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382B1 -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382B1
KR100737382B1 KR1020060039317A KR20060039317A KR100737382B1 KR 100737382 B1 KR100737382 B1 KR 100737382B1 KR 1020060039317 A KR1020060039317 A KR 1020060039317A KR 20060039317 A KR20060039317 A KR 20060039317A KR 100737382 B1 KR100737382 B1 KR 10073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diagnosis
data
compariso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102006003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입력단계; 의료진단에 관한 소정의 질의사항인 진단질의사항을 환자에게 전송하고 전송된 진단질의사항에 대한 환자의 응답인 1차데이터를 입력받는 1차데이터입력단계; 입력받은 1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1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 개인정보와 상기 1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1차진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 담당의사로부터 소정 환자에 대한 진단명인 진단결과와 소정 환자의 신상정보가 연계된 정보인 진단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진단결과정보저장단계; 및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비교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에 의하면, 미래지향적인 의료진단경로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로로 형성가능한 의료진단에 관한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에 따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비교연산하여 그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의료시스템의 구축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의료데이터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Operaton method for medical diagnosis dat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의료 진단 데이터의 연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진단에 이르기까지 형성가능한 다각적인 의료경로에 따른 다양한 의료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의료진단데이터들 상호간의 비교연산을 통하여 의료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통계적 표준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금을 통하여 의료에 관한 중대성은 강조되어 왔으며, 의료에 관련된 다양한 산업은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출발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의료에 관한 기술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면, 기술과 이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정밀하고 섬세한 진단이 가능한 의료기기의 발전을 이룩하여 왔으며, 의료기기, 의료장비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질병을 진단함에 있어 괄목한 성과를 이루어 왔으며, 또한, 이러한 인간의 질병에 관한 진단장비 등은 나날이 발전되어 가고 있다.
현재에 이르러, 네트워크, 온라인 등의 개념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생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의료와 관련된 산업이 새로이 발전해 가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환자와 의사와의 만남이 온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온라인을 통한 만남은 의사와 환자간의 상담의 예가 그러하며, 또한, 환자 또는 잠재적 환자의 의료지식에 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료사이트, 환자나 환자가족들의 커뮤니티 등의 등장이 이러한 예가 될 것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환자와 의사와의 접촉은 병의원에 직접 환자가 방문을 하고 방문한 환자와 직접적으로 의사가 만나는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현재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만남은 물론이고, 데이터 통신의 표준화와 전송처리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메일의 전송, 화상캠 등을 이용하여 의사와 환자가 접촉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의사가 온라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있다.
전통적인 방식을 지양하는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 이유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의사와 환자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적, 비용적 낭비를 줄이고 이를 통하여 더욱 진보적인 의료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함이라고 해석된다.
환자로부터의 초기정보가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데이터가 구축되는 정도만이라도 의사가 환자로부터 취득해야 되는 기본적인 정보축적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의사는 시간의 효율성을 획득할 수 있고, 이렇게 획득된 시간적 효율성은 시술이나 다른 진단의 질적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가적 의료정책의 수립이라는 측면이나 선진적 미래지향적인 의료 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현재의 다양한 의료진단 경로를 판단하여 보면, 의사와 개인 환자와의 개별적이고 일회적인 정보의 공유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대부분인 것이 현 실정이다.
상기의 예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온라인을 이용하여 의사와 환자가 만나는 경우를 예로 든다고 하여도, 공유되는 정보는 의사개인과 환자개인에만 해당되는 데이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정보는 표준적이고 범용적인 데이터의 구축과는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IT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의료정보와 의료상담 등의 엄청난 속도와 양으로 발전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양적 팽창이 의료산업의 진보화와 미래화라는 질적 변화를 이루기에는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더욱이 향후 가까운 미래사회에 도래하게 될 온라인 무인 진단 시스템의 구축과는 무관하게 각종 데이터가 낭비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T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경로로 형성가능한 이러한 방대한 자료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표준화할 수 있는 방식 등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부흥하기에는 현재의 다양하게 시도되는 방식은 효율성과 직접관련성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의료산업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면, 의사의 인술이 미치지 못하는 공간에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할 필요성은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도 의사를 양성하는 노력과 함께 이러한 의료시스템의 구축에 노력을 경주할 필요성은 크다고 하겠다.
향후 미래지향적인 의료시스템구축에 있어 표준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범용적으로 이용가능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집과 이를 통한 의료시스템의 인프라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현재의 다양한 경로로 형성되는 의료진단이나 의료상담의 데이터는 일회적이며 개인편향적인 정보만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다양하게 형성가능한 의료경로에 따른 데이터를 범용적이며 표준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의료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의료데이터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의료 진단 데이터의 연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입력단계; 의료진단에 관한 소정의 질의사항인 진단질의사항을 상기 환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진단질의사항에 대한 상기 환자의 응답인 1차데이터를 입력받는 1차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1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1차진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 담당의사로부터 소정 환자에 대한 진단명인 진단결과와 상기 소정 환자의 신상정보가 연계된 정보인 진단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진단결과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비교연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의료진단데이터를 현실의 진단데이터와 비교연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현실의 진단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설정함므로써 각각의 경로마다의 결과를 상호 비교 대조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써 더욱 객관적으로 폭넓은 표준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연산은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 중 병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병명비교연산, 증상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증상비교연산, 동일환자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자비교연산, 환자의 연령대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연령비교연산 환자의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성별비교연산, 환자의 직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직업비교연산, 환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비 교연산하는 지역비교연산, 환자의 생활 환경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경비교연산, 상기 1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1차데이터비교연산 중 하나 이상의 비교연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 상세히 후술할 것이나, 다양한 경로의 진단결과들을 상호 비교함에 있어,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의료정책, 의료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더욱 효율적인 기본 인프라 정보를 구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에 의하는 경우, 상기 환자가 진단받기 위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청진기, 진료부위를 촬영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장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진단 장비,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및 칼로리 소모 측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2차의료진단장비를 이용한 상기 환자의 결과데이터인 2차데이터를 입력받는 2차데이터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및 2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및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2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하고,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는,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2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2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서 진단에 이르는 의료진단경로상의 데이터를 더욱 정밀하게 분류하여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신체 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바이오칩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바이오상태에 관한 정보인 3차데이터를 입력받는 3차데이터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2차데이터 및 3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 및 병명에 따른 바이오칩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3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하고,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3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3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3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의료진보화와 함께 구현가능한 진단경로를 포함하여 그 데이터를 현실의 진단결과와 비교연산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는본 발명에 따른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은, 환자의 개인정보 입력단계(S100), 진단질의사항에 따른 1차데이터 입력단계(S110), 2차의료진단장비를 이용한 2차데이터입력단계(S120), 바이오상태에 관한 3차데이터 입력단계(S130),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단계(S140), 예상진단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50), 의사로부터 진단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160) 및 1차진단정보와 진단결과정보를 연산하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을 실현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상기 S100단계에서 입력받게 되는 개인정보는 성별, 나이, 키, 체중,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메일주소, 직업, 병록번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병록번호는 병의원에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의미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인정보를 상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진단결과들을 비교하는 방법을 실현함에 있어 범용적이고 표준적인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분류기준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데이터의 분류를 위하여 개인의 동일성을 확보하여 개인별 연산결과를 산출 할 필요성과 지역성, 병명에 따른 성별, 나이별, 지역별, 직업별, 환경별 분류가 통계적인 표준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개인정보는 온라인의 실현을 통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개인컴퓨터단말기, PDA,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가까운 장래에 의료시스템이 구축된다면, 독립적인 공간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인 의료부스의 소정 단말기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무인 의료부스는 현실의 의료서비스가 미치지 못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실의 의료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없는 공간에서 환자나 잠재적 환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무인 의료부스는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다양한DB가 구축되어 있는 저장수단, 자동화로 시현가능한 의료진단장비 등이 갖추어진 장소적 개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필요한 각종 의료장비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점유적 공간이라면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다.
이러한 무인 의료부스를 이용한 정보는 상기의 개인정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1차, 2차, 3차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입력과 처리를 위하여 상기 무인 의료부스는 소정의 의료진단장비와 소정의 센싱장비들로부터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시스템의 소정의 저장공간에 이를 개인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되며, 개인정보의 입력단계를 수행한 후, 의료진단에 관한 소정의 질의사항인 진단질의사항을 상기 환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진단질의사항에 대한 상기 환자의 응답인 1차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상기 S110단계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의료진단의 통상적인 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환자와 의사와의 직접적 접촉을 통하여 의사가 의심되는 증상과 이력 등에 관하여 문진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의사와 환자 사이에 질문과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는 환자가 자신의 오감에 의한 결과를 의사에게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픈부위, 아픈기간, 통증의 정도, 최근투약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의사와 환자간에 공유하게 된다.
두 번째, 의사는 이러한 문의를 마친 후, 의사의 판단과 의사의 오감을 보충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이학적인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학적인 검사는 의사의 오감을 보충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청진, 시진, 촉진, 타진 등이 이에 해당하게 된다.
청진기를 신체 부위에 접촉하여 음파를 감지하거나, 아픈 증상 부위에 대한 외관상태를 확인하거나, 아픈 부위를 눌러보고 반응 또는 통증여부를 위하여 두드려 보고, 발진 상태 등을 눈으로 확인하는 등이 상기 이학적인 검사에 해당한다.
세 번째, 의사의 문진과 이학적인 검사를 수행한 후, 필요에 따라 더욱 정밀 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보조적인 의료진단기기 등을 동원한 의료기기진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환자 증상의 경, 중과 증상부위에 따라 다양한 검사방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검사, 소변검사, 초음파, 심전도, X-RAY 검사, 내시경검사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더욱 정밀한 검사인 CT, MRI, 핵의학 검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화여 규합된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학적, 논리적, 경험적, 추론적 방법 등이 동원된 의사의 지식으로 최종 진단명이 도출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넓게 분류하면 상기와 같은 세 단계로 의료진단에 이르게 되면,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조직검사나 시습 등에 의한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의료장비를 이용한 상기 세 번째의 단계에 관한 설명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전자식 활력 징후 측정기, 망막 인식 장치 등 의사의 정밀판단을 보조하는 모든 종류의 의료기기,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순서에 따라 진단이 이루어지는 것인 통상적이나, 의사의 판단에 따른 중간 과정을 생략하는 경로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표준적이고 범용적인 데이터의 수집, 처리, 연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세 가지의 분류로 크게 대별하나 구체적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검사와 진단경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참조번호 S110은 상기에서 살펴본 첫 번째 단계가 온라인 등을 통하여 실현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환자에게 전송되는 소정의 질의사항은 예상진단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질의로서 표준화와 객관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질문의 형태가 가능하나, 사용자의 용이접근성과 진단결과도출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단계별로 소정 분류기준에 의하여 구분되어 질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질의사항은 소정분류로 구분되어 주요 증상, 현재 병력, 과거 병력, 사회적 병력, 가족적 병력, 약물 복용 여부, 과거 의료서비스 이용 병원 중 하나 이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현재 병력은 증상 부위, 발병 시간, 통증 양상, 발병 경위, 통증 빈도, 통증 기간, 증상의 호전 여부, 증상 회수 중 하나 이상으로 더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상태, 피부,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구멍, 경부, 흉부, 심장, 혈관, 유방, 위장관, 비뇨기, 남성생식기, 여성생식기, 근골격, 말초혈관, 신경, 정신, 내분비, 혈액 중 하나 이상으로 분류된 인체 시스템적 체크 사항에 관한 질의를 추가적으로 전송하여 환자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분류되어 질의 된 질문에 대한 환자의 응답은 환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터치스크린이나 마우스를 통한 클릭식 입력방식으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당업자간에 이용, 변형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입력방식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분류된 소정질의사항에 대한 환자의 응답인 1차데이터를 입력받게 되고 이를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상기 1차데이터는 후술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환자의 병명에 대한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환자로부터 1차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와 병명 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1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게 된다(S140).
병명 DB는 미리 설정되어진 정보 DB로서 각 병명별로 병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징후들이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병명에 따른 징후 뿐만이 아니라, 각 병명에 해당하는 환자에 해당하는 각종 정보들, 예를 들어, 청진기에 의한 특정부위의 음파정보, 망막의 충혈 정도의 색깔 정보, 환부의 외부상태에 관한 영상데이터 등 각 병명에 본질적으로 발견되는 이학적인 검사결과정보들이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금도 구현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더욱 정밀하게 구현될 바이오 센서들에 의한 결과정보도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센서는 인간의 신체 상태를 센싱하는 바이오 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내부 장기 등의 신체 내부 상태 또는 피부, 손톱, 털 등의 신체 외부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칩으로서 인간의 몸안이나 피부 등에 장착되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의미한다.
각 병명에 따라 이러한 바이오 센서가 발생시키는 정보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앞서 설명한 각 병명에 따른 징후,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와 함께 연계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연계되어 저장되는 정보는 모든 증상과 실험결과에 대한 진단을 위한 풀(POOL)를 형성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와 비교하여 병명과의 일치성을 연산하는 기준데이터로 이용된다.
앞서 설명한 S140단계를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현되어 저장되어 있는 병명DB로부터 각 병명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징후들을 독출하여 입력된 1차데이터와 비교연산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질의 사항에 대하여 입력된 환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인 1차데이터의 개수가 20개라고 가정하면, 병명 DB에 20가지의 병명이 있고, 각 20가지 병명에 대한 의학적으로 해당 병명에 따라 객관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30개씩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입력받은 데이터 20개와 20개 병명에 따른 각 징후 30개를 비교하게 된다. 즉, 입력데이터 20개와 600개의 징후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그러면, 입력데이터 각각에 해당하는 징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징후데이터의 갯수별로 해당하는 예상진단결과를 역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산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예상진단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개수 이상 일치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1차예상진단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에서와 같이 산출된 1차예상진단결과와 초기 단계(S100)에서 입력되었던 개인정보가 함께 연계된 정보인 1차진단정보는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게 된다(S150). 의료시스템에서의 예상진단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질의사항과 상기 질의사항에 대한 응답인 1차데이터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담당의사로부터 소정 환자에 대한 진단명인 진단결과와 상기 소정 환자의 신상정보가 연계된 정보인 진단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S160).
상기 S160단계를 설명하면서 소정 환자라고 칭하는 것은 앞선 단계의 환자와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앞선 환자와 본 단계에서의 소정 환자는 일치될 수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의료시스템 실현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료경로별 데이터를 집적화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환자의 동일성이 전제될 필요성뿐만 아니라 동일성이 반드시 전제되지 않은 데이터의 산출도 가능하고 필요하기 때문이다.
환자의 동일성이라고 하는 것은 인격체로서의 동일성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서, 동일한 인격체일지라도 병상의 이환기간을 고려한다면, 동일병명, 동일증상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환자의 동일성은 인격체의 동일성 및 병환의 동일성이 확보된 개념으로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60단계에서의 소정환자는 앞서 설명한 S100단계의 입력을 거치지 않은 환자일 수도 있으며, 환후의 이환되는 시간을 고려한 유효시간 이내에 S100단계를 거친후 내원한 환자, 혹은 유효시간을 벗어나 내원한 환자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60단계의 구현을 위하여, 현실의 의료가 이루어지는 병의원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S160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 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비교연산단계(S17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S170단계는 S140단계에서 도출된 온라인으로 구현되는 방식에 의한 예상진단결과와 실제 의사로부터의 진단결과를 비교연산하는 단계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본 S170단계는 단순히 동일인임을 전제로 예상진단명과 의사진단결과를 단순히 비교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온라인 방식으로 저장되어 축적되는 자료와 의사로부터 입력되는 축적된 자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의미 있는 통계를 산출할 수 있는 방대한 양에 도달할 것이며, 이 모든 자료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의하여 다른 자료와 함께 연계되어 있다.
상기 1차진단정보는 온라인으로 입력받은 환자의 개인정보, 1차데이터, 1차예상진단결과 등이 이에 해당하고, 상기 진단결과정보는 담당의사로부터 전송받은 소정 환자의 신상정보, 진단결과 등이 이에 해당하게 된다.
즉, 비교되는 요소는 상기 개인정보, 1차데이터,1차예상진단결과, 신상정보, 진단결과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교연산은 상기 데이터를 목적한 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어떠한 연산방법도 배제하지 않는다.
MAPPING, MATCHING, CROSS CHECKING, 필요한 부분만의 추출, 저장테이블 구성을 통한 수직, 수평 분석 등 다양한 방식의 연산이 가능하고 이 모든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를 중심으로, 동일사람을 기준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사람의 동일유사증상에 따른 온라인 진단과 현실의 진단과의 유사성, 일치성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동일병명에 따른 환자들의 연령대별 분포, 성별 분포, 거주 지역별 분포, 직업별 분포, 거주 환경별 분포, 동일환자에 대한 진단된 하나 이상의 병명의 산출 등 다양한 비교, 연산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형, 적용, 응용시킬 수 있는 모든 가능 연산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연산방법의 범주에 포함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상술된 발명에서, 의사로부터 입력되는 진단결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와 1차데이터를 의사에게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가 판단하여 의사로부터 입력되는 진단결과일 수 있다.
또한, 담당의사가 실제로 내원한 상기 소정환자와 질의 및 응답에 의하여 진단결과가 도출되어 입력될 수 있으며, 이학적 검사방법이나 소정의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진단결과가 의사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상기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단결과에 이르는 4가지의 경로를 상 정하고 상기 4가지 경로에서 하나 이상, 즉, 조합으로 선택가능한 경로로부터 도출되는 의사의 판단이 본 발명에서의 진단결과가 되는 것이다.
산술적으로 표현하여 보자면, 상기 진단결과는 조합으로 표현 가능한 즉, 4C1,4C2,4C3,4C4의 방법으로 조합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도출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
4C1+4C2+4C3+4C4 가지의 방법에 의한 개수로 도출가능한 의사의 진단결과와 상기 온라인시스템으로부터 도출된 예상진단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물론, 단순히 결과만을 비교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한 예상진단결과와 의사의 진단결과에 이르기까지 경로상의 모든 데이터가 함께 비교연산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병의원에 구축되어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함께 연계하여 비교연산하고 그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전자데이터처리를 구현하고 있는 소정 병원 등에서는 여러 정보를 전자의무기록(EMR), 전자진료기록(EDI), 처방전달시스템(OCS), PACS 등의 시스템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1차진단정보 또는 상기 진단결과정보와 상호 비교연산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은 병의원, 약국 등으로부터 다양한 처방정보, 의료정보 등을 구축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구축된 의료정보 등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비교연산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면 의료정보의 다각적인 저장, 관리 및 운용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진단 데이터의 연산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큰 축은 저장된 정보자료(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병명에 따른 징후, 병명에 따른 2차의료진단장비의 결과, 병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들의 센싱 결과 등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정보자료를 의미한다)와 측정된 자료를 비교대조하여 도출되는 다양한 온라인상의 예상진단결과과 여러경로로 의사로부터 도출되는 결과를 비교하고 연산하여 그 결과를 정보화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앞서 기술되어 있는 개인정보와 1차데이터를 기초로 한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환자가 진단받기 위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청진기, 진료부위를 촬영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장비, 초저주파에서부터 초고주파에 이르는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진단 장비,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및 칼로리 소모 측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2차의료진단장비를 이용한 상기 환자의 결과데이터인 2차데이터를 입력받는 2차데이터입력단계(S120)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장비는 인체의 체온이나 특수 물질에 대한 센싱 기능을 구 비하며, 3차원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디지털 촬영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고 있는 디지털 영상장비는 환자의 상태를 영상데이터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의료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당업자간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장비를 포괄하는 개념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2차의료진단장비는 예시되어 있는 장비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며, 분류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의료장비의 설치와 이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의료기기로부터 측정결과 등이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는 것들을 분류화하여 정리한 것을 의미한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영역 뿐만이 아니라, 가까운 시일내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다른 모든 의료기기, 장비들이 이에 포함되며, 이들로부터 전송되는 자료는 정보전송을 위한 데이터화 처리되어 이용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진단시스템이 뿌리를 내리게 되어, 무인 부스에 의한 자료전송이 실현되면, 이러한 장비는 소정의 무인 부스에 구축되어 구축된 무인 부스에 환자가 출입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S120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S140)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및 2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및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2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하게 된다.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S150)는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2차예상진단결 과가 연계된 정보인 2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비교연산단계(S160)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에 기술되어 있는 구성에 의하여 온라인 상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상기 소정의 2차의료진단장비들로부터 추가적으로 검측결과를 전송받게 되고,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병명DB에 구축되어 있는 기준정보들과 비교하여 소정의 예상진단명인 2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1차진단정보와 상기 2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2차진단정보가 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환자별로 더욱 정밀하게 유형화된 자료가 축적되는 것이다.
또한, 비교연산단계(S170)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소정의 담당의사로부터 입력된 진단결과를 상호 비교연산함으로써 더욱 실제의 병명에 접근한 정보를 토대로 자료정보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사로부터 입력되는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2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진단결과에 대한 결정방법은 앞서 설명한 진단결과에 대한 결정방법과는 대부분 그 취지와 산출경로는 유사하나, 2차진단정보와 관련하여 비교되는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2차데이터를 의사에게 전송하여 전송된 개인정보와 2차데이터로 진단결과가 산출되는 방법이 추가된다.
즉, 앞선 진단결과는 4가지의 의료진단경로를 상정하였으나, 상기에서는 5가지의 의료진단경로가 상정된다. 상기 5가지 의료진단경로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므로, 조합가능한 모든 방법을 산술적으로 표현되면, 5C1+5C2+5C3+5C4+5C5 가지의 의료경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가능한 의료경로를 통하여 도출되는 다양한 진단결과와 2차진단정보와 비교연산을 수행하게 되며 수행에 따른 결과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진단 데이터의 연산방법에 관한 상기예와는 다른 제3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현재 현실화되어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기술에 대한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인체에 장착되거나 인체 내외부에서 작용하는 바이오칩을 이용한 방법으로 환자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 추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바이오칩은 소정의 인체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바이오기능이 탑재된 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내부 장기 등의 신체 내부 상태 또는 피부, 손톱 및 털 등의 신체 외부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칩이다.
이러한 바이오칩은 인간의 몸안이나 피부 등에 장착되어 인체의 상태를 센싱 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칩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신체의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3의 실시예는 상기 환자의 신체 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바이오칩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바이오상태에 관한 정보인 3차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30)를 추가적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S140)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2차데이터 및 3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 및 병명에 따른 바이오칩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3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하고,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S150)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3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3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S170)는 상기 3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함에 있어서, 1차데이터와 2차데이터 및 3차데이터를 모두 종합한 정보인 종합데이터와 병명 DB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와 비교하여 소정기준 이상되는 3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병명 D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 뿐만이 아니라 병명에 따른 바이오칩측정결과를 종합하여 DB화하여 저장하고 있고, 이렇게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종합데이터와 매칭, 매핑 등의 비교연산을 수행하여 소정의 예상진단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의 소정부위에 장착되어 위에 관한 신체상태의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바이오칩의 경우, 위궤양인 경우, 상기 바이오칩은 A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병명DB에는 이러한 병명에 따른 바이오칩의 측정결과인 "A신호전송" 의 내용이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실제 측정된 결과를 비교하고 대비함으로써 바이오칩의 실제 측정신호와 병명에 따른 결과의 일치성을 역으로 추정하여 소정 가능한 예산진단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도출된 예상진단결과인 3차예상진단결과는 앞서 설명한 2차진단정보와 함께 연계된 정보인 3차진단정보가 DB화 되며, 상기 비교연산단계(S170)는 이러한 3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비교연산하며 그 연산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진단결과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환자에 대한 개인정보와 의사로부터의 진단결과가 종합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의사로부터의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2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3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예에서는 6가지의 진단의료경로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논리에 의하여 6C1+6C2+6C3+6C4+6C5 +6C6의 의료경로가 산술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가능한 다양한 의료경로를 통하여 산출되는 의사의 진단결과를 상기 3차진단정보와 함께 비교연산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더욱 상기 비교연산단계(S170)에서 저장된 연산결과는 현실의 병의원에서 누적된 데이터와 함께 비교연산하여 더욱 다양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실의 병의원에서 누적된 데이터는 각 병의원의 서버,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의 서버 등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정보, 증상 및 병명 등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기술하고 있는 모든 연산 결과의 정보는 향후, 의료정책과 온라인 의료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로서 활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연산결과의 도출을 통하여 향후 온라인 진단에서 상기 환자에게 질문하는 단계적인 질의와 그 응답과정을 더욱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료 진단 데이터의 연산방법을 실현함으로써, 고객중심, 환자중심의 의료 서비스 형태의 변화와 함께 진행될 사이버상의 보건 의료 서비스의 편리성과 정확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상공간을 통한 다양한 의료정보와 상담정보, 개인진료정보 등을 표준적이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기초하여 향후 윤리문제나 법적문제와 함께 다각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의료 온라인 시스템의 구축 데이터의 객관적 자료화와 범용화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각적인 표준적 의료경로 제시, 다각적인 연산방법의 규준, 연계정보의 효율적 분류저장 및 DB화 등을 통하여 사이버 보건 의료 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인프라의 구축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의료진단시스템을 구현하고 구현된 의료진단시스템을 실제 의술을 미치지 못하는 시,공간에서도 그 활용도를 높이는 실질적이고 진보적인 의료서비스를 시행함으로써, 최대다수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미칠 수 있는 온라인 의료진단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11)

  1.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입력단계;
    의료진단에 관한 소정의 질의사항인 진단질의사항을 상기 환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진단질의사항에 대한 상기 환자의 응답인 1차데이터를 입력받는 1차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1차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1차진단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
    담당의사로부터 소정 환자에 대한 진단명인 진단결과와 상기 소정 환자의 신상정보가 연계된 정보인 진단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진단결과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비교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 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은,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 중 병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병명비교연산, 증상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증상비교연산, 동일환자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자비교연산, 환자의 연령대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연령비교연산 환자의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성별비교연산, 환자의 직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직업비교연산, 환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지역비교연산, 환자의 생활 환경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경비교연산, 상기 1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1차데이터비교연산 중 하나 이상의 비교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진단받기 위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청진기, 진료부위를 촬영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장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진단 장비,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및 칼로리 소모 측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2차의료진단장비를 이용한 상기 환자의 결과데이터인 2차데이터를 입력받는 2차데이터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및 2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및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2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하고,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는,
    상기 1차진단정보와 상기 2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2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2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은,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 중 병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병명비교연산, 증상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증상비교연산, 동일환자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자비교연산, 환자의 연령대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연령비교연산 환자의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성별비교연산, 환자의 직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직업비교연산, 환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지역비교연산, 환자의 생활 환경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경비교연산, 상기 1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1차데이터비교연산, 상기 2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2차데이터비교연산 중 하나 이상의 비교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신체 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바이오칩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바이오상태에 관한 정보인 3차데이터를 입력받는 3차데이터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진단결과산출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1차데이터, 2차데이터 및 3차데이터와 병명DB에 저장된 병명에 따른 징후리스트, 병명에 따른 2차의료기기측정결과 및 병명에 따른 바이오칩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3차예상진단결과를 더 산출 하고,
    상기 예상진단정보저장단계는,
    상기 2차진단정보와 상기 3차예상진단결과가 연계된 정보인 3차진단정보를 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3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상호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는,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1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2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에게 전송된 상기 3차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담당의사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와의 질의 및 응답에 의한 방법, 상기 담당의사가 내원한 상기 소정 환자에게 수행한 이학적 검사방법 및 상기 담당의사가 상기 소정 환자에게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의료장비를 통해 수행한 정밀진단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연산은,
    상기 3차진단정보와 상기 진단결과정보 중 병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병명비교연산, 비교연산 중 증상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증상비교연산, 동일환자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자비교연산, 환자의 연령대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연령비교연산 환자의 성별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성별비교연산, 환자의 직업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직업비교연산, 환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지역비교연산, 환자의 생활 환경을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환경비교연산, 상기 1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1차데이터비교연산, 상기 2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2차데이터비교연산, 상기 3차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연산하는 3차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비교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10. 제 1항, 제 4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병의원의 전자의무기록(EMR), 전자진료기록(EDI), 처방전달시스템(OCS)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인 병의원의료데이터 또는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에 구축된 의료저장데이터인 통합의료데이터를 전송받는 병원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연산단계는,
    상기 전송받은 병의원의료데이터 또는 통합의료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비교연산하여 비교연산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11. 제 1항, 제 4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성별, 나이, 키, 체중,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주소, 직업, 병록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KR1020060039317A 2006-05-01 2006-05-01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KR10073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17A KR100737382B1 (ko) 2006-05-01 2006-05-01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17A KR100737382B1 (ko) 2006-05-01 2006-05-01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382B1 true KR100737382B1 (ko) 2007-07-09

Family

ID=3850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17A KR100737382B1 (ko) 2006-05-01 2006-05-01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3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101214349B1 (ko) 2011-04-27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분산 처리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6796A (ko) * 2012-01-26 2013-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4035182A1 (ko) * 2012-08-31 2014-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KR101555114B1 (ko) 2011-03-08 2015-09-2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질의-응답 시스템을 사용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EP3270331A1 (en) 2016-07-15 2018-01-17 Little Brain NV A medical consultation support tool
KR20190117829A (ko) 2018-03-12 2019-10-17 주식회사 모노라마 의료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6603A (ko) * 2018-10-25 2020-05-07 국승진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84347B1 (ko) * 2020-11-12 2021-08-03 주식회사 에스디에이에이 응급 이송환자의 크로스체크를 통한 응급환경 조성시스템과 조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60A (ko) * 2000-04-20 2000-08-05 이창덕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강진단/처방 및 농산품 전자상거래방법
KR20010098318A (ko) * 2000-04-29 2001-11-08 김남현 인터넷 기반 자가 진단 시스템
KR20030070871A (ko) * 2003-07-19 2003-09-02 서민식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종합 건강관리 및 정보제공 방법
KR20040108098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건강리듬 관리시스템 및 검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60A (ko) * 2000-04-20 2000-08-05 이창덕 인터넷 방송을 통한 건강진단/처방 및 농산품 전자상거래방법
KR20010098318A (ko) * 2000-04-29 2001-11-08 김남현 인터넷 기반 자가 진단 시스템
KR20040108098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건강리듬 관리시스템 및 검진방법
KR20030070871A (ko) * 2003-07-19 2003-09-02 서민식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종합 건강관리 및 정보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101555114B1 (ko) 2011-03-08 2015-09-2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질의-응답 시스템을 사용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101214349B1 (ko) 2011-04-27 2012-12-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분산 처리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6796A (ko) * 2012-01-26 2013-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4035182A1 (ko) * 2012-08-31 2014-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EP3270331A1 (en) 2016-07-15 2018-01-17 Little Brain NV A medical consultation support tool
KR20190117829A (ko) 2018-03-12 2019-10-17 주식회사 모노라마 의료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6603A (ko) * 2018-10-25 2020-05-07 국승진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24784B1 (ko) 2018-10-25 2021-03-08 국승진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84347B1 (ko) * 2020-11-12 2021-08-03 주식회사 에스디에이에이 응급 이송환자의 크로스체크를 통한 응급환경 조성시스템과 조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382B1 (ko)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Ravikumar et al. Detection of Covid-19 using AI application
EP3255573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ensemble system and clinical decison suppor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58021B1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앙상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방법
Kravitz et al. Differences in the mix of patients among medical specialties and systems of care: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US20130246097A1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s and Medical Data Processing Methods
US20080275731A1 (en) Patient data mining improvements
US20040122702A1 (en) Medical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03955608A (zh) 一种智能医疗信息远程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20150199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US2015021319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US11056229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laboratory benefit services
US20050033121A1 (en) Diagnostic information system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WO2013036853A2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s and medical data processing methods
CN110289062A (zh) 三高共管三级协同互联网管理系统及管理方法
JP2013191021A (ja) 健康診断情報提供装置及び健康診断情報提供方法
US201302750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ed health systems
Shah Eroding access and quality of childbirth care in rural US counties
WO2021140731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JP2004258978A (ja) バーチャルペーシェント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提供方法
Sinai et al. Clinician agreement on physical findings in child sexual abuse cases
KR100684007B1 (ko) 인터넷 망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20070106942A (ko)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AU20142493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