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186B1 - 치과 주치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 주치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186B1
KR102497186B1 KR1020200183422A KR20200183422A KR102497186B1 KR 102497186 B1 KR102497186 B1 KR 102497186B1 KR 1020200183422 A KR1020200183422 A KR 1020200183422A KR 20200183422 A KR20200183422 A KR 20200183422A KR 102497186 B1 KR102497186 B1 KR 10249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ist
consumer
api
den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051A (ko
Inventor
김석준
전재호
김병수
박한기
김철호
정지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to KR102020018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1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 또는 단말에 접속 가능한 소비자 단말기와, 치과 단말기; 상기 각 단말기가 접속되는 치과 주치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와 치과에서 입력한 회원정보 및 소비자가 입력한 병증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치과 리스트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선택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치과 매칭 모듈;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주치의 치과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주치의 치과가 설정된 소비자에게는 상기 치과 리스트 제공 이전에 주치의 치과에 즉시 연결이 가능한 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은,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주치의 치과를 설정한 소비자에게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API; 소비자에게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서비스와 진료 대응서비스로 구분하고, AI 대응서비스로 판단된 경우 AI 대응서비스를 우선 진행한 후,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는 진료 대응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챗봇 API; 소비자에게 응급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즉시 연결하여 응급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응급 상담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 주치의 시스템 {Attending physician system dedicated to the dentist}
본 발명은 치과 주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가 점점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소비자들은 의료 서비스의 제공자인 병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우며, 대부분이 주변의 지인들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병원에서도 자신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대로 홍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의료 소비자는 지인들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병원을 선택하거나, 거리가 가까운 병원을 선택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 소비자는 자신의 병증에 전문화된 병원을 선택하기 어렵고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다.
의료 소비자가 자신의 병증에 전문화된 병원을 찾기 위해 방문 가능한 다수의 병원을 선택하여 방문 및 상담을 진행하더라도, 정보를 기 획득한 병원으로 선택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으며, 다수의 병원 방문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치과 의료 소비자의 경우, 기공물을 이용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나, 치과별로 편차가 큰 기공물 치료 비용으로 인해서 다수의 치과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고 있으며, 치과의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하여, 치가 의료 소비자가 병원을 옮길 경우 이전 병원에서 진료받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전달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더하여, 치과 의료 소비자가 원하는 치료 비용을 제시하는 치과를 선택하더라도, 해당 치과의 전문성과 거래 기공소의 기공물 품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워 치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을 느끼고 있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고도화되고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모바일 기기 등 의료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와 병원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 소비자에게 병원을 추천하고 병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9480호 에는 의료 소비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하며, 의료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 및 진료과목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병원 리스트와 병원 정보를 제공하며, 의료 소비자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이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기술에 의하면 특정 병원을 선택하여 예약 진행은 가능하나, 병원에서 소비자의 병증을 시스템 상에서 확인하지 못한다. 따라서, 의료 소비자는 병원을 방문하여 병증 상담을 진행해야 하며, 진료 방향이나 진료 비용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다른 병원을 다시 방문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소비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함에 따라, 경증 환자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의료 소비자와 병원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에 따라, 병원이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의료 소비자의 병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9480호
본 발명은, 치과 칠환 발생 시 소비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치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치과를 연결하며, 주치의 치과를 지정하여 응급상담 및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 정보를 바탕으로 AI 대응과 주치의 대응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와 치과 및 기공물을 제조하는 디자인센터를 연결하며,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 정보를 AI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 또는 단말에 접속 가능한 소비자 단말기와, 치과 단말기; 상기 각 단말기가 접속되는 치과 주치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와 치과에서 입력한 회원정보 및 소비자가 입력한 병증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치과 리스트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선택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치과 매칭 모듈;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주치의 치과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주치의 치과가 설정된 소비자에게는 상기 치과 리스트 제공 이전에 주치의 치과에 즉시 연결이 가능한 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은,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주치의 치과를 설정한 소비자에게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API; 소비자에게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서비스와 진료 대응서비스로 구분하고, AI 대응서비스로 판단된 경우 AI 대응서비스를 우선 진행한 후,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는 진료 대응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챗봇 API; 소비자에게 응급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즉시 연결하여 응급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응급 상담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매칭된 치과에서 진료를 받은 소비자에게 해당 치과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만족도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설정 API는, 소비자가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치과를 선택하는 과정 또는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치과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해당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주치의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는, 입력된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병명을 도출하고, 병명에 따라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하며, AI 대응항목으로 판단되는 경우 병명에 적합한 처치 방안을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A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에 접속 가능한 셀러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상기 소비자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포인트를 제공하고, 적립된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 모듈; 상기 셀러 단말기와 소비자를 연결하며, 소비자에게 셀러가 판매하는 제품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포인트를 이용한 제품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셀러 매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와 치과의 회원가입 기능 및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와의 그룹 형성을 신청하고 그룹 형성 관련 증빙 서류를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원관리 모듈은, 다수의 소비자가 가족 관계인 경우, 가족 관계인 소비자들의 그룹 형성 기능을 제공하며, 형성된 그룹 구성원들이 동일한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시 별도의 그룹 혜택을 제공하는 그룹 관리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가 자신이 입력한 병증정보 및 진료기록을 관리 가능한 이력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이력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에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에 접속 가능한 디자인센터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디자인센터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된 디자인센터의 회원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며,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치과가 기공물 제작을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센터를 주거래 디자인센터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은,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과 연계하여 치과별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에게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의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는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에서 기공물 관련 진료를 받은 후 기공물을 제작한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만족도를 입력 가능하고, 상기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에는 소비자에 의해서 입력된 디자인센터의 만족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 매칭 모듈은,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병명을 진단하는 병증분석 API;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하며, 상기 병증분석 API의 병증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를 하나 이상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치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치과 추천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 매칭 모듈은, 치과 ERP 또는 환자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각 치과의 예약현황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예약 관리 API;를 포함하며, 상기 치과 추천 API는 치과 및 소비자의 지역정보 그리고, 상기 예약현황정보를 고려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치과 리스트를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가 자신이 입력한 정보에 기반한 최적의 치과를 선택할 수 있다.
동시에, 소비자가 매칭된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지정 가능함에 따라, 주치의 치과와 병증정보를 공유하여 실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주치의 치과 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다.
둘째, 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이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서비스와 진료 대응서비스로 구분하고, AI 대응서비스를 우선 진행한 후 진료 대응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AI 우선 대응을 통한 주치의 치과의 업무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와 주치의를 설정한 치과가 모두 만족하는 주치의 서비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관리 모듈과, 셀러 단말기와 소비자를 연결하며 셀러가 판매하는 제품 리스트를 제공하며 포인트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 가능하도록 하는 셀러 매칭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포인트 획득을 위한 소비자의 적극적은 서비스 활용을 통해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 할 수 있으며, 포인트를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시스템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가 사진이 입력한 병증정보 및 진료기록을 관리 가능한 이력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병증정보와 진료기록의 등록, 누적, 관리를 통해 자신의 병증 변화 및 진료 주기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력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가 주치의 서비스 모듈에 공유 가능함에 따라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에서 이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병증 관리 방안을 제공하거나 진료를 추천 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치과 매칭 모듈은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분석하는 병증분석 API, 병증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치과 추천 API를 포함한다. 특히, 치과 추천 API는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하고, 병증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를 하나 이상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신의 병증에 전문성을 가지는 치과를 선택 가능하게 되며,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로그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참여자 선택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센터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 서비스를 통한 응급상담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 서비스를 통한 챗봇 사용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는 도 13의 치과 추천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매칭 서비스를 통한 치과 검색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3의 치과 선택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치과 연결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만족도 평가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만족도 평가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이용한 소비자 관리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설정 소비자의 리스트 확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치과에서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소비자 관리 서비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대상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매칭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로그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의 참여자 선택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센터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프로필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 셀러가 참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비자는 상기 치과, 디자인센터, 셀러를 제외한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사람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치아 병증의 치료나 상담을 원하는 사람, 치아 관리를 원하는 사람, 셀러의 판매 물품의 구매를 원하는 사람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센터는 기공물 의뢰 정보를 바탕으로 기공물의 설계 및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참여자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공물의 설계 전문가와 기공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러는 치과나 디자인센터에서 사용되는 소재나 장비, 치아 관리 용품 등의 상품을 판매하거나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참여자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참여자들을 연결하여 소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참여자들 사이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상기 소비자를 기준으로, 진료 이력의 관리 서비스, 소비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한 최적의 치과 매칭 서비스, 특정 치과를 주치의로 설정하여 응급상담 및 주기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치의 서비스, 최적의 셀러 매칭 서비스, 치과와 디자인센터 및 셀러의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를 다른 소비자와 공유 가능한 만족도 관리 서비스, 포인트 제공 및 포인트를 이용한 할인 또는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포인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상기 치과를 기준으로, 소비자별 진료 이력 관리 및 상담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서비스, 최적의 디자인센터 매칭 서비스, 최적의 셀러 매칭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상기 디자인센터와 셀러를 기준으로, 주문 처리, 일정 관리, 물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참여자들이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서 접속 및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참여자들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등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통해서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치과 주치의 서버(100), 소비자 단말기(200), 치과 단말기(300), 디자인센터 단말기(400), 셀러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 치과 단말기(300), 디자인센터 단말기(400), 셀러 단말기(500)는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각종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10),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와 통신하며 참여자들에게 서비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회원 관리 모듈(120), 이력 관리 모듈(130), 치과 매칭 모듈(140),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 셀러 매칭 모듈(170), 만족도 관리 모듈(180), 포인트 관리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비스 모듈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비스 모듈을 통해서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서비스 모듈은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참여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각종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관리 모듈(120)은 참여자들의 회원가입 서비스, 회원확인 서비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관리 모듈(120)은 참여자들의 회원가입을 위한 회원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회원가입 API(121), 가입된 회원의 로그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회원확인 API(122), 소비자의 요청에 의해서 소비자 그룹을 형성하며 그룹 구성원에게 별도의 그룹 혜택을 제공하는 그룹관리 API(1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가입 API(121)는 참여자가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 셀러 중 어디에 속하는지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정보는 참여자들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회원가입 API(121)는 참여자가 소비자일 경우 상기 회원정보로 이름, 생년월일, 로그인 ID, 로그인 PW,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등을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원가입 API(121)는 이름, 생년월일, 로그인 ID, 로그인 PW,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중 일부를 요구하여 간편하게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는 도 2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전화번호, 이름, 로그인 ID, 로그인 PW를 입력하여 회원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가입 API(121)는 참여자가 치과일 경우 상기 회원정보로 치과 명칭, 운영이력, 로그인 ID, 로그인 PW,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영업시간, 전공 분야, 사업자 등록증 등의 증빙 서류 등을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가입 API(121)는 참여자가 디자인센터일 경우 상기 회원정보로 디자인센터 명칭, 운영이력, 로그인 ID, 로그인 PW,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영업시간, 기공물 품목, 사업자 등록증 등의 증빙 서류 등을 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가입 API(121)는 참여자가 셀러일 경우 상기 회원정보로 셀러 명칭, 운영이력, 로그인 ID, 로그인 PW,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영업시간, 상품 품목, 사업자 등록증 등의 증빙 서류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은 입력된 상기 참여자들의 회원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송신하고, 상기 참여자들의 회원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회원확인 API(122)는 회원가입이 완료된 참여자가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정보는 로그인 ID, 로그인 PW 일 수 있다.
상기 회원확인 API(122)를 통해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원확인 API(122)는 참여자가 회원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참여자의 로그인을 허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원확인 API(122)는 참여자가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 셀러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참여자의 구분에 따라 기설정된 서비스 메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원확인 API(122)는 참여자의 로그인 후, 참여자가 어디에 속하는지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참여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서비스 메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들어, 참여자의 로그인시, 참여자의 단말기에는 도 3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참여자는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 셀러 구분 메뉴 중 자신이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의 구분 메뉴의 선택에 따라, 참여자는 후술할 소비자 서비스 모드, 치과 서비스 모드,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 셀러 서비스 모드 중 대응하는 모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그룹관리 API(123)는 소비자가 그룹 형성을 신청하고, 설정 조건 관련 증빙 서류를 업로드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룹관리 API(123)는 다수의 소비자가 설정 조건을 만족하고, 그룹 형성을 원하는 경우 해당 소비자들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조건은 다수의 소비자가 가족에 해당하는 조건 일 수 있다.
상기 그룹관리 API(123)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를 통해 그룹 구성원이 동일한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별도의 그룹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포인트 관리 모듈(190)과 연동하여 그룹 구성원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제공 하거나, 상품 구매시 할인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은 소비자의 병증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병증입력 API(131), 입력된 병증정보 및 진료이력을 소비자가 확인 및 관리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력관리 API(13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증정보는 소비자가 직접 촬영한 구강 이미지, 병증을 설명하는 음성파일,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 진단서와 같이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단 문서의 스캔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증입력 API(131)는 이미지의 업로드, 음성 파일의 업로드 또는 녹음,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력관리 API(132)는 입력된 병증정보와, 치과 진료 이력을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소비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력관리 API(132)는 진료 이력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진료 일자, 진료 병증 등의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진료 이력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은, 소비자가 입력한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병증진단을 수행하는 병증분석 API(141),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하나 이상의 치과를 추천하고 소비자가 치과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치과 추천 API(142), 선택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상담 API(143), 선택된 치과의 예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예약 관리 API(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증분석 API(141)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여 병증진단을 수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병증분석 API(141)는 병증정보의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는 AI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병증분석 API(141)의 진단 결과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소비자의 병증 진단 결과와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에는 어떠한 병증에 대한 진료를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는, 소비자가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을 통해서 치과를 선택하여 진료를 받은 후, 진료를 수행한 치과에서 진료 데이터를 시스템 상에 업로드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하는 AI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의 병증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를 하나 이상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출된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과 추천 리스트의 생성에는 회원정보나 기타 정보가 반영될 수도 있다.
예로들어,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와 치과의 회원정보의 확인을 통해 지역을 반영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한 치과와의 거리, 후술할 만족도 관리 모듈(180)에 의해서 생성되는 치과 평점 수준을 반영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가 선택 가능한 검색 조건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소비자가 선택한 검색 조건을 반영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검색 조건에는 지역, 평점,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가 생성된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치과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은 소비자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치과가 선택되면 선택된 치과에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수신한 치과에서는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을 통해서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정보에는 진료 방향, 진료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은 치과에서 입력한 진료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이를 확인하여 진료를 받을 치과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을 통해서 다수의 치과를 선택한 후 선택한 다수의 치과에서 제시한 진료 방향, 진료 가격 등의 진료 정보를 확인한 후 만족스러운 하나의 치과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담 API(143)는 소비자에 의해서 선택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상담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상담 API(143)는 선택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며, 음성 파일, 영상 등을 업로드 가능한 메신저로 구성될 수 있다
치과와 소비자는 상기 상담 API(143)를 통해서 음성 파일, 영상,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세부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예약 관리 API(144)는 상기 치과 단말기(300)로부터 치과 예약 현황을 수신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약 관리 API(144)는 치과 ERP 또는 환자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각 치과의 예약현황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약 관리 API(144)는 소비자가 예약 시간을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치과의 예약 현황을 확인한 후 원하는 예약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예약 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예약 관리 API(144)는 예약 정보를 치과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소비자가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API(151), 소비자가 입력한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항목과 치과 진료 대응 항목으로 구분하여 대응하는 챗봇 API(152), 소비자와 설정된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며 응급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응급 상담 API(153), 주치의 치과의 예약 기능을 제공하는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설정 API(151)는 소비자 단말기(200)에 특정 치과를 주치의로 설정 가능한 주치의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주치의 설정 메뉴는 소비자가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치과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제공되거나, 소비자가 이력관리 API(132)를 통해서 진료를 수행한 치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제공되거나,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을 통해서 치과의 평점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설정 API(151)는 소비자가 특정 치과를 주치의로 설정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주치의 설정 정보를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병증 정보를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입력한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병증을 진단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챗봇 API(152)는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맞춘 대응 방안을 도출하여 제공 가능한 AI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챗봇 API(152)는 음성 파일, 영상 등을 업로드 가능한 메신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을 통해서 병증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로부터 병증정보를 수신하여 진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직접 입력하는 병증정보를 기반으로 병증정보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진료 대응항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급 상담 API(143)를 통해 소비자와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AI 대응항목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비자를 AI를 이용하여 진단 결과에 맞춘 대응 방안을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상담 API(153)은 소비자와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를 연결하고, 상담을 진행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응급 상담 API(153)는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며, 음성 파일, 영상 등을 업로드 가능한 메신저로 구성될 수 있다.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는 상기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해서 자료를 공유하고 응급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는 주치의 치과의 치과 단말기(300)로부터 치과 예약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는 소비자가 예약 시간을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주치의 치과의 예약 현황을 확인한 후 원하는 예약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상기 디자인센터 매출 모듈(160)과 연계하여 치과별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에게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의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은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치과에 하나 이상의 디자인센터를 추천하고 디자인센터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 치과에서 하나 이상의 디자인센터를 주거래처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주거래처 설정 API(162), 디자인센터에서 의뢰된 기공물 제조 일정을 업로드 가능하고 업로드된 일정을 치과에 제공하는 일정 관리 API(163), 치과에서 기공물 제작을 위한 기공물 의뢰 정보를 업로드 가능하고 업로드된 기공물 의뢰 정보를 디자인센터에 제공하는 제작 의뢰 API(164), 제조된 기공물의 배송 정보를 치과에 제공하는 물류 관리 API(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러 매칭 모듈(170)은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에게 셀러가 등록한 상품을 추천하는 상품 추천 API(171), 주문된 상품의 준비 일정을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일정 관리 API(172), 상품의 배송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물류 관리 API(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은 소비자가 진료를 받은 치과의 평점을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치과 평가 API(181), 소비자가 기공물 관련 진료를 받은 경우 기공물을 제작한 디자인센터의 평점을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자인센터 평가 API(182), 소비자와 치과 및 디자인센터에서 상품을 구매 또는 렌탈한 경우 상품을 제공한 셀러의 평점을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셀러 평가 API(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관리 모듈(190)은 소비자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포인트를 제공하고, 적립된 포인트의 사용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포인트 관리 API(19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포인트 관리 API(191)는 소비자가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을 이용하여 매칭된 치과에서 진료를 받거나, 셀러에게 상품을 구매하거나, 치과와 디자인센터 및 셀러의 평점을 입력하거나, 주치의를 설정하는 등의 서비스 이용 시에 지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인트 관리 API(191)는 특정 조건에서 소비자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포인트 관리 API(191)는 그룹관리 API(123)와 연동하여 그룹 구성원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소비자가 매칭된 치과에 진료를 위해 방문 시 소비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매칭된 치과에 방문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인트 관리 API(191)는 소비자가 매칭된 치과에 방문한 후 설정시간 이상 대기하는 경우, 대기 시간에 따라 더 많은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각각의 API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서 동작하거나, 참여자의 단말기를 통해 연동된 메뉴가 제공되고 참여자에 의한 메뉴 선택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은 각각의 API와 연동하여, API를 통한 이벤트 발생시 관련된 참여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의 구분에 따라 일부의 API만 동작하거나, 일부의 API 연동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 제공되는 소비자 서비스 모드, 치과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되는 치과 서비스 모드, 디자인센터 단말기(400)를 통해 제공되는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 셀러 단말기(400)를 통해서 제공되는 셀러 서비스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서비스 모드에서는, 회원관리모듈(120), 이력 관리 모듈(130), 치과 매칭 모듈(140),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 셀러 매칭 모듈(170), 만족도 관리 모듈(180), 포인트 관리 모듈(190)이 동작할 수 있다.
상세히, 소비자가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로그인할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는 소비자 서비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서비스 모드에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 도 4에서와 같은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비자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에는 쪽지, 알림, 메신저의 확인 및 사용을 위한 메시지 버튼(210), 자신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위치 정보 버튼(220), 자신의 프로필 작성 및 확인을 위한 프로필 버튼(230), 자신의 병증 정보의 입력 및 진료 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이력 관리 버튼(240), 치과를 검색하기 위한 치과 검색 버튼(250),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주치의 서비스 버튼(260),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품 구매 버튼(270), 치과와 디자인센터 및 셀러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만족도 평가 버튼(280), 포인트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포인트 관리 버튼(290)이 출력될 수 있다.
소비자는 상기 프로필 버튼(230)을 눌러 자신의 프로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로들어,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은 도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은 소비자가 기호에 맞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은 소비자에 의해서 배경, 출력되는 정보, 정보창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에는, 진료 이력, 주치의 병원, 로그인 ID, 주소, 이름 등의 정보가 나타나도록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정보는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프로필 화면은, 적어도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를 포함하는 참여자가 소비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치과에서 상담 신청이나 주치의로 설정한 소비자의 이름을 확인하고, 출력된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소비자는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과 연동된 상기 이력 관리 버튼(240)을 선택하여 병증정보를 입력하고, 진료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치과 매칭 모듈(140)과 연동된 상기 치과 검색 버튼(250)을 선택하여 치과 추천 API(142)를 통한 치과 추천 서비스, 상담 API(143)를 통한 상담, 예약 관리 API(144)를 통한 치과 예약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과 연동된 상기 주치의 서비스 버튼(260)을 선택하여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상기 주치의 설정 API(151)를 통해 주치의 치과를 설정하고, 상기 챗봇 API(152)를 통한 AI 대응 서비스, 상기 응급 상담 API(153)을 통한 응급 상담 서비스,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를 통한 주치의 예약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셀러 매칭 모듈(170)과 연동된 상기 상품 구매 버튼(270)을 선택하여 셀러 매칭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추천 API(171)통한 상품 구매 및 상품 추천 서비스, 상기 상품 일정 관리 API(172)를 통한 주문 상품의 준비 상태 확인 서비스, 상기 상품 물류 관리 API(173)을 통한 주문 상품의 배송 상태 확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과 연동된 상기 만족도 평가 버튼(280)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은 치과, 기공물을 제조한 디자인센터, 상품을 판매한 셀러의 평점을 입력하는 만족도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상기 포인트 관리 모듈(190)과 연동된 상기 포인트 관리 버튼(290)을 선택하여 자신이 보유한 포인트를 확인하고, 포인트 사용처의 안내, 포인트 적립 및 사용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과 서비스 모드에서는, 회원관리모듈(120), 이력 관리 모듈(130) 치과 매칭 모듈(140),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 셀러 매칭 모듈(170), 만족도 관리 모듈(180)이 동작할 수 있다.
치과가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로그인할 경우, 상기 치과 단말기(300)에는 치과 서비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치과 서비스 모드에서는 상기 치과 단말기(300)에 도 6에서와 같은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치과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에는 쪽지, 알림, 메신저의 확인 및 사용을 위한 메시지 버튼(310), 치과 프로필 작성 및 확인을 위한 프로필 버튼(320), 진료 결과를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진료 결과 관리 버튼(330), 자신을 주치의로 설정한 소비자 리스트를 확인하고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치의 환자 관리 버튼(340), 소비자의 예약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예약 관리 버튼(350), 디자인센터를 검색하기 위한 디자인센터 검색 버튼(360),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품 구매 버튼(370), 셀러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만족도 평가 버튼(380)이 출력될 수 있다.
치과는 상기 프로필 버튼(320)을 눌러 자신의 프로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로들어, 치과의 프로필 화면은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치과의 프로필 화면은 치과가 기호에 맞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치과의 프로필 화면은 치과에 의해서 배경, 출력되는 정보, 정보창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치과의 프로필 화면에는, 치과 이름, 홍보 자료, 치과 약력 및 진료팀 정보, 주소 및 지도, 시설 및 장비 정보, 주거래 기공소 리스트, 주치의로 설정한 소비자 수, 치과 상담 메신저 연결 버튼 등이 나타나도록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정보는 치과의 선택에 의해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치과 프로필 화면은, 적어도 소비자를 포함하는 참여자가 치과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소비자가 치과 검색을 통해 도출된 치과 리스트에서 치과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치과의 프로필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서비스 모드에서 치과는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과 연동된 진료 결과 관리 버튼(330)를 선택하여 소비자별 진료 결과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치과에서 입력한 진료 결과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소비자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되어 해당 소비자의 진료 이력에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소비자의 상담 신청 및 예약 신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의 상담 API(143)를 통한 소비자와의 상담 진행, 상기 예약 관리 API(144)를 통한 소비자의 예약 접수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주치의 지정 소비자의 응급 상담 신청 및 예약 신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한 소비자와의 응급 상담 진행, 상기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를 통한 소비자의 예약 접수를 진행할 수 있다.
치과는 상기 예약 관리 API(154)와 연동된 상기 예약 관리 버튼(350)을 선택하여 전반적인 예약 신청 및 예약 접수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과 연동된 디자인센터 검색 버튼(360)를 선택하여 디자인센터 매칭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를 통한 디자인센터 추천 서비스, 주거래처 설정 API(162)를 통한 주거래처 설정 서비스, 일정 관리 API(163)를 통한 디자인센터의 업무 현황 및 예상 제조 일정을 확인 가능한 일정 관리 서비스, 제작 의뢰 API(164)를 통한 기공물 의뢰 정보를 업로드하고 제작 의뢰를 신청 가능한 제작 의뢰 서비스, 물류 관리 API(165)를 통한 기공물 배송 현황을 확인 가능한 물류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셀러 매칭 모듈(170)과 연동된 상기 상품 구매 버튼(370)을 선택하여 셀러 매칭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추천 API(171)통한 상품 구매 및 상품 추천 서비스, 상기 상품 일정 관리 API(172)를 통한 주문 상품의 준비 상태 확인 서비스, 상기 상품 물류 관리 API(173)을 통한 주문 상품의 배송 상태 확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과 연동된 만족도 평가 버튼(380)을 선택하여 상품을 판매한 셀러의 평점을 입력하는 만족도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에서는, 회원관리모듈(120), 이력 관리 모듈(130),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 셀러 매칭 모듈(170), 만족도 관리 모듈(180)이 동작할 수 있다.
디자인센터가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로그인할 경우, 상기 디자인센터 단말기(400)에는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에서는 상기 디자인센터 단말기(400)에 도 8에서와 같은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에는 쪽지, 알림, 메신저의 확인 및 사용을 위한 메시지 버튼(410), 디자인센터 프로필 작성 및 확인을 위한 프로필 버튼(420), 기공물 제작 입력을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이력 관리 버튼(430), 기공물 제작 의뢰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작 의뢰 관리 버튼(440), 기공물 제작 일정 및 현황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공물 제작 관리 버튼(450), 기공물 배송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배송 관리 버튼(460),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품 구매 버튼(470), 셀러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만족도 평가 버튼(480)이 출력될 수 있다.
디자인센터는 상기 프로필 버튼(420)을 눌러 자신의 프로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로들어, 디자인센터의 프로필 화면은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디자인센터의 프로필 화면은 디자인센터가 기호에 맞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디자인센터의 프로필 화면은 디자인센터에 의해서 배경, 출력되는 정보, 정보창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디자인센터 프로필 화면에는, 디자인센터 이름, 홍보 자료, 기공물 제조 이력, 전문 기공물 정보, 주거래처로 설정한 치과의 수, 주거래처로 설정한 치과 리스트, 시설 및 장비 정보, 기공물 주문 방법, 디자인센터 메신저 연결 버튼 등이 나타나도록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정보는 디자인센터의 선택에 의해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센터 프로필 화면은, 적어도 소비자, 치과를 포함하는 참여자가 디자인센터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로들어, 치과에서 디자인센터 검색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센터 리스트에서 디자인센터의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디자인센터의 프로필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주치의로 설정한 치과의 프로필 화면을 통해서 해당 치과에서 주거래처로 설정한 디자인센터 리스트를 확인하고, 디자인센터의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디자인센터의 프로필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디자인센터는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치과의 주거래처 설정 및 제작 의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과 연동된 상기 이력 관리 버튼(430)을 선택하여 의뢰에 의해서 제작한 기공물 제작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자인센터에서 입력한 기공물 제작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소비자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제작 의뢰 API(164)와 연동된 제작 의뢰 관리 버튼(440)을 선택하여 치과에서 송부한 기공물 의뢰 정보를 확인하고, 제작 의뢰를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 현황, 기공물 예상 제조 일정 등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업무 현황은 일정 관리 API(163)에 반영될 수 있다.
예료들어, 디자인센터는 상기 일정 관리 API(163)와 연동된 기공물 제작 관리 버튼(450)을 선택하여 기공물 제작 일정 및 현황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물류 관리 API(165)와 연동된 배송 관리 버튼(460)을 선택하여 제조된 기공물의 배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상기 셀러 매칭 모듈(170)과 연동된 상품 구매 버튼(470)을 선택하여 셀러 매칭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추천 API(171)통한 상품 구매 및 상품 추천 서비스, 상기 상품 일정관리 API(172)를 통한 주문 상품의 준비 상태 확인 서비스, 상기 상품 물류 관리 API(173)을 통한 주문 상품의 배송 상태 확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는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과 연동된 만족도 평가 버튼(480)을 선택하여 상품을 판매한 셀러의 평점을 입력하는 만족도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셀러 서비스 모드에서는, 회원관리모듈(120), 셀러 매칭 모듈(170)이 동작할 수 있다.
셀러가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로그인할 경우, 상기 셀러 단말기(500)에는 셀러 서비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러 서비스 모드에서는 상기 셀러 단말기(500)에 도 10에서와 같은 메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셀러 서비스 모드의 메인 화면에는 쪽지, 알림, 메신저의 확인 및 사용을 위한 메시지 버튼(510), 셀러 프로필 작성 및 확인을 위한 프로필 버튼(520), 상품을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상품 관리 버튼(530),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주문 관리 버튼(540), 주문 상품의 준비 현황을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상품 준비 현황 관리 버튼(550), 상품 배송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배송 관리 버튼(560)이 출력될 수 있다.
셀러는 상기 프로필 버튼(520)을 눌러 자신의 프로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로들어, 셀러의 프로필 화면은 도 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셀러의 프로필 화면은 셀러가 기호에 맞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셀러의 프로필 화면은 셀러에 의해서 배경, 출력되는 정보, 정보창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러의 프로필 화면에는, 셀러 이름, 홍보 자료, 상품 리스트 및 세부 정보, 주소, 이벤트 정보, 온라인주문을 위한 챗봇 연결 버튼, 셀러 상담 메신저 연결 버튼 등이 나타나도록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정보는 셀러의 선택에 의해서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셀러 단말기(500)에는 셀러가 상품을 등록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예로들어, 셀러는 상기 셀러 단말기(500)에 출력된 상품 관리 버튼(530)을 눌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품 등록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셀러는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상품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셀러는 상기 셀러 매칭 모듈(170)과 연동된 주문 관리 버튼(540)을 선택하여 주문 내역 및 세부 주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셀러는 상기 셀러 매칭 모듈(17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 준비 일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상품 준비 일정은 상기 상품 일정 관리 API(172)에 반영될 수 있다.
예로들어, 셀러는 상기 일정 관리 API(172)와 연동된 상품 준비 현황 관리 버튼(550)을 선택하여 상품 준비 현황, 예상 일정 등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셀러는 상기 물류 관리 API(173)와 연동된 배송 관리 버튼 (560)을 선택하여 준비된 상품의 배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소비자 서비스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 서비스를 통한 응급상담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 서비스를 통한 챗봇 사용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소비자 대상 서비스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 단계[S10], 병증정보 확인 단계[S20], 치과 추천 단계[S30], 치과 선택 단계[S40], 치과 선택이 완료된 후 이루어지는 치과 연결 단계[S50], 주치의 설정 단계[S60], 만족도 평가 단계[S70], 주치의가 설정된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주치의 서비스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상기 회워관리모듈(120)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로그인을 통해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S10]
로그인이 완료된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병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병증정보는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로 송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로 수신된 병증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S20]
병증정보를 입력한 소비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 상기 치과 검색 버튼(250)을 선택하여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에서 제공하는 치과 매칭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주치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버튼(260)을 선택하여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에서 제공하는 주치의 매칭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치과 매칭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소비자는 상기 치과 추천 API(14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 추천 API(141)는 소비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치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30]
그리고, 소비자는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진료를 받을 치과를 선택하거나, 치과 추천 리스트를 재요청할 수 있다.[S40]
그리고, 치과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에서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상담 및 예약을 진행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상담 API(142)는 선택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메신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과와 소비자는 메신저를 통해서 음성 파일, 영상,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세부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S50]
한편,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에서는 소비자에게 선택된 치과를 주치의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는 주치의 설정을 통해서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주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주치의 설정은 소비자가 진료를 위해 특정 치과를 선택한 직후에 가능할 수도 있으며, 진료를 받은 후에 가능할 수도 있다.[S60]
소비자가 선택한 치과에서 진료를 받은 후, 소비자는 만족도 관리 모듈(180)을 통해서 진료를 받은 치과의 평점 수준을 입력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진료를 받은 치과의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입력된 치과의 평점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S70]
한편, 소비자는 주치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주치의 매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 후,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병증정보를 입력한 소비자의 주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1]
그리고,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소비자가 주치의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 소비자에게 주치의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의 주치의 서비스 이용 여부에 대하여 응답함으로써 자동으로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소비자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버튼(260)을 선택함으로써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S102]
소비자가 주치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소비자에게 응급 상담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의 응급 상담 진행 여부에 대하여 응답함으로써 자동으로 응급 상담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소비자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버튼(260)을 선택하여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한 후, 상기 응급 상담 API(153)와 연동된 메뉴를 선택하여 응급 상담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S103]
응급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은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해서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상담 API(153)는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는 메신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치과와 소비자는 메신저를 통해서 음성 파일, 영상,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세부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S110]
응급 상담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150)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챗봇 API(15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소비자는 상기 챗봇 API(152)와 연동된 메뉴를 선택하여 챗봇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도 15와 같이 음성 파일, 영상 등을 업로드 가능한 메신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해서 기설정된 질문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입력하는 문자나 음성 파일, 영상 등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의도나 상태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의도나 상태를 파악 가능하고,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맞춘 대응 방안을 도출하여 제공 가능한 AI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가 기입력한 병증정보나,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아 관련 다수의 병명 리스트와, 각각의 병명과 관련된 단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각각의 병명이 AI 대응 병명군과, 진료 대응 병명군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52)는 소비자가 입력하는 문자 정보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단어 정보와 매칭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관련도가 높은 병명을 분석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병명군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병명이 AI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지, 진료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아', '부러', '부러짐', '깨짐' 과 같은 단어 정보와 이와 연계된 '치아 부러짐' 병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소비자가 '치아가 부러졌어요'와 같은 문장을 입력한 경우, 상기 챗봇 API(52)는 문장에서 '치아', '부러'의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치아 부러짐' 병명을 도출할 수 있다.
'치아 부러짐' 병명의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진료 대응항목 병명군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의 병증을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병증을 도출하기 위한 다수의 다지선다형 질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각 질문의 선택 항목에 따른 다수의 병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각각의 병명이 AI 대응 병명군과, 진료 대응 병명군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52)는 소비자에게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다지선다형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선택 항목에 따라 대응하는 병명을 분석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병명군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병명이 AI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지, 진료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어디가 아픈가요?'의 질문과 함께 '1.치아', '2. 잇몸', '3. 턱' 등의 선택 항목을 소비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에 의해서 '1.치아'가 선택되면, '치아가 어떤 상태인가요?'의 질문과 함께 '1.변색', '2.부러짐', '3.충치' 등의 선택 항목을 소비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2.부러짐' 선택 항목과 연계된 '치아 부러짐' 병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2.부러짐'을 선택 시 상기 챗봇 API(1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치아 부러짐' 병명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아 부러짐' 병명이 진료 대응항목 병명군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챗봇 API(52)는 소비자의 병증을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1.변색' 선택 항목과 연계된 '치아 변색' 병명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치아 변색' 병명은 AI 대응항목 병명군으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1.변색' 항목을 선택시 상기 챗봇 API(1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치아 변색' 병명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챗봇 API(52)는 소비자의 병증을 AI 대응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S120]
상기 챗봇 API(152)에 의해서 진료 대응 항목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해서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급 상담 API(153)는 진료 대응 항목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적으로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시키거나, 소비자에게 주치의 치과 연결 여부를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주치의 치과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챗봇 API(152)는 도출된 병명에 대응하는 응급 대응 방안을 소비자에게 제공한 후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진료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 병명별 응급 대응 방안이 저장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아 부러짐' 병명과 대응하여 '부러진 치아를 세척 후 청결하게 보관하세요. 그리고 신속하게 치과를 방문하세요'와 같은 응급 대응 방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병명에 대응하는 응급 대응 방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04]
상기 챗봇 API(152)에 의해서 AI 대응항목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챗봇 API(152)에 의해서 AI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AI 대응이 이루어지는 경우, AI를 통해 병명에 적합한 처치 방안이 도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AI 대응 병명군에 속하는 병명별 일반적으로 알려진 처지 방안이 저장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치아 변색' 병명과 대응하여 '항생제, 불소 음료, 색소가 있는 음식 섭취 시 치아 변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불소 음료의 섭취를 피하고, 색소가 있는 음식 섭취 후에는 물로 입안을 헹구거나 양치질을 해주세요.'와 같은 처치 방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챗봇 API(15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병명에 대응하는 처치 방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0]
AI 대응이 이루어진 후, 상기 챗봇 API(152)는 소비자에게 진료 대응의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 진료 대응을 요청하는 경우, 소비자는 상기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해 주치의 치과와 연결될 수 있다.[S105]
도 16는 도 13의 치과 추천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매칭 서비스를 통한 치과 검색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소비자에 선택에 의해서 치과 매칭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치과의 검색 조건을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예로들어, 도 17에서와 같은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치과 이름을 입력 가능한 검색창, 병증정보를 등록 가능한 병증정보 등록 버튼, 지역, 거리, 전공 분야를 선택 가능한 조건 선택창, 검색결과가 출력되는 검색결과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소비자는 검색창에 치과 이름을 입력하여 직접적으로 특정 치과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소비자는 자신의 병증 정보에 기초한 치과 추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치과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병증정보 등록 버튼을 눌러 자신의 병증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병증 입력 API(131)를 통해서 기입력한 병증 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다.
소비자의 병증정보 입력을 통해 치과 추천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병증분석 API(141)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병명을 진단할 수 있다.[S31]
소비자의 병증정보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치과 추천 API(142) 누적 진료 데이터의 수가 설정 기준에서 부족한 치과의 경우 치과에서 회원가입시 입력한 전공분야를 적용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누적 진료 데이터의 수가 부족한 치과도 치과 추천 리스트에 반영될 수 있으며, 신규 치과 회원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다.[S32]
치과별 전공분야가 도출되면,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의 병증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를 하나 이상 도출할 수 있다.[S33]
한편,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도 17에서와 같이 소비자가 선택 가능한 검색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추가 검색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S34]
소비자가 추가 검색 조건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의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로 구성된 치과 추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S35]
소비자가 추가 검색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소비자가 선택한 검색 조건을 반영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S36]
그리고, 상기 치과 추천 API(142)는 추가 검색 조건이 반영된 치과 추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치과 이름은 상기 치과 프로필과 연동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치과 이름을 선택하여 해당 치과의 프로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결과 창에는 도 17에서와 같이 출력된 치과별 지도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보기 버튼, 치과별 평점을 확인하기 위한 평점 버튼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관심있는 치과의 지도보기 버튼을 눌러 해당 치과의 지도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관심있는 치과의 평점 버튼을 눌러 해당 치과의 평점을 확인할 수 있다.[S37]
도 18은 도 13의 치과 선택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소비자는 상기 치과 추천 API(142)에서 제공된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치과를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S41]
치과 매칭 모듈(140)은 1차적으로 선택된 치과에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42]
그리고, 1차적으로 선택된 치과에서는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진료 방향, 진료 가격 등의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치과로부터 진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은 치과별 진료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43]
소비자는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을 통해 치과별 진료 정보를 확인한 후, 하나의 치과를 최종 선택하거나, 치과 추천 리스트의 1차 선택 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S44]
도 19는 도 13의 치과 연결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소비자에 의해서 치과가 최종 선택되면, 상치 치과 매칭 모듈(140)은 상기 상담 API(143)를 동작시켜 소비자와 최종 선택된 치과를 메신저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와 치과는 음성 파일, 영상, 메시지 등을 주고 받으며 세부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S51]
그리고, 소비자는 예약 관리 API(144)를 통해 연결된 치과의 실시간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S52]
그리고, 소비자는 선택 가능한 예약 시간을 선택하여, 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해서 예약이 신청되면 상기 치과 매칭 모듈(140)은 치과에 예약 신청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에서는 예약 신청을 확인하고 접수할 수 있다. [S53]
예약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예약 관리 API(144)에 반영되어 예약 현황이 갱신될 수 있다.[S54]
도 20은 도 13의 만족도 평가 과정을 상세하게 보인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만족도 평가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소비자가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을통해서 연결된 치과에서 진료를 받은 후, 치과에서는 진료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을 통해서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된 진료 결과 데이터는 소비자의 회원정보와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S71]
진료 결과 데이터가 업로드되면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에서 이를 감지하여 소비자에게 평점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또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는 알림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여 평점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72]
소비자가 평점 입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 소비자는 상기 이력 관리 버튼(240)을 눌러 상기 이력 관리 모듈(13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업로드된 진료 결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S73]
진료 결과 데이터를 확인 가능한 인터페이스 상에는 도 21에서와 같이 치과 평가 API(181)와 연동된 평점 입력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평점 입력 메뉴를 선택하여 치과 평가 API(181)에 접근할 수 있으며, 치과의 평점을 입력할 수 있다.[S74]
한편,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을 통해서 주치의 치과에서 소비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소비자 관리 서비스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주치의 시스템을 이용한 소비자 관리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치의설정 소비자의 리스트 확인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치과에서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소비자 관리 서비스를 보인 도면이다.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의 정보 공유 및 소통은 상기 응급 상담 API(153)와 챗봇 API(152)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쪽지, 알림, 기타 메신저 기능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치의 치과에서는 상기 주치의 환자 관리 버튼(340)을 선택하거나, 화면상에 제공되는 별도의 주치의 환자 리스트 버튼을 선택하여, 도 23에서와 같이 주치의 환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치의 치과에서는 주치의 환자 리스트상에서 소비자 이름을 선택하여 해당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프로필 화면에서 소비자의 진료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치의 치과에서는 소비자의 진료 이력을 검토한 후,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메신저 기능을 활용하여 도 24와 같이 치아 관리 안내 사항, 예약 사항, 할인 등의 서비스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S210]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주치의 치과에서 입력하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다.[S220]
한편,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기능을 활용하여 자신의 치아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상태 정보는 소비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치아 영상, 또는 치아 상태에 대한 설명을 녹음한 음성 파일,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입력된 문자 정보일 수 있다.[S230]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소비자가 입력한 치아 상태 정보를 주치의 치과로 전달할 수 있다.[S240]
주치의 치과에서는 소비자의 치아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검진 결과 및 추천 진료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기능을 활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S250]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주치의 치과에서 입력하는 검진 결과 및 추천 진료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검진 결과 및 추천 진료 정보를 확인하여, 주치의 예약 관리 API(154)를 통한 진료 예약, 응급 상담 API(153)를 통한 상담 등을 진행할 수 있다.[S26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치과 서비스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치과 대상 서비스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대상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치과에서는 방문한 소비자의 진료를 실시하여 기공물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치과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에 기공물 의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치과 단말기(300)에는 기공물 의뢰 정보의 입력을 위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기공물 의뢰 정보의 입력은 상기 제작 의뢰 API(164)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된 기공물 의뢰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송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공물 의뢰 정보는 기공물 종류, 소비자 구강 스캔 파일, 기공물 치료 부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310]
기공물 의뢰 정보를 입력한 치과는 상기 치과 단말기(300)에 제공되는 메뉴의 선택을 통해서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에서 제공하는 디자인센터 매칭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디자인센터 매칭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치과는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치과 및 디자인센터에서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상기 기공물 의뢰 정보를 통해 기공물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별 누적 기공물 제작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자인센터별 전공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센터별 전공분야가 도출되면,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기공물 종류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디자인센터를 하나 이상 도출하여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치과와 디자인센터의 회원 정보를 통해 치과와 디자인센터의 거리를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는 거리가 가까운 디자인센터가 우선순위로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에 의해서 생성되는 디자인센터 평점 수준을 반영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는 치과가 선택 가능한 검색 조건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치과가 선택한 검색 조건을 반영하여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검색 조건은 지역, 평점, 거리 등이 포함 될 수 있다.[S320]
치과는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API(161)에서 제공된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디자인센터를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S410]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은 1차적으로 선택된 디자인센터에 상기 기공물 의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420]
그리고, 1차적으로 선택된 디자인센터는 상기 기공물 의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공물 제작 가격, 제작 기간 등의 제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430]
디자인센터로부터 제작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160)은 디자인센터별 제작 정보를 치과에 전달할 수 있다.[S440]
치과는 디자인센터별 제작 정보를 확인한 후, 하나의 디자인센터를 최종 선택할 수 있다.[S450]
디자인센터의 최종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에서 제공되는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최종 선택된 디자인센터에 제작 의뢰가 안내 될 수 있다.
그리고, 치과와 최종 선택된 디자인센터는 상기 제작 의뢰 API(164)를 통해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작 의뢰 API(164)는 치과와 디자인센터를 연결하는 메신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는 상기 제작 의뢰 API(164)의 메신저 기능을 통해서 연결된 디자인센터와 소통할 수 있다. 그리고, 치과는 기입력한 기공물 의뢰 정보 외의 추가적인 기공물 관련 정보를 업로드하여 디자인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S460]
디자인센터에서는 상기 일정 관리 API(163)를 통해서 의뢰된 기공물의 제작 현황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제작 현황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S470]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기공물 제작 현황은 상기 일정 관리 API(163)를 통해서 상기 치과 단말기(300)로 제공되며, 치과에서는 상기 일정 관리 API(163)를 통해서 상기 기공물 제작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S480]
디자인센터는 기공물의 제작이 완료되면, 기공물을 택배 등을 이용하여 기공물을 배송하고, 상기 물류 관리 API(165)를 통해서 기공물 배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10]
기공물 배송 정보가 입력되면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기공물 배송 정보가 치과에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기공물 배송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전달되어 저장 될 수 있다. 치과에서는 상기 물류 관리 API(165)를 통해서 상세한 기공물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공물의 배송이 완료되면 치과에서는 소비자에게 기공물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기공물 치료를 받은 후,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의 디자인센터 평가 API(182)를 통해 기공물을 제작한 디자인센터의 평점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디자인센터 평점은 디자인센터별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되어 누적될 수 있다.[S520]
한편, 치과에서는 상기 주거래처 설정 API(162)를 통해서 특정 디자인센터를 주거래 디자인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센터 추천 리스트에서 디자인센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설정이 가능한 메뉴가 제공 될 수 있다. 또는, 치과에서 상기 이력 관리 API(132)를 통해 기공물 거래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공물 거래 이력을 확인하는 과저에서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설정이 가능한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치과에서는 메뉴의 선택을 통해서 상기 주거래 설정 API(162)에 접근할 수 있으며, 특정 디자인센터를 주거래 디자인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치과와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200)에는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를 통해 소비자가 치과별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확인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소비자는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를 통해 치과별 주거래 디자인센터와, 디자인센터별 평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리스트와 디자인센터별 평점을 고려하여 치과 선택을할 수 있다.[S530]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설정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내용이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주거래 디자인센터로 설정된 디자인센터에 안내될 수 있다.[S54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소비사 서비스 모드, 치과 서비스 모드, 디자인센터 서비스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셀러 매칭 서비스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러 매칭 서비스의 데이터 이동 상황을 보인 도면이다.
셀러는 상기 셀러 단말기(500)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상품 정보는 셀러와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다.[S710]
한편,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100)는 상기 상품 추천 API(171)를 통해서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에 상품을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상품 추천 API(171)는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의 상기 치과 주치의 시스템(1) 내에서의 활동 이력을 분석하여 적합한 상품을 도출하고, 이를 추천할 수 있다.[S720]
한편, 상기 상품 추천 API(171)는 상품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는 상기 상품 추천 API(171)에 의해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 이름, 가격 등의 검색 정보를 입력하여,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S730]
상기 상품 추천 API(171)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된 상품 정보로부터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도출하여, 상품 검색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730]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에서는 상품 검색 리스를 확인 한 후,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다.[S750]
상품이 주문되면, 주문 정보가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셀러에게 안내될 수 있다.[S760]
셀러는 상기 셀러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상품 일정 관리 API(172)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의 준비 현황을 입력할 수 있다.[S770]
입력된 상품 준비 현황은 알림 기능 또는 쪽지 기능을 통해 주문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주문자는 상기 상품 일정 관리 API(172)를 통해서 상품 준비 현황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S775]
셀러는 상품의 준비가 완료되면, 상품을 택배 등을 이용하여 배송하고, 상기 상품 물류 관리 API(173)을 통해서 상품 배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780]
상품 배송 정보가 입력되면 알림 기능이나 쪽지 기능을 통해 상품 배송 정보가 주문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품 배송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전달되어 저장 될 수 있다. 주문자는 상기 상품 물류 관리 API(173)을 통해서 상세한 상품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785]
주문자는 배송완료 된 상품을 확인하고, 상기 만족도 관리 모듈(180)의 셀러 평가 API(183)를 통해 상품을 제공한 셀러의 평점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셀러 평점은 셀러별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 저장되어 누적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 치과, 디자인센터를 포함하는 주문자는 상품 주문 시에 셀러별 평점을 확인하고 이를 고려하여 상품 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S790]
1: 치과 주치의 시스템
100: 치과 주치의 서버
110: 데이터 베이스
120: 회원 관리 모듈
121: 회원 가입 API
122: 회원 확인 API
123: 그룹 관리 API
130: 이력 관리 모듈
131: 병증 입력 API
132: 이력 관리 API
140: 치과 매칭 모듈
141: 병증 분석 API
142: 치과 추천 API
143: 상담 API
144: 예약 관리 API
150: 주치의 서비스 모듈
151: 주치의 설정 API
152: 챗봇 API
153: 응급 상담 API
154: 주치의 예약 관리 API
160: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
161: 디자인 센터 추천 API
162: 주거래처 설정 API
163: 일정 관리 API
164: 제작 의뢰 API
165: 물류 관리 API
170: 셀러 매칭 모듈
171: 상품 추천 API
172: 상품 일정 관리 API
173: 상품 물류 관리 API
180: 만족도 관리 모듈
181: 치과 평가 API
182: 디자인센터 평가 API
183: 셀러 평가 API
190: 포인트 관리 모듈
191: 포인트 관리 API
200: 소비자 단말기
210: 메시지 버튼
220: 위치 정보 버튼
230: 프로필 버튼
240: 이력 관리 버튼
250: 치과 검색 버튼
260: 주치의 서비스 버튼
270: 상품 구매 버튼
280: 만족도 평가 버튼
290: 포인트 관리 버튼
300: 치과 단말기
310: 메시지 버튼
320: 프로필 버튼
330: 진료 결과 관리 버튼
340: 주치의 환자 관리 버튼
350: 예약 관리 버튼
360: 디자인센터 검색 버튼
370: 상품 구매 버튼
380: 만족도 평가 버튼
400: 디자인센터 단말기
410: 메시지 버튼
420: 프로필 버튼
430: 이력 관리 버튼
440: 제작 의뢰 관리 버튼
450: 기공물 제작 관리 버튼
460: 배송 관리 버튼
470: 상품 구매 버튼
480: 만족도 평가 버튼
500: 셀러 단말기
510: 메시지 버튼
520: 프로필 버튼
530: 상품 관리 버튼
540: 주문 관리 버튼
550: 상품 준비 현황 관리 버튼
560: 배송 관리 버튼

Claims (10)

  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 또는 단말에 접속 가능한 소비자 단말기와, 치과 단말기;
    상기 각 단말기가 접속되는 치과 주치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와 치과에서 입력한 회원정보 및 소비자가 입력한 병증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
    소비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치과 리스트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선택한 치과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치과 매칭 모듈;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주치의 치과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주치의 치과가 설정된 소비자에게는 상기 치과 리스트 제공 이전에 주치의 치과에 즉시 연결이 가능한 주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은,
    소비자에게 특정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주치의 치과를 설정한 소비자에게 주치의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치의 설정 API;
    소비자에게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입력하는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AI 대응서비스와 진료 대응서비스로 구분하고, AI 대응서비스로 판단된 경우 AI 대응서비스를 우선 진행한 후,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연결하는 진료 대응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챗봇 API;
    소비자에게 응급 병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와 주치의 치과를 즉시 연결하여 응급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응급 상담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매칭된 치과에서 진료를 받은 소비자에게 해당 치과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만족도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설정 API는,
    소비자가 치과 추천 리스트에서 치과를 선택하는 과정 또는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 치과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해당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가능한 주치의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API는,
    입력된 병증 정보를 분석하여 병명을 도출하고, 병명에 따라 AI 대응항목과 진료 대응항목으로 구분하며, AI 대응항목으로 판단되는 경우 병명에 적합한 처치 방안을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A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에 접속 가능한 셀러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상기 소비자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포인트를 제공하고, 적립된 포인트를 관리하는 포인트 관리 모듈;
    상기 셀러 단말기와 소비자를 연결하며, 소비자에게 셀러가 판매하는 제품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포인트를 이용한 제품 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셀러 매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와 치과의 회원가입 기능 및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와의 그룹 형성을 신청하고 그룹 형성 관련 증빙 서류를 입력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원관리 모듈은,
    다수의 소비자가 가족 관계인 경우, 가족 관계인 소비자들의 그룹 형성 기능을 제공하며, 형성된 그룹 구성원들이 동일한 치과를 주치의 치과로 설정 시 별도의 그룹 혜택을 제공하는 그룹 관리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소비자가 자신이 입력한 병증정보 및 진료기록을 관리 가능한 이력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이력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에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에 접속 가능한 디자인센터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디자인센터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된 디자인센터의 회원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며,
    상기 치과 주치의 서버는,
    치과가 기공물 제작을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센터를 주거래 디자인센터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치의 서비스 모듈은, 상기 디자인센터 매칭 모듈과 연계하여 치과별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수신하고, 소비자에게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의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는 주치의로 설정된 치과에서 기공물 관련 진료를 받은 후 기공물을 제작한 주거래 디자인센터의 만족도를 입력 가능하고, 상기 주거래 디자인센터 정보에는 소비자에 의해서 입력된 디자인센터의 만족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매칭 모듈은,
    소비자의 병증정보를 분석하여 병명을 진단하는 병증분석 API;
    치과별 누적 진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과별 전공분야를 도출하며, 상기 병증분석 API의 병증 진단 결과에 적합한 전공분야를 가진 치과를 하나 이상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치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치과 추천 AP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매칭 모듈은,
    치과 ERP 또는 환자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각 치과의 예약현황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예약 관리 API;를 포함하며,
    상기 치과 추천 API는 치과 및 소비자의 지역정보 그리고, 상기 예약현황정보를 고려하여 치과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주치의 시스템.
  10. 삭제
KR1020200183422A 2020-12-24 2020-12-24 치과 주치의 시스템 KR10249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22A KR102497186B1 (ko) 2020-12-24 2020-12-24 치과 주치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22A KR102497186B1 (ko) 2020-12-24 2020-12-24 치과 주치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51A KR20220092051A (ko) 2022-07-01
KR102497186B1 true KR102497186B1 (ko) 2023-02-07

Family

ID=8239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422A KR102497186B1 (ko) 2020-12-24 2020-12-24 치과 주치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15B1 (ko) * 2017-11-22 2019-01-29 이인찬 치과 의료 정보 및 제작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62B1 (ko) * 2009-09-18 2012-11-12 주식회사유하트 유-헬쓰 서비스 시스템과 그에 따른 방법
KR101323699B1 (ko) * 2012-11-14 2013-10-30 나인성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JP6193659B2 (ja) * 2013-06-03 2017-09-06 株式会社日本エンブレース 医療・介護支援方法、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介護支援プログラム
KR101769480B1 (ko) 2015-06-08 2017-08-18 (주)유메디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180068703A (ko) * 2016-12-14 2018-06-22 최성숙 구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756B1 (ko) * 2019-12-20 2021-02-09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15B1 (ko) * 2017-11-22 2019-01-29 이인찬 치과 의료 정보 및 제작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51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413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form identification and population
US11379797B2 (en) Appointment scheduling
US20190223993A1 (en) Dental condi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JP5919414B2 (ja) マッチング支援装置、マッチング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77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urgical team composition and surgical team procedure resource management
JP7076615B2 (ja) リモートケアサービスを実施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054288A1 (en) Arranging remote engagements
US200200167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innovation marketplace
US20120010904A1 (en) Method for reverse physician - patient matching for in-person health care services and tele-consultations
US20100235228A1 (en) Service provider evaluation and feedback collection and rating system
US20020069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health-related services
US20120303474A1 (en) Vehicle trade banking system
Lillrank Service processes
KR102497186B1 (ko) 치과 주치의 시스템
JP2007034472A (ja) 有資格者予約システム
US202201896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consumers with care providers
JP2021117792A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08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ervices network call center
US202401770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suring quality of care services
Chen et al. Design of knowledge trading negotiation model for accelerating acquirement of knowledge
Modaragama Decision intelligence: transformational developments in skin cancer screening using mobil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