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54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54B1
KR101632054B1 KR1020140140134A KR20140140134A KR101632054B1 KR 101632054 B1 KR101632054 B1 KR 101632054B1 KR 1020140140134 A KR1020140140134 A KR 1020140140134A KR 20140140134 A KR20140140134 A KR 20140140134A KR 101632054 B1 KR101632054 B1 KR 10163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nqui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967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4014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xi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 등의 식별정보를 조회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 등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 및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의 조회요청을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및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요청에 따라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 및 검색하여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quiry service of the medical supplies inform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등록 및 관리하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이 있는 경우 모바일 앱 및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하면서도 올바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약국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여 구입하거나 의사 및 약사의 처방에 의해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캡슐(capsule), 정제(tablet) 등과 같은 형태로 제조된 경구투여용 의약품은 대부분 별도의 포장용기에 개별 보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용하다가 남아 있을 경우, 포장을 제거하거나 또는 낱알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처방전 또는 사용설명서가 함께 보관되어 있지 않는 경우 각각의 의약품에 대한 상품명이나 효능 및 복용 방법 등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러한 의약품을 다시 복용하기 위해 해당 의약품을 가지고 약사에게 문의하더라도, 의약품의 종류 및 제약회사가 많은 관계로 약사도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처방전 또는 사용설명서를 함께 보관하지 않는 경우 해당 의약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입수하지 못하게 되어 당해 약품의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의 정보 부재로 인해 자칫 약품의 오남용이 유발되거나 폐기 처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50125호(2000.08.05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의약품의 모양, 색상, 크기 및 인쇄문자 등에 관한 외부의 성상(性狀)만을 가지고 서버에 등록된 의약품을 검색하여 볼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의약품 검색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의약품의 적용질병 및 처방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품정보 및 의약품의 외관을 특정하는 외관정보가 등록된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로부터 의약품의 외관정보에 대응하여 검색희망 의약품의 외관을 정의하는 검색항목을 입력받아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항목과 일치하는 의약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의약품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4931호(2011.11.18 공개; 이하 '특허문헌2'이라 약칭함)에는, 약품의 이미지를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그 종류를 파악한 후에 용법과 용량, 효능 또는 부작용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품정보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품의 이미지를 전달받아 자체에 구비된 약품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고 해당 약품이미지에 링크된 약품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4559호(2012.07.30 공개; 이하 '특허문헌3'이라 약칭함)에는, 서버를 통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개인 약품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약품의 외형을 촬영하여 약품 영상을 획득하고, 서버에게로 획득된 약품 영상을 전송하여 사용자 약품의 인식을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 약품에 대한 인식 결과에 기초한 사용자 개인 약품 정보 및 사용자 약품의 수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피시(PC)를 사용해서 검색사이트에 접속하여 약품의 외관정보(제형, 모양, 색상, 분할선 등)을 입력하면 근사치의 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 용법이나 용량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각각의 약품에 대한 정확한 용법이나 용량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약품 오용의 여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피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의 사용에 제약이 있어 시간이나 장소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어 신속성과 간편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0-0050125 A 2000.08.05 공개 KR 10-2011-0124931 A 2011.11.18 공개 KR 10-2012-0084559 A 2012.07.3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의약품 식별정보(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등))를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이 있는 경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의약품 양면의 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등))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모바일 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하면서도 올바른 의약품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의 등록 요청 및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등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구동시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 및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의 조회요청을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절차를 통해 입력받는 사용자정보의 인증을 실시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또는 조회 안내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제1단계, (b)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인지 또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제2단계, (c)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권한을 다시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보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는 제3단계, 및 (d)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또는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용 의약품 제조시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면서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QR 코드나 라벨, 또는 의약품 양면의 외관적 특징(제형, 모양, 색상, 장축과 단축의 크기, 성상 등)을 포함하는 의약품 식별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하면서도 올바른 의약품 상세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의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의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로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모바일 단말기(20), 통신 네트워크(30), 및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의약품 정보 등록 또는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가 운영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로서,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과 같은 인터넷 또는 스마트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의 등록 요청, 및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등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30)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가 운영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구동시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 및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의 조회요청을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10)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 또는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이때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가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의약품 식별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를 위해 인식하는 의약품 식별정보는, 정제 또는 낱알의 앞,뒷면에서 각각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의약품 식별정보로는 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고, 외관적 특징정보는 의약품 양면의 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다.
이러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특히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를 미리 지정하여, 사용자 정보를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로 각각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의약품 식별정보 및 그 상세정보의 등록은 정보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의약품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상세정보를 정확하게 등록하여야만 향후 잘못된 의약품 정보로 인한 오용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의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의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제1단계 및 제2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의약품 정보 등록 또는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제공방법이다.
제1단계(a)는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 도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절차를 통해 입력받는 사용자정보의 인증을 실시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또는 조회 안내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101-S103)이다.
제2단계(b)는 제단계에서 제공된 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인지 또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S104,S108)이다.
제3단계(c)는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화면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실시되는 단계로서, 사용자 권한을 다시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보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고,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S105-S107)이다.
제4단계(d)는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메인화면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실시되는 단계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또는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하는 단계(S108-S112)이다. 이때 제4단계(d)에서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 및 수신된 의약품 식별정보가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인지를 확인하여,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인 경우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의약품 식별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3단계(c)에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의약품 식별정보, 및 제4단계(d)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를 위해 인식하는 의약품 식별정보는, 정제 또는 낱알의 앞,뒷면에서 각각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의약품 식별정보는 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고, 외관적 특징정보는 의약품의 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 동작과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a)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절차(S101)를 통해 입력받는 사용자정보의 인증을 실시(S102)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또는 조회 안내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S103)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b)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104,S108)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인지 또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인지를 각각 판단한다.
상기 제2단계(b)의 판단 결과, 만약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S104의 Y분기), 제3단계(c)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권한을 다시 확인(S105)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보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S105의 Y분기)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S106)하고,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S107)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는 미리 지정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해서 의약품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상세정보를 정확하게 등록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수집 및 등록된 올바른 의약품 정보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의약품 오용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 권한 확인(S105)결과,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가 아닌 경우(S105의 N분기)에는 의약품 식별정보의 등록 권한이 없는 사용자임을 알리는 에러메시지를 출력(S105-1)하고 다시 메인화면 제시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정보관리자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잘못된 의약품 식별정보 및 그 상세정보의 등록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만약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S108의 Y분기), 제4단계(d)에서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S109)하여,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가 인식되는지를 확인(S110)하고,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가 인식되는지가 확인되면(S110의 Y분기), 의약품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해당 의약품 식별정보를 검색(S111)하여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 또는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S112)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신뢰성있는 의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식품 의약품 안정청 등과 같은 기관에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며, 만일 일반 사용자(소비자)가 전문 의약품을 처방받거나 일반 의약품을 구매한 후 첨부 문서(처방전이나 사용설명서 등)를 분실했을 경우 소비자 스스로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방전(약품명)을 보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섞여 있는 각각의 낱알에 대한 효능, 효과 및 용법, 용량 등을 간단한 절차를 통해 알 수 있게 하므로, 비상시에 응급 투여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모바일 단말기
30 : 통신 네트워크 100 :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
110 : 의약품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의 등록 요청, 및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등록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구동시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 및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의 조회요청을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전달하거나 그에 대응하여 해당 서버에서 제공되는 의약품 정보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의약품 식별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를 위해 인식하는 의약품 식별정보는,
    정제 또는 낱알의 앞,뒷면에서 각각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식별정보는,
    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적 특징정보는,
    의약품 양면의 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5.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 접속 가능한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정보 등록 또는 조회요청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의약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의약품 정보 관리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의약품 정보 관리 웹사이트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로그인 절차를 통해 입력받는 사용자정보의 인증을 실시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또는 조회 안내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제1단계;
    (b)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인지 또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인지를 각각 판단하는 제2단계;
    (c)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권한을 다시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보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에 의한 의약품 식별정보 등록 요청임을 인지하여,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로부터 상용 의약품 제조시 각각의 의약품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의약품에 포함시켜 제조된 각 의약품 식별정보를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수집된 상용 의약품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 식별정보 및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는 제3단계; 및
    (d)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의약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해당 의약품의 상세정보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또는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d)는,
    의약품 식별정보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의약품 조회 앱과 카메라를 통해 인식 및 수신된 의약품 식별정보가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인지를 확인하여, 앞, 뒤 2개 이상의 의약품 식별정보인 경우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의약품 식별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c)에서 정보관리자 권한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의약품 식별정보, 및 제4단계(d)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정보 조회를 위해 인식하는 의약품 식별정보는,
    정제 또는 낱알의 앞,뒷면에서 각각 인식되는 의약품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식별정보는,
    QR 코드나 라벨, 또는 외관적 특징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적 특징정보는,
    의약품의 제형, 모양, 색상, 크기(장축과 단축), 성상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40140134A 2014-10-16 2014-10-1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63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34A KR101632054B1 (ko) 2014-10-16 2014-10-1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34A KR101632054B1 (ko) 2014-10-16 2014-10-1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67A KR20160044967A (ko) 2016-04-26
KR101632054B1 true KR101632054B1 (ko) 2016-06-20

Family

ID=5591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134A KR101632054B1 (ko) 2014-10-16 2014-10-1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75A (ko) 2018-11-16 2020-05-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db 구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12B1 (ko) * 2020-04-03 2023-08-08 박민구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236B1 (ko) 2000-05-17 2003-03-08 (주)팜스빌 통신망을 통한 의약품 검색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10124931A (ko) 2010-05-12 2011-11-18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872975B1 (ko) 2011-01-20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에 사용자의 개인 약품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사용자 개인 약품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75A (ko) 2018-11-16 2020-05-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db 구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67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975B1 (ko)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간에 사용자의 개인 약품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사용자 개인 약품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 디바이스
US20140089011A1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160180131A1 (en) Method for providing qr code-based service for checking for occurrence of cocktail effect of drugs using smart device
US8537004B2 (en) Verification of dispensed items
KR20190006755A (ko)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93773B1 (ja) 医薬品処方支援方法、医薬品処方支援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医薬品処方支援装置
KR20170141326A (ko) 의약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1244A (ko)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0681A (ko) 처방전 견적에 기초한 약국 추천 장치 및 방법
CN112185505A (zh) 一种药房远程服务系统
JP6444702B2 (ja) 調剤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63205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114925A (ko) 스마트폰 단말기
JP2018507502A (ja) 目標とする人々のコミュニティに情報を選択的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224614A (ja) 医薬品販売履歴管理システム
JP6545446B2 (ja) 処方箋情報送信システム、患者情報管理サーバ、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42463A1 (en) Performance of Pharmacy Search Based on a Prescription Card
JP7120677B2 (ja) 服薬監査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42316B1 (ko) 약품정보 자동입력에 기초한 영업관리 장치 및 방법
CN111180034A (zh) 一种药品过期提醒方法及装置
JP2016527613A (ja) 医薬品管理における処方、転写および管理誤り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37000B1 (ko) 온라인 복약 상담을 이용한 처방약 소분할 제조 중개 시스템
KR102536999B1 (ko) 약국-약사의 제한적 자기 지정을 이용한 온라인 복약 상담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