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48A -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48A
KR20160145448A KR1020150082181A KR20150082181A KR20160145448A KR 20160145448 A KR20160145448 A KR 20160145448A KR 1020150082181 A KR1020150082181 A KR 1020150082181A KR 20150082181 A KR20150082181 A KR 20150082181A KR 20160145448 A KR20160145448 A KR 2016014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agnostic
external system
uni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977B1 (ko
Inventor
이레나
이순혁
정재훈
신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메디
Priority to KR102015008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9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G06F19/321
    • G06F19/34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 일측에 카메라부가 연결되고, 카메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하여금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THE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AGNOSTIC IMAGE TO EXTERNAL SYSTEM THEREBY}
본 발명은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단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서로 다른 촬영 보조 모듈을 탈부착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촬영하고, 진단 영상 촬영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임상의가 환자를 진단할 경우 환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진단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사용된다. 치과에서는 구강용 카메라, 이비인후과에서는 내이와 비강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사용되고, 피부과에서는 피부 표면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IT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의 보편화로 일반인들이 시간상 및 공간상 제약에 구애 받지 않고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헬스케어(U-Healthcare) 산업이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가정에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진단부위를 촬영한 다음, 임상의에게 전송하여 임상적 진단을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치과 분야에서는 치아의 치료시기가 매우 중요하나, 초기 충치의 경우에는 육안으로 발견되기 어렵고 통증도 거의 없어서 일반인들이 자가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고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것도 비용적인 측면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일반인들에게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치아건강 상태를 가정에서 쉽게 진단받고, 필요한 경우에 치과 방문 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원격진료서비스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환부를 간단하게 촬영하여 병원 등 외부 시스템에 진단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원격 진단을 통해 일반인이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건강 상태에 관한 진단을 받음으로써 조기 진단을 가능케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촬영 보조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다수의 환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 영상 촬영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 일측에 카메라부가 연결되고, 카메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카메라부를 통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획득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하여금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부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 등으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 받을 수도 있고, 내부에 배터리(예컨대, 1차 혹은 2차)를 내장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는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 및 서버로 수신된 영상을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는 대상체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고, 서버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HR(Personal Health Record),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와 연결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따라 소정의 형태의 촬영 보조 모듈이 탈부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촬영 보조 모듈은 대상체의 구강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구강 내부로 삽입 시 대상체의 타액 또는 습기가 카메라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투명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구강용 렌즈 덮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촬영 보조 모듈은 대상체의 내이 또는 비강으로 삽입 가능하고 카메라부와 연결되는 일 단부의 면적은 타 단부의 면적보다 더 큰 깔때기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촬영 보조 모듈은 대상체의 피부에 대한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부의 렌즈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영상을 진단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와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일반인이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 등에서 진단 대상 부위를 손쉽게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임상의를 통해 건강 상태에 관한 조기 진단 받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촬영 보조 모듈을 이용하여, 하나의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따라 적합하게 진단부위를 촬영할 수 있어 진단 영상 촬영장치의 사용이 편리하고 그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가 획득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촬영 보조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촬영 보조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촬영 보조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치과의사, 치기공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병원 관계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대상체"는 진단을 위한 영상 촬영이 필요한 사람뿐 아니라 수의학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위해 동물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신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에는 피부나 두피, 구강, 내이, 비강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100)는 조명부(111)와 렌즈부(112)로 구성된 카메라부(110),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 카메라부(110)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101), 카메라부(110)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103), 카메라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40) 및 일측에 카메라부(110)가 연결되고, 카메라부(110)를 지지하며 전원부(130)와 통신부(140)가 포함된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은 몸체부(120)로 지칭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 등으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 받을 수도 있고, 진단 영상 촬영장치(100)에 내장된 배터리(예컨대, 1차 혹은 2차)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110)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부(110)의 조명부(111)는 생체에 안전한 균일한 광원인 백색 LED, 형광 LED, IR(Infrared Radiation)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메라부(110)의 렌즈부(112)는 영상품질 최적화를 위하여 초점거리가 10mm 내지 40㎜일 수 있고, 자동초점기능, 전자식 또는 광학식 손떨림 방지 등 흔들림에 의한 이미지 보정기능도 가질 수 있다. 특히, 렌즈부(112)는 RGB값 간의 표준편차가 0.15 이하로 화이트밸러스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해상도는 0.3㎜ 이하, 화각은 80°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10)에서는 화이트 밸런스 보정, 노이즈 제거 또는 해상도 조정 등을 통하여 영상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카메라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하여금 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게 할 수 있는데, 무선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한 원격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Bluetooth) 및 Zigbee 등 RF(Radio Frequency)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 통신은 rs232c, USB 케이블 등을 이용한 직렬통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가 획득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진단 영상 촬영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50)와 통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5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52)를 통하여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153)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51)를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150) 또는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150)가 네트워크(152)를 통하여 연결된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50)는 외부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PC, 스마트폰, 테블릿 PC, 혹은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50)는 통신부(140)로부터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영상을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수신된 영상을 외부에 마련된 서버(153)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영상 촬영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대상체마다 각각 부여된 고유식별자(예컨대, ID 등)에 따라 연대순으로(예컨대, 시간순서로) 저장해두고, 저장된 영상을 검색 또는 편집, 관리함으로써 대상체의 촬영 부위의 진단, 지속적인 관찰, 예후 등에 대한 평가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50)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 영상촬영 또는 영상 송수신 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임상의에게 촬영된 진단영상이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5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과 함께 메시지를 임상의 등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는 대상체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고, 서버(153)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HR(Personal Health Record),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와 연결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인적 정보는 이름, 성별, 국적, 나이, 주소, 연락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의료 정보는 대상체의 진료 정보, 수술 정보, 재활 또는 치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적 정보 및 의료 정보는 대상체마다 부여된 고유식별자(예컨대, ID 등)에 따라 촬영 영상 등과 함께 서버(153) 등을 통하여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촬영 보조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촬영 보조 모듈(161)은 대상체의 구강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구강 내부로 삽입 시 대상체의 타액 또는 습기가 카메라부(110)로 침투되지 않도록 투명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구강용 렌즈 덮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촬영 보조 모듈(161)은 치과 등에서 사용되어 치아우식증, 치아교정 또는 치주염 등을 진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촬영 보조 모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촬영 보조 모듈(162)은 대상체의 내이 또는 비강으로 삽입 가능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카메라부(110)와 연결되는 일 단부의 면적은 타 단부의 면적보다 더 큰 깔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촬영 보조 모듈(162)은 이비인후과 등에서 사용되어 중이염, 비염 또는 축농증 등을 진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두 질환 등의 진단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촬영 보조 모듈(163)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촬영 보조 모듈(163)은 대상체의 피부에 대한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부(110)의 렌즈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의 배율의 조정은 배율의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제 3 촬영 보조 모듈(163)은 피부과 등에서 사용되어 두피 진단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촬영 보조 모듈(163)은 등, 어깨, 팔 등의 피부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S10)한 다음, 획득된 영상을 진단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101)와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S20)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단 영상의 획득은 카메라부(110)를 통하여 획득하거나 카메라부(110)와 촬영 보조모듈을 함께 사용하여 대상체의 진단 부위에 대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 디바이스(150)에서 실시간으로 또는 사용자 선택 시점에 직접 확인이 가능하거나 네트워크(152)를 통하여 연결된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153)를 통하여 확인가능하거나 또는 서버(153)와 연결된 타 디바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병원 또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원격 진단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진단 영상 촬영장치
101: 제어부
103: 저장부
110 : 카메라부
111 : 조명부
112 : 렌즈부
120 : 몸체부
130 : 전원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 디바이스
151 : 디스플레이부
152 : 네트워크
153 : 서버
161 : 제 1 촬영 보조 모듈
162 : 제 2 촬영 보조 모듈
163 : 제 3 촬영 보조 모듈

Claims (10)

  1.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
    일측에 상기 카메라부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상기 진단 영상 촬영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 영상 촬영장치로 하여금 상기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영상 촬영장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 및 상기 서버로 상기 수신된 영상을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HR(Personal Health Record),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와 연결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따라 소정의 형태의 촬영 보조 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보조 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구강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구강 내부로 삽입 시 상기 대상체의 타액 또는 습기가 상기 카메라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투명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구강용 렌즈 덮개를 포함하는 제 1 촬영 보조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보조 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내이 또는 비강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는 일 단부의 면적은 타 단부의 면적보다 더 큰 깔때기 형태의 제 2 촬영 보조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보조 모듈은 상기 대상체의 피부에 대한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의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렌즈를 포함하는 제 3 촬영 보조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
  8.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진단을 위한 촬영 부위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촬영 부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상기 진단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와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대상체에 대한 개인정보가 저장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영상 촬영장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대상체의 인적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HR(Personal Health Record),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이와 연결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10.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82181A 2015-06-10 2015-06-10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175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81A KR101758977B1 (ko) 2015-06-10 2015-06-10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81A KR101758977B1 (ko) 2015-06-10 2015-06-10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48A true KR20160145448A (ko) 2016-12-20
KR101758977B1 KR101758977B1 (ko) 2017-07-18

Family

ID=5773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81A KR101758977B1 (ko) 2015-06-10 2015-06-10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560A (ko) * 2018-11-16 2020-05-26 이충영 꿀벌용 질병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200128981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코드스콥 다각 및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두피진단영상 생성시스템
KR20210083478A (ko) *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75065A (ko)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핵심가치 카메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368B1 (ko)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구강 내 치아의 선택적 모니터링을 통한 치아 관리 시스템
KR102499352B1 (ko) 2021-02-09 2023-02-13 주식회사 핵심가치 조사광의 파장대의 선택적 형성을 통한 구강 컨디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560A (ko) * 2018-11-16 2020-05-26 이충영 꿀벌용 질병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200128981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코드스콥 다각 및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두피진단영상 생성시스템
KR20210083478A (ko) *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75065A (ko)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핵심가치 카메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977B1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JP2022002157A (ja)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JP6417972B2 (ja) 医療画像分類システム、医療画像分類装置、医療画像分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5133A (ja) 歯科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歯科医療支援用x線センサ
EP3294106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US8915838B2 (en) Medical apparatus and medical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KR20180033106A (ko) 구강 내 x선 센서와 연동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강 내 x선 촬영장치
KR20190129247A (ko) 치아진단 방법 및 치아진단용 전자 장치
KR101583547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치아 교정 진료 시스템
US8982204B2 (en) Inspection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50074459A (ko) 사용자단말기 및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8093118A (ja) 撮像補助具、撮像装置、撮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00833A (ko) 구강 진단 시스템
KR200480257Y1 (ko)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EP2140799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system
KR20190053446A (ko) 구강 진단 시스템
JP5593008B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795161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캡슐 내시경 시스템
KR101658724B1 (ko) 체온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검이경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JP2007130227A (ja)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カプセル型内視鏡情報処理方法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JP6822459B2 (ja) 医療画像分類システム、医療画像分類装置、医療画像分類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00397A1 (en) Portable, foldable and handheld multipurpose medical instrument (opthalmotopharyngodermatoscope) for use in telemedicine to examine ears, mouth, eyes, skin, and nasal cavity and detect body temperature
KR20160144129A (ko) 피하모세혈관영상정보를 이용하는 의료기기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