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09B1 -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09B1
KR102079009B1 KR1020190067465A KR20190067465A KR102079009B1 KR 102079009 B1 KR102079009 B1 KR 102079009B1 KR 1020190067465 A KR1020190067465 A KR 1020190067465A KR 20190067465 A KR20190067465 A KR 20190067465A KR 102079009 B1 KR102079009 B1 KR 10207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oratory
server
dental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래닛투
하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래닛투, 하정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래닛투
Priority to KR102019006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서, 치과 서버(100)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생성된 구강 스캔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며, 기공소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을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검토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에 대한 검토 결과를 기초로 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수정 요청 메시지를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DENTAL CLINIC AND LABORATORY DEDICATED BUSINESS PROCESS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와 기공소 간의 모든 업무가 온라인상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고, 치과와 기공소 간의 업무에 관해 축적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치과 또는 기공소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우리 주변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빅데이터란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성되던 데이터에 비하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한다.
이처럼 다양하고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는 미래 경쟁력의 우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서 의미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시도는 예전에도 존재했다. 그러나 현재의 빅데이터 환경은 과거와 비교해 데이터의 양은 물론 질과 다양성 측면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런 관점에서 빅데이터는 산업혁명 시기의 석탄처럼 IT와 스마트혁명 시기에 혁신과 경쟁력 강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지능'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엄밀하게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지능에 대한 정의는 연구 분야에 따라 달라질 뿐 아니라 각각의 정의는 지능의 중요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에 관해서도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정의를 찾기 쉽지 않다. 대표적인 인공지능 텍스트북인 S. Russell and P. Norvig의 “Intelligence: A ModernApproach”에서는 인공지능의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4개의 카테고리로 인공지능의 정의를 소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처럼 vs 합리적으로”, “생각 vs 행동”을 기준으로 4개의 가능한 카테고리로 인공지능을 정의하고 각 카테고리의 관점을 소개한다. 물론, 이 네 가지 모두 중요한 관점이지만 이중에서 “사람처럼 행동하는(Acting humanly)”과 관련된 기준이 공학적으로 판단하기 쉽고 공학과 관련된 연구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인공지능은 사람에 의해서 수행될 때 지능이 필요한 일을 수행하는 기계를 만드는 기술이다.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현재는) 사람이 잘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최근 이러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종래의 업무 처리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치과와 기공소 사이의 업무에도 적용될 수 있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함으로써, 종래 겪어야 했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종래 치과와 기공소는 이메일을 통해 업무를 수행해왔다. 구체적으로, 치과에서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파일을 이메일을 통해 기공소로 발송하면서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면, 기공소는 수신한 스캔 파일을 기초로 작성한 3D 설계 파일을 이메일을 통해 치과로 발송하고, 치과에서는 수신한 설계 파일을 확인한 뒤 이메일을 통해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며, 기공소는 설계 파일을 기초로 제품을 제작하고 제작된 제품을 치과로 송부한 뒤, 해당 제품에 대한 결제는 치과와 기공소 사이의 협의에 의해 이뤄져 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업무 방식에 따르면, 이메일을 통해서만 제품의 제작 의뢰와 스캔 파일, 설계 파일 등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밖에 없어, 치과와 기공소 사이에 실시간 의사소통이 불가능하여 원활한 협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치과와 기공소 사이에 축적되는 거래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치과와 기공소 모두에 유익한 부가 기능이 제공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03028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116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44054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고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의 치과의사와 기공사 사이에 영상 및 음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뢰한 제품의 제작 공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과와 기공소 간뿐만 아니라, 각각의 전문 기술 분야를 갖고 있는 복수의 기공소들 사이에 온라인상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과와 기공소 사이에 축적된 거래 이력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검색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치과나 기공소에 특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서, 치과 서버(100)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생성된 구강 스캔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며, 기공소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을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검토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에 대한 검토 결과를 기초로 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수정 요청 메시지를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은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치과 카메라(10), 의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치과 마이크(20), 치과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치과 디스플레이(30), 치과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치과 스피커(40), 기공소에 설치된 기공소 카메라(50), 기공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기공소 마이크(60), 기공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 기공소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기공소 스피커(80)를 더 포함하고, 치과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치과 마이크(2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통해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 기공소 스피커(80)로 실시간 출력되고, 기공소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기공소 마이크(6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기공소 서버(300), 관리 서버(200), 및 치과 서버(100)를 통해 치과 디스플레이(30) 및 치과 스피커(40)로 실시간 출력됨으로써, 환자 진료 시 의사와 기공사 사이의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공소 서버(300)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협업 기공소에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생성 및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는 협업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협업 요청 메시지를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 전송하며,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협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협업이 성사된 경우, 관리 서버(200)는 협업이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고,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 및 제품 제작의 진행 상태를 공정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진행 공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200)는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설계 파일 및 상기 진행 공정 정보를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공소 서버(300)는 제품 제작의 진행 상태를 공정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진행 공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진행 공정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고, 기공소 서버(300)는 일정 기간 동안 제작된 제품의 수량 정보, 비용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비용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제작된 제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와 기공소 서버(300) 간의 거래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거래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고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의 치과의사와 기공사 사이에 영상 및 음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뢰한 제품의 제작 공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와 기공소 간뿐만 아니라, 각각의 전문 기술 분야를 갖고 있는 복수의 기공소들 사이에 온라인상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와 기공소 사이에 축적된 거래 이력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검색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치과나 기공소에 특화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기공소 서버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치과와 기공소의 입출력 구성을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이하, “본 업무 처리 시스템”이라 한다)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데이터베이스(201) 및/또는 기공소 서버(300)를 포함한다.
치과 서버(100)는 치과 의원 또는 병원에 존재하며 치과 의사가 접근할 수 있는 서버이다. 치과 의사는 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고 이렇게 생성된 구강 스캔 파일은 치과 서버(100)에 업로드된다. 치과 서버(100)는 구강 스캔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구강 스캔 파일은 3D STL 파일에 해당할 수 있다. 3D STL은 CAD(Computer-Aided Design) 소프트웨어의 파일 포맷을 의미하고, 3D STL 파일은 3D STL 포맷을 갖는 파일을 의미한다. 3D STL 파일은 3차원 데이터를 표현하는 국제 표준 형식 중 하나로 대부분의 3D 프린터에서 입력 파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STL 파일은 입체 물체의 표면 즉, 3차원 형상을 무수히 많은 3각형 면으로 구성하여 표현해 주는 일종의 폴리곤 포멧이기 때문에 삼각형의 크기가 작을수록 고품질의 출력물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STL 파일은 곡면을 표현하기가 곤란하지만 3각형의 분할 수를 많이 늘려서 보다 섬세한 삼각형으로 그려내면 거의 곡면과 유사한 형상이 된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01)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다.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구강 스캔 파일을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한다.
기공소 서버(300)는 기공소에 존재하며 기공사가 접근할 수 있는 서버이다. 기공사는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된 구강 스캔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기초로 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강 설계 파일을 생성한다. 기공사는 구강 설계 파일을 기공소 서버(300)에 업로드하고, 기공소 서버(300)는 구강 설계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구강 설계 파일을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고 구강 설계 파일의 검토를 요청한다.
치과 의사는 치과 서버(100)로 전송된 구강 설계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구강 설계 파일이 의뢰시 전송하였던 구강 스캔 파일에 부합하게 설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최초 제작 의도에 부합하게 설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구강 설계 파일이 구강 스캔 파일 및 최초 제작 의도에 부합하게 설계되었다면, 치과 서버(100)는 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제작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는, 구강 설계 파일이 구강 스캔 파일 또는 최초 제작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치과 서버(100)는 구강 설계 파일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제작 요청 메시지 및/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고, 기공사는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된 제작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품을 제작하고, 또는 수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구강 설계 파일을 수정한다. 수정된 구강 설계 파일은 기공소 서버(300), 관리 서버(200), 및 치과 서버(100)를 거쳐 치과 의사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01)는 치과 재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치과 재료에 대한 정보는 3D 관련 기기(치과 의원/병원용 CAD/CAM 기기, 기공소용 CAD/CAM 기기)에 대한 정보, 3D 재료(CAD/CAM용 환자 보조물)에 대한 정보, 임플란트와 관련된 재료(예를 들어, 지르코니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치과 재료에 대한 정보는 사진, 글, 영상 등의 조합으로 이뤄진 카달로그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치과 재료에 대한 정보를 치과 서버(100) 및/또는 기공소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고, 해당 정보에 해당하는 치과 재료를 온라인상에서 치과 서버(100) 및/또는 기공소 서버(300)에 판매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기공소 서버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업무 처리 시스템은 협업 기공소 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제품의 제작을 의뢰받은 기공소가 해당 제품에 대한 구강 설계 파일을 설계할 수 없거나 해당 제품의 제작을 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기공소에 설치된 기공소 서버(300)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협업 기공소에 의뢰받은 제품에 대한 구강 설계 파일의 설계(생성) 및/또는 해당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는 협업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협업 요청 메시지를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 전송하며,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협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협업이 가능한 경우, 협업 기공소 서버(300)는 협업을 승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협업이 불가능한 경우, 협업을 불승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협업이 성사된 경우, 관리 서버(200)는 협업이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한다. 알림 메시지는 협업을 구성하는 기공소 서버(300) 및 협업 기공소 서버(400) 각각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치과 서버(100) 또는 기공소 서버(300)는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고 구성된 협업을 취소할 수 있고, 협업 기공소의 재구성을 관리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협업 기공소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구강 설계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을 협업 기공소 서버(400)에 업로드한다.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구강 설계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200)는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구강 설계 파일을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한다.
기공소 서버(300) 및/또는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공정별로 구분된 제품 제작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공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진행 공정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한다. 치과 의사는 치과 서버(100)를 통해 진행 공정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의뢰한 제품이 현재 어떤 공정을 거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진행 공정 정보는 제품의 제작 의뢰를 접수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구강 스캔 파일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구강 설계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CAD 작업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 제품 제작을 위한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작업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 제품의 출하를 준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제품이 출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공소 서버(300)는 해당 기공소에서 일정 기간 동안 제작된 제품의 수량 정보, 일정 기간 동안 제작된 제품에 대하여 청구할 비용 정보, 및/또는 청구항 비용을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결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수량 정보, 비용 정보, 및/또는 결제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결제 정보를 기초로 제작된 제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한다. 이때, 비용 정보는 기공소가 치과에 청구할 금액을 나타내고, 결제 정보는 기공소의 은행 계좌 정보, 에스크로 서버의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치과와 기공소의 입출력 구성을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업무 처리 시스템은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치과 카메라(10), 의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치과 마이크(20), 치과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치과 디스플레이(30), 치과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치과 스피커(40), 기공소에 설치된 기공소 카메라(50), 기공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기공소 마이크(60), 기공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또는 기공소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기공소 스피커(80)를 더 포함한다.
치과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치과 마이크(2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통해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 기공소 스피커(80)로 실시간 출력되고, 기공소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기공소 마이크(6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기공소 서버(300), 관리 서버(200), 및 치과 서버(100)를 통해 치과 디스플레이(30) 및 치과 스피커(40)로 실시간 출력됨으로써, 환자 진료 시 의사와 기공사 사이의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즉, 치과 의사는 환자의 구강 상태 및 특징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기공사와 협의할 수 있고, 이로써 환자에 최적화된 완성도 높은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마다 사용하는 구강 스캐너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구강 스캐너의 종류가 다르면, 구강 스캔 파일을 치과 서버(100)로 업로드하거나 치과 서버(100)로부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전송 방식이 다를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치과 서버(100)로부터 각기 다른 전송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구강 스캔 파일을 수신하면, 수신한 구강 스캔 파일을 디코딩한 뒤 규격화된 전송 방식에 의해 인코딩을 한 뒤에 기공소 서버(300), 협업 기공소 서버(400), 및/또는 치과 서버(100)로 구강 스캔 파일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와 기공소 서버(300) 간의 거래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하고, 거래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치과 서버(100) 및/또는 기공소 서버(300)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거래 이력 정보는 기공소별 거래량 정보, 기공소별 제품 제작 시간 정보, 치과별 주문량 정보, 제품별 거래 수량 정보, 제품 제작 시 소요되는 원자재의 종류 정보, 및/또는 제품 제작 시 소요되는 원자재별 소요량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는 이러한 거래 이력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치과 서버(100)에는 추천 제품 정보, 추천 기공소 정보 등을 제공하고, 기공소 서버(300)에는 추천 치과 정보, 원자재 소요량이 적은 제품 정보 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을 포함한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분석하여, 해당 구강 스캔 파일에 대한 제품의 제작을 의뢰할 기공소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되는 정보를 도출한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전처리부(211), 분석부(212), 및/또는 예측부(213)를 포함한다.
전처리부(211)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구강 스캔 파일 중 중복되는 구강 스캔 파일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 전처리부(211)는 데이터베이스(201)에 기 저장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기술하는 유형 정보를 기초로, 전처리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도출한다.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은 구강 스캔 파일의 대상이 되는 구강의 부피에 따른 유형, 대상 환자의 연령에 따른 유형, 대상 환자의 성별에 따른 유형, 대상이 되는 구강의 모양에 따른 유형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강 스캔 파일이 그 대상이 되는 구강의 부피에 따라 유형이 나뉜다면,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은 평균보다 큰 부피를 갖는 구강에 대한 구강 스캔 파일 유형, 평균보다 작은 부피를 갖는 구강에 대한 구강 스캔 파일 유형, 및/또는 평균 부피를 갖는 구강에 대한 구강 스캔 파일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분석부(212)는 전처리부(211)에 의해 도출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과,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수정 요청 사례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 이때, 수정 요청 사례는 기공소 서버(300)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치과 서버(100)로 전송한 구강 설계 파일에 대해, 치과 서버(100)가 관리 서버(200)를 통해 기공소 서버(300)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사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분석부(212)는 전처리부(211)에 의해 도출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독립 변수로 갖고 수정 요청 사례를 종속 변수로 갖는 회귀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부(212)는 회귀 분석 모델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되는 유의 확률 값을 기준으로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유의미한 독립 변수로 선정하며, 회귀 분석 모델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되는 계수 추정치 값을 기준으로 유의미한 독립 변수로 선정된 유형을 수정 요청 사례와 상관 관계가 있는 독립 변수로 결정한다.
예측부(213)는 분석부(212)에 의해 상관 관계가 있는 독립 변수로 결정된 유형을 갖는 구강 스캔 파일이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해당 구강 스캔 파일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결정된 수정 요청 사례를 도출하고, 해당 수정 요청 사례에서 수정 요청을 받은 기공소를 해당 구강 스캔 파일에 대한 제품을 의뢰하지 않아야 할 기공소로 예측하여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구강 스캔 파일, 및/또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구강 스캔 파일을 분석하고, 선형 회귀 모델링을 통해, 해당 구강 스캔 파일과 수정 요청 사례 사이의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수집 단계, 전처리 단계, 분석 단계, 및/또는 예측 단계를 거쳐, 구강 스캔 파일에 해당하는 수정 요청 사례를 도출할 수 있다.
수집 단계에서,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구강 스캔 파일을 수집할 수 있고, 또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구강 스캔 파일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의 전처리부(21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전처리 단계에서,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의 전처리부(211)는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수집된 구강 스캔 파일 중 최근 특정 기간 동안에 전송되고 저장된 구강 스캔 파일만을 남겨두고 이외의 기간에 발생한 구강 스캔 파일은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처리부(211)는 최근 30일 동안의 구강 스캔 파일을 데이터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전처리부(211)는 해당 기간 동안 요청된 구강 스캔 파일 중 중복되는 구강 스캔 파일을 제거할 수 있다.
분석 단계에서,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의 분석부(212)는 전처리가 완료된 구강 스캔 파일과, 수정 요청 사례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212)는 전처리가 완료된 구강 스캔 파일과, 수정 요청 사례에 대한 회귀 분석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두 데이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도출 단계에서,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의 예측부(213)는 상관 관계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구강 스캔 파일에 대한 적절한 응답이 될 수 있는 수정 요청 사례를 찾을 수 있고, 해당 수정 요청 사례에서 수정 요청을 받은 기공소를, 해당 구강 스캔 파일에 대한 제품 제작을 의뢰하지 않아야 할 기공소로 예측하고 기공소 배정 시에 이 예측 결과를 고려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해당 구강 스캔 파일은 예측부(213)의 예측 결과에 따라, 예측된 해당 기공소로 전송되지 않고, 나아가 해당 구강 스캔 파일에 대한 제품의 제작이 예측된 해당 기공소에 의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독립 변수로 활용되는 구강 스캔 파일의 유형을 csv 파일로 만들어 data set을 구성할 수 있고, glrn 함수를 이용하여 회귀 분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각 독립 변수에 대한 계수 추정치, 표준 오차, Z 값(표준 오차에 대한 분포도를 이용하여 정규 분포를 만들고 각 독립 변수에 대한 결과값이 표준 편차를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및/또는 유의 확률 값을 분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상기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수정 요청 사례와 연관이 있는 독립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유의 확률 값으로 0.05 이하의 값을 갖는 독립 변수를 유의미한 독립 변수로서 추출할 수 있고, 유의미한 독립 변수 중 계수 추정치 값으로서 양의 값을 갖는 독립 변수를 실제 수정 요청 사례와 상관이 있는 독립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회귀 분석 모델을 이용한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요청되는 구강 스캔 파일과 상관이 있는 수정 요청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 모듈(210)은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개수를 조정하면서 반복적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할 수 있고 이로써, 회귀 분석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데이터는 상관 관계가 기 분석된 구강 스캔 파일을 의미하고, 테스트 데이터는 상관 관계가 아직 분석되지 않은 구강 스캔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치과 평가 모듈(220), 기공소 평가 모듈(230), 및/또는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을 포함한다.
치과 평가 모듈(220)은 본 업무 처리 시스템에 구성된 치과를 평가한다. 치과 평가 모듈(220)은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치과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를 기준으로, 기공소로부터 수집한 치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치과가 기준 정보에 따른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이때, 치과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는 치과의 업력, 매출, 신용도, 주문 빈도, 연체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치과 평가 모듈(220)은 특정 기공소의 기공소 서버(300)로 치과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전송하고, 설문의 형태로 기준 정보를 제공하고 기공소의 응답을 받음으로써 해당 치과를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치과 평가 모듈(220)에 의한 평가 결과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기공소 평가 모듈(230)은 본 업무 처리 시스템에 구성된 기공소 및/또는 협업 기공소를 평가한다. 기공소 평가 모듈(230)은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기공소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를 기준으로, 치과로부터 수집한 기공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기공소가 기준 정보에 따른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이때, 기공소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는 기공소의 업력, 매출, 신용도, 수주량, 납기 연체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기공소 평가 모듈(220)은 특정 치과의 치과 서버(300)로 기공소 평가에 대한 기준 정보를 전송하고, 설문의 형태로 기준 정보를 제공하고 치과의 응답을 받음으로써 해당 기공소를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기공소 평가 모듈(220)에 의한 평가 결과는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치과 평가 모듈(220) 및/또는 기공소 평가 모듈(230)은 치과 및/또는 기공소의 정성 평가에 관여하는 기공소 및/또는 치과를 식별할 수 없도록 기공소(기공소 서버) 및/또는 치과(치과 서버)의 정보를 식별되지 않는 다른 임의의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변환된 값으로 본 업무 처리 시스템에서 저장되고 관리된다.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은 치과 평가 모듈(220) 및/또는 기공소 평가 모듈(230)에 의해 수행된 정량 평가 및/또는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치과 및/또는 기공소의 평점을 백분율 등을 통해 제공한다. 나아가,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은 치과 및/또는 기공소가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평가 결과 미흡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은 치과 평가 모듈(220) 및/또는 기공소 평가 모듈(230)에 의해 수행된 정량 평가 및/또는 정성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본 업무 처리 시스템에 구성된 여러 치과 및 여러 기공소 중 서로 적합한 치과와 기공소를 연결한다. 이때,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은 치과 서버(100) 및/또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기 전송받은 선호하는 기공소 또는 치과의 요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반영하여 치과와 기공소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과와 기공소가 연결되면, 관리 서버(200)는 연결된 치과의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의 제작 의뢰 및 구강 스캔 파일을 해당 치과와 연결된 기공소의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협업 기공소에 대한 평점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협업 기공소를 기공소로 승격시키고 반대로, 기공소에 대한 평점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기공소를 협업 기공소로 강등시킨다. 이때, 기공소는 관리 서버(200)에 의해 치과와 선순위로 연결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협업 기공소는 치과와 최초 연결된 기공소가 제품의 제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후순위로 치과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과서버, 관리서버, 데이터베이스, 기공소 서버, 협업 기공소 서버, 인공지능 분석 모듈, 전처리부, 분석부, 예측부, 치과 평가 모듈, 기공소 평가 모듈, 및/또는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치과 서버 200: 관리 서버 300: 기공소 서버
201: 데이터베이스 400: 협업 기공소 서버 10: 치과 카메라
20: 치과 마이크 30: 치과 디스플레이 40: 치과 스피커
50: 기공소 카메라 60: 기공소 마이크 70: 기공소 디스플레이
80: 기공소 스피커 210: 인공지능 분석 모듈 211: 전처리부
212: 분석부 213: 예측부 220: 치과 평가 모듈
230: 기공소 평가 모듈 240: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

Claims (5)

  1.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서,
    치과 서버(100)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생성된 구강 스캔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며,
    기공소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을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검토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에 대한 검토 결과를 기초로 제품의 제작을 요청하는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작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수정 요청 메시지를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되,
    관리 서버(200)는 치과 서버(100)와 기공소 서버(300) 간의 기공소별 거래량 정보, 기공소별 제품 제작 시간 정보, 치과별 주문량 정보, 제품별 거래 수량 정보, 제품 제작 시 소요되는 원자재의 종류 정보, 및 제품 제작 시 소요되는 원자재별 소요량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거래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서버(200)는 치과 평가 모듈(220), 기공소 평가 모듈(230) 및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을 포함하고,
    치과 평가 모듈(220)은 최과의 업력, 매출, 신용도, 주문 빈도 및 연체 빈도에 대한 정보와 기공소로부터 수집한 치과에 대한 정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치과를 평가하고,
    기공소 평가 모듈(220)은 기공소의 업력, 매출, 신용도, 수주량 및 납기 연체 빈도에 대한 정보와 치과로부터 수집한 기공소에 대한 정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기공소를 평가하고,
    치과 기공소 매칭 모듈(240)은, 치과 평가모듈(220) 및 기공소 평가 모듈(230)의 평가 결과를 기초로 치과와 기공소를 연결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평가 모듈(230)에서 평가한 협업 기공소에 대한 평점이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협업 기공소를 기공소로 승격시키고, 기공소 평가 모듈(230)에서 평가한 기공소에 대한 평점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협업 기공소로 강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은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치과 카메라(10), 의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치과 마이크(20), 치과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치과 디스플레이(30), 치과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치과 스피커(40), 기공소에 설치된 기공소 카메라(50), 기공사의 음성이 입력되는 기공소 마이크(60), 기공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 기공소에 설치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기공소 스피커(80)를 더 포함하고,
    치과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치과 마이크(2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치과 서버(100), 관리 서버(200), 및 기공소 서버(300)를 통해 기공소 디스플레이(70) 및 기공소 스피커(80)로 실시간 출력되고,
    기공소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기공소 마이크(6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은 기공소 서버(300), 관리 서버(200), 및 치과 서버(100)를 통해 치과 디스플레이(30) 및 치과 스피커(40)로 실시간 출력됨으로써, 환자 진료 시 의사와 기공사 사이의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공소 서버(300)는,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협업 기공소에 상기 구강 설계 파일의 생성 및 제품의 제작을 의뢰하는 협업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협업 요청 메시지를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 전송하며,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협업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협업이 성사된 경우, 관리 서버(200)는 협업이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고, 협업 기공소 서버(400)는 상기 구강 스캔 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구강 설계 파일 및 제품 제작의 진행 상태를 공정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진행 공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200)는 협업 기공소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구강 설계 파일 및 상기 진행 공정 정보를 치과 서버(100) 및 기공소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기공소 서버(300)는 제품 제작의 진행 상태를 공정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진행 공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진행 공정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고,
    기공소 서버(300)는 일정 기간 동안 제작된 제품의 수량 정보, 비용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공소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수량 정보, 상기 비용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치과 서버(1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치과 서버(100)는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제작된 제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5. 삭제
KR1020190067465A 2019-06-07 2019-06-07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KR10207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65A KR102079009B1 (ko) 2019-06-07 2019-06-07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65A KR102079009B1 (ko) 2019-06-07 2019-06-07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009B1 true KR102079009B1 (ko) 2020-02-19

Family

ID=6967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65A KR102079009B1 (ko) 2019-06-07 2019-06-07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51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KR102428041B1 (ko) * 2021-07-29 2022-08-01 최상섭 분리형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20220151348A (ko) * 2021-05-06 2022-11-15 (주)헤리바이오 치과기공물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054A (ko)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603028B1 (ko) 2004-04-16 2006-07-24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60084866A (ko) * 2005-01-20 2006-07-25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JP2007209473A (ja) * 2006-02-08 2007-08-23 Gikou:Kk 歯科用補綴物作製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24097A (ko) * 2009-09-01 2011-03-09 김진환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0116A (ko) 2010-02-02 2011-08-10 (주)필링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상담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JP2019021075A (ja) * 2017-07-18 2019-02-07 Yamakin株式会社 歯科技工物web受発注システム、歯科技工物のweb受発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28B1 (ko) 2004-04-16 2006-07-24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60044054A (ko)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4866A (ko) * 2005-01-20 2006-07-25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JP2007209473A (ja) * 2006-02-08 2007-08-23 Gikou:Kk 歯科用補綴物作製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24097A (ko) * 2009-09-01 2011-03-09 김진환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90116A (ko) 2010-02-02 2011-08-10 (주)필링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상담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JP2019021075A (ja) * 2017-07-18 2019-02-07 Yamakin株式会社 歯科技工物web受発注システム、歯科技工物のweb受発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51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KR102497186B1 (ko) * 2020-12-24 2023-02-07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KR20220151348A (ko) * 2021-05-06 2022-11-15 (주)헤리바이오 치과기공물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
KR102637577B1 (ko) * 2021-05-06 2024-02-16 (주)헤리바이오 치과기공물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치과기공물 중계 방법
KR102428041B1 (ko) * 2021-07-29 2022-08-01 최상섭 분리형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것의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09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CN110781082B (zh) 接口的测试用例的生成方法及装置、介质和设备
US8065177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1617362A2 (en) System for measuring, controlling, and validating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US20120089418A1 (en) INTEGRATED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WITH SINGLE TRANSACTIONAL DATABASE AND REPORTING APPLICATION FOR eCLINICAL TRIALS
CN107358340A (zh) 一种基于工程清单的工程项目管理系统
CN108763389B (zh) 数据的整合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11599841B2 (en) Data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obtain insights relevant to an organization
US202102926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ular Data Processing Pipelines
KR101904690B1 (ko) 프로젝트 통합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02439562A (zh) 卡处理
KR102409754B1 (ko) 인테리어 및 건축 관련 중개서비스를 위한 고객 지향적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0651286A (zh) 管理复杂工程设施生命周期的方式及其实现系统
US2011002945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ng contract management and claim management
EP1180741A2 (en) Flexible system and method for standardizing communications and decision-making across multiple business processes
JP2003288476A (ja) 生産ラインの統合ライン能力評価・管理運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統合ライン能力評価・管理運用方法
Zillner Business models and ecosystem for big data
Abran et al. A sizing measure for adaptive maintenance work products
CN114936776A (zh) 业务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03845A (ko) 팀 프로젝트 데이터 저장 및 분석 시스템
Becker et al. Scalable decision support for digital preservation: an assessment
Schmitter et al. Digitally transforming facility management in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of key digital technologies and systems
RU278726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нженерными данными
Borowiec et al. Knowledge Extraction and Discovery about Web System Based on the Benchmark Application of Online Stock Trading System
Anzböck et al. Interorganizational workflow in the medical imaging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