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054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054A
KR20060044054A KR1020040091844A KR20040091844A KR20060044054A KR 20060044054 A KR20060044054 A KR 20060044054A KR 1020040091844 A KR1020040091844 A KR 1020040091844A KR 20040091844 A KR20040091844 A KR 20040091844A KR 20060044054 A KR20060044054 A KR 2006004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dical
management server
tele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4054A/ko
Publication of KR2006004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상담을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무선 인터넷이나 유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진료 관리 서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료 관리 서버로 접속되도록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관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으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진료 관리 서버에 필요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 정보, 건강 보험 정보, 가입자의 진료 내역 정보,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하는 서버 제어 컴퓨터; 및 진료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증상에 맞는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데이터를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의사측 컴퓨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소한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처방전을 받기 위해 형식적으로 병원을 방문함으로써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질이나, 성병 등과 같은 질병이 있음에도 수치심으로 인해 그대로 방치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벡터 애니메이션, 이미지 스크롤링, 이동통신 단말기, 라이브러리, 컨텐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emedicine Servic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료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질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를 받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10 : 이동통신 단말기 102 : 키 입력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6 : 프로그램 저장부
108 : 모드 상태 저장부 110 : 카메라부
112 : 마이크로프로세서 1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6 : 베이스밴드 변환부 118 : RF 신호 처리부
120 : 안테나 122 : 스피커
124 : 마이크로폰 220 : 개인용 컴퓨터
230 : 이동통신망 240 : 인터넷
250, 300 : 진료 관리 서버 260 : 서버 제어 컴퓨터
270 : 의사측 컴퓨터 302 : 통신 모듈
304 : 제어 모듈 306 : 데이터베이스
308 : 고객 정보 DB
310 : 고객별 영상자료 및 응답자료 DB
312 : 진료 과목 DB 314 : 진료 과목별 질의 DB
316 : 건강 보험 인증 서버 318 : 메일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진료를 위해 필요한 질의 및 응답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각각의 증상 에 맞는 처방전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대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화소수가 수십만 또는 수백만 화소 이상으로 향상되어 해상도 높은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먼 거리에서도 사물을 직접 대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 의약 분업의 실시와 함께 환자는 아무리 사소한 질병이라도 의약을 조제하기 위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고, 의사의 처방전을 약국에 제출해야 한다.
그러나, 감기 등 사소한 질병의 경우 의사는 증상을 질의하고 이에 대해 환자가 그 질의에 대한 응답을 함으로써 비교적 정형적인 처방을 해 주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형식적이고 간단한 진료를 받기 위해 환자는 병원까지의 이동 시간, 대기 시간을 포함하여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특히, 정기적으로 장기간 병원 에 통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의 경우는 그 불편함이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이 있었으나, 이는 진료를 위한 대기 시간을 줄여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었으며, 더욱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가 환자를 원격 진료하는 데 필요한 환자측 진료 측정장치를 통해 원격 진료를 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장치가 고가이고, 장치의 조작법이 쉽지 않아 현실적인 대안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병원을 가지 않고도 간편하게 원격 진료을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료를 위해 필요한 질의 및 응답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각각의 증상에 맞는 진료와 처방전을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상담을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진료 상담을 위한 메뉴 항목을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실시간 처리 운영 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호(Call) 처리 S/W 및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통해 진료 상담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상담을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무선 인터넷이나 유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진료 관리 서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료 관리 서버로 접속되도록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관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으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진료 관리 서버에 필요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 정보, 건강 보험 정보, 가입자의 진료 내역 정보,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하는 서버 제어 컴퓨터; 및 진료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증상에 맞는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데이터를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의사측 컴퓨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망, 진료 관리 서버 및 서버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 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업체가 원격 진료에 필요한 다양한 증상별 질의서를 제작하고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b) 진료 관리 서버가 유선 접속용 웹 페이지 또는 무선 접속용 웹 페이지의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격 진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진료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증상을 물어보는 질의서를 포함하는 진료와 관련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d) 사용자로부터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수신한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를 의사측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의사측 컴퓨터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측 수신 장치로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은 키 입력부(102), 디스플레이부(104), 프로그램 저장부 (106), 모드 상태 저장부(108), 카메라부(110), 마이크로프로세서(112), 디지털 신호 처리부(114), 베이스밴드 변환부(116), RF 신호 처리부(118), 안테나(120), 스피커(122), 마이크로폰(124)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02)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간편하게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110)를 사용하여 진료를 받고자 하는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04)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진료 관리 서버(25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진료를 위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06)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OS(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등이 저장되어 있고 이들 프로그램은 RAM으로 로딩(Loading)되어 구동된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10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원격 진료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진료 부위를 병원 측의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하거나, 진료 관리 서버(250)로부터 제공되는 메뉴 화면에 따라 응답하는 방식을 통해 원격 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짜여진 프로그램으로서, 운영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C'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감기' 등과 같은 가벼운 증상으로 병원 처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병원의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해서 사용자 정보와 기타 질의서에 대한 응답을 서버에 등록하도록 해준다. 또한 사용자가 '화상' 등과 같이 진료 부위를 병원 측에 현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진료 부위에 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저장하여, 질의서에 대한 응답과 함께 병원의 진료 관리 서버(240)에 등록하도록 해준다.
모드 상태 저장부(108)는 키 입력부(102)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착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08)를 갱신한다.
카메라부(110)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 모듈은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cide Semiconductor) 타입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서 피사체에 대한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 촬영을 한다.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CCP : Camera Control Processor)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줌(Zoom) 기능, 플래시(Flash) 기능,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또한, 키 입력부(102)를 통하여 원격 진료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그램 저장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병원의 진료 관리 서버(240)에 접속하도록 한 후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하도록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1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11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와 음성 데이터(Speech Data)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는 RF 신호 처리부(118)와 DSP(114), 스피커(122) 및 마이크로폰(12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118)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18)의 전력을 제어(POWER)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18)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118)는 안테나(1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122)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24)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210), 개인용 컴퓨터(220), 이동통신망(230), 인터넷(240), 진료 관리 서버(250), 서버 제어 컴퓨터(260) 및 의사측 컴퓨터(27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이동통신망(230)을 경유하여 상대방과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24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230)을 경유하여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접속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개인용 컴퓨터(220)는 모뎀(Modem)이나 랜(LAN)을 통해 인터넷(240)에 접속한다. 개인용 컴퓨터(220)로 인터넷(240)에 접속하기 위하여 NCSA에서 개발한 모자이크(Mosaic), 넷스케이프(Netscape)사의 네비게이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인터넷 익스플로어(Internet Explorer), 썬마이크로시스템사의 핫자바, 오페라 소프트사의 오페라(Opera)나 유닉스 시스템을 위한 링스(Lynx) 등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이동통신망(230)은 무선 접속망, 이동통신 교환국, 망간 연동 장치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210) 간의 통화 관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한 인터넷(240) 접속을 관리한다.
이동통신망(230)은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인터넷(240)으로의 접속 요구 신호가 전달되면, 무선 접속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및 인터넷(240)으로의 접속 요구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교환국에서는 내부의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 입자의 정보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를 연결한다. 망간 연동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 변환 기능을 한다.
여기서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는 통화 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변환된 인터넷(240)으로의 접속 요구 신호는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 인터넷(240)으로 전달된다. 게이트웨이는 인터넷(240)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230)과 인터넷(240) 사이의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인터넷(240)은 무선 인터넷 접속 시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이동통신 교환국을 거쳐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220)를 통한 유선 인터넷 접속 시는 웹 브라우저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진료 관리 서버(250)는 가입자가 무선 인터넷이나 유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진료 관리 서버(150)는 가입자가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 언어로 구축된 유선 접속용 및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진료를 위한 여러 절차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건강 보험증을 제시하고 본인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진료를 받기 위해 따로 병원을 직접 방문해서 처리해야 했던 절차를 서버 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 제어 컴퓨터(260)는 진료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진료 관리 서버(250)에 필요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 정보, 보험 정보, 가입자의 진료 내역 정보, 인증 번호 등을 입력 및 관리한다.
의사측 컴퓨터(270)는 진료 관리 서버(250)로부터 환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증상에 맞는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데이터를 다시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을 거쳐 가입자는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하여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와 병명에 대한 결과 값은 최종적으로 전문 의사에게 보내져서 결과 값을 토대로 처방을 하게 되며, 이러한 처방은 다시 인터넷을 통한 위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약국으로 처방전을 보냄으로써, 간편하게 필요한 약을 조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료 관리 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료 관리 서버(300)는 통신 모듈(302), 제어 모듈(304), 데이터베이스(306), 건강 보험 인증 서버(316) 및 메일 서버(3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302)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기(210) 및 의사측 컴퓨터(270) 등과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04)은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에게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모듈(302), 데이터베이스(306), 건강 보험 인증 서버(316) 및 메일 서버(318) 등의 동작 및 이들 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받으면 데이터베이스(306)에서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진료 진행 여부를 결정하고, 신규 환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건강 보험 인증 서버(316)로 전송하여 보험 인증 결과를 전송 받을 뿐 아니라, 의사측 컴퓨터(270)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을 사용자가 지정한 약국으로 보내도록 메일 서버(318)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304)은 중앙처리장치(CPU)의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6)는 원격 진료 서비스에 필요한 고객 정보, 진료 내역 정보, 건강 보험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 모듈(304)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10) 등에 진료 처방을 위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06)는 내부 구성요소로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308), 고객별 영상 자료 및 응답 자료 데이터베이스(310), 진료 과목 데이터베이스(312) 및 진료 과목별 질의 데이터베이스(3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세부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6)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과 관련된 고객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회원의 성명, 회원 아이디, 비밀 번호, 주민 등록 번호, 주소지, 전화 번호, 전자 메일 주소 등의 개인 정보 뿐만 아니라 회원의 은행 계좌 번호, 신용 카드 번호 등의 신용 정보, 건강 보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308)는 제어 모듈(304)의 제어에 의해 원격 진료를 받고자 하는 자가 신규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 새로운 고객 정보를 생성하며, 원격 진료를 받고자 하는 자가 고객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고객 정보를 갱신하여, 가장 최근의 고객 정보를 가지고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6)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한 진료 부위를 촬영한 영상 자료 및 응답 자료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진료 부위를 촬영한 영상 자료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촬영한 영상 자료 등을 포함하며, 응답 자료 정보는 사용자가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진료 과목별 질의 내용에 따라 진찰에 필요한 자신의 증상을 입력한 정보로서 예컨대, 체온, 기분, 소변량, 메스꺼움 여부 등에 대한 응답 자료 정보를 말한다. 고객별 영상 자료 및 응답 자료 데이터베이스(310)는 제어 모듈(304)의 제어에 의해 의사측 컴퓨터(27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료 과목 데이터베이스(312)는 진료를 위한 진료 과목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진료 과목 정보는 병명, 병명 식별 코드, 병명별 치료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306)는 진료 과목별 질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진료 과목별 질의 데이터베이스(314)는 진료 과목별로 환자의 병명을 알 수 있도록 환자의 증상을 세세하게 물어보는 질의서를 포함하며 서버 제어 컴퓨터(260)에 의해 새로운 내용으로 갱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험 인증 서버(316)는 제어 모듈(304)의 제어 하에 고객의 건강 보험 처리 절차를 수행하며, 또한 메일 서버(318)는 이동통신 단말기(210) 등에 전자 메일 및/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한다. 즉, 회원 확인 정보, 진료 내역 확인 정보 등은 전자 메일 형태 및/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21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무선 인터넷 메뉴의 '원격 진료' 항목을 지정하여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한다(도 4A).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한 사용자는 진료 관리 서버(25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화면에서 도 4B와 같은 진료 과목 메뉴를 제공받는다. 사용자가 자 신의 증상에 맞는 진료 과목을 선택한 후 본인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는 도 4C와 같은 환자의 병명을 알 수 있도록 병명에 따라 세세한 증상을 물어보는 질의서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진료 관리 서버(250)는 사용자가 원격 진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 진행 중인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신규환자인 경우와 치료진행 중인 환자인 경우의 각각의 최적화한 질의서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102)를 이용하여 증상별 질의서 목록에 따라 응답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방향키와 확인키를 사용하여 도 4C의 1번 목록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키 입력부(102)를 이용하여 자신의 증상에 따라 '위가 쓰리고 아픕니다' 또는 '소화가 안됩니다' 등과 같은 응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D는 도 4C에서 작성한 증상별 질의서 목록에 따른 응답 정보를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하기 위한 화면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치료부위를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첨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첨부하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보내기' 메뉴를 선택하여 증상별 질의서 목록에 따른 응답 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D에서 전송된 고객별 이미지 영상 자료 및 응답 자료는 진료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되며, 제어 모듈의 제어(304)에 의해 의사측 컴퓨터(270)로 전송된다.
도 4E는 의사측 컴퓨터(270)로부터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된 진료 결과 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보내진 예시 화면이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102)의 확인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도 4F와 같이 의사의 처방결과를 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처방전 인쇄'를 선택하여 포터블(Partable) 프린터를 통해 처방전을 출력하거나, '처방전 전송 신청'을 선택하여 원하는 약국의 컴퓨터로 처방전을 전송하여서 간편하게 약을 조제할 수 있다.
이상 도 4A 내지 도 4F에서 설명한 각 화면은 하나의 예시 화면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메뉴 화면은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질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를 받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업체는 진료 과목에 맞는 증상별 질의문 및 질의문과 관련된 다양한 진료 컨텐츠를 제작하고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한다.
원격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또는 컴퓨터(220)를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함으로써 진료 요청을 한다(S502). 이 경우 진료 관리 서버(250)는 사용자가 원격 진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료 진행 중인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신규환자인 경우와 치료진행 중인 환자인 경우의 각각의 최적화한 질의서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진료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질의문에 따라 자신의 증상을 입력하고 (S504), 진료 관리 서버(250)는 입력된 질의문에 대한 응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한 후에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의사측 컴퓨터(270)로 전송한다(S506).
진료 관리 서버(250)는 의사측 컴퓨터(270)로부터 적절한 처방 및 처방전을 전송 받은 경우 처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 또는 컴퓨터(220)로 전송한다(S508).
의사측으로부터 적절한 처방전을 수신 받은 사용자는 수신 받은 처방전을 출력하거나(S510), 가까운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도록 진료 관리 서버에 요청함으로써(S514) 처방전을 출력하여 약국을 방문하거나(S512) 약국에서 위의 진료 관리 서버를 접속하여 처방전을 출력하는 방법(S516)을 통해 필요한 약을 조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구비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구비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진료 부위에 대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측정장치는 이미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이거나, 온도계, 혈당 측정기, 또는 청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부를 통해 진료 부위를 촬영하여 원격 진료를 받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원격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카메라부(110)를 통해 진료 부위를 촬영하여 저장한 후(S602)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또는 컴퓨터(220)를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함으로써 진료 요청을 한다(S604). 이 경우 컴퓨터(220)를 이용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진료 관리 서버(25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저장된 진료 부위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PC Sync 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거나 USB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포토 메일을 보내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진료 관리 서버(250)가 제공하는 질의문에 따라 자신의 증상을 입력하고(S606),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진료 부위를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질의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진료 관리 서버(250)로 전송한다(S608).
진료 관리 서버(250)는 입력된 질의문에 대한 응답 정보와 진료 부위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한 후에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의사측 컴퓨터(270)로 전송한다.
담당 의사는 질의문에 대한 응답 정보 뿐만 아니라 진료 부위 이미지 정보를 참고하여 가장 적절한 처방을 하게 되고, 의사측 컴퓨터(270)로부터 처방 및 처방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은 진료 관리 서버(250)는 데이터베이스(306)에 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 또는 컴퓨터(220)로 처방 및 처방전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소한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처방전을 받기 위해 형식적으로 병원을 방문함으로써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치질이나, 성병 등과 같은 타인에게 보이기를 꺼려하는 부위의 질병을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병이 있음에도 수치심으로 인해 그대로 방치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3)

  1.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상담을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진료 상담을 위한 메뉴 항목을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실시간 처리 운영 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호(Call) 처리 S/W 및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탑재한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원격 진료 프로그램을 통해 진료 상담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료 부위를 촬영하여 원격 진료를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격 진료를 위해 환자의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 혈당 측정기 또는 청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상 측정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격 진료를 위한 이미지 영상 및 각종 데이터를 분류하고 저장하며 원격 진료를 위한 각종 컨텐츠 목록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 상담을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무선 인터넷이나 유선 인터넷을 통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진료 관리 서버;
    상기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 접속되도록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관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인터넷으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진료 관리 서버에 필요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 정보, 건강 보험 정보, 가입자의 진료 내역 정보,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하는 서버 제어 컴퓨터; 및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증상에 맞는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의사측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위하여 유선으로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PC Sync 프로그램, USB 데이터 케이블, 포토 메일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진료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각 증상별 질의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응답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진료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진료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각 증상별 질의서 데이터에 따른 상기 가입자의 응답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진료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진료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부, 온도계, 혈당 측정기, 청진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관리 서버는,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위한 고객 정보, 건강 보험 정보 및 진료 과목별 질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입자의 건강 보험 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건강 보험 인증 버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입자의 수신 장치에 전자 메일 및/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 및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 가입자의 진료 요청, 처방전 전송 요청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보험 인증 서버 및 메일 서버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과 관련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한 진료 부위를 촬영한 영상 자료 및 응답 자료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별 영상자료 및 응답자료 데이터베이스;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위한 병명, 병명 식별 코드, 병명별 치료 비용 등을 포함하는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진료 과목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진료 과목별로 환자의 증상을 질의하는 질의서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진료 과목별 질의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치료 진행 중인 환자인지 신규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신규환자인 경우와 치료진행 중인 환자인 경우의 각각의 최적화한 질의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찾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이 처방전 전송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로 처방전을 전송하도록 상기 메일 서버에 전송 명령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15.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망, 진료 관리 서버 및 서버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업체가 원격 진료에 필요한 다양한 증상별 질의서를 제작하고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진료 관리 서버가 유선 접속용 웹 페이지 또는 무선 접속용 웹 페 이지의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격 진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진료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증상을 물어보는 질의서를 포함하는 진료와 관련되는 메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한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를 의사측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의사측 컴퓨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측 수신장치로 상기 처방 및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상기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캐릭터 관리 서버에서 운용되는 유선 접속용 웹 페이지 또는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진료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진료와 관련되는 메뉴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 진료 부위를 함께 첨부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 진료 부위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후에,
    (g)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가까운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포터블(Portable) 프린터와 연결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사용자가 수신한 처방전을 상기 포터블(Portable) 프린터를 통해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인쇄한 처방전을 약국에 제시함으로써 필요한 약을 조제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망, 진료 관리 서버, 서버 제어 컴퓨터 및 의사측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료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의사측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의 증상을 묻는 질의서에 대한 응답 정보 또는/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정 장치를 이용한 진료를 위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응답 정보 또는/및 진료 부위에 관한 측정 정보로 상기 환자의 병명을 판단하고 적절한 처방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및 처방전을 상기 진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료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부, 온도계, 혈당 측정기, 청진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료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부이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진료부위에 관한 이미지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료 방법.
KR1020040091844A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6004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844A KR20060044054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844A KR20060044054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054A true KR20060044054A (ko) 2006-05-16

Family

ID=3714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844A KR20060044054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0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866B1 (ko) * 2011-10-28 2012-06-22 이후동 U-의료센터를 이용한 원격의료시스템
WO2014035182A1 (ko) * 2012-08-31 2014-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US8870791B2 (en) 2006-03-23 2014-10-28 Michael E.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physiological sounds
KR102079009B1 (ko)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KR20220117632A (ko) * 2021-02-17 2022-08-24 (주)아이쿱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791B2 (en) 2006-03-23 2014-10-28 Michael E.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physiological sounds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11357471B2 (en) 2006-03-23 2022-06-14 Michael E. Sabatino Acquiring and processing acoustic energy emitted by at least one organ in a biological system
KR101157866B1 (ko) * 2011-10-28 2012-06-22 이후동 U-의료센터를 이용한 원격의료시스템
WO2014035182A1 (ko) * 2012-08-31 2014-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KR102079009B1 (ko)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KR20220117632A (ko) * 2021-02-17 2022-08-24 (주)아이쿱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gazzar et al.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using mobile web services
US20060224887A1 (en) Phone with secure element and critical data
US200302118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user data
Siau et al. Mobile healthcare informatics
US20030182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wireless device
US20100076789A1 (en) Method for remote consultation vi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20050114170A1 (en) Remote medical treating method and system with local wireless interface
JP2008043702A (ja) 生体データ計測システム及び生体データ計測方法、並びに生体データ計測センサ
JP2006293637A (ja) 健康相談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健康相談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健康相談サービス方法
US20100174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device
KR2006004405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JP2015097066A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JP2006048404A (ja) バイタル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バイタルデータ収集システム
RU2324297C2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и навигационно-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услуг
JP3893588B2 (ja) 双方向通信ネットワークによる医療情報提供・取得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333201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に用いる監視映像供給方法
JP2002169888A (ja) 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
CN113542490A (zh) 农村互助养老设备系统和方法
KR100739428B1 (ko) 무선단말기를 사용한 바이오 리듬 캐릭터 및 운세 캐릭터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3196391A (ja) 双方向通信ネットワークによる医療情報提供・取得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17800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병원 진료 확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396027B1 (ko)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4011559B2 (ja) 双方向通信ネットワークによる医療情報提供・取得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ang et al. A wireless medical information query system based on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KR100817434B1 (ko) 의료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