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547B1 -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547B1
KR101583547B1 KR1020150105398A KR20150105398A KR101583547B1 KR 101583547 B1 KR101583547 B1 KR 101583547B1 KR 1020150105398 A KR1020150105398 A KR 1020150105398A KR 20150105398 A KR20150105398 A KR 20150105398A KR 101583547 B1 KR101583547 B1 KR 10158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ooth
information
current
remo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의
Original Assignee
윤형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의 filed Critical 윤형의
Priority to KR102015010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5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06F19/32
    • G06F19/34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치아에 부착되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 임상정보, 치아정보,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원격진료용 서버;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업로드한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따르면,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접착한 치아를 스캔하여 치아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치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SYSTEM OF ORTHODONTIC TREATMENT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치아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하는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치아 교정 진료는 장기간에 걸쳐 일정한 기간마다 지속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치과의사로부터 치아 상태를 진단받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치과 방문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유학, 여행, 이사 등의 사유로 치과 방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치료를 포기하거나, 많은 비용과 시간을 감수하면서 타 병원에서 치료를 이어가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임상교정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있었고,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02-0081934호(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임상교정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공개일자: 2002년 10월 30일)가 게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의 2차원 사진으로 진단할 수 있는 부분에 국한되어,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접착한 치아를 스캔하여 치아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치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은,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치아에 부착되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
임상정보, 치아정보,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원격진료용 서버;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업로드한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과 치아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 및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부착되며, 3개 이상의 위치 인식 지점이 존재하는 위치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는,
환자의 임상정보가 저장되는 임상정보 데이터베이스;
치아 사진 및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치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진료내역이 저장되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된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를 다운로드하거나, 현재 브라켓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통신부;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상기 스마트폰에 부착되어 치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키트; 및
상기 카메라부가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때,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된 브라켓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키트는,
구강 입구에 장착하여 뺨과 혀를 치아로부터 이개할 수 있는 리트랙터;
치아를 접사할 수 있는 접사용 렌즈;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는 접사용 조명;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접사용 렌즈를 이어주고, 상기 접사용 렌즈가 구강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진료용 컴퓨터는,
진료내역을 열람하거나, 새로운 진료내용을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화상진료부;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스캔부;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된 상기 브라켓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캔부는,
상기 브라켓이 접착된 치아를 광학 스캔함으로써,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인식 지점의 3차원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좌표를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따르면,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접착한 치아를 스캔하여 치아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치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브라켓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스마트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카메라 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아 위치정보 인식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이 치아의 현재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은, 브라켓(100), 원격진료용 서버(200), 스마트폰(300), 원격진료용 컴퓨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접착한 치아를 스캔하여 치아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치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100)은, 환자가 교정 치료를 위해 병원을 첫 번째로 방문하였을 때 접착하는 것으로, 치아 교정을 위한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고, 치아에 부착되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브라켓(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브라켓(100)은, 접착부(110), 위치인식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110)는, 브라켓(100)과 치아를 접착할 수 있다. 도 2 (b) 및 (c)는 각각 브라켓(100)이 치아에 접착된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인식부(120)는,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위치 인식 장치를 포함하며, 브라켓(100)의 외부에 부착된다.
원격진료용 서버(200)는, 임상정보, 치아정보,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진료용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서버(200)는, 임상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치아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상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교정치료를 위한 임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임상정보에는 치아 교정 치료에 앞서 실시하는 방사선 검사, 문진, 구강 검진 및 치료계획이 포함될 수 있다.
치아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치아 사진 및 브라켓의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브라켓의 위치정보에는 치아에 브라켓(100)을 접착한 후 광학 스캔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스마트폰(300) 및 카메라 키트(330)를 이용하여 획득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현재까지의 환자의 진료내역 및 앞으로 새로이 입력할 진료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은, 원격진료용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고, 카메라에 부착 가능한 카메라 키트(330)를 이용하여 치아를 접사할 수 있으며, 내부에 설치된 위치인식모듈(340)을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스마트폰(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스마트폰(300)은, 통신부(310), 카메라부(320), 카메라 키트(330), 위치인식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원격진료용 서버(200)와 통신하여,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다운로드하거나,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카메라부(320)는, 스마트폰(300)에 부착되어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카메라 키트(330)는, 카메라부(320)에 부착되어 치아를 접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카메라 키트(33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카메라 키트(3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카메라 키트(330)는, 리트랙터(332), 접사용 렌즈(334), 접사용 조명(336), 이음부(3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트랙터(332)는 구강 입구에 장착하여 뺨과 혀를 치아로부터 이개할 수 있다. 도 5 (b)는 리트랙터(332)로 뺨과 혀를 치아로부터 이개한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접사용 렌즈(334)는, 카메라부(320)에 사물을 접사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접사용 조명(336)은,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다.
이음부(338)는, 스마트폰(300)과 접사용 렌즈(334)를 이어주고, 접사용 렌즈(334)가 구강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치인식모듈(340)은, 카메라부(320)가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때,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위치인식모듈(340)이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3차원 공간에서 어느 3지점의 좌표를 선으로 연결하면 삼각형 형태의 도형이 되고, 그 도형은 3차원 공간에서 특정한 방향과 기울기를 갖는다. 그런데 그 도형을 3차원 공간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그 도형의 방향과 기울기는 변할 수 있지만, 도형을 연결하는 각 지점끼리의 상대적인 위치는 유지된 체로 움직인다. 이러한 원리를 도시한 것이 도 6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아 위치정보 인식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인식모듈(340)이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3차원 좌표로 인식하고, 그 좌표를 선으로 연결하면 도 6에 도시된 브라켓(100)에 표시된 삼각형이 된다. 브라켓(100)에 표시된 삼각형은 브라켓(100) 또는 치아의 위치를 대표하는 ‘대표 위치정보’가 되고, 대표 위치정보를 이용하면 브라켓(100) 또는 치아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6에서는 브라켓(100)에 표시된 삼각형이 브라켓(100)의 대표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대표 위치정보를 알고 있으면 브라켓(100)이 임의의 장소로 이동하더라도 대표 위치정보의 위치변화량을 이용하여 브라켓(100)의 위치변화를 알 수 있다. 즉, 브라켓(100)의 대표 위치정보인 삼각형의 꼭지점을 각각 3차원 좌표인 (A1, B1, C1), (A2, B2, C2), (A3, B3, C3)라 하고, 브라켓(100)을 임의의 다른 위치로 이동한 지점을 (X1, Y1, Z1), (X2, Y2, Z2), (X3, Y3, Z3)라고 한다면, 삼각형을 이루는 각 지점의 좌표는 변하지만, 각 지점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삼각형을 이루는 각 지점의 위치변화량을 통해 삼각형의 위치가 어떤 방향으로, 어떤 기울기로, 얼마나 이동하였는지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에 적용하면, (A1, B1, C1), (A2, B2, C2), (A3, B3, C3)는 교정 치료를 시작하기 이전에 브라켓(100)을 접착한 치아를 광학 스캔함으로써 얻은 위치정보가 되고, (X1, Y1, Z1), (X2, Y2, Z2), (X3, Y3, Z3)은 교정 치료가 진행되면서 치아와 함께 이동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가 된다.
위치인식모듈(340)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 위치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원격진료용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진료용 컴퓨터(400)는, 스마트폰(300)이 업로드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진료용 컴퓨터(4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컴퓨터(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의 원격진료용 컴퓨터(400)는, 화상진료부(410), 스캔부(420), 이미지 변환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상진료부(410)는, 진료내역을 열람하거나 새로운 진료내용을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다.
스캔부(420)는, 치아에 접착된 브라켓(100)을 스캔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그 위치정보를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430)는,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이 치아의 현재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환자가 교정 치료 진행 중에 스마트폰(300) 및 카메라 키트(330)를 이용하여 현재 치아의 사진 촬영을 준비한다. 이때, 스마트폰에 설치된 위치인식모듈(340)은 통신부(310)를 통하여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접속하여, 치아 사진을 촬영하기 전의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다운로드한다. 그 후 도 8 (a)와 같이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한다. 여기서 위치인식모듈(340)은 도 8 (b)와 같이 다운로드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그 위치정보 및 치아 사진을 통신부(310)를 통하여 원격진료용 서버(200)로 송신한다. 이미지 변환부(430)는,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업로드 된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치아 사진을 이용하여 도 8 (c)와 같이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환자는 병원에 내방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교정 진료를 받을 수 있고, 진정한 의미의 원격진료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100: 브라켓 110: 접착부
120: 위치인식부 200: 원격진료용 서버
210: 임상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치아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스마트폰
310: 통신부 320: 카메라부
330: 카메라 키트 332: 리트랙터
334: 접사용 렌즈 336: 접사용 조명
338: 이음부 340: 위치인식모듈
400: 원격진료용 컴퓨터 410: 화상진료부
420: 스캔부 430: 이미지 변환부

Claims (7)

  1.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10)으로서,
    치아 교정 기능이 있고, 치아에 부착되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브라켓(100);
    임상정보, 치아정보,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원격진료용 서버(200);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업로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300); 및
    상기 스마트폰(300)이 업로드한 상기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원격으로 치아 교정 진료를 할 수 있는 원격진료용 컴퓨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는,
    환자의 임상정보가 저장되는 임상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치아 사진 및 상기 브라켓(1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치아정보 데이터베이스(220); 및
    진료내역이 저장되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브라켓(100)과 치아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110); 및
    상기 브라켓(100)의 외부에 부착되며, 3개 이상의 위치 인식 지점이 존재하는 위치인식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00)은,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와 통신하여,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다운로드하거나,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 및 현재 치아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통신부(310);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320);
    상기 카메라부(320)에 부착되어 치아를 접사할 수 있는 카메라 키트(330); 및
    상기 카메라부(320)가 현재 치아 사진을 촬영할 때,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인식모듈(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키트(330)는,
    구강 입구에 장착하여 뺨과 혀를 치아로부터 이개할 수 있는 리트랙터(332);
    치아를 접사할 수 있는 접사용 렌즈(334);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는 접사용 조명(336); 및
    상기 스마트폰(300)과 상기 접사용 렌즈(334)를 이어주고, 상기 접사용 렌즈(334)가 구강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3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용 컴퓨터(400)는,
    진료내역을 열람하거나, 새로운 진료내용을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는 화상진료부(410);
    상기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는 스캔부(420);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된 상기 브라켓(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치아 상태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변환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420)는,
    상기 브라켓(100)이 접착된 치아를 광학 스캔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00)의 위치 인식 지점의 3차원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좌표를 상기 원격진료용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KR1020150105398A 2015-07-24 2015-07-24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58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98A KR101583547B1 (ko) 2015-07-24 2015-07-24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98A KR101583547B1 (ko) 2015-07-24 2015-07-24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547B1 true KR101583547B1 (ko) 2016-01-21

Family

ID=5530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3547B1 (ko) 2015-07-24 2015-07-24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547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24B1 (ko) * 2016-08-25 2018-05-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를 이용한 치아의 위치 변화 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2232108A1 (en) * 2021-04-26 2022-11-03 Align Technology, Inc. Smartphone dental imaging attachment apparatus
US11510757B2 (en) 2012-10-30 2022-11-2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11612459B2 (en) 2016-12-02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1957536B2 (en) 2017-01-31 2024-04-1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957528B2 (en) 2020-02-26 2024-04-16 Get-Gr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ntal monitoring
USD1027186S1 (en) 2022-02-17 2024-05-1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imaging attachment for a smartphone
US12042354B2 (en) 2019-03-01 2024-07-2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with bite turbo and orthodontic auxiliary integration
US12053350B2 (en) 2017-07-21 2024-08-06 Dental Monitoring Method for analyzing an image of a dental arch
US12053346B2 (en) 2019-10-31 2024-08-06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2053345B2 (en) 2021-09-03 2024-08-06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administering adhesive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US12090025B2 (en) 2020-06-11 2024-09-17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D1043994S1 (en) 2022-01-06 2024-09-24 Swift Health Systems Inc. Archwire
US12193908B2 (en) 2021-09-03 2025-01-14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12220294B2 (en) 2017-04-21 2025-02-11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USD1063077S1 (en) 2021-04-26 2025-02-1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imaging attachment for a smartphone
US12268571B2 (en) 2021-03-12 2025-04-0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EP4362787A4 (en) * 2021-06-28 2025-05-07 Get-Grin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DENTAL SCAN
US12349871B2 (en) 2022-04-22 2025-07-08 Get-Gr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ral im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784A (ja) * 1998-01-30 1999-08-03 Nippon Seiki Kk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JP2004502137A (ja) * 2000-06-28 2004-01-22 デナップ・コーポレーション・ビーブイアイ 口内構成物と口内構成体の三次元測定データと三次元画像をリアルタイムで口内において取得し、登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510539A (ja) * 2000-10-11 2004-04-08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診断及び付与装置、並びにこれら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205330A (ja) * 2008-02-27 2009-09-10 Nec Corp 携帯電話装置、デンタルケアシステム、デンタルケア方法、デンタルケア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784A (ja) * 1998-01-30 1999-08-03 Nippon Seiki Kk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JP2004502137A (ja) * 2000-06-28 2004-01-22 デナップ・コーポレーション・ビーブイアイ 口内構成物と口内構成体の三次元測定データと三次元画像をリアルタイムで口内において取得し、登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510539A (ja) * 2000-10-11 2004-04-08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診断及び付与装置、並びにこれら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205330A (ja) * 2008-02-27 2009-09-10 Nec Corp 携帯電話装置、デンタルケアシステム、デンタルケア方法、デンタルケア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79925B2 (en) 2012-10-30 2025-04-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 sliding archwire
US11510757B2 (en) 2012-10-30 2022-11-2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510758B2 (en) 2012-10-30 2022-11-2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517405B2 (en) 2012-10-30 2022-12-06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KR101858824B1 (ko) * 2016-08-25 2018-05-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를 이용한 치아의 위치 변화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1612459B2 (en) 2016-12-02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1911971B2 (en) 2016-12-02 2024-02-27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2207987B2 (en) 2016-12-02 2025-01-2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1957536B2 (en) 2017-01-31 2024-04-1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12220294B2 (en) 2017-04-21 2025-02-11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US12053350B2 (en) 2017-07-21 2024-08-06 Dental Monitoring Method for analyzing an image of a dental arch
US12053351B2 (en) 2017-07-21 2024-08-06 Dental Monitoring Method for analyzing an image of a dental arch
US12042354B2 (en) 2019-03-01 2024-07-2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with bite turbo and orthodontic auxiliary integration
US12053346B2 (en) 2019-10-31 2024-08-06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1957528B2 (en) 2020-02-26 2024-04-16 Get-Gr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ntal monitoring
US12090025B2 (en) 2020-06-11 2024-09-17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12268571B2 (en) 2021-03-12 2025-04-0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USD1063077S1 (en) 2021-04-26 2025-02-1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imaging attachment for a smartphone
WO2022232108A1 (en) * 2021-04-26 2022-11-03 Align Technology, Inc. Smartphone dental imaging attachment apparatus
EP4362787A4 (en) * 2021-06-28 2025-05-07 Get-Grin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DENTAL SCAN
US12193908B2 (en) 2021-09-03 2025-01-14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12053345B2 (en) 2021-09-03 2024-08-06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administering adhesive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USD1043994S1 (en) 2022-01-06 2024-09-24 Swift Health Systems Inc. Archwire
USD1027186S1 (en) 2022-02-17 2024-05-1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imaging attachment for a smartphone
US12349871B2 (en) 2022-04-22 2025-07-08 Get-Gri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oral ima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547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JP7668403B2 (ja) 統合されたカメラを有する歯科ミラー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10226164B2 (en) Dental scanner device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JPWO2017056775A1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マッピング装置
JP5026886B2 (ja)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KR20200000833A (ko) 구강 진단 시스템
JP2004202069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
TW201427633A (zh) 內視鏡影像擷取系統及其方法
KR20190053446A (ko) 구강 진단 시스템
CN101579263B (zh) 一种口腔诊所数字化管理系统
KR20110082759A (ko)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US20240189065A1 (en) Dental scanning
WO2025019365A1 (en) Intraoral scanning system component pairing
KR101666482B1 (ko) 휴대형 영상 촬영 장치 및 시스템
KR10242306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KR101441749B1 (ko)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구강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CN202821281U (zh) 手持式内视装置
KR20130067710A (ko) 구강 촬영 화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구강용 내시경 장치
CN209863789U (zh) 一种牙齿图像采集装置和牙齿图像采集系统
US20250025035A1 (en) Intraoral scanning system component pairing
US20240023800A1 (en) Minimalistic intraoral scanning system
KR100972433B1 (ko) 휴대용 메디컬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