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429B1 -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429B1
KR102558429B1 KR1020200162105A KR20200162105A KR102558429B1 KR 102558429 B1 KR102558429 B1 KR 102558429B1 KR 1020200162105 A KR1020200162105 A KR 1020200162105A KR 20200162105 A KR20200162105 A KR 20200162105A KR 102558429 B1 KR102558429 B1 KR 10255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folder
body part
information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050A (ko
Inventor
유병순
Original Assignee
유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순 filed Critical 유병순
Priority to KR102020016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 복수의 약품 파우치들 각각에 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하는 약품 파우치 연동부; 특정 약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약품 정보는 약품명 및 신체부위 약품효능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 검출부; 상기 신체부위 약품효능에 따라 상기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하는 약품 함량 결정부;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기초로 상기 약품 폴더에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하는 약품 폴더 관리부; 및 상기 약품 폴더에 있는 약품 정보를 기초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DEVICE FOR PROVIDING DRUG MANAGEMENT SERVICE BASED ON VIRTUAL DRUG FOLDER}
본 발명은 약품관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 형상의 파우치와 이에 연동하는 앱을 통해 다양한 약품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만성질환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비만을 비롯하여 뇌혈관계 질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결핵 등 과거에 유행했던 질병이 창궐하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들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발병하고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질병들은 꾸준한 장기 복약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치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정 시간에 정량 정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는 환자의 경우 업무 등 바쁜 일과로 인하여 정시에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정시에 정량의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여 질병에 대한 치료기간이 늘어나고 치료효율도 떨어져 환자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됨은 물론, 환자 개인 및 보험공단의 재정 비용이 날로 증가하게 되어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연로한 노인층 환자인 경우 자녀와 떨어져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홀로 사는 독거 노인의 수가 상당히 많은 점을 고려할 때 노인층 환자들이 정상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54734호 (2013.04.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기 형상의 파우치와 이에 연동하는 앱을 통해 다양한 약품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우치 및 약품 등록 과정을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정보 입력 동작으로 대체하여 간편한 약품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우치 별로 등록된 약품들에 대한 사용자별 복약 관리, 유통기한 및 과다복용 관리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복약 습관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 복수의 약품 파우치들 각각에 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하는 약품 파우치 연동부; 특정 약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약품 정보는 약품명 및 신체부위 약품효능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 검출부; 상기 신체부위 약품효능에 따라 상기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하는 약품 함량 결정부;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기초로 상기 약품 폴더에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하는 약품 폴더 관리부; 및 상기 약품 폴더에 있는 약품 정보를 기초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약품 정보 검출부는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촬영 영상에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검출된 경우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있는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정보 검출부는 상기 조회에 따라 상기 특정 약품의 유통기한의 경과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유통기한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약품의 폐기에 관한 폐기 권유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약품 폴더에 등록처리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약품 함량 결정부는 상기 특정 약품의 1회 복용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신체부위 약품효능의 비율에 맞춰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약품 폴더 관리부는 상기 등록 과정에서 상기 특정 약품에 대한 권장 복용주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복용주기를 상기 약품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약품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상기 실제 복용주기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 복용된 신체부위별 복용함량을 결정하는 복용함량 결정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신체부위 별로 과다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다복용 결정모듈; 및 상기 과다복용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신체부위에 관한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복용 주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장기 형상의 파우치와 이에 연동하는 앱을 통해 다양한 약품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파우치 및 약품 등록 과정을 이미지 분석을 통한 정보 입력 동작으로 대체하여 간편한 약품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파우치 별로 등록된 약품들에 대한 사용자별 복약 관리, 유통기한 및 과다복용 관리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복약 습관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제공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약품 파우치(170)를 포함할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약품 파우치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약품 폴더에 약품 정보들을 등록하여 약품관리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서비스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약품관리 서비스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장기 형상으로 제작된 약품 파우치와 연동하여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약품 파우치에 관한 등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약들에 관한 약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약품 파우치(170)는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파우치에 해당할 수 있고, 특히 약품이 사용되는 주요 신체부위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품 파우치(170)는 위, 간, 심장, 눈 등 주요 신체부위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각각 해당 신체부위에 관한 약품을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약품 파우치(170)에 보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신체부위에 대한 약을 찾고자 할 경우 해당 형상의 약품 파우치(170)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약품 파우치(170)는 신체부위 별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약품 파우치(170)들이 달력 형태로 결합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 약품 정보 검출부(320), 약품 함량 결정부(330), 약품 폴더 관리부(340), 서비스 제공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는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 복수의 약품 파우치들 각각에 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는 약품 파우치를 새롭게 등록하고 해당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약품 폴더는 약품 파우치에 보관될 약품들을 관리하기 위한 폴더로서 해당 약품 파우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는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하고 신체부위 또는 약품 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약품 파우치를 촬영할 수 있고,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이미지를 수신하여 약품 파우치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는 약품 파우치의 형상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할 수 있고, 만약 해당 형상의 신체부위에 관한 약품 폴더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약품 폴더의 하위 폴더를 새롭게 생성한 후 새롭게 등록된 약품 파우치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약품 파우치 등록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약품 파우치의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약품 파우치 등록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특정 약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약품 정보는 약품명 및 신체부위 약품효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품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구축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특정 약품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약품명, 약품효능, 복용방법, 유통기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약품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약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특정 약품에 관한 촬영 영상에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검출된 경우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있는 식별코드를 기초로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약품 파우치를 등록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약품에 대해서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에는 약품에 대한 식별 가능한 정보로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약품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이미지 상에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검출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식별코드를 검색키 값으로 하여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있는 식별코드에 관한 조회에 실패한 경우 외부 시스템을 통해 추가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필요에 따라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약품 정보 검출부(210)는 1차적으로 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약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1차 검색에 실패한 경우 외부 시스템을 통해 연동되는 약품 검색 엔진을 통해 2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시스템은 공공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의약품 전문 검색을 위한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조회에 따라 특정 약품의 유통기한의 경과 여부를 검출하여 유통기한이 경과된 경우에는 특정 약품의 폐기에 관한 폐기 권유 메시지를 제공하고 약품 폴더에 등록처리 하지 않을 수 있다.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약품 정보 조회에 성공한 경우 해당 특정 약품의 약품효능에 따라 연관된 약품 폴더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약품의 유통기한 경과 유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유통기한이 경과된 경우라면 약품 폴더로의 등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정보 검출부(320)는 약품 폐기에 관한 폐기 권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품 정보의 등록 실패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약품 함량 결정부(330)는 신체부위 약품효능에 따라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약품은 종류에 따라 단일 신체부위에 대한 약품효능을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신체부위에 대한 약품효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 약품효능이 주로 '간'에 효과가 있으나 '신장'에도 이로운 효과가 있는 경우라면, 약품 함량 결정부(330)는 약품효능 비율을 간 70%, 신장 30%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 약품효능이 주효과 및 보조효과를 포함하는 경우, 약품 함량 결정부(330)는 기 설정된 약품함량 비율을 적용하여 해당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효능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함량 결정부(330)는 특정 약품의 1회 복용함량을 기준으로 신체부위 약품효능의 비율에 맞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품의 1회 복용함량이 1알(정)이고 1알(정)의 무게가 10mg인 경우, 약품 함량 결정부(330)는 해당 무게에 신체부위 약품효능의 비율(예를 들어, a:b = 7:3)을 적용하여 신체부위별 약품함량, 즉 a = 10(mg) * 0.7 = 7(mg), b = 10(mg) * 0.3 = 3(mg)을 결정할 수 있다.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기초로 약품 폴더에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만약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이 다수의 신체부위들을 포함하는 경우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각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 각각에 해당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각 약품 폴더에 등록되는 약품 정보에는 해당 특정 약품의 주 효과와 보조 효과에 관한 정보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등록 과정에서 특정 약품에 대한 권장 복용주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복용주기를 약품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특정 약품의 약품 정보로서 복용방법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때 복용방법은 복용주기 및 복용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해당 약품을 복용하고자 하는 실제 복용주기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폴더 관리부(340)는 해당 실제 복용주기에 대한 정보를 약품 정보에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후 서비스 제공부(350)에 의해 약품 관리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50)는 약품 폴더에 있는 약품 정보를 기초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50)는 약품 폴더에 등록된 약품들의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약품들에 대한 복용 방법, 복용주기 관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약품 폴더에 등록된 약품들의 복용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게 해당 약품의 복용에 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350)는 해당 약품의 복용 방법, 복용 후 주의사항 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알람 메시지와 함께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부(350)는 약품 폴더의 약품들에 대한 권장 복용기간을 산출할 수 있고, 등록 시점 이후 해당 권장 복용기간을 초과한 약품에 대해 복용 종료에 관한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부(350)는 추출모듈, 복용함량 결정모듈, 과다복용 결정모듈 및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부(350)는 해당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단위 기간동안 적정 복용 여부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복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모듈은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모듈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추출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추출모듈은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그룹은 복약 관련하여 유사한 신체 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사용자 그룹에 따라 복약 적정 여부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복용함량 결정모듈은 실제 복용주기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 복용된 신체부위별 복용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함량 결정모듈은 실제 복용주기가 1주일인 약품에 대해 1주일간의 복용함량을 1일 단위로 변환하여 해당 사용자가 1일간 복용한 신체부위별 복용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과다복용 결정모듈은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신체부위 별로 과다복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성별, 체질 등 개인정보와 약품의 특성 등이 고려되어 단위 기간 동안의 권장량이 결정될 수 있고, 과다복용 결정모듈은 해당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특정 약품에 대해 정해진 권장량을 초과하여 복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은 과다복용 결정모듈에 의해 과다복용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신체부위에 관한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복용 주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은 과다복용이 결정된 신체부위가 결정되면, 해당 신체부위에 관한 이모티콘과 함께 복용 주의 또는 복용 자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은 사용자 단말(110)에 푸시(push) 메시지로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 약품 정보 검출부(320), 약품 함량 결정부(330), 약품 폴더 관리부(340) 및 서비스 제공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파우치 연동부(310)를 통해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 복수의 약품 파우치들 각각에 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10).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정보 검출부(320)를 통해 특정 약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함량 결정부(330)를 통해 신체부위 약품효능에 따라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50).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 관리부(340)를 통해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기초로 약품 폴더에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단계 S470).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서비스 제공부(350)를 약품 폴더에 있는 약품 정보를 기초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90).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약품 관리를 함에 있어 신체부위 형상으로 제작된 약품 파우치와 연동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약품 효능을 직관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약품 오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파우치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해당 이미지로부터 관련 약품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구현되어 사용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읽어 들임으로써 별도의 입력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약품 정보의 등록을 자동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루테인' 구매 후 해당 바코드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읽은 경우 해당 약품 정보는 대분류로서 '눈'으로 분류된 약품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등록되는 약품 정보와 함께 별도의 해시태그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약품 등록 메시지를 확인하면서 해시태그 입력을 통해 #눈, #비타민D, #하루1회, #다이어트, #감기, #갱년기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에 등록된 약품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해시태그는 검색 키워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에 등록된 약품들의 유통기한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에 약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유통기한 경과여부를 결정한 후 유통기한이 경과한 약품의 경우 등록 자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에 등록된 경우에 약품들의 유통기한의 경과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유통기한이 도과하기 전 단계에서 사전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유통기한이 경과한 약품에 대해서는 특정 약품 파우치에 보관된 해당 약품이 유통기한을 도과하였으므로 폐기하라는 폐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폴더의 약품별 복용주기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의 복용량이 적정한지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별, 나이, 체질 등이 고려된 신체 정보와 약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약품 성분이 과다하게 복용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해당 정보(예를 들어, 하루 비타민 B 과다복용시 부작용 증세 등을 제공)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올바른 복약 습관을 형성하고 건강한 신체를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없는 약품 또는 건강식품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약품효능, 약품성분, 유통기한, 복용방법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이를 기초로 약품 폴더를 지정하여 등록 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정보로서 해당 약품의 구매 정보를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약품의 구매 정보에는 해당 약품을 구매한 약국 정보, 구매 날짜 및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별로 복용 대상인 사용자를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고, 사용자 별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약품 별로 복용 대상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 별로 약품 관리, 복용 알람 및 과다복용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련 정보는 사용자 별로 등록된 연락처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서비스 제공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약품 파우치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약품 파우치 연동부 320: 약품 정보 검출부
330: 약품 함량 결정부 340: 약품 폴더 관리부
350: 서비스 제공부 360: 제어부

Claims (6)

  1.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 복수의 약품 파우치들 각각에 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약품 파우치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를 생성하고 신체부위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약품 파우치 연동부;
    특정 약품에 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약품 정보는 약품명 및 신체부위 약품효능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 검출부;
    상기 신체부위 약품효능에 따라 상기 특정 약품의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하는 약품 함량 결정부;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기초로 상기 약품 폴더에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하는 약품 폴더 관리부; 및
    상기 약품 폴더에 있는 약품 정보를 기초로 약품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 파우치 연동부는 상기 약품 파우치의 형상의 신체부위에 관한 약품 폴더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해당 약품 폴더의 하위 폴더를 새롭게 생성한 후 새롭게 등록된 약품 파우치와 연결하고,
    상기 약품 함량 결정부는 상기 특정 약품의 1회 복용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신체부위 약품효능의 비율에 맞춰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을 결정하며,
    상기 약품 폴더 관리부는 상기 신체부위별 약품함량이 다수의 신체부위들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약품 폴더 각각에 해당 특정 약품에 관한 약품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 실제 복용주기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 복용된 신체부위별 복용함량을 결정하는 복용함량 결정모듈;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신체부위 별로 과다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다복용 결정모듈; 및 상기 과다복용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신체부위에 관한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복용 주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주의메시지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검출부는
    상기 특정 약품에 관한 촬영 영상에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검출된 경우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있는 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검출부는
    상기 조회에 따라 상기 특정 약품의 유통기한의 경과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유통기한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약품의 폐기에 관한 폐기 권유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약품 폴더에 등록처리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폴더 관리부는
    상기 등록 과정에서 상기 특정 약품에 대한 권장 복용주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복용주기를 상기 약품 정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6. 삭제
KR1020200162105A 2020-11-27 2020-11-27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5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5A KR102558429B1 (ko) 2020-11-27 2020-11-27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05A KR102558429B1 (ko) 2020-11-27 2020-11-27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50A KR20220074050A (ko) 2022-06-03
KR102558429B1 true KR102558429B1 (ko) 2023-07-20

Family

ID=8198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105A KR102558429B1 (ko) 2020-11-27 2020-11-27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4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601A (ko) 2005-11-21 2007-05-25 김용우 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4931A (ko) * 2010-05-12 2011-11-18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118513B1 (ko) * 2010-08-13 2012-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품관리방법
KR101274496B1 (ko) * 2011-09-15 2013-06-18 박영준 복용지도 앱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
KR20140028929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KR20170118560A (ko) * 2016-04-16 2017-10-25 오상현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맞춤형 식품의약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50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 et al. Telehealth for diabetes self-management in primary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hiels et al. Trends in US drug overdose deaths in non-Hispanic black, Hispanic, and non-Hispanic white persons, 2000–2015
US11468975B2 (en) Medication reconciliation system and method
Huang et al. The effectiveness of telemedicine on body mass index: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ay et al. The excess medical cost and health problems of family members of persons diagnosed with alcohol or drug problems
US10162940B2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Dent et al. The heaviest repeat users of an inner city emergency department are not general practice patients
Riley Administrative and claims records as sources of health care cost data
KR102156197B1 (ko)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Gabrilovich Feature generation for textual information retrieval using world knowledge
US10861589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of health care modules
US20190214122A1 (en) Knowledge discovery from social media and biomedical literature for adverse drug events
Shrestha et al. Effect of renal function on dosing of non–vitamin K antagonist direct Oral anticoagulants among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Ponz et al. Dataset for the evaluation of eye detector for gaze estimation
Luo et al. Telehealth for the management of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JP2017130022A (ja) 薬服用支援システム
KR102558429B1 (ko)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Marks Insulin and the law
Rhine et al. Prevalence and trends of the adult patient population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Kartje et al. Characteristics of Veterans with non-va encounters enrolled in a trial of standards-based, interoperable event notification and care coordination
Karimi et al. CADEminer: a system for mining consumer reports on adverse drug side effects
US20160357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istribu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to determine standards compliance
Chikwapulo et al. Renal outcomes in patients initiated on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based antiretroviral therapy at a community health centre in Malawi
Mastrototaro The transformation of diabetes care through the use of person-centered data
KR20200130192A (ko)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