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931A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4931A KR20110124931A KR1020100044400A KR20100044400A KR20110124931A KR 20110124931 A KR20110124931 A KR 20110124931A KR 1020100044400 A KR1020100044400 A KR 1020100044400A KR 20100044400 A KR20100044400 A KR 20100044400A KR 20110124931 A KR20110124931 A KR 20110124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image
- drug information
- information providing
- medic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낱알 또는 포장 상태의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품의 이미지를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그 종류를 파악한 후에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과 같은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약품 정보 부재에 따른 오남용이나 폐기처분 행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품정보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품의 이미지를 전달받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약품 이미지를 자체에 구비된 약품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약품이미지에 링크된 약품정보를 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품정보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품의 이미지를 전달받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약품 이미지를 자체에 구비된 약품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약품이미지에 링크된 약품정보를 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낱알 또는 포장 상태의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품의 이미지를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그 종류를 파악한 후에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과 같은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는 항생제 등과 같은 약품의 오남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약분업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의약품은 병원에서 처방전을 발급받아야만 구입할 수 있는 전문 의약품과 소화제 등과 같이 처방전이 없이도 약국에서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일반 의약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약품은 그 형태에 따라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비정형 의약품과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이 그 형태가 정형화된 고형약품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고형약품은 다수가 개별 포장이 되지 않은 낱알 상태로 약병에 수납되거나 다수의 오목한 수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포장판에 수납된 후에 은박지로 밀폐된 상태에서 종이 박스 등에 수납되어 판매된다.
그러나 가정에서 약품을 보관함에 있어서는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의 정보가 기재된 설명지나 박스와 분리된 채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당해 약품의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의 정보 부재로 인해 자칫 약품의 오남용이 유발되거나 유효 기간이 도과하지 않은 약품을 폐기 처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낱알 또는 포장 상태의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품의 이미지를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그 종류를 파악한 후에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과 같은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약품 정보 부재에 따른 오남용이나 폐기처분 행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품정보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품의 이미지를 전달받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약품 이미지를 자체에 구비된 약품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약품이미지에 링크된 약품정보를 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일치하는 약품이미지의 존재 여부의 판단은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인식 정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약품정보의 전송은 웹 콘텐츠, SMS, MMS 또는 전자 메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 가능한 상기 약품 이미지는 정제, 캡슐 뿐 아니라 합성수지 포장판 또는 포장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정보에는 용법과 용량 및 효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고객의 입장에서는 약품정보를 모르는 채로 보관하고 있는 약품에 대한 오남용이나 폐기처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약품정보제공 서버의 입장에서는 대고객 서비스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웹 콘텐츠 형태로 제공되는 약품정보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웹 콘텐츠 형태로 제공되는 약품정보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은 크게 사용자가 문의한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 즉 용법과 용량, 효능이나 부작용 등의 정보(이하 이를 총칭하여 '약품정보'라 한다)를 제공,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약품정보제공 서버(300)가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이나 휴대인터넷 통신망(200)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150)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단말기(100),(150)는 통상의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근래에 많이 시판되고 있는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나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인터넷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150)는 이미지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 즉 이미지 파일의 저장과 디스플레이 등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약품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송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약품이미지 파일은 사용자가 단말기(100),(150)와는 별개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것이거나 카메라 내장형 단말기를 통해 촬영한 것일 수 있는데, 약품정보제공 서버(300)는 다양한 포맷(확장자)의 이미지 파일, 예를 들어 "BMP", "JPG", "GIF" 또는 "TIF" 등 많이 사용하는 포맷의 이미지 파일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가 내장형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이를 통해 약품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후에 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여 곧바로 약품정보제공 서버(300)에 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약품정보제공 서버(300)는 다시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웹 콘텐츠를 주고받는 웹서버(310), 다수의 약품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약품이미지 DB(334), 약품이미지 DB(334)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약품에 관한 약품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약품정보 DB(336) 및 회원인 사용자에 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ID와 패스워드, 성별, 주민등록번호나 주소 등의 각종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정보 DB(332)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330) 및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0)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약품이미지 DB(334)에는 자체적으로 약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약품에 대한 각종 이미지 파일, 즉 정제의 경우에는 앞면과 뒷면의 정시 이미지 및 사시 이미지 파일, 캡슐의 경우에는 앞면(글자 인쇄면)과 뒷면의 정시 및 사시 이미지 파일 또는 합성수지 포장판이나 포장 박스에 대한 앞면과 뒷면의 정시 및 사시 이미지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는바, 이들 각각의 이미지 파일에는, 예를 들어 약품명이 태그 형태로 부가되어 해당 약품정보와 링크된 채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서버(320)는 약품이미지 데이터의 저장과 출력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이미지검색(또는 영상인식) 툴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150)로부터 전달받은 약품이미지의 형태나 모양 또는 색상 등을 약품이미지 DB(334)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약품이미지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약품이미지에 태그 형태로 부가되어 있는 약품명에 링크되어 있는 약품정보를 약품정보 DB(336)에서 추출한 후에 웹서버(31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웹서버(310)에서는 이렇게 전달받은 약품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1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인터넷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에는 웹 콘텐츠 형태로 전송하는 반면에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SMS나 MMS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약품정보제공 서버(300)를 주체로 하여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150)는 약품정보제공 서버(300)에 접속(단계 S10)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약품이미지 파일을 약품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단계 S12)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약품정보제공 서버(300)의 웹서버(310)는 이러한 약품이미지 파일을 손쉽게 전송하도록 지원하거나 약품이미지의 사이즈를 규격에 맞도록 보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약품정보제공 서버(300)는 이렇게 전송받은 약품이미지 파일을 임시 저장하고, 다시 단계 S16 및 단계 S18에서는 이렇게 저장한 약품이미지 파일 데이터를 약품이미지 DB(334)에서 검색하여 일치하는 약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서버(3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검색 툴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미지검색 툴은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약품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되어 있는 약품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약품이미지를 검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약품이미지의 외곽선이나 모서리에 해당하는 경계값(edge) 정보, 밝기로서 객체를 구분할 수 있는 명암(gray) 정보 및 RGB 색상값을 이용하는 컬러(color)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매칭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이러한 영상인식 알고리즘과 관련하여서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8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 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약품정보 부재 사실을 사용자 단말기(100),(150)에 전송(단계 S20)하는 반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약품정보 DB(336)에서 해당 약품이미지에 부가된 태그와 링크되어 있는 약품정보를 추출(단계 S22)한 후에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150)에 실시간으로 전송(단계 S24)하게 된다. 도 3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웹 콘텐츠 형태로 제공되는 약품정보를 예시한 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약품정보는 본 출원인이 제조 판매하는 로페리드 캡슐에 대한 약품정보로서, 이에 따르면 특장점, 성상, 효능효과, 용법용량, 저장방법 및 사용(유효)기간 등의 정보가 상세하게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의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8에서 일치 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부재 사실을 서버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자동으로 통지하고, 이를 통지받은 서버 관리자가 해당 약품 이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종류를 특정하여 해당 약품이미지를 특정함으로써 약품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150)에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그릇된 약품정보를 제공함에 따른 약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검색 툴의 검색에 따른 정확도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약품정보를 제공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정보가 부재한 것으로 처리하거나 관리자 단말기에 이를 전송한 후에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종류를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고형약품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병에 들어 있는 액상 약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약품 정보의 실시간 전송이 어려운 경우에는 회원 정보 DB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를 참고하여 이메일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150: 사용자 단말기, 200: 인터넷,
300: 데이터 서버, 310: 웹서버,
320: 데이터 서버, 330: 데이터베이스,
332: 회원 정보 DB, 334: 약품이미지 DB,
336: 약품정보 DB
300: 데이터 서버, 310: 웹서버,
320: 데이터 서버, 330: 데이터베이스,
332: 회원 정보 DB, 334: 약품이미지 DB,
336: 약품정보 DB
Claims (6)
-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품정보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품의 이미지를 전달받는 (a)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전달받은 약품 이미지를 자체에 구비된 약품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b)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약품이미지에 링크된 약품정보를 약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일치하는 약품이미지의 존재 여부의 판단은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인식 정확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일치하는 약품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약품정보의 전송은 웹 콘텐츠, SMS, MMS 또는 전자 메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가능한 상기 약품 이미지는 정제, 캡슐, 합성수지 포장판 또는 포장박스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정보에는 용법과 용량 및 효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400A KR20110124931A (ko) | 2010-05-12 | 2010-05-12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4400A KR20110124931A (ko) | 2010-05-12 | 2010-05-12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4931A true KR20110124931A (ko) | 2011-11-18 |
Family
ID=4539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4400A KR20110124931A (ko) | 2010-05-12 | 2010-05-12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24931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4967A (ko) | 2014-10-16 | 2016-04-26 | 김영석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KR102009721B1 (ko) * | 2018-02-20 | 2019-08-1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
KR20220074050A (ko) * | 2020-11-27 | 2022-06-03 | 유병순 |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
KR20220117012A (ko) * | 2021-02-16 | 2022-08-23 | 양은영 | 인공지능 기반의 약품 정보 제공 방법 |
KR20220157109A (ko) * | 2021-05-20 | 2022-11-2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약제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
2010
- 2010-05-12 KR KR1020100044400A patent/KR201101249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4967A (ko) | 2014-10-16 | 2016-04-26 | 김영석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KR102009721B1 (ko) * | 2018-02-20 | 2019-08-1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
KR20220074050A (ko) * | 2020-11-27 | 2022-06-03 | 유병순 | 약품 폴더 기반의 약품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
KR20220117012A (ko) * | 2021-02-16 | 2022-08-23 | 양은영 | 인공지능 기반의 약품 정보 제공 방법 |
KR20220157109A (ko) * | 2021-05-20 | 2022-11-2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약제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35331A1 (en) | Medication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 |
US10255411B2 (en) | Method, server,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user's personal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server and the user device | |
US10897461B2 (en) | Pharmacy database access methods and systems | |
US20160180131A1 (en) | Method for providing qr code-based service for checking for occurrence of cocktail effect of drugs using smart device | |
US20200098462A1 (en) | Drug management system, cloud server, drug packaging apparatus, drug package auditing apparatus, packaging bag, and drug management method | |
US2015007621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goods | |
US9008411B2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harmaceutical products | |
KR20110124931A (ko)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
US11094124B1 (en) | Augmented reality pharmaceutical interface | |
US20140046676A1 (en) | Image-based validation system for prescription fulfillment | |
US202100202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medicine control action | |
JP2009042935A (ja) | 調剤システム及び処方箋受付装置 | |
US10628554B2 (en) | Prescription filling by image | |
US2019028766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scription dispensing | |
JP2009042930A (ja) | 薬剤情報提供システム | |
JP2013242650A (ja) | 情報提示システム、端末および情報提示方法 | |
US2012005395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multi-function device | |
US1089675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medication | |
JP5108393B2 (ja) |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 |
JP2007133635A (ja) | Icタグを用いた医科材料の物流システム及び診察システム | |
US20110206238A1 (en) | Pharmaceutical recogni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 |
US1184280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medication | |
KR101632054B1 (ko)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
JP6837102B2 (ja) | 服薬指導支援装置および服薬指導支援プログラム | |
CN110648148A (zh) | 基于物联网操作系统的伪劣物品识别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