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기업정보를 토대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긍정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은,
    상기 치료기관 감독국에 설치되는 검증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 통신부와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주변기기와;
    상기 제2 주변기기로부터 검증을 요청한 기업 또는 치료기관의 정보와 검증을 요청한 날짜와 시간과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청구내역 검증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주변기기로부터 검증을 처리한 담당자 정보와 처리 날짜와 검증한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와 확인결과를 수신할 수신처정보를 포함하는 청구내역 검증처리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5. 치료기관 내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며 상담치료실에 방문한 피상담자에게 치료를 목적으로 상담전문가가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출력부와 상담치료실에 설치되는 카메라장치 또는 생체인식기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주변기기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연락처정보와 직장정보를 입력받아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가 상담치료실에 방문하는 날짜와 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치료기기로 치료한 피상담자의 치료정보와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정신건강 상담정보와 처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치료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정신건강 치료비를 지원하는 기업식별정보와 치료비지원금정보와 직장가입자정보를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업정보 처리부와;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하지 않는 ‘비보험’수가 적용정보가 입력되면 기업별 치료비지원정보와 상기 운영서버에 저장된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의 치료비산정정보와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기초로 피상담자의 개인정보와 상담내용이 노출되지 않는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치료기관 감독국에 제출하기 위한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는,
    비용산출 기간, 그 기간 내 치료를 받은 모든 직원수와 그에 따른 전체 치료비, 치료기관 및 상담전문가 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담치료 원본데이터는,
    상담치료실에 출입하는 피상담자의 동영상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피상담자 내방정보,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상담정보와 심리치료정보와 처방정보, 상담전문가정보 및 피상담자 직장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피상담자 등록정보 처리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피상담자의 생년월일과 이름과 기업정보를 토대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긍정인 경우 운영서버로 변경된 피상담자의 직장정보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피상담자 비용정보 처리부는,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미승인’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에 대한 치료기관 감독국의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직장제출용 비용결제정보를‘승인완료’로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1020190012969A 2019-01-31 2019-01-31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KR10199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69A KR101998819B1 (ko) 2019-01-31 2019-01-31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69A KR101998819B1 (ko) 2019-01-31 2019-01-31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819B1 true KR101998819B1 (ko) 2019-10-02

Family

ID=6842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969A KR101998819B1 (ko) 2019-01-31 2019-01-31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8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72B1 (ko) * 2022-12-22 2023-09-15 주식회사 점심 심리상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0271B1 (ko)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10266B1 (ko)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감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94A (ko) * 2008-09-24 2010-04-01 박양우 병의원 보험급여비용 허위, 부당청구 예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12901A (ko) * 2010-04-08 2011-10-1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20140000389A (ko)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2015005767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검진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8470A (ko) * 2016-04-15 2017-10-25 이정화 온라인상에서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94A (ko) * 2008-09-24 2010-04-01 박양우 병의원 보험급여비용 허위, 부당청구 예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12901A (ko) * 2010-04-08 2011-10-1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20140000389A (ko)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2015005767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검진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8470A (ko) * 2016-04-15 2017-10-25 이정화 온라인상에서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72B1 (ko) * 2022-12-22 2023-09-15 주식회사 점심 심리상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0271B1 (ko)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10266B1 (ko)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감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g KN et al.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Miyasaki et al. Qualitative study of burnout, career satisfaction, and well-being among US neurologists in 2016
Hammond et al. Standards of practice for neurofeedback and neurotherapy: A position pap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eurofeedback & Research
KR101998819B1 (ko) 직장인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 통합시스템
US2011011855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creening, treating, and monitoring psychological conditions
US20040193448A1 (en) Touch-screen applications for outpatient process automation
CN103688263A (zh) 患者互动式医疗保健系统和数据库
US20160378928A1 (en) Therapist Assisted Mental Health Treat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9478425A (zh) 按需全点远程医疗会诊的系统和方法
Jacobsen et al. Integrating psychosocial care into routine cancer care
Martin Legal, clinical, and ethical issues in teletherapy
Goertz et al. Assessment of chiropractic treatment for active duty, US military personnel with low back pain: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2003204909B2 (en) Computer-aided system and method for self-assessment and personalised mental health consultation
Farragher et al. Protocol for a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n educational programme for adults on chronic haemodialysis with fatigue (Fatigue-HD)
Blackstone et al. Closer: A videoconference intervention for distance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hmed et al. The impact of rehabilitation-oriented virtual reality devic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in the early subacute recovery phase: study protocol for a phase iii,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Rethorn et al. Connecting at the webside: rapid telehealth implementation for musculoskeletal clinicians
Patel et al. Credentialing
Gebke et al. A practical guide to recognize, assess, treat and evaluate (RATE) primary care patients with chronic pain
US11955229B2 (en) Health management platform
KR20170115909A (ko) 온라인 상담치료 중재정보 및 측정정보 제공이 가능한 피상담자 단말기 및 운영서버
Horovitz Apps, telehealth, and art therapy: Online treatment and ethical issues for the digital age
Mukherjee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mployee healthcare
Chan et al. Privacy and Security for Psychiatry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Gahagan Ethical issues in marriage and family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