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759A -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759A
KR20110082759A KR1020100002648A KR20100002648A KR20110082759A KR 20110082759 A KR20110082759 A KR 20110082759A KR 1020100002648 A KR1020100002648 A KR 1020100002648A KR 20100002648 A KR20100002648 A KR 20100002648A KR 20110082759 A KR20110082759 A KR 2011008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ptical system
laser
target tooth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516B1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데오덴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오덴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오덴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5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기공물 제조 시스템은,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데이터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강용 스캐너로부터 3차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고,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캐닝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측으로부터 수신한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구강용 스캐너에 대한 원격 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 측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는 기공물을 제작하는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SCANER FOR ORAL CAVITY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EETH MOLD}
본 발명은 구강용 스캐너 및 구강용 스캐너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치아를 스캐닝할 수 있는 구강용 스캐너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등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인상채득과정(impression taking)을 통해 환자의 환부에 대한 치료 및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인상채득과정에서는 재료의 소모 문제 및 교차 감염 등의 문제와 제작된 모형의 파손 가능성 및 보존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 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시트 형상의 필름을 구강 내로 삽입시켜 환자의 손 또는 혀를 이용하여 필름을 환부 근처에 고정한 다음, 엑스레이와 같은 방사선을 구강의 환부에 투사하고 이에 근거한 필름을 이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2차원적으로 수작업을 하여 계측하거나 혹은 CT사진(computer tomography)에 의존함으로써, 3차원적 구조물을 2차원적 평면 계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 조사를 받게 하고,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과 시행 단계에서의 복잡성 등으로 많은 임상적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기 위한 기공물을 제조해야 할 경우 우선 치과 병원에서 환자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인상채득과정을 통해 석고 모형을 제작한 후 이에 따른 기공물 제조를 치과 기공사에게 의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공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환자 치아의 현 상태를 진단 및 측정을 위해서 치아 석고 모형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치료 데이터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비접촉식으로 치아를 스캐닝하여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도록 하는 구강용 스캐너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을 보정할 수 있는 구강용 스캐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강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생성된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측으로 온라인 전송하고, 기공물 제조측에서 원격 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는,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생성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대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2차원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3차원 데이터와 상기 2차원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3차원 스캐닝 모델 생성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은,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데이터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강용 스캐너로부터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캐닝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측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구강용 스캐너에 대한 원격 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측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는 기공물을 제작하는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비접촉식으로 치아를 스캐닝할 수 있어 대상 치아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체에 무해한 광원을 이용하여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치아를 스캐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촬영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보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강용 스캐너와 기공물 제조측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구강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생성된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측으로 온라인 전송하여 효율적으로 기공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기공물 제조측에서 구강용 스캐너에 대한 원격 진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삽입체(101), 본체(102), 가이드(103), 광학계(104), 광학계 구동부재(105), 촬영 소자(106), 촬영 소자 구동부재(107), 광출력 소자(108), 광센싱 소자(109), 제어 모듈(110) 및 데이터 처리 모듈(11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삽입체(101)의 프레임은 사용자의 구강 내 삽입이 가능하도록 본체(102)로부터 돌출된 삽입관 형태로써, 하나의 상부면, 두 개의 측면, 하나의 앞면 및 하나의 하부면을 포함하는 5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체(101)의 하부면은 스캐닝을 위한 광원(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광’인 것을 예로 나타냄)이 치아에 투사될 수 있도록 하고, 촬영 소자가 구강 내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광투과창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또한, 삽입체(101)의 상부면은 삽입체(101)가 구강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면이며,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이에 따라, 두 측면은 본체(102)에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체(101)의 내부를 통해 광학계(104)측으로 출력되는 광원 및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광학계(104)를 통해 광센싱 소자(109)로 입사되는 광원의 진행 경로 확보하여 광원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삽입체(101)의 내부에는 광출력 소자(108)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이하, ‘출력 광’이라고 함)을 반사시켜 치아에 투사하고,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원(이하, ‘입사 광’이라고 함)을 광센싱 소자(109)로 반사시키는 광학계(104)가 광학계 구동부재(105)를 통해 가이드(103)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103)는 광학계(104)가 삽입체(101) 내부에 연결되도록 지지하고, 제어 모듈(110)의 명령에 따라 모터(미도시) 등에 연결된 롤링 부재(미도시)를 제어하여 광학계(104)를 삽입체(101)가 삽입되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또한, 광학계 구동부재(105)는 제어 모듈(110)의 명령에 따라 광학계(104)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 광의 반사 각도를 변경시킨다. 참고로, 제 1 기준축은 도 1에서 나타낸 A축과 일치한다.
또한, 삽입체(101)의 내부에는 2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소자(106)가 촬영 소자 구동부재(107)를 통해 가이드(103)에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소자는 포토 다이오드를 수광 소자로 하고 전하연계소자(CCD: Charged Coupled Device)를 전하 전송 소자로 한 고체촬상소자 또는 COMS 센서일 수 있으며, 렌즈를 통과한 영상의 빛에 대한 정보를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촬영 소자(106)가 광학계(105) 보다 본체(102)로부터 멀리 떨어진 앞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촬영 소자(106)는 광학계(104) 보다 본체(102)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모듈(110)은 촬영 소자(106)가 광학계(104)를 통해 출력 광이 대상 치아에 투사되기 전 또는 후에 해당 치아의 상부에서 2차원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학계(104)로부터 반사되는 출력 광 및 치아로부터 반사된 입사 광이 촬영 소자(106)의 구강 내 상태 촬영 시 발생될 수 있는 빛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촬영 소자 구동부재(107)는 광학계(104)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광학계(104)의 수평 전후 이동 시 동시에 촬영 소자(106)를 수평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102)의 내부에는 광학계(104)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는 광출력 소자(108), 광학계(104)로부터 반사되는 광원을 수신하는 광센싱 소자(109), 광학계(104), 촬영 소자(106) 및 광출력 소자(108)의 각 구동을 제어하고 촬영 소자(106) 및 광센싱 소자(109)의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 모듈(110), 및 제어 모듈(110)를 통해 처리된 3차원 데이터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111)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소자(108)는 제 2 기준축에 기준하여 회전되어 출력 광의 출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 2 기준축은 상기 제 1 기준축에 수직하며, 도 1에서 나타낸 C축과 일치한다. 또한, 광출력 소자(108)는 좌우측(즉, 도 1에서 나타낸 A축)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출력 광의 출사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출력 소자(108)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인 것을 예로 나타내었으며, 크기의 제한을 위하여 가급적 소형인 광출력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센싱 소자(109)는 전하연계소자(CCD: 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위치 감별 소자(PSD: Position Sensitive Device) 등의 수광 소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SD 소자인 것을 예로 나타내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3차원 데이터 스캐닝 및 2차원 영상 촬영을 통한 치아 모델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구성을, 처리되는 데이터에 기준하여 데이터 측정부(210), 데이터 측정 제어부(220) 및 데이터 처리부(230)를 포함하는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측정부(210)의 광학계(211) 및 광학계 구동부(212)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광학계(104) 및 광학계 구동부재(105)와 동일한 개념이며, 구동 제어부(213)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제어모듈(110)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측정부(210)의 2차원 영상 촬영부(214)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촬영 소자(106)와 동일한 개념이며,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215)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촬영 소자 구동부재(107) 및 제어모듈(110)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데이터 측정 제어부(220)의 광출력부(221) 및 광센싱부(223)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광출력 소자(108) 및 광센싱 소자(109)와 동일한 개념이며, 광출력 제어부(222)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제어 모듈(110)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측정 제어부(220)의 데이터 전송부(224)는 도 1 및 도 3에서 나타낸 데이터 처리모듈(111)과 동일한 개념이다.
한편, 도 2에서 나타낸 데이터 처리부(230)는 데이터 전송부(2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치아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30)는 데이터 전송부(224)로부터 수신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구강용 스캐너(100)에 케이블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크기 제한을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230)가 외부에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에서 광출력부(221)는 광출력 제어부(222)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에 상응하도록 출력 광(즉, 레이저 광원)을 광학계(211)를 향해 출력한다. 그리고, 광출력 제어부(222)가 제어한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A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211)는 광학계 구동부(212)의 구동에 따라 설정된 반사 각도에 기초하여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구동 제어부(213)는 스캐닝할 대상 치아의 위치에 따라 광학계(211)를 수평 전후 이동시키고, 스캐닝할 부위에 상응하여 설정된 회전 각도에 따라 광학계 구동부(212)를 구동시켜 광학계(211)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 제어부(213)가 제어한 회전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B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후, 광학계(211)를 통해 반사된 출력 광이 대상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광학계(211)로 재입사되며, 이와 같은 입사 광은 광학계(211)를 통해 반사되어 광센싱부(223)로 입사된다.
즉,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출력 소자(108)로부터 출력된 출력 광이 광학계(104)에 반사되어 대상 치아에 투사되고, 대상 치아로부터 반사된 광이 다시 광학계(104)에 반사되어 광센싱 소자(109)에 입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싱 소자(109)는 PSD 소자로서, 입사 광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즉, 광센싱부(223)는 상기 생성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대상 치아의 부위 별 높이이다. 이때, 광센싱부(223)가 센싱한 높이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C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싱부(223)에 포함되는 PSD 센서는 광전자 센서로서, 광점이 표면에 맺힐 때 광에너지에 비례한 광전류가 입사점에서 발생하여 양단의 전극으로 흐르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싱부(223)는 광삼각법(optical triangulation method)을 이용한 변위 측정 방식에 따라 C축의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광삼각법은 기하광학원리(geometric optics)에 근거한 2차원 삼각법을 이용한 변위 측정 기법이다. 광삼각법에서는 광학계가 한 평면 내에 존재하며 서로 θ의 각도로 교차하는 두 개의 광축(optical axis)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때, 두 광축 중 하나는 측정물의 표면에 광점(spot)을 형성하는 집광 광축이며, 다른 하나는 광점의 영상을 수광 소자에 투광하는 영상 광축이다. 여기서, 측정물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점은 측정물의 상대 위치가 변함에 따라 집광 광축 상에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의 이동 범위를 물체궤적(object trajectorB)라 한다. 또한, 광점이 이동함에 따라 수광 소자 상의 영상 점도 이동하게 되며 이때의 영상점이 이동하는 범위를 영상궤적(image trajectory)라 하며, 영상궤적은 영상 광축의 수직 방향과
Figure pat00001
의 각도를 갖는다.
이때, 물체궤적 상의 광점 이동 거리 p와 이에 대응되는 영상점의 이동거리 q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참고로, f는 광점에 따른 영상을 수광 소자에 투영하기 위한 영상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s는 영상 렌즈와 실제 측정물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각도
Figure pat00003
는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이와 같은, 광삼각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하면 출력 광은 대상 치아의 표면에 광점을 형성하고, 대상 치아에 반사된 광(즉, 입사 광)은 다시 PSD 센서 위에 결상된다. 그러면, PSD 센서에서는 상기 입사 광의 결상 위치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치아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PSD 센서 위에 결상되는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대상 치아의 높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전송부(224)는 광출력 제어부(222) 및 구동 제어부(213)를 통해 획득한 B축 및 A축 좌표 값과 광센싱부(223)로부터 획득한 C축 좌표 값을 매칭하여 데이터 처리부(23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부(224)는 광출력 제어부(222)에 의하여 제어되는 광출력부(221)의 광의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에 따라 A 좌표 값을 산출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213)에 의하여 제어되는 광학계(211)의 반사 각도에 따라 B 좌표 값을 산출한다. 또한, 광센싱부(223)에 입사되는 광의 위치에 따라 C 좌표 값을 산출한다.
한편,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215)는 광출력부(221)의 출력 광 출력 전후에 2차원 영상 촬영부(214)가 대상 치아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215)는 2차원 영상 촬영부(214)가 촬영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부(224)로 전송한다.
그러면, 데이터 전송부(224)는 광출력 제어부(222) 및 구동 제어부(213)를 통해 획득한 A축 및 B축 좌표 값과 광센싱부(223)로부터 획득한 C축 좌표 값에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데이터 처리부(230)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입력되는 3차원 데이터 정보들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모델링하고, 입력되는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델링한 3차원 스캐닝 모델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230)의 3차원 모델 생성부(231)는 데이터 전송부(224)로부터 수신되는 3차원 데이터 정보들 중 매칭되는 A, B 및 C축 좌표 값들을 통합하여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30)의 2차원 영상 관리부(232)는 데이터 전송부(224)로부터 수신되는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파일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스캐닝 모델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233)는 생성된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과 그에 매칭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베이스 등에 저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데이터 저장부(23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구비된 화면(미도시), 데이터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되는 출력 시스템(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광학계(211), 광학계 구동부(212), 구동 제어부(213), 광출력부(221), 광출력 제어부(2220 및 광센싱부(223)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와, 2차원 영상 촬영부(214) 및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215)를 포함하는 2차원 데이터 생성부 및, 3차원 데이터와 2차원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2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와는 달리 출력 광을 2차로 반사시켜 대상 치아에 투사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삽입체(401)의 내부에 가이드(403), 제 2 광학계(404), 제 2 광학계 구동부재(405), 촬영 소자(406) 및 촬영 소자 구동부재(407)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402)의 내부에 광출력 소자(408), 제 1 광학계(409), 제 1 광학계 구동부재(410), 광센싱 소자(411), 제어모듈(412) 및 데이터 처리모듈(413)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광출력 소자(408)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광을 제 1 광학계(409)를 통해 1차 반사하여 제 2 광학계(404)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광학계 구동부재(410)는 제 1 광학계(409)를 제 2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출력 광의 출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계 구동부재(410)는 제 1 광학계(409)를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면서 출력 광의 출사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3차원 데이터 스캐닝 및 2차원 영상 촬영을 통한 치아 모델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구성을, 처리되는 데이터에 기준하여 데이터 측정부(510), 데이터 측정 제어부(520) 및 데이터 처리부(530)를 포함하는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측정부(510)의 제 2 광학계(511) 및 제 2 광학계 구동부(512)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제 2 광학계(404) 및 제 2 광학계 구동부재(405)와 동일한 개념이며, 제 2 구동 제어부(513)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제어모듈(412)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제 2 광학계(511), 제 2 광학계 구동부(512) 및 제 2 구동 제어부(513)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211), 광학계 구동부(212) 및 구동 제어부(213)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측정부(510)의 2차원 영상 촬영부(514)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촬영 소자(406)와 동일한 개념이며,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촬영 소자 구동부재(407) 및 제어모듈(412)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2차원 영상 촬영부(514) 및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 촬영부(214) 및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215)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측정 제어부(520)의 제 1 광학계(521) 및 제 1 광학계 구동부(522)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제 1 광학계(409) 및 제 1 광학계 구동부재(410)과 동일한 개념이다. 그리고, 제 1 구동 제어부(523)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제어모듈(412)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측정 제어부(520)의 광출력부(524) 및 광센싱부(525)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광출력 소자(408) 및 광센싱 소자(411)와 동일한 개념이며, 데이터 전송부(526)는 도 4 및 도 6에서 나타낸 데이터 처리모듈(413)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도 5에서 나타낸 데이터 처리부(530)는 데이터 전송부(52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치아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30)는 데이터 전송부(526)으로부터 수신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5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구강용 스캐너(100’)에 케이블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의 크기 제한을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530)가 외부에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센싱부(525), 데이터 전송부(526) 및 데이터 처리부(530)는 각각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싱부(223), 데이터 전송부(224) 및 데이터 처리부(23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에서 광출력부(524)로부터 직선으로 출력되는 출력 광(즉, 레이저 광원)이 제 1 광학계(521)를 통해 설정된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로 1차 반사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광학계(521)는 제 1 구동 제어부(523)의 제어에 따라 제 1 광학계 구동부(522)가 구동됨에 따라 설정된 출사 각도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제 1 광학계 구동부(522)는 제 1 구동 제어부(523)의 명령에 따라 제 1 광학계(521)를 상기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 광의 출사 각도를 변경시킨다. 참고로, 제 2 기준축은 도 4에서 나타낸 C축과 일치한다. 이때, 제 1 구동 제어부(523)가 제어한 출사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A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광학계 구동부(522)가 제1 광학계(521)를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출력 광의 출사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1 구동 제어부(523)가 제어한 출사 위치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A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광학계(521)를 통해 반사된 출력 광은 제 2 광학계(511)로 투사되고, 제 2 광학계(511)로부터 설정된 반사 각도로 2차 반사되어 대상 치아에 투사된다. 이때, 제 2 광학계(511)는 제 2 구동 제어부(513)의 제어에 따라 제 2 광학계 구동부(512)가 구동함에 따라 설정된 반사 각도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써, 제 2 광학계(511)는 상기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된다. 참고로, 제 1 기준축은 도 4에서 나타낸 A축과 일치한다. 이때, 제 2 구동 제어부(513)가 제어한 반사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B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후, 제 2 광학계(511)를 통해 반사된 출력 광이 대상 치아로부터 반사되어 제 2 광학계(511)로 재입사되며, 이와 같은 입사 광은 제 2 광학계(511)를 통해 반사되어 광센싱부(525)로 입사된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출력 소자(408)로부터 출력된 출력 광이 제 1 광학계(409)에 1차 반사되어 제 2 광학계(404)로 투사되고, 제 2 광학계(404)에 2차 반사된 출력 광이 대상 치아에 투사된다. 그리고, 대상 치아로부터 반사된 입사 광이 다시 제 2 광학계(404)에 반사되어 광센싱 소자(411)에 입사된다.
따라서, 광센싱부(525)는 입사 광이 입사된 위치에 따른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대상 치아의 부위 별 높이이다. 그리고, 광센싱부(525)가 센싱한 높이의 값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에 투사된 출력 광의 C축 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전송부(526)는 제 1 구동 제어부(523) 및 제 2 구동 제어부(513)를 통해 획득한 A축 및 B축 좌표 값과 광센싱부(523)로부터 획득한 C축 좌표 값을 매칭하여 데이터 처리부(530)로 전송한다.
한편,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는 광출력부(524)의 출력 광 출력 전후에 2차원 영상 촬영부(514)가 대상 치아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는 2차원 영상 촬영부(514)가 촬영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부(526)로 전송한다. 이때,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는 출력 광이 제 1 광학계(521) 및 제 2 광학계(511)에 반사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입사 광이 제 2 광학계(511)를 통해 광센싱부(525)에 결상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참고하여 상기 2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 전송부(224)는 제 1 구동 제어부(523) 및 제 2 구동 제어부(513)를 통해 획득한 A축 및 B축 좌표 값과 광센싱부(525)로부터 획득한 C축 좌표 값에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데이터 처리부(230)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530)는 입력되는 3차원 데이터 정보들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모델링하고, 입력되는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스캐닝 모델 매칭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530)의 3차원 데이터 생성부(531)는 데이터 전송부(526)로부터 수신되는 3차원 데이터 정보들 중 매칭되는 A, B 및 C축 좌표 값들을 통합하여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530)의 2차원 영상 관리부(532)는 데이터 전송부(226)로부터 수신되는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파일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533)는 생성된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과 그에 매칭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 베이스 등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과 매칭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좀 더 정확하게 보정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100’)는 제 1 광학계(521), 제 1 광학계 구동부(522), 제 1 구동 제어부(522), 제 2 광학계(511), 제 2 광학계 구동부(512), 제 2 구동 제어부(513), 광출력부(524) 및 광센싱부(525)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와, 2차원 영상 촬영부(514) 및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515)를 포함하는 2차원 데이터 생성부 및, 3차원 데이터와 2차원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5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치아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모델과 2차원 영상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측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상기 기공물 제조측으로부터 스캐닝 정보에 대한 원격 지시를 수신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5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제조 시스템(700)은 치아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스캐닝하고 2차원 데이터를 촬영하는 복수의 구강용 스캐너(711, 712), 구강용 스캐너(711, 712)로부터 각각 3차원 및 2차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대상 치아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모델의 모델링을 수행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721, 722), 네트워크(730)를 통해 사용자 단말(721, 722)와 연결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 데이터 베이스(750) 및 하나 이상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스캐너(711, 712)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 및 2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구강용 스캐너(100, 100’)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강용 스캐너(711, 712)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스캐닝 대상 치아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스캐닝하고,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대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다. 그리고, 구강용 스캐너(711, 712)는 상기 3차원 데이터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721, 722)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721, 722)은 치과 병원에 설치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강용 스캐너(711, 712)를 통해 스캐닝된 환자 치아의 3차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3차원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721, 722)은 구강용 스캐너(711, 712)를 통해 촬영된 환자 치아의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3차원 스캐닝 모델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721, 722)은 기공물 제조 시에 사용할 재료 정보(예를 들면, 금, 레진(Resin),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721, 722)은 상기 저장된 기공물의 재료 정보,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모함하는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721, 722)은 네트워크(730)를 통해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는 3차원 스캐닝 모델, 2차원 영상 데이터, 기공물의 재료 정보, 환자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721, 722)은 자체적으로 출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721, 722)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721, 722)은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 측의 원격 진료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진료 정보는 모니터(미도시) 화면으로 출력 가능한 문자 데이터이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721, 722)의 사용자가 구강용 스캐너(711, 71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진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는 네트워크(730)를 통해 사용자 단말(721, 722)로부터 환자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 중 어느 하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3차원 스캐닝 모델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한다.
이때,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는 복수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 중 각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는 각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의 기공물 제작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는 현재 기공물을 제조하고 있지 않거나, 기공물 제작 처리 개수가 최소인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를 선택하여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는 상기 수신되는 3차원 스캐닝 모델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750)에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750)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에 의해 사용자 단말(721, 722)로부터 수신된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및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네트워크(730, 76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는 네트워크(760)를 통해 연결되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로부터 환자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2차원 영상 데이터, 기공물의 재료 정보,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기공사 등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의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는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은 자체적으로 입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운용자가 입력하는 원격 진료 정보를 네트워크(760)을 통해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로 전송한다.
이때,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771, 772, 774)은 음성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입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운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또는 문자 원격 진료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740)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원격 진료 정보는 상기 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강용 스캐너(711, 712)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강용 스캐너(711, 712)의 제어 정보는 스캐닝 위치 및 스캐닝 대상 치아의 변경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진료 정보는 구강용 스캐너의 제어 정보 및 해당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삽입체 102: 본체
103: 가이드 104: 광학계
105: 광학계 구동부재 106: 촬영 소자
107: 촬영 소자 구동부재 108: 광출력 소자
109: 광센싱 소자 110: 제어 모듈
111: 데이터 처리 모듈 401: 삽입체
402: 본체 403: 가이드
404: 제 2 광학계 405: 제 2 광학계 구동부재
406: 촬영 소자 407: 촬영 소자 구동부재
408: 광출력 소자 409: 제 1 광학계
410: 제 1 광학계 구동부재 411: 광센싱 소자
412: 제어모듈 413: 데이터 처리모듈

Claims (17)

  1. 구강용 스캐너에 있어서,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 생성을 위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대해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2차원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3차원 데이터와 상기 2차원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2차원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3차원 스캐닝 모델 생성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구강용 스캐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조사된 후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 및 상기 레이저가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조사된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강용 스캐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광학계 구동부;
    상기 광출력부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 및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학계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를 포함하는 구강용 스캐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광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제 1 광학계;
    상기 제 1 광학계를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제 2 광학계;
    상기 제 2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제 2 광학계 구동부;
    상기 제 1 광학계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제 1 광학계 구동부; 및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반사되고 상기 제 2 광학계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를 포함하는 구강용 스캐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의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2차원 영상 촬영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조사될 레이저가 출력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2차원 영상 촬영부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강용 스캐너.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반사 각도의 값에 따라 결정되는 B축 좌표, 상기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의 값에 따라 결정되는 A축 좌표 및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결정된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의 높이의 값에 따른 C축 좌표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강용 스캐너.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싱부는,
    광센싱 소자에 상기 레이저가 입사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전기 신호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전기 신호 값에 상응하는 C축 좌표 값을 생성하는 구강용 스캐너.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축은 상기 3차원 데이터에 대한 A축과 동일하고, 상기 제 2 기준축은 상기 3차원 데이터에 대한 C축과 동일하며, 상기 A축 및 C축은 서로 수직인 구강용 스캐너.
  9. 제 1 항에 있어서,
    구강에 삽입 가능하도록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삽입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는 구강 내 삽입 방향과 평행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하부면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스캐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레이저가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진행하도록 하는 광투과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스캐너.
  11.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데이터 및 2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강용 스캐너로부터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스캐닝 모델 및 상기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캐닝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측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상기 구강용 스캐너에 대한 원격 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측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스캐닝 모델 정보에 상응하는 기공물을 제작하는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을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 간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복수의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의 각 기공물 제작 처리 상태에 따라 상기 스캐닝 모델 정보를 전송할 기공물 데이터 처리 단말을 선택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스캐너는,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조사된 후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 및 상기 레이저가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조사된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레이저를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광학계 구동부;
    상기 광출력부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 및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학계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광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제 1 광학계;
    상기 제 1 광학계를 통해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로 반사시키는 제 2 광학계;
    상기 제 2 광학계를 제 1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반사 각도를 제어하는 제 2 광학계 구동부;
    상기 제 1 광학계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2 기준축에 따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의 출사 각도 또는 출사 위치를 제어하는 제 1 광학계 구동부; 및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반사되고 상기 제 2 광학계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싱부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스캐너는,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의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2차원 영상 촬영부;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스캐닝 대상 치아에 조사될 레이저가 출력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2차원 영상 촬영부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2차원 영상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는 2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정보는,
    상기 구강용 스캐너의 위치 및 스캐닝 대상 치아의 변경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KR1020100002648A 2010-01-12 2010-01-12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KR10113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48A KR101137516B1 (ko) 2010-01-12 2010-01-12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48A KR101137516B1 (ko) 2010-01-12 2010-01-12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759A true KR20110082759A (ko) 2011-07-20
KR101137516B1 KR101137516B1 (ko) 2012-04-20

Family

ID=4492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48A KR101137516B1 (ko) 2010-01-12 2010-01-12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5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196A1 (ko) * 2012-09-25 2014-04-03 데오덴탈 주식회사 구강 스캐너
KR101693158B1 (ko) 2016-09-29 2017-01-05 문정본 3차원 구강 스캐너와 이를 이용한 인공물 가공장치
KR101693157B1 (ko) 2016-09-12 2017-01-05 문정본 3차원 구강 스캐너
KR102191542B1 (ko) * 2020-07-12 2020-12-15 원태희 구강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555564B1 (ko) * 2022-12-30 2023-07-19 남완현 치과용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905B1 (ko) * 2000-10-07 2003-05-0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치아 컴퓨터 모델링용 삼차원 스캐너 시스템
ES2584168T3 (es) * 2006-10-27 2016-09-26 Nobel Biocare Services Ag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obtención de datos para un componente dental y un modelo dental físico
KR100800554B1 (ko) * 2007-07-03 2008-02-04 (주)지에스엠솔루션 이동형 사진측량 시스템에서의 레이저 스캐너와 카메라영상정보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방법
JP2009297392A (ja) * 2008-06-17 2009-12-24 Panasonic Corp 口腔内スキャナ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196A1 (ko) * 2012-09-25 2014-04-03 데오덴탈 주식회사 구강 스캐너
KR101457108B1 (ko) * 2012-09-25 2014-10-31 데오덴탈 주식회사 구강 스캐너
CN104812291A (zh) * 2012-09-25 2015-07-29 德奥牙科株式会社 用于口腔的扫描仪
US9522054B2 (en) 2012-09-25 2016-12-20 Theo Dental Scanner for oral cavity
KR101693157B1 (ko) 2016-09-12 2017-01-05 문정본 3차원 구강 스캐너
KR101693158B1 (ko) 2016-09-29 2017-01-05 문정본 3차원 구강 스캐너와 이를 이용한 인공물 가공장치
KR102191542B1 (ko) * 2020-07-12 2020-12-15 원태희 구강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555564B1 (ko) * 2022-12-30 2023-07-19 남완현 치과용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516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976B1 (ko) 구강용 스캐너
KR101457108B1 (ko) 구강 스캐너
KR101977181B1 (ko) 치과용 구강스캐너 시스템
US20150097931A1 (en) Calibration of 3d scanning device
EP3865087A1 (en) Intraoral scanner with touch sensitive input
US20150002649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three-dimensional geometry of objects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WO2011118839A1 (ja) 歯科用補綴物計測加工システム
JP2019517864A (ja) 統合されたカメラを有する歯科ミラー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371211B1 (ko) 구강용 스캐너
JP4287646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6525066A (ja) 歯科用レーザデジタイザシステム
CN111031918A (zh) 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50097968A1 (en) Integrated calibration cradle
KR101137516B1 (ko)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KR101662566B1 (ko) 광학부 교환에 의해 스캔 영역과 정밀도 변경이 가능한 구강스캐너
CN109788885A (zh) 光学相干层析成像系统
KR20110068954A (ko) 구강용 스캐너
KR20150057030A (ko) 치과용 3차원 표면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358449B1 (ko) 구강용 스캐닝 장치 및 그 스캐닝 방법
Hasegawa et al. Electronic endoscope system for shape measurement
KR101425955B1 (ko)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구강스캐너
KR20150136036A (ko) 3차원 스캐닝 방법 및 스캐너 장치
US20230380927A1 (en) Medical three-dimensional image measuring device and medical image matching system
KR101671509B1 (ko) 구강 스캐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32446A (ko) 3차원 스캐닝 방법 및 스캐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