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756B1 - 구강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756B1
KR102214756B1 KR1020190171646A KR20190171646A KR102214756B1 KR 102214756 B1 KR102214756 B1 KR 102214756B1 KR 1020190171646 A KR1020190171646 A KR 1020190171646A KR 20190171646 A KR20190171646 A KR 20190171646A KR 102214756 B1 KR102214756 B1 KR 10221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oral
communication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833A (ko
Inventor
김만용
이종호
김봉주
정국현
김원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치과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to KR102019017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7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진단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써, 제1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구강촬영부, 상기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업로드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와 기저장된 구강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를 제1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하는 추천부 및 상기 환자가 원하는 병원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 선택된 병원정보에 해당하는 치과병원과 환자를 매칭하고, 매칭결과를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단부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와 상기 구강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 진단 시스템{MOUTH DIAGNOSIS SYSTEM}
본 발명은 구강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구강을 촬영하기 위한 구강 진단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는 환자가 자신의 치아가 아프거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경우, 치과를 찾아가 치과의사가 환자의 구강 또는 치아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하여 환자에게 보고하는 방식으로 진단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강 진단 시스템은 환자가 직접 사용하는 목적보다는 치료를 위한 치과의사나 그 보조인력(치위생사 등)이 직접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강 진단 시스템에 대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10-2016-0064377호 (공개일자 : 2016년 06월 15일, 발명의 명칭 :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종래의 구강 진단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구강내부를 촬영하였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최근 환자 스스로가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환자 역시 자신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확인하고 싶어하는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강 진단 시스템의 경우, 치과병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였기 때문에 실제로 환자가 자신의 구강을 진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가 바쁜 일상속에서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하여 진단을 받아본 후 치과병원을 방문하고 싶어도, 현재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할 수 없고 기초 진단결과조차 직접 방문하여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진단 시스템은 환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직접 자신의 구강을 촬영하다 보니 구강의 촬영이미지(사진 또는 영상)이 제대로 촬영되지 않아, 실제로 현재 구강상태를 진단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환자가 구강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로 진단결과를 요청할 경우, 치과병원에서 촬영이미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진단결과를 환자에게 보내주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치과병원마다 서로 다른 진단결과가 나타나 환자에게 혼동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구강의 촬영이미지를 통해 구강을 진단하고 치과병원을 매칭할 수 있는 구강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은 제1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구강촬영부; 상기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가 업로드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와 기저장된 구강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를 제1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하는 추천부 및 상기 환자가 원하는 병원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 선택된 병원정보에 해당하는 치과병원과 환자를 매칭하고, 매칭결과를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단부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와 상기 구강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은 상기 서버부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를 상기 제2 통신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는 원격상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은 상기 제2 통신기기를 통해 상기 원격상담에 대응되는 답변을 상기 제1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칭부의 상기 병원정보는, 진료가격, 진료날짜, 병원위치 및 상기 원격상담에 대응되는 답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치과용품을 추천하는 용품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기기 및 상기 제2 통신기기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의 증강현실이미지가 상기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로 출력되도록 상기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상기 촬영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자가 구강촬영부를 이용하여 직접 자신의 구강을 촬영하여 진단결과를 받아볼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단결과에 따라 치과병원의 방문여부를 직접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치과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함에 따라, 평소에 구강상태를 체크함으로써 효과적인 치아관리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시스템은 구강촬영부의 카메라가 구강속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환자가 구강 내에 원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인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환자의 촬영이미지로 진단결과를 추출하기 때문에, 촬영 및 진단에 따른 데이터가 쌓여갈수록 진단결과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치과병원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의 구강촬영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의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은 환자가 스스로 구강을 촬영하고, 이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치과병원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자신의 상태에 맞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은 구강촬영부(110), 서버부(120), 진단부(130), 추천부(140), 매칭부(150), 원격상담부(160), 용품추천부(180) 및 이미지편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환자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로, 상기 환자의 구강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구강촬영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12), 상기 카메라(112)가 촬영한 촬영영상 및/또는 촬영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111), 상기 카메라(112)의 위치가 자유롭게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112)와 상기 연결부(111)를 연장하는 와이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카메라(112)는 상기 환자의 구강에 들어갈 수 있는 소형카메라(1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12)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작되어 환자의 구강에 들어가더라도 환자의 건강상태에 유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부(111)는 상기 서버부(120)에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보내기 위해 상기 카메라(112)를 상기 통신기기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일 예로, 연결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카메라(112)를 사용하는 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스마트폰에 상기 연결부(111)가 연결됨으로써, 구강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 및/또는 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할 수만 있다면 연결부(111)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연결부(111)를 통해 상기 카메라(112)에서 촬영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이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기기는 외부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와이어(113)는 상기 카메라(112)의 위치가 자유롭게 이동 및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상세히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여 모양이 고정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와이어(113)를 조정하여 상기 카메라(112)를 원하는 구강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상기 카메라(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구강을 밝혀주기 위한 발광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114)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환자의 구강에 빛을 발산하기 위한 수단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버부(120)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업로드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서버부(120)에는 다 수의 환자가 업로드하는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업로드될 수 있고, 후술할 이미지 딥러닝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딥러닝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진단부(130)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대규모 구강이미지가 다 수개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에는 환자가 촬영하여 올렸던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과 이에 따른 진단결과가 추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진단결과가 추천되어 상기 진단부(130)에 저장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기저장된 구강이미지 및 구강영상'으로 정의한다.
상기 진단부(130)는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대조하여 이미지 중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찾아내고, 이에 따른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진단결과 중 가장 많은 진단결과를 출력하여, 현재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결과가 출력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은 추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과 상기 진단결과가 상기 서버부(120)에 누적될수록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의 데이터는 커지고, 이에 따라 진단결과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를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일 예로, 환자가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충치를 촬영하여 충치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하면, 상기 진단부(130)는 상기 충치이미지의 충치 위치, 충치의 진행정도 등 충치자료를 파악하여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 중에서 유사한 다 수의 구강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130)는 선택된 상기 다 수의 구강이미지의 진단결과를 파악하여 그 진단결과 중 가장많은 충치진단결과에 대한 결과를 뽑아내어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140)는 상기 진단부(130)의 진단결과에 따라 환자와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에는 다 수의 치과병원에 대한 주진료정보, 예를 들어 주 진료정보가 교정전문, 충치전문 등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단부(130)에서 환자의 상태에 대해 진단결과가 추출되면, 상기 추천부(140)는 추출된 상기 진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치과병원에 대한 주진료정보와 비교하여, 환자의 진단결과를 기초로 필요한 진료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상기 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단부(130)는 환자의 구강 촬영이미지의 진단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진단부(130)에 저장된 치과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교정전문 치과병원을 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50)는 환자가 상기 추천부(140)로부터 추천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 환자가 원하는 병원정보를 선택하여 환자와 치과병원을 매칭해주는 수단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대한 병원정보는 예를 들어, 진료가격, 병원위치, 병원인력규모, 진료가능날짜, 치료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환자가 상기 추천부(140)로부터 추천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에서 원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병원정보, 예를 들어, 원하는 진료가격, 원하는 병원위치, 원하는 진료가능날짜 등을 선택하면, 이에 적합한 치과병원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병원정보에 적합한 치과병원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환자가 원하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자신이 원하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원격상담부(160)는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환자가 원격상담 요청을 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과 상기 진단부(130)의 상기 진단결과를 상기 추천부(140)를 통해 추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원격상담부(160)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환자는 환자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은 병원 또는 의사의 스마트폰을 통해 환자의 원격상담에 대응되는 답변을 환자에게 보내줄 수 있다. 이 경우, 환자는 자신이 수신한 답변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답변을 한 치과병원을 상기 매칭부(150)에서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치과병원은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을 통해 환자를 유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환자는 치과병원으로부터 상세한 자신의 구강상태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용품추천부(180)는 상기 진단부(130)의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치과용품을 추천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로부터 환자의 구강에 대한 상기 진단결과에 따라, 환자가 구강치료를 위해 필요한 치과용품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품은 칫솔, 치약, 치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편집부(170)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로 구강의 촬영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이미지편집부(170)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다 수의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형태의 증강현실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및 치과병원은 상기 증강현실이미지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강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상기 구강촬영부(110)가 연결되는 통신기기는 일 예로, 스마트폰인 점을 위에서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와 연결된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아래에서는 환자의 통신기기를 제1 통신기기(200), 치과병원 또는 의사의 통신기기를 제2 통신기기(300)로 정의한다. 다만, 제1 통신기기(200) 및 제2 통신기기(300)는 용어의 차이일 뿐 실질적인 구성은 차이가 없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의사가 환자인 경우에는 제2 통신기기(300)가 제1 통신기기(200)의 역할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상기 통신기기, 일 예로, 자신의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자신의 구강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의 상기 와이어(113)부를 사용하여 자신의 구강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편집부(170)가 환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조합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는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환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한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에 대한 진단결과를 상기 진단부(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단부(130)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비교하여 진단결과를 환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환자는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와 상기 진단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추천부(140)를 통해 진단결과에 맞는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상담부(160)를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와 상기 진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치과병원에서는 치과병원 또는 의사의 통신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통신기기로 원격상담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다.
환자는 상기 매칭부(150)를 통해 원격상담에 따른 답변과 자신이 원하는 진료가격, 진료날짜, 위치등을 선택하여 적절한 치과병원을 매칭할 수 있다. 즉,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한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통해 진단과 치과병원 매칭을 한번에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품추천부(180)를 통해 자신의 구강상태에 적합한 치과용품을 추천받음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효과적인 구강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은 환자가 스스로 구강을 촬영하고, 이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치과병원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자신의 상태에 맞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은 구강촬영부(110), 서버부(120), 진단부(130), 추천부(140), 매칭부(150), 원격상담부(160), 용품추천부(180) 및 이미지편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환자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로, 상기 환자의 구강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구강촬영부(11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12), 상기 카메라(112)가 촬영한 촬영영상 및/또는 촬영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111), 상기 카메라(112)의 위치가 자유롭게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112)와 상기 연결부(111)를 연장하는 와이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카메라(112)는 상기 환자의 구강에 들어갈 수 있는 소형카메라(1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12)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작되어 환자의 구강에 들어가더라도 환자의 건강상태에 유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부(111)는 상기 서버부(120)에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보내기 위해 상기 카메라(112)를 상기 통신기기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일 예로, 연결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카메라(112)를 사용하는 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스마트폰에 상기 연결부(111)가 연결됨으로써, 구강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 및/또는 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로 송신할 수만 있다면 연결부(111)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연결부(111)를 통해 상기 카메라(112)에서 촬영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이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기기는 외부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와이어(113)는 상기 카메라(112)의 위치가 자유롭게 이동 및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상세히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여 모양이 고정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와이어(113)를 조정하여 상기 카메라(112)를 원하는 구강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상기 카메라(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구강을 밝혀주기 위한 발광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114)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환자의 구강에 빛을 발산하기 위한 수단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버부(120)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업로드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서버부(120)에는 다 수의 환자가 업로드하는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업로드될 수 있고, 후술할 이미지 딥러닝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딥러닝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진단부(130)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대규모 구강이미지가 다 수개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에는 환자가 촬영하여 올렸던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과 이에 따른 진단결과가 추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진단결과가 추천되어 상기 진단부(130)에 저장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기저장된 구강이미지 및 구강영상'으로 정의한다.
상기 진단부(130)는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대조하여 이미지 중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찾아내고, 이에 따른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진단결과 중 가장 많은 진단결과를 출력하여, 현재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결과가 출력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은 추후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상기 촬영이미지 및 촬영영상과 상기 진단결과가 상기 서버부(120)에 누적될수록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의 데이터는 커지고, 이에 따라 진단결과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를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일 예로, 환자가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충치를 촬영하여 충치이미지를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하면, 상기 진단부(130)는 상기 충치이미지의 충치 위치, 충치의 진행정도 등 충치자료를 파악하여 상기 기저장된 구강이미지 중에서 유사한 다 수의 구강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부(130)는 선택된 상기 다 수의 구강이미지의 진단결과를 파악하여 그 진단결과 중 가장많은 충치진단결과에 대한 결과를 뽑아내어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140)는 상기 진단부(130)의 진단결과에 따라 환자와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에는 다 수의 치과병원에 대한 주진료정보, 예를 들어 주 진료정보가 교정전문, 충치전문 등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단부(130)에서 환자의 상태에 대해 진단결과가 추출되면, 상기 추천부(140)는 추출된 상기 진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치과병원에 대한 주진료정보와 비교하여, 환자의 진단결과를 기초로 필요한 진료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상기 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단부(130)는 환자의 구강 촬영이미지의 진단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진단부(130)에 저장된 치과정보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교정전문 치과병원을 환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50)는 환자가 상기 추천부(140)로부터 추천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 환자가 원하는 병원정보를 선택하여 환자와 치과병원을 매칭해주는 수단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대한 병원정보는 예를 들어, 진료가격, 병원위치, 병원인력규모, 진료가능날짜, 치료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환자가 상기 추천부(140)로부터 추천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에서 원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병원정보, 예를 들어, 원하는 진료가격, 원하는 병원위치, 원하는 진료가능날짜 등을 선택하면, 이에 적합한 치과병원이 선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병원정보에 적합한 치과병원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환자가 원하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자신이 원하는 치과병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원격상담부(160)는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환자가 원격상담 요청을 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과 상기 진단부(130)의 상기 진단결과를 상기 추천부(140)를 통해 추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원격상담부(160)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환자는 환자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은 병원 또는 의사의 스마트폰을 통해 환자의 원격상담에 대응되는 답변을 환자에게 보내줄 수 있다. 이 경우, 환자는 자신이 수신한 답변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답변을 한 치과병원을 상기 매칭부(150)에서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치과병원은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을 통해 환자를 유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환자는 치과병원으로부터 상세한 자신의 구강상태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용품추천부(180)는 상기 진단부(130)의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치과용품을 추천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진단부(130)로부터 환자의 구강에 대한 상기 진단결과에 따라, 환자가 구강치료를 위해 필요한 치과용품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품은 칫솔, 치약, 치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편집부(170)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형태로 구강의 촬영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이미지편집부(170)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다 수의 상기 촬영이미지 및/또는 촬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형태의 증강현실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및 치과병원은 상기 증강현실이미지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강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상기 구강촬영부(110)가 연결되는 통신기기는 일 예로, 스마트폰인 점을 위에서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통신기기와 연결된 상기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진단 시스템(100)의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아래에서는 환자의 통신기기를 제1 통신기기(200), 치과병원 또는 의사의 통신기기를 제2 통신기기(300)로 정의한다. 다만, 제1 통신기기(200) 및 제2 통신기기(300)는 용어의 차이일 뿐 실질적인 구성은 차이가 없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구강촬영부(110)는 의사가 환자인 경우에는 제2 통신기기(300)가 제1 통신기기(200)의 역할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3을 참조하면,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상기 통신기기, 일 예로, 자신의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자신의 구강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S10). 이 경우,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의 상기 와이어(113)부를 사용하여 자신의 구강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편집부(170)가 환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조합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로 편집할 수 있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는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환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한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상기 통신기기를 통해 상기 서버부(120)에 업로드할 수 있다(S20).
또한,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에 대한 진단결과를 상기 진단부(130)가 추출하면, 이를 상기 제1 통신기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S30). 즉, 상기 진단부(130)는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기저장된 구강이미지와 비교하여 진단결과를 상기 제1 통신기기(200)를 통해 환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후, 상기 원격상담부(160)를 통해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와 상기 진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에 원격상담 요청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0).
만약 환자가 상기 제1 통신기기(200)를 통해 상기 원격상담부(160)로 원격상담을 요청하면, 요청내용이 상기 제2 통신기기(300)로 송신된다(S50).
그러면 치과병원 또는 의사는 상기 제2 통신기기(300)를 통해 요청된 원격상담에 대응되는 답변을 상기 제1 통신기기(200)로 송신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상담결과를 상기 제1 통신기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S60).
만약 환자가 상기 제1 통신기기(200)를 통해 상기 원격상담부(160)로 원격상담을 요청하지 않으면, 바로 상기 진단부(130)에서의 진단결과를 통해 상기 추천부(140)에서 상기 환자의 제1 통신기기(200)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S70). 다만, 이는 원격상담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바로 추천부(140)의 추천단계로 넘어가는 것이고, 원격상담을 요청한 경우에는 원격상담이 이루어진 후나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추천부(140)에서 추천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는 상기 추천부(140)에서 추천된 하나 이상의 치과병원 중에서 상기 매칭부(150)를 통해 원격상담에 따른 답변과 자신이 원하는 진료가격, 진료날짜, 위치등을 선택하여 적절한 치과병원을 선택하여 매칭할 수 있다(S80). 즉, 상기 구강촬영부(110)를 통해 촬영한 상기 촬영이미지, 촬영영상 또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통해 진단과 치과병원 매칭을 한번에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품추천부(180)를 통해 자신의 구강상태에 적합한 치과용품을 추천받음으로써(S90), 일상생활에서도 효과적인 구강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환자의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구강촬영부;
    상기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복수개의 촬영이미지가 업로드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업로드된 상기 복수개의 촬영이미지로부터, 충치 위치 및 충치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충치 진단 결과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구강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구강 이미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도출된 진단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를 상기 환자의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부의 진단결과를 기초로, 진료가격, 병원 위치, 병원인력규모, 진료가능날짜 및 치료기간을 포함하는 병원 정보 항목을 고려하여 상기 환자에게 복수개의 치과병원을 추천하는 추천부; 및
    상기 환자가 원하는 병원 위치, 병원인력규모, 진료가능날짜 및 치료기간을 선택하면, 상기 복수개의 치과병원 중 선택된 병원정보에 해당하는 치과병원과 환자를 매칭하고, 매칭결과를 환자의 통신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치과병원 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매칭부;
    상기 환자의 통신기기로부터 환자의 질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원격 상담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병원 통신기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강 이미지와 함께 상기 환자의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원격 상담을 요청하고, 상기 치과 병원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원격 상담부;
    상기 진단부의 진단 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필요한 칫솔, 치약 및 치실을 포함하는 치과용품을 추천하는 용품추천부; 및
    증강현실 형태의 증강현실이미지가 상기 환자의 통신기기 및 치과병원 통신기기로 출력되도록 상기 구강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답변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치과 병원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환자 통신기기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 통신기기가 선택한 치과 병원 통신기기와 환자 통신기기를 매칭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구강 이미지를 저장하여 상기 이미지 딥러닝 시스템의 데이터로서 사용하며,
    상기 구강촬영부는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상기 서버부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카메라의 위치가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와이어 및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을 밝혀주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1646A 2019-12-20 2019-12-20 구강 진단 시스템 KR10221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46A KR102214756B1 (ko) 2019-12-20 2019-12-20 구강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46A KR102214756B1 (ko) 2019-12-20 2019-12-20 구강 진단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335A Division KR20190053446A (ko) 2017-11-10 2017-11-10 구강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3A KR20200000833A (ko) 2020-01-03
KR102214756B1 true KR102214756B1 (ko) 2021-02-09

Family

ID=6915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646A KR102214756B1 (ko) 2019-12-20 2019-12-20 구강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866A (ko) 2022-09-26 2024-04-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척추측만증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86B1 (ko) * 2020-12-24 2023-02-07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치과 주치의 시스템
KR102499368B1 (ko)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KR102499352B1 (ko)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조사광의 파장대의 선택적 형성을 통한 구강 컨디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94715B1 (ko) * 2021-02-17 2023-02-06 주식회사 아이클로 치아 분석 서버, 치아 분석 단말, 및 치아 분석 프로그램
WO2022177181A1 (ko) * 2021-02-17 2022-08-25 주식회사 아이클로 치아 분석 서버, 치아 분석 단말, 및 치아 분석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13A (ko) * 2001-04-03 2002-10-19 황현식 구강위생용품 판매방법
KR101441749B1 (ko) * 2012-09-07 2014-09-19 김현종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구강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60142142A (ko) *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866A (ko) 2022-09-26 2024-04-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척추측만증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33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756B1 (ko) 구강 진단 시스템
US20180360295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Morosini et al. Performance of distant diagnosis of dental caries by teledentistry in juvenile offenders
KR20190053446A (ko) 구강 진단 시스템
KR102267197B1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upinski et al. 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s practice guidelines for teledermatology
JP6126224B2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US20100041968A1 (en) Image capture in combination with vital signs bedside monitor
KR101583547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KR102074887B1 (ko) 영상분석을 이용한 구강 상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26886B2 (ja)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US20200405447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eeth
JP2018134418A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KR20160145448A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41888B1 (ko) 구강 관리 시스템
CN107909609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09330730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口腔健康检查服务器
KR20230025656A (ko)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JP2007086872A (ja) 管理システム
KR101890516B1 (ko) 치아 관리용 칫솔
KR20020057094A (ko) 네트워크형 체어를 이용한 치과의 통합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TW202109550A (zh) 牙齒保健照護系統
TWI823698B (zh) 口腔內攝影裝置
JP7490264B2 (ja) 歯牙分析サーバ、歯牙分析端末、及び歯牙分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