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5182A1 -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5182A1
WO2014035182A1 PCT/KR2013/007815 KR2013007815W WO2014035182A1 WO 2014035182 A1 WO2014035182 A1 WO 2014035182A1 KR 2013007815 W KR2013007815 W KR 2013007815W WO 2014035182 A1 WO2014035182 A1 WO 20140351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edical
pharmac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78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380045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603829A/zh
Priority to EP13832525.3A priority patent/EP2892022A4/en
Priority to US14/424,894 priority patent/US20150227708A1/en
Publication of WO20140351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51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Definition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his or her symptoms to a terminal, refer to the symptoms and factors such as medical records and epidemic diseases, suggest treatment subjects, medical hospitals and pharmacies, and perform post-management.
  • the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ed to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server, and an emergency rescue server to manage user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a user feels an abnormality, help the diagnosis, and thus propose a hospital that can receive medical treatment and a pharmacy that can purchase medicine after the treat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ality. In addition,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medical records, medical history and family history of the us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t can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helps to follow-up management after the treatment. In addition, it is connected with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server, and an emergency management server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ggesting and providing optimal health information to users through integrated database management.
  •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 a terminal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symptom input of the user; Suggesting a possible disease name based on the input symptom; Outputting the suggested disease name to a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user's bottle name selection input based on the proposed bottle name.
  • Terminal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ymptom input of the user; A controller for suggesting a possible disease name based on the input symptom;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uggested disease name,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user's disease name selection input based on the proposed disease name.
  • information such as a treatment subject selection, a hospital selection, and a pharmacy selection may be effectively presented, and by storing the information accordingly and presenting the medical information later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erminal which can be easily managed by a user.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hospital server, pharmacy server and emergency rescue server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provide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symptom sit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medical service by a user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provides information to a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user health information stored in a terminal.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terminal may include a mobile phone 102, a smart phone 104, and a personal computer (PC) 106.
  •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th other components is applicable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server 110.
  • the user serv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120 and th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store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 the user server 110 may share the stored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s.
  • the user server 110 may also include its own input unit and display unit, and a user inputs to the user server 110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inp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You can check it.
  • the terminals (102, 104, 106) is also connected to the network 120 directly through the user 110 server to one or more of the hospital server 130, pharmacy server 140 and emergency rescue server 150 Connect and send and receive data.
  • the pharmacy server 140 and the emergency rescue server 150 may go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ser confirmation.
  • the method of authentic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method of using an ID and password, and a method of using a public certificate.
  • conventional user authentication methods may be used.
  • Hospital server 130 may store one or more of the user's hospital medical records, family history and medical history. In addition, it can stor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such as medical staff, medical devices and roo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ospital.
  • the hospital server 130 may provide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 the remote server may be performed as a user connected to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through the hospital server 130.
  • the telemedicine may transmit a patient's state through input units provided in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and a doctor may diagnose and perform a medical treatment through terminals connected to the hospital server 130.
  • the medical staff may check and diagnose a user's state through a video call through the mobile phone 102 and proceed with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 the user may issue a prescription of the medicine to be taken by the user, and the prescription may be transmitted to one of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through the network 120.
  • the pharmacy server 140 may store one or more of dru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harmacy, business time information of the pharmacy, and the user's medication his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armacy server 140 may transmit one or more of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and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pharmacy server 140, the pharmacy receiv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dispense the medicine. The user may then visit the pharmacy and receive the dispensed medicine.
  • Emergency rescue server 150 is a server associated with emergency rescue dispatch, such as police and fire departments.
  • the emergency rescue server 150 may receive the user's report and manage the dispatch situation.
  • the terminals 102, 104, and 106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150 to confirm the user health information in advance and respond accordingly. There is a characteristic to proceed with rescue activities.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nput unit 210 capable of receiving a user input, an output unit 220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input or received at the terminal 200, and may transmit / receive data.
  • the transceiver 230, the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the input or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the position sensor 25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The controller 260 may be included.
  • 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keyboard, a touch pad, a microphone, a camera, a motion sensor, and a thermometer.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0. In addition, when remote medical care is required, information for assisting the diagnosis of the user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0. In another case, the user ma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0 to input his symptoms.
  • the output unit 220 may output necessary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 the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a speaker, a printer, a vibration mot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 the output unit 220 may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by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 the transceiver 230 may transmit and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 th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of a user server,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server, and an emergency rescue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nd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connected components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 the storage unit 240 may store information input to the terminal 200 and information transmitted /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 the storage unit 240 may include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and a medium capable of storing conventional information may be used.
  •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50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50 may detect a GPS signal, a signal for mobile phone communication, or a WIFI signal and measur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50 through th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detected by the location detection unit 250 to the emergency rescue server can provide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 the controller 2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200 and may selec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based on information input or receive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symptom sit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terminal 3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10.
  • the display unit 310 may display necessary information, and in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310 may receive an inpu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teach input on the touch screen.
  • the terminal 300 may display the human model 320 on the display unit 310 to receive a user symptom.
  • the human body model 320 may classify and display body parts so that a user may select symptoms. The user may select a corresponding symptom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body part 350.
  • one or more lists 330 may allow a user to select body parts and symptoms. Based on the symptom selected, a servic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diagnosis, a hospital proposal, and a pharmacy proposal to be described later.
  • the disease name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body part 350 may be suggested in the list 330.
  • the us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e symptom for the corresponding disease name through the display unit 310 and may select the symptom accordingly.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medical service by a user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terminal may receive a symptom of a user.
  • Symptom input is possible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in FIG.
  • an input may be received by using a method for inputting a search word.
  • a category related to medical, surgical, and otorhinolaryngology subjects may be presented and symptoms may be input accordingly.
  • the terminal may suggest a disease name related to the symptoms based on the symptoms input in step 405.
  • the disease suggestion may be made based on one or more of the family history of the user, treatment history, medication history, and current disease information.
  • the one or mor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or received from another server.
  • the epidemic disease whether or not the epidemic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treatment history of patients with similar symptom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user may receive an input of selecting a disease name based on the disease name proposed in operation 410.
  • the terminal may propose one or more hospitals according to the disease name selected in step 415.
  • the one or more hospitals proposed above may be a hospital having a department of the selected disease name.
  • the hospital proposal may be provided based 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such as medical staff status, treatment device, reputation of the treated persons, number of hospitalization, number of hospitals, distance to the current user, availability of remote medical treatment, parking.
  • the hospital having a colonoscopy may suggest a hospital having a high reputation among the hospitals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 the steps 410, 415, and 420 may be omitted.
  • the terminal may select one or more disease names having a high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symptom input, and may automatically suggest a hospital related to the disease name selected by the terminal to the user. In this case, even if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lect a disease name, it is possible to propose a hospital, and the terminal may propose a hospital capable of treating all of the plurality of possible disease names.
  • the terminal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hospital proposed in step 420.
  • the hospital selection input may receive a hospital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hospital proposed in step 420.
  • the terminal may relay a medical procedure with the selected hospital according to the hospital selection in step 425.
  • the remote medical treatment may proceed by obtaining user symptom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user'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octor.
  • the terminal may receiv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l result in step 430.
  •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list of medicines to be taken by the user and information on a dosage method.
  • the terminal may suggest pharma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435.
  • the pharmacy information suggestion is one of the received prescription information, the ingredient of the drug to be administered, the manufacturer of the drug to be administered, the name of the drug to be administered, the price of the drug to be administered, the reputation of the pharmacy and the distance from the user's location to the pharmacy. It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 the pharmacy information may suggest one or more pharmacies that can be easily reached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residence, or hospital among pharmacies that have a medicine that matches the ingredients of the prescription and the manufacturer.
  • user convenience may be further improved by simultaneously providing information of a pharmacy proposed at the time of pharmacy proposal.
  • the terminal may receive a pharmacy selection input.
  • the terminal may receive an input of selecting one of the pharmacies proposed in step 440 or another pharmacy selected by the user.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pharmacy selected in step 445.
  • This may be a step that can be selectively ma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By transmit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selected pharmacy it is possible to dispense the medicine in advance in the selected pharmacy, an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medicine without waiting time.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provides information to a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 the terminal may detect an emergency situation.
  • Emergency detection can be performed flexibly according to user settings.
  • the terminal may identify an emergency. In this case, the terminal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state on the display unit, and if there is no separate user input may proceed to the next step.
  • the terminal may collect user health information to respond to the identified emergency.
  • the user health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one or more of the user's family history, treatment history, medication history, currently taking drugs, drugs with allergies, and blood types.
  •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a hospital server or a pharmacy server.
  • the terminal may display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operation 520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may be selected by a separate us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is placed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emergency rescue personnel dispatched by the user make a selection input on the terminal of the user, the collected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This makes it possible for emergency personnel to treat the user more effectively.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520 to another server.
  • the other server may be an emergency rescue server, a hospital server or a pharmacy server. This may be done by the user's selection, and may simultaneously transmit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hospital where the user will arriv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user health information stored in a terminal.
  • the employer may need to see a doctor again.
  • the terminal may collect user health information based on a medical history and a medication history.
  •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the family history of the user.
  • the terminal may output the user health information collected in operation 610 to the display unit.
  • Outputting the health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may be performed by a user's selection. As such, by outputting user health information,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medical history or the medication history.
  • the terminal may propose a prescribing prescription based on the user health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610. This may be based on side effects information that may occur depending on the medication being taken, and it may be possible to suggest recare in the case of a disease that may be recurring depending on the medical history.
  • the terminal may suggest additional necessary prescription related information in step 650. Thi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proposed in FIG. 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에서의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상 증상을 인지할 때 진료 과목 선택, 병원 선택 및 약국 선택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후에도 의료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단말에 자신의 증상을 입력하고, 상기 증상과 진료 기록 및 유행성 질병 등의 요소를 참고하고 진료 과목, 진료 병원 및 약국들을 제안하고 사후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병원 서버, 약국 서버 및 응급구조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 건강 관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이 질병이나 부상을 이유로 진료를 받기 희망하는 경우 직접 병원 찾아가야 하며 질병의 판단이나 병원의 선택 등에 있어서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진료 기록 등의 관리를 위해서는 별도로 병원이 마련한 웹 페이지 등을 통하거나 유선상으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하는 방법만이 제시되고 있었다.
최근 이동 통신 등의 발달로 인한 원격 진료 등의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이용이 제한적이고,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이 이루어 진 뒤 진료가 수행되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우선 1차적으로 진료가 이루어 진 뒤 후발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료를 받기 위한 진단을 도와주고, 병원 이나 약국 등을 제안해 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몸에 이상을 느꼈을 경우 진단을 도와주고, 이에 따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및 진료 후에 약을 구입할 수 있는 약국을 제안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진료 기록, 병력 및 가족력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서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진료 후의 사후관리를 도와 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서버, 약국 서버 및 응급 관리 서버 등과 연결되어서 통합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건강 정보를 제안하고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에서의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은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상 증상을 인지할 때 진료 과목 선택, 병원 선택 및 약국 선택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후에도 의료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서버, 약국 서버 및 응급구조서버와 연결되어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증상 부위를 입력 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의료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단말은 휴대폰(102), 스마트티브이(104) 및 퍼스널컴퓨터(Personal Computer,PC)(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다른 구성요소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단말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단말들은 사용자 서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서버(110)는 네트워크(120) 및 상기 단말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서버(110)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단말들과 공유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서버(110)도 자체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서버(110)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을 하고, 상기 입력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들(102, 104, 106)도 사용자(110)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120)에 접속하여 병원서버(130), 약국서버(140) 및 응급구조서버(150) 중 하나 이상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병원서버(130), 약국서버(140) 및 응급구조서버(150)에 접속할 때에는 사용자 확인을 위한 인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인증의 방법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사용자 인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병원서버(130) 사용자의 병원 진료 기록, 가족력 및 진료 이력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 포함된 의료진, 의료기기 및 병실 정보 등 병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병원 서버(130)는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단말들(102, 104, 106)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서버(130)를 통해 단말들(102, 104, 106)과 연결된 사용자로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진료는 단말들(102, 104, 106)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전송하고, 병원서버(130)와 연결된 단말들을 통해 의사가 진단하고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의료진은 휴대폰(102)을 통한 화상통화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 및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에 따른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진행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여야 하는 약의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으며, 상기 처방전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단말(102, 104, 106) 중 하나에 전송 될 수 있다.
약국서버(140)는 약국에 비치된 약품 정보, 약국의 영업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투약 이력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약국서버(140)는 단말(102, 104, 106)에게 상기 저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102, 104, 106)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약국서버(140)을 통해 수신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수신한 약국이 약을 조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후 상기 약국을 방문하여, 상기 조제된 약을 수령할 수 있다.
응급구조서버(150)는 경찰서 및 소방서 등의 응급 구조 출동과 관련된 서버이다. 응급구조서버(150)는 사용자의 신고를 수신하고 출동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응급상황에서 119 긴급 구조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경우 단말(102, 104, 106)은 저장된 정보를 응급구조서버(150)에 전송함으로써 미리 사용자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조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210), 단말(200)에 입력되거나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220),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230), 입력되거나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40), 단말(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부(250) 및 상기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키보드, 터치 페드, 마이크, 카메라, 모션센서 및 온도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단말(2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진료가 필요할 때 사용자의 진단을 돕기 위한 정보를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부(210)를 통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진동모터 및 발광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200)과 연결된 사용자 서버, 병원 서버, 약국 서버 및 응급 구조 서버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6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연결된 구성 요소들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단말(200)에 입력되는 정보 및 송수신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통상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체가 사용될 수 있다.
위치감지부(250)은 단말(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250)는 GPS 신호, 휴대 전화 통신을 위한 신호 또는 WIFI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단말(25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위치감지부(250)가 감지한 단말(200)의 위치를 응급구조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말(2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되거나 송수신 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200)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증상 부위를 입력 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0)은 표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310)는 터치 스크린으로 티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에 대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300)은 사용자 증상을 입력 받기 위해 표시부(310)에 인체모형(3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인체모형(320)은 사용자가 증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하는 신체 부위(350)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증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1개 이상의 목록(330)을 통해 사용자가 신체 부위 및 증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된 증상을 기반으로 후에 기술할 진단, 병원 제안 및 약국 제안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하는 신체부위(350)를 선택하면 목록(330)에 선택된 신체부위(350)과 관련되는 병명을 제안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병명에 대한 증상을 추가로 표시부(31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른 증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의료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5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증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증상 입력은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의 경우 검색어를 입력하는 방안으로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내과, 외과, 이비인후과 진료 과목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증상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단계 41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05에서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상기 증상과 관련성이 있는 병명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명 제안은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 및 현재 유행하는 질병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다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행하는 질병의 경우 최근 일정기간동안 병원을 찾은 환자 중 유사한 증상을 가지는 환자들의 치료 이력을 기반으로 유행의 여부를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병명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1차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415에서 상기 단계 410에서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15에 선택된 병명에 따라 1개 이상의 병원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제안되는 1개 이상의 병원은 선택된 병명의 진료과를 가지고 있는 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원 제안은 의료진 현황, 진료 장치, 진료 받은 사람들의 평판, 입원실 보유 숫자, 현재 사용자와의 거리, 원격 진료 가능 여부, 주차와 같은 부대시설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염을 선택을 할 경우, 대장 내시경을 보유한 병원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병원 중 사용자의 평판이 높은 병원을 제안해 줄 수 있다. 상기 제안과 동시에 제안되는 상기 병원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단계 410, 415 및 420은 생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상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증상 입력에 따라 가능성이 높은 1개 이상의 병명을 선택하여, 상기 단말이 선택한 병명과 관련된 병원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병명을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병원을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단말은 복수개의 가능성 있는 병명을 모두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제안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420에서 제안한 병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선택 입력은 단계 420에서 제안한 병원 이외에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을 입력 받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43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425에서 선택된 병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병원과의 진료 과정을 중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병원을 용이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진료 일정 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선택된 병원의 의사와 원격 진료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격 진료는 사용자의 단말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증상 정보를 얻고 이를 의사에게 전송함으로써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43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30에서 진료 결과에 따른 처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에는 사용자가 복용할 약의 목록 및 투약 방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35에서 수신된 처방전 정보에 따라 약국정보를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약국 정보 제안은 상기 수신된 처방전 정보, 투약할 약의 성분, 투약할 약의 제조회사, 투약할 약의 명칭, 투약할 약의 가격, 약국의 평판 및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약국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약국 정보는 처방전에 표시된 약의 성분 및 제조회사가 일치하는 약을 보유한 약국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 거주지 또는 병원에서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약국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약국 제안 시에 제안되는 약국의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445에서 상기 단말은 약국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40에서 제안한 약국 중 하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또 다른 약국을 선택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445에서 선택된 약국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송신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처방전 정보를 상기 선택된 약국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약국에서는 미리 약을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는 대기시간 없이 바로 약을 수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상기 단말은 응급상황을 감지 할 수 있다. 응급상황 감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유동적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 후 일정 시간 동안 단말에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단말은 응급상황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표시부에 응급 상황임을 인지하였다는 신호를 출력하고,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을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 건강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 현재 복용하는 약물,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약물 및 혈액형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들은 상기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고, 병원 서버 또는 약국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52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놓이고, 이에 따라 출동한 응급 구조요원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선택 입력을 할 경우 상기 취합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응급 구조 요원이 상기 사용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54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520에서 취합된 정보를 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 서버는 응급구조서버, 병원서버 또는 약국서버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가 도착할 병원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용이한 대처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진료를 받고 후에 다시 재 진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한 투약에 따른 부작용이 보고된 약물을 투약할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상기 단말은 진료 이력 및 투약 이력에 따른 사용자 건강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가족력 등의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상기 단말은 단계 610에서 취합한 사용자 건강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건강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지료 이력 또는 투약 이력을 알림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상기 단말은 단계 610에서 취합한 사용자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처가 필요 처방을 제안할 수 있다. 이는 복용하는 약물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진료 이력에 따라서 재발 가능성이 있는 질병일 경우 재 진료를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640에서 상기 단말은 추가 필요 처방을 선택할 경우 단계 650에서 추가 필요 처방 관련 정보를 제안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제안한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단말에서의 의료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단계;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명을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가족력, 상기 사용자의 치료이력, 상기 사용자의 투약 이력 및 최근 다른 사용자의 치료 통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명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대응하는 인체 모형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인체 모형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증상에 대응하는 신체부위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명 선택입력에 따라 선택된 병에 대응한 병원을 의료진 현황, 진료 장치, 진료 받은 사람들의 평판, 입원실 보유 숫자, 현재 사용자와의 거리, 원격 진료 가능 여부 및 부대시설 구비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정보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병명에 해당하는 병을 진료 하기 위해 병원과의 진료 과정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료 과정 중계는 진료 일정 예약 또는 원격 진료 중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과정에 따른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약국 정보를 제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정보를 제안하는 단계는 투약할 약의 성분, 투약할 약의 제조회사, 투약할 약의 명칭, 투약할 약의 가격, 약국의 평판 및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약국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약국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된 약국 정보를 기반으로 약국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약국과 관련된 서버에 상기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제공 방법.
  9.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증상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증상을 기반으로 가능성 있는 병명(病名)을 제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안하는 병명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안된 병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병명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족력, 상기 사용자의 치료이력, 상기 사용자의 투약 이력 및 최근 다른 사용자의 치료 통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명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대응하는 인체 모형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체 모형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증상에 대응하는 신체부위 선택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명 선택입력에 따라 선택된 병에 대응한 병원을 의료진 현황, 진료 장치, 진료 받은 사람들의 평판, 입원실 보유 숫자, 현재 사용자와의 거리, 원격 진료 가능 여부 및 부대시설 구비 여부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병명에 해당하는 병을 진료 하기 위해 병원과의 진료 과정을 중계며, 상기 진료 과정 중계는 진료 일정 예약 또는 원격 진료 중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진료 과정에 따른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약국 정보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약할 약의 성분, 투약할 약의 제조회사, 투약할 약의 명칭, 투약할 약의 가격, 약국의 평판 및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약국까지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약국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PCT/KR2013/007815 2012-08-31 2013-08-30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WO201403518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45506.8A CN104603829A (zh) 2012-08-31 2013-08-30 用于使用移动终端的个人医疗治疗的方法和装置
EP13832525.3A EP2892022A4 (en) 2012-08-31 2013-08-30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TREATMENT USING A MOBILE TERMINAL
US14/424,894 US20150227708A1 (en) 2012-08-31 2013-08-30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treatment us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30 2012-08-31
KR1020120096330A KR20140028929A (ko) 2012-08-31 2012-08-31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82A1 true WO2014035182A1 (ko) 2014-03-06

Family

ID=5018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7815 WO2014035182A1 (ko) 2012-08-31 2013-08-30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27708A1 (ko)
EP (1) EP2892022A4 (ko)
KR (1) KR20140028929A (ko)
CN (1) CN104603829A (ko)
WO (1) WO2014035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9410B2 (ja) * 2014-03-11 2017-11-29 リーズンホワイ株式会社 医療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検索プログラム
CN104200069B (zh) * 2014-08-13 2017-08-04 周晋 一种基于症状分析和机器学习的用药推荐系统和方法
CN104994163A (zh) * 2015-07-07 2015-10-21 恒基康保(武汉)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的医疗系统及方法
US10489010B1 (en) * 2015-07-11 2019-11-26 Allscripts Software, Llc Methodologies involving use of avatar for clinical documentation
CN105184714A (zh) * 2015-07-18 2015-12-23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电子诊疗单的科室识别方法和网络医院平台
US11666702B2 (en) 2015-10-19 2023-06-06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evices and related event pattern treatment recommendation methods
US11501867B2 (en) 2015-10-19 2022-11-15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evices and related event pattern presentation methods
CN105868564A (zh) * 2016-04-05 2016-08-17 苏州联康网络有限公司 疾病的就诊医院推荐系统
CN105978973A (zh) * 2016-05-12 2016-09-28 北京鑫丰南格科技股份有限公司 医护工作组推送方法、装置、用户设备及系统
CN106295133A (zh) * 2016-08-01 2017-01-04 上海质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健康保险和移动医疗健康服务结合的运营方式
US11915810B2 (en) 2016-12-14 2024-02-27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rescription to pharmacy using self-diagnostic test and telemedicine
US11594337B2 (en) 2016-12-14 2023-02-28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in response to diagnostic test results
US11599908B2 (en) 2016-12-14 2023-03-07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in response to diagnostic test
US11170877B2 (en) 2016-12-14 2021-11-09 Reliant Immune Diagno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retail testing product to medical diagnostic code
WO2018112257A1 (en) * 2016-12-14 2018-06-21 Reliant Immune Diagnos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diagnostic test results to telemedicine provider
US10331924B2 (en) 2016-12-14 2019-06-25 Reliant Immune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diovisual response to retail diagnostic product
CN106599604B (zh) * 2017-01-12 2019-10-08 上海博集医疗科技有限公司 医学信息智能交互系统和方法
CN106960121A (zh) * 2017-03-16 2017-07-18 广州家庭医生在线移动新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健康诊疗方法、系统及客户端
GB2561156A (en) * 2017-03-24 2018-10-10 Clinova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9390049A (zh) * 2017-08-11 2019-02-26 广州云马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转诊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43700B2 (en) * 2018-01-29 2021-03-09 Soo Koun KIM Method for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lf-diagnosis result and medical information
KR102141244B1 (ko) * 2018-03-13 2020-09-14 박종현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US20190335999A1 (en) * 2018-05-02 2019-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ized healthcare advice
CN109360667A (zh) * 2018-11-07 2019-02-1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症状的可视化导诊方法、设备、终端及可读介质
KR102241062B1 (ko) * 2018-12-13 2021-04-15 홍영표 의료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0415776A (zh) * 2019-07-26 2019-11-05 深圳市赛为智能股份有限公司 医疗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866038A (zh) * 2019-11-12 2020-03-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推荐方法及终端设备
CN111079021B (zh) * 2019-12-20 2023-09-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推荐医疗资讯内容的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1192655B (zh) * 2019-12-28 2023-08-08 杭州好育信息科技有限公司 在线医疗方法及系统、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
KR102558429B1 (ko) * 2020-11-27 2023-07-20 유병순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88763B1 (ko) * 2021-10-27 2022-04-20 임시원 병원접수 중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71A (ko) * 2000-07-07 2000-10-05 정명권 유무선 전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진료 및 처방전문병원의 운영방법
JP2003256580A (ja) * 2002-03-06 2003-09-12 Nec Soft Ltd 病院紹介システム
JP2004157596A (ja) * 2002-11-01 2004-06-03 Junichi Ninomiy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健康管理方法
KR20060044054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737382B1 (ko) * 2006-05-01 2007-07-09 이경수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5481A1 (en) * 2001-02-23 2007-03-08 Psychological Appl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symptom location and intensity
US20040230458A1 (en) * 2003-02-26 2004-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Cyber hospital system for providing doctors' assistances from remote sites
US20060206010A1 (en) * 2003-05-09 2006-09-14 Nec Corporation Diagnostic support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100538584B1 (ko) * 2003-06-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20080040803A (ko) * 2006-11-03 2008-05-09 이민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US20090187425A1 (en) * 2007-09-17 2009-07-23 Arthur Solomon Thompson PDA software robots leveraging past history in seconds with software robots
WO2011028261A2 (en) * 2009-08-27 2011-03-10 Ensisheim Partners, Llc Portable medical record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US20110301976A1 (en) * 2010-06-03 2011-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dical histor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CN101916332A (zh) * 2010-08-10 2010-12-15 李光煌 人体医学表面症状自动诊断装置
CN102085116B (zh) * 2010-12-08 2012-08-15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多网融合的多功能远程医疗护理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71A (ko) * 2000-07-07 2000-10-05 정명권 유무선 전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진료 및 처방전문병원의 운영방법
JP2003256580A (ja) * 2002-03-06 2003-09-12 Nec Soft Ltd 病院紹介システム
JP2004157596A (ja) * 2002-11-01 2004-06-03 Junichi Ninomiy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健康管理方法
KR20060044054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737382B1 (ko) * 2006-05-01 2007-07-09 이경수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3829A (zh) 2015-05-06
KR20140028929A (ko) 2014-03-10
EP2892022A4 (en) 2016-01-13
EP2892022A1 (en) 2015-07-08
US20150227708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35182A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CN107038326B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CN205540731U (zh) 一种多功能医疗服务系统
US20130150686A1 (en) Human Care Sentry System
JP2019513504A (ja) 安全性および有効性プロフィールが向上したオピオイド+デバイス組合せ製品
US20060008058A1 (en) Remote wellness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JP2015527095A (ja) 健康及びセキュリティの管理を容易にする方法及び装置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US20040044545A1 (en) Home care monitor systems
US20180052958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WO2022146015A1 (ko)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Ganesh et al. AutoImpilo: smart automated health machine using IoT to improve telemedicine and telehealth
KR101695130B1 (ko)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TWI776105B (zh) 個人醫療資訊系統
JP5845235B2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KR101157866B1 (ko) U-의료센터를 이용한 원격의료시스템
CN208796675U (zh) 一种信息处理装置
WO2016006954A1 (ko)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WO2017061658A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의료정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4141718B2 (ja) 携帯端末機器による服薬管理システム
US20220359069A1 (en) Moving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ramonov et al. Communication between emergency medical system equipped with panic button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use case and interfaces
JPWO2021033755A1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Ramasamy et al. Practicing Telemedicines in India
KR102441662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325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2489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