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030B1 -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030B1
KR101788030B1 KR1020160074652A KR20160074652A KR101788030B1 KR 101788030 B1 KR101788030 B1 KR 101788030B1 KR 1020160074652 A KR1020160074652 A KR 1020160074652A KR 20160074652 A KR20160074652 A KR 20160074652A KR 101788030 B1 KR101788030 B1 KR 10178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data
user
medic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해
정호정
박상혁
박지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7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06F19/34
    • G06F19/34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구강의료 DB,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포함하는 전문 구강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 구강 DB, 상기 구강의료 DB의 데이터와 상기 전문 구강 DB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에 따른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결정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DB,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저장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맞춤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환자 DB,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상기 맞춤서비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병원서버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병원서버; 및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관리 DB, 및 상기 지역관리 DB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을 추출하는 관련기관 서버 추출부,를 포함하는 관련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ISK DIAGNOSIS ON ORAL DISEASE AND ORAL CARE}
본 발명은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 사용자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질환 예측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구강질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여, 평가된 위험도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예방교육을 제공하거나 또는 치과 진료를 연계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보조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구강질환의 증가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12세 충치경험 영구치아 수는 1.8개로 주요선진국 1.6개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보건복지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2012). 또한 구강질환에 따라 개인 및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데, 국내 외래진료 다빈도 상병 현황 순위 내에 구강관련 2개 상병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1위가 치아 및 치주질환으로 나타났으며, 12위는 치아우식증(충치)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강질환 발생의 고위험군인 영유아 및 학령기 어린이의 구강질환은 그 예방이 중요하지만, 적절한 의료기관 이용 빈도 격차로 인해 고위험 시기인 영유아 세대부터의 구강건강 불평등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구강질환의 조기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 증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를 위한 적절한 대응 교육 및 사전 예방 등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칫솔과 스마트폰을 연동하여 칫솔의 움직임과 양치 경과 시간을 데이터로 기록하여 구강 관리를 보조하는 전용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치 습관을 보조하는 목적의 프로그램은 단순히 구강 관리 행동에 대한 기록과 양치도구 사용 패턴 등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근본적으로 구강질환을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구강질환 발생의 고위험군인 영유아 및 학령기 어린이들의 구강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구강 위생 행동과 관련된 교육 및 관리뿐만 아니라 전문 의료기관의 검진 및 예방 진료 연계를 통해서 연령에 따른 구강관리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주기별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고,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예방 진료 혹은 구강 관리 방법을 이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의료 기관 방문을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주기적인 방문의 어려움으로 인해 적절한 예방 및 치료 시기를 놓쳐 보다 심각한 구강질환으로 진행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구강 문진 데이터, 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와 같은 의료기관에서 입력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와 칫솔질, 치실질, 가글, 식습관, 금연, 금주, 불소이용 등의 개인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구강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평가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수치적으로 평가하여,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개인별 맞춤화된 예방 교육, 구강 진료 안내, 사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구강의료 DB,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포함하는 전문 구강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 구강 DB, 상기 구강의료 DB의 데이터와 상기 전문 구강 DB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에 따른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결정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DB,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저장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맞춤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환자 DB,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상기 맞춤서비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병원서버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병원서버; 및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관리 DB, 및 상기 지역관리 DB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을 추출하는 관련기관 서버 추출부,를 포함하는 관련기관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처리부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문진표를 결정한다.
상기 문진표에 의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가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이ㄷ다.
상기 문진표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유치열기, 혼합 치열기 및 영구치열기로 구분된다.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는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 입력화면을 통해서 수집된 일정 주기 별로 반복되는 칫솔질, 치실질, 가글, 식습관, 금연, 금주, 불소이용법, 식습관 및 카메라로 촬영된 치아 이미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의 입력 화면을 통해 수집된 우식예상치면, 우식경험치면, 깨진 치아, 시린 치아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검진 통보서는 우식치아, 우식발생위험치아, 결손치아, 구내염, 연조직질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 치주질환, 악관절 이상, 치아마모증, 치아상태, 전문가의 구강위생관리,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치석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검진 내역서는 구강위생검사, 구강진료내역, 예방진료, 치료내역, 진료내용, 치료부위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출력한다.
상기 맞춤서비스는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 예방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예방교육 콘텐츠는 바른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치실질, 칫솔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는 의심 구강질환에 따른 바른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치실질, 칫솔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제공하는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치료정보 콘텐츠는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이후 상기 병원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는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을 추천하여 예약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와 이전에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전문 구강 DB의 데이터와 통합하고 분석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문진표 및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진표에 의한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관리서버의 구강의료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구강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의 전문구강 DB에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비교판단 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맞춤서비스는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 예방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는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의료 DB에 수집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그리고 이번 입력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구강질환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며, 미리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과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평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구강질환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른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상기 전문구강 DB에 저장하여, 상기 전문구강 DB에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의 정보를 상기 새로운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의심 구강질환 항목 및 상기 의심 구강질환 항목에 맞는 구강진료 가이드를 상기 전문구강DB에서 추출한다.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사용자가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와 시간을 특정하여 예약하도록 하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완료 후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상기 의료기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완료 후 사용자를 구강검진한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구강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구강검진을 완료한 상기 의료기관의 비용기준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비용청구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 서버의 병원서버 추출부를 통해 예약 가능 날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예약가능 날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 추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예약 날짜를 선택 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은, 사용자의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별 맞춤화된 예방 교육, 구강 진료 안내, 사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고, 전반적인 사용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에서 선택된 특징에 대한 가중치 부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에서 클래스를 분류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구강의료 데이터를 이용한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S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에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S200)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1)은 관리서버(100), 사용자단말(200), 병원서버(300) 및 관련기관 서버(400)가 유무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연산처리부(110), 관리서버 추출부(120), 관리서버 DB(130), 구강의료 DB(140), 전문구강 DB(150), 서비스 제공 DB(160), 관리서버 송수신부(170) 및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문진표를 결정하고, 상기 구강의료 DB(140) 및 상기 전문구강 DB(150)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진단하고 평가하여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문진표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다른 문진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문진표는 6세 미만의 사용자일 경우 유치열기, 6세이상 13세미만일 경우 혼합 치열기, 14세 이상일 경우 영구치열기의 문진표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문진표를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가 구강 문진 데이터이다.
상기 관리서버 추출부(120)는 상기 연산처리부(110)에서 결정된 문진표를 추출하고, 또한 상기 연산처리부(110)에서 결정된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추출한다.
상기 관리서버 DB(130)는 전체 기관 DB(131), 전체 병원 DB(132), 전체 사용자 DB(133), 전체 통계자료(13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체 기관 DB(131)는 보건소, 건강관련 공공기관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체 병원 DB(132)는 치과 관련 병원의 리스트 및 병원 관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전체 사용자 DB(133)는 사용자에 관한 나이, 이름, 성별, 구강질환 관련 병력, 구강질환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하며, 상기 전체 통계자료(134)는 구강 관련된 연령별 구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기관 DB(131), 전체 병원 DB(132), 전체 사용자 DB(133) 및 전체 통계자료(134)가 구분되어 있으나, 반드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DB로 통합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강의료 DB(140)는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데이터, 즉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강의료 DB(140)는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구강 문진 데이터(142), 구강검진 통보서(143), 구강검진 내역서(144), 비용청구서(145)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 시스템(1)을 통해 입력 받은 데이터로, 개인정보 동의를 거친, 상기 사용자가 단말(200)을 통해 입력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및 구강 문진 데이터(142)와, 전문 의료 기관에서 입력한 구강검진 통보서(143), 구강검진 내역서(144), 비용청구서(145) 등을 포함하며, 저장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구강 문진 데이터(142), 구강검진 통보서 (143), 구강검진 내역서(144), 비용청구서(145)에 대한 통계치를 생성하는 구강검진 통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평가에 필요한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강의료 DB(140)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의료와 관련된 데이터(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구강 문진 데이터(142), 구강검진 통보서 (143), 구강검진 내역서(144), 비용청구서(145) 등)를 상기 사용자가 접근하여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는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과 관련된 데이터이며,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 입력화면을 통해서 수집된 일정 주기 별로 반복되는 칫솔질, 치실질, 가글, 식습관, 금연 및 금주, 불소이용법, 식습관 및 카메라로 촬영된 치아 이미지 등의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142)는 상기 연산처리부(110)에서 결정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문진표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이며,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의 입력 화면을 통해 수집된 우식예상치면, 우식경험치면, 깨진 치아, 시린 치아 등의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전문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구강검진 통보서(143)에는 우식치아, 우식발생위험치아, 결손치아, 구내염 및 연조직질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 치주질환(치은출혈, 비대, 치석형성, 치주낭형성, 그 밖의 증상), 악관절 이상, 치아마모증, 그 밖의 치아상태, 전문가의 구강위생관리,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치석제거 등의 구강의료 데이터가 수집된다.
그리고 전문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구강검진 내역서(144)에는 구강위생검사(PHP검사), 구강진료내역(구강위생관리, 바른식습관, 불소이용법, 금연/금주, 칫솔질, 치실질), 예방진료(전문가 구강위생관리,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치석제거), 치료내역, 진료내용, 치료부위 등의 데이터가 수집된다.
또한 상기 구강의료DB(140)는 우식치아, 결손치아, 구내염, 연조직질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 치주질환, 악관절이상, 치아마모증, 사랑니 등과 같은 구강정보를 통계치로 형성하여, 구강관리 통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각종 구강진료와 관련된 통계지표들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비용 청구서(145)는 사용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한 경우에 그와 관련된 비용 내역이 저장된다. 상기 비용 청구서(145)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전문 구강 DB(150)는 기존에 축적된 구강과 관련된 임상적 지식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전문 구강 DB(150)는 구강진료 가이드(151),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 등 전문 구강 의료 정보를 저장하며, 최신 구강 의료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한다.
상기 구강진료 가이드(151)는 구강질환에 대한 진료 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은 구강의료 관련 데이터를 통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평가 기준 정보는 수집되는 구강의료 관련 데이터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및 구강 문진 데이터(142)와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구강검진 통보서(143), 구강검진 내역서(144) 등이 저장된 구강의료 DB(140)와,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구강 DB(150)를 통합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분석시스템을 통해 개인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전문구강 DB(150)에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출력한다. 출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은 구강질환 위험도 또는 의심 항목에 따라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사용자 및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은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군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복잡도가 낮고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반면에,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1
값과 그에 따른 초기 평균값에 따라 큰 결과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에 대하여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2
값은 클러스터링(clustering)의 과정의 중요 요소인 계산량과 군집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적응형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 방법은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3
를 결정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에 의한 초기 값 설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4
평균값이 임의의 씨드 포인트(seed point)를 중심으로 군집을 생성하고, 갱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값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각 군집이 속할 군집에 대한 확률 값을 예측함으로써 군집을 위한 계산 복잡도와 수행 시간을 단축시킨다. 우선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5
값은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가우시간 혼합 모델은 데이터 집합의 분포밀도를 단 하나의 확률밀도함수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개선한 밀도 추정 방법으로 복수 개의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로 데이터의 분포를 모델링 하는 방법으로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6
개의 확률 밀도 함수의 선형 결합으로 정의되는 전체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7
이때,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8
데이터
Figure 112016057616950-pat00009
에 대하여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0
번째 성분 파라미터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1
로 이루어진 확률밀도함수이고,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2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3
번째 성분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표현하는 혼합 가중치이다. 그리고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4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5
번째 성분이 되는 확률 밀도 함수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로서, 평균과 공분산 행렬로 이루어져있다.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 의하여 선택된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6
는 학습을 위한 씨드포인트(Seed Point)로 사용되고 초기에 선택된 각 클래스의 개수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7
에 따라 모든 특징 벡터에 대해 집단이 결정되면 각 집단에 포함된 모든 화소로부터 거리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새로운 집단의 중심이 결정된다. 즉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8
개의 특징 벡터를 가지는
Figure 112016057616950-pat00019
번째 집단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0
의 중심을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1
라고하면, 각 집단에 속하는 데이터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2
들에 의하여 새롭게 계산되는 중심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3
은 다음의 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4
이때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 방법은 데이터 집합에서 생성된 모든 집단에 대하여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5
를 만족될 때가지 계속 반복되며, 모든 집단에 대해 중심점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응형 K-means 클러스터링(clustering)은 학습 데이터 군집화 초기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통한 선택한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6
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가 임의의 군집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7
에 속할 확률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8
을 계산함으로써 각 학습데이터들이 속할 각 데이터들이 속할 군집
Figure 112016057616950-pat00029
값을 미리 예측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모든 집단에 대한 군집학습화 과정 없이 각각의 군집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0
에 속할 확률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여 군집화 시킴으로써 계산 복잡도와 수행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를 통하여 구강의료관련 데이터 베이스 집단은 각각의 군집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1
에 속하게 되고, 이때 하나의 군집에 속하는 특징들은 집단에서 가장 비슷한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그룹화 됨을 판단할 수 있다.
구강의료관련 데이터를 구성하는 구강의료 데이터, 전문구강 데이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도 3(a))와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가중치 특징 기반의 구강의료관련 데이터 분류 기법(도 3(c))을 사용한다.
구강의료관련 데이터의 다양한 특징 정보 중에서 구강질환 위험도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올바름 판별 여부와 함께 구강의료관련 데이터의 각 특징 데이터의 중요도를 판별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 간의 상관관계는 SVM(서포트벡터머신)등과 같은 선형 분류 기법 등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위험 요소와 더 큰 상관 관계를 가지며, 다른 특징 데이터들과의 차별성을 높일 수 있는 최대 마진을 가지는 구강의료관련 데이터의 특징 정보들을 선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구강 질환 위험도 분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SVM은 분류(classification)와 예측(prediction) 둘 다에 응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위험군 분류를 위해 사용한다. 일단 전체 데이터 집합에서 후보결과로 검색 된 데이터를 X 라고 하면 그 값들은 각각 구강 질환 위험도 요인에 속하는 클래스에 속하는 클래스 중 하나의 값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2
을 가진다. 이때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3
는 +1, -1과 같이 두개의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이 샘플(sample)이 속하는 클래스(class)를 결정하게 된다. 후보 샘플(sample)의 데이터(data) 부분을 하나의 좌표로 보고 해당 좌표공간에 샘플의 위치를 구하면 도 4(a)와 같다. 이때 구강의료관련 데이터에 가중치 특징이 적용되어 도 4(b)가 결정이 되면, SVM은 이러한 분포 상에서 도 4(c)와 같이 두 클래스를 구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실선과 같은 초평면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초평면은 두 클래스(class)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즉, 두 클래스(class) 사이의 차이를 가장 크게 하는 경계 영역으로 결정되고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5
는 무게벡터(weight vector)이고,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6
는 바이어스(bias)를 뜻한다. 이때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7
가 이루는 초평면이 데이터 분류의 기준이 된다. SVM은 이 분류 경계를 중심으로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8
이 되는 클래스 1영역과
Figure 112016057616950-pat00039
이 되는 클래스 영역 2로 구분하게 되며, 라그랑지안 함수와 쌍대 문제(Dual Problem)을 이용하여 이러한 플러스플레인(Plus-Plane)까지의 거리와 마이너스 플레인(Minus-Plane)까지의 거리를 넓게 해주는 다음의 최대 마진을 찾는 문제에 해당한다.
Figure 112016057616950-pat00040
본 발명에서는 다차원의 특징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형 분리가 불가능한 경우를 고려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특징
Figure 112016057616950-pat00041
를 고차원의 공간의 값
Figure 112016057616950-pat00042
로 매핑시키는 가우시안 커널
Figure 112016057616950-pat00043
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기존의 SVM이 최대 마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분리된 정보들과 경계선으로부터의 거리 척도를 계산하여 이들의 값을 확률 값으로 추출한다. 이러한 확률 값은 특정한 구강질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구강의료 데이터의 각 항목과 구강질환 위험도의 각 요인과의 관계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 값으로 이용함으로써,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를 위하여 구강의료 데이터와 구강질환 의심 항목 및 필요한 진료 가이드 등의 복잡한 관계를 도 5와 같은 그래피컬 모델로 표현 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로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검진 통보서 및 내역서, 전문구강 데이터)가 있고, 이를 통해 추정해야 할 요소로는 각 구강질환 의심항목에 대한 발견유무 및 필요한 진료 가이드 추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의료 데이터의 각 입력 특징들은 다수개의 구강질환 의심 항목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요소들을 각각의 랜덤 변수로 정의하고, 이러한 랜덤 변수들간의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을 정의하여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을 구축한다. 구축한 생성 모델의 파라미터는 최대 마진 기반(Large margin)으로 훈련하고, 구강의료 데이터의 각 요소들과 구강질환 및 진료가이드의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구강질환 의심항목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구강질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진료 가이드 요인을 추출하는 최적화 과정을 수행한다.
구강의료 데이터와 구강질환 위험도 예측을 위한 요인들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은 모델에 대해 회귀 분석을 사용하는데, 유연하고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정규과정 회기분석(Gaussian process regress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입력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커널 함수를 잘 설정해야 하는데, 기존의 다양한 커널 함수 등을 적용해 보고, 최적의 커널 함수 선정하도록 한다. 정규과정 회기분석 모델의 학습은 입력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커널 함수의 파라미터를 찾는 과정으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구강 검진 통보서 및 내역서/전문구강 데이터의 각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구강질환 위험도를 출력하는 데이터를 준비하고, 모델이 이 데이터를 가장 잘 표현하도록 커널함수의 파라미터를 학습하는데 데이터 표현정도는 우도함수(Likelihood function)으로 정의함으로써 결국 우도함수를 최대화하는 커널 함수 파라미터를 경사법(Gradient method)등을 사용하여 추정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된 정규과정 회기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임의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구강 검진 통보서 및 내역서/전문구강 데이터의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규분포를 따르는 구강질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한다.
따라서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전문구강 DB(150)에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을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 및 의료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출력한다. 출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은 구강질환 위험도 또는 의심 항목에 따라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 DB(160)는 상기 연산처리부(110)에서 결정된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방교육 콘텐츠 DB(161)와 맞춤형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 DB(162)를 포함한다.
상기 예방교육 콘텐츠 DB(161)에는 바른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치실질, 칫솔질 등 구강 위생 행동과 관련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 DB(162)에는 의심 질환에 상응하는 치료방법과 관련된 절차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를 사전에 알려주는 구강의료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의료기관 방문 전 치료 시 사용하는 치료 도구의 정보와 실제 예상되는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관련 의학적 절차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위험도 판단 및 분석결과에 의한 의심항목(치아우식, 치주질환, 구내염, 연조직질환, 구강위생상태, 부정교합)에 따라서 치료 방법 및 도구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치아우식이 의심된다면 치아우식치료와 관련된 치수치료 및 수복치료와 관련된 방법 및 도구정보 콘텐츠를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치료정보 콘텐츠는 사용자의 개인별 상황에 맞는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한다.
상기 관리서버 송수신부(170)는 상기 관리서버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문진표 또는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200), 병원서버(300) 및 관련기관 서버(400)에 송신하고, 사용자단말(200), 병원서버(3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부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문진 데이터, 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등의 구강의료 데이터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180)는 접속하는 사용자의 가입 여부를 인증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의 개인정보와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DB(210), 저장된 개인정보 및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DB(210)에서 추출하는 단말 추출부(220), 추출된 소정의 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하여 관리서버(100), 병원서버(3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100), 병원서버(3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부터의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송수신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DB(210)의 개인정보 및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는 구분되어 있으나,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병원서버(300)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환자 DB(310), 상기 환자 DB(310)로부터 사용자의 소정 정보를 추출하는 병원서버 추출부(320), 추출된 값을 상기 관리서버(100), 사용자단말(2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100), 사용자단말(2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병원서버 송수신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DB(310)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구강 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비용청구서 등의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서버 추출부(320)는 상기 환자 DB(310)에 저장된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400)은 지역관리 DB(410), 관련기관 서버 추출부(420) 및 관련기관 서버 송수신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관리 DB(410)는 관리아동리스트, 협력병원 리스트 및 관할 통계자료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 추출부(420)는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초하여 그 지역의 의료기관을 지역관리 DB(410)에서 추출한다.
상기 관련기관 서버 송수신부(430)는 추출된 의료기관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S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관리서버(100)에 접속하면,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180)에서 접속하는 사용자의 가입 여부를 인증한 후, 가입 여부가 인증 되면 사용자는 주치의 사업 동의서를 작성하여 입력한다(S110). 그러나, 상기 주치의 사업 동의서는 경우에 따라 작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연산처리부(110)는 사용자(가정 또는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의 단말 또는 서버에 부여된 계정에 의해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문진표를 결정하고, 상기 관리서버 추출부(120)는 상기 연산처리부(110)에서 결정된 문진표와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관리서버 송수신부(170)는 상기 관리서버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문진표 및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 시스템(1)이 제공하는 웹을 통해 전송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문진표를 작성하여 사용자 DB(2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저장하고 있는 개인정보,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문진표를 상기 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S115).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표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서 결정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문진표는 6세 미만의 사용자일 경우 유치열기, 6세이상 13세미만일 경우 혼합 치열기, 14세 이상일 경우 영구치열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는 특정 의료기관 서버(300)로 공유될 수 있으며, 공유 시 상기 사용자의 동의 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동의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는 구강의료 DB 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및 구강 문진 데이터(142)에 저장된다(S120).
이후 상기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구강의료 데이터(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추출한다(S130).
이후 상기 전문구강 DB(150)에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 정보를 추출한다(S135).
이후 개인 구강 데이터와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비교판단 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S140).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란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 시스템(1)의 이용이 처음인 경우에는 구강의료 DB(140)에 수집된 데이터 중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및 구강 문진 데이터(142)에 기초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혹은 의심되는 구강질환 및 구강질환의 위험도의 수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팝업 형태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 및 구강관리 가이드(예방교육 또는 예방진료)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이전 구강검진에 의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구강검진 통보서(143) 및 구강검진 내역서(144)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강의료 DB(140)에 수집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 및 구강 문진 데이터(142), 그리고 이번 입력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구강검진 통보서(143) 및 구강검진 내역서(144) 등에 기초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집 된 구강의료 DB(140)저장되어 있는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141)를 통해 개인의 구강관리 수준을 분류하는 단계와, 구강의료 DB(140)에 있는 구강 문진 데이터(142), 구강검진 통보서(143), 구강검진 내역서(144)등의 진료 내역서 및 전문구강 DB(150)에 저장되어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152)을 바탕으로 구강질환 위험도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라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출력하며, 미리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 정보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평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를 통해 추출된 구강질환 위험도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개인별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전문구강 DB(150)에 저장하여 상기 전문구강 DB(150)에 있는 기준 정보가 새로운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에 의해 새롭게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문구강 DB(150)에는 구강의료 빅데이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평가 기준은 수집되는 구강의료 데이터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문진 데이터, 구강검진 내역서 등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상황에 따른 구강질환 예방교육 콘텐츠 내용이 결정된다(S150a).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상황에 따라서 결정된 예방교육 콘텐츠가 관리서버(100)의 전문구강 DB(150) 및/또는 서비스 제공 DB(160)의 예방교육 콘텐츠 DB(161)로부터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된다(S160).
구체적으로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금연 및 금주, 칫솔질, 치실질, 가글 사용법 등과 관련된 예방교육 콘텐츠가 출력된다.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의심된 구강질환 항목이 추출(S150b)되고, 사용자의 개인별 상황에 따른 의심 구강질환 항목 및 의심 구강질환 항목에 맞는 구강진료 가이드(151)가 전문구강DB(150)에서 추출(S170)된다.
이후 상기 구강진료 가이드(151)를 바탕으로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가 결정된다(S175).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는 자신이 받을 치료를 절차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이거나, 또는 치료도구의 사용법, 치료방법 및 절차, 치료 후에 달라진 모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가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 DB(162)로부터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200)로 송출된다(S180).
이때 상기 전문구강 DB(150)에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저장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문구강 DB(150)의 기존 정보가 새롭게 갱신될 수 있다(S190).
이후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예약하는 단계로 이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에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플로우 차트(S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및 예약한다(S210).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단계(S210)는 관련기관 서버(400)의 지역관리 DB(410)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거주지역의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거주지역의 의료기관 추천 후 사용자가 거주지역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와 시간을 특정하여 예약하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고려한 의료기관 추천 서비스는 치과병원을 광고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과병원 정보, 병원이름, 진료비용, 전문성, 특이사항 등을 상기 관리서버(100)와 계약하여 입력 및 수정할 수 있고, 병원을 홍보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에만 예약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지역의 의료기관을 예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병원 서버(300)의 병원서버 추출부(320)를 통해 예약 가능 날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예약가능 날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 추출부(220)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예약 날짜를 선택 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약 단계에서 의료기관의 예약과 관련한 개인정보 동의서가 필요한 경우에는 동의서를 작성할 수 있다(S220).
이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정보를 해당 의료기관에 전송한다(S230).
이때 예약정보를 수신 받은 의료기관이 수신된 정보를 확인 후 예약 완료를 결정한다.
이후 해당 의료기관의 예약완료 후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 개인정보(이름, 성별, 학교),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등을 예약된 의료기관에 송신한다(S240). 여기서 상기 병원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 정보(이름, 성별, 학교),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등의 정보를 환자 DB(31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구강검진 실시한다(S250).
상기 병원서버 추출부(320)는 상기 사용자를 진단한 구강의료 데이터(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등)를 환자 DB(310)에 저장하고, 병원서버 송수신부(330)는 상기 사용자를 진단한 구강의료 데이터(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등)를 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를 진단한 구강의료 데이터(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등)가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된다(S260). 따라서 해당 사용자의 상기 구강의료 DB(140)는 갱신될 수 있다.
이후 각 의료기관의 비용기준정보를 바탕으로 청구금액이 결정되고 비용청구서가 상기 관리서버(100) 및 관련기관 서버(400)로 송신된다(S270).
이후 구강검진 결과지가 관리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련기관 서버(400)로 송신된다(S280).
여기서 상기 사용자를 진단한 구강의료 데이터(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 등)가 상기 관리서버(100)의 구강의료 DB(140)에 저장되는 단계(S260), 비용청구서가 상기 관리서버(100)의 구강의료 DB(140)로 송신되는 단계(S270), 구강검진 결과지가 관리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련기관 서버(400)로 송신되는 단계(S280)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강질환 위험도를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예방교육을 실시하거나 병원예약을 하여 구강검진을 유기적으로 받음으로써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구강검진 문진표, 구강검진 통보서, 구강검진 내역서와 같은 의료기관에서 입력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와 칫솔질, 치실질, 가글, 식습관, 금연, 금주, 불소이용 등의 개인 구강위생행동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구강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평가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수치적으로 평가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개인별 맞춤화된 예방 교육, 진료 안내, 사후 관리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관리서버 200: 사용자단말
110: 연산처리부 210: 사용자 DB
120: 관리서버 추출부 220: 단말 추출부
130: 관리서버 DB 230: 단말 송수신부
140: 구강의료 DB 300: 병원서버
150: 전문구강 DB 310: 환자DB
160: 서비스제공 DB 320: 병원서버 추출부
170: 관리서버 송수신부 330: 병원서버 송수신부
180: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
400: 관련기관 서버 410: 지역관리 DB
420: 관련기관서버 추출부 430: 관련기관 서버 송수신부

Claims (30)

  1.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구강의료 DB,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포함하는 전문 구강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 구강 DB, 상기 구강의료 DB의 데이터와 상기 전문 구강 DB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여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에 따른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결정하는 연산처리부 및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결정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DB,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저장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맞춤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환자 DB, 사용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상기 맞춤서비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병원서버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병원서버; 및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관리 DB, 및 상기 지역관리 DB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을 추출하는 관련기관 서버 추출부,를 포함하는 관련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기초로 사용자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을 출력하고,
    상기 맞춤서비스는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 예방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치료정보 콘텐츠는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연산처리부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문진표를 결정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문진표에 의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가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인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문진표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유치열기, 혼합 치열기 및 영구치열기로 구분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는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 입력화면을 통해서 수집된 일정 주기 별로 반복되는 칫솔질, 치실질, 가글, 식습관, 금연, 금주, 불소이용법, 식습관 및 카메라로 촬영된 치아 이미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도식화된 치열식의 입력 화면을 통해 수집된 우식예상치면, 우식경험치면, 깨진 치아, 시린 치아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8. 제5항에서,
    상기 구강검진 통보서는 우식치아, 우식발생위험치아, 결손치아, 구내염, 연조직질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 치주질환, 악관절 이상, 치아마모증, 치아상태, 전문가의 구강위생관리,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치석제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9. 제5항에서,
    상기 구강검진 내역서는 구강위생검사, 구강진료내역, 예방진료, 치료내역, 진료내용, 치료부위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강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예방교육 콘텐츠는 바른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치실질, 칫솔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서,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는 의심 구강질환에 따른 바른 구강위생행동, 불소이용방법, 예방진료, 식습관, 치실질, 칫솔질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4. 삭제
  15. 제1항에서,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이후 상기 병원서버로 전송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값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서,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는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관련된 의료기관을 추천하여 예약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8. 제1항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와 이전에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전문 구강 DB의 데이터와 통합하고 분석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
  19.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문진표 및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진표에 의한 구강 문진 데이터 및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를 관리서버의 구강의료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및 구강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의 전문구강 DB에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비교판단 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 예방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구강질환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출력하며, 미리 저장된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과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터를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평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정보 및 치료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제19항에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구강의료 DB에 수집된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그리고 이번 입력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구강검진 통보서 및 구강검진 내역서를 포함하는 구강의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3. 삭제
  24. 제19항에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은 상기 구강의료 데이터와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구강질환 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른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상기 전문구강 DB에 저장하여, 상기 전문구강 DB에 있는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기준의 정보를 새로운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5. 제19항에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 구강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의심 구강질환 항목 및 상기 의심 구강질환 항목에 맞는 구강진료 가이드를 상기 전문구강DB에서 추출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6. 제19항에서,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에게 의료기관을 추천하고, 사용자가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한 날짜와 시간을 특정하여 예약하도록 하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7. 제26항에서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은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완료 후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기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상기 구강 문진 데이터,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구강질환 위험도 평가 결과를 상기 의료기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8. 제27항에서,
    상기 의료기관의 예약완료 후 사용자를 구강검진한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구강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강의료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29. 제28항에서,
    상기 구강검진을 완료한 상기 의료기관의 비용기준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비용청구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30. 제26항에서,
    상기 의료기관 추천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 서버의 병원서버 추출부를 통해 예약 가능 날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예약가능 날짜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 추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예약 날짜를 선택 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방법.
KR1020160074652A 2016-06-15 2016-06-15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8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52A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6-06-15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652A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6-06-15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030B1 true KR101788030B1 (ko) 2017-11-15

Family

ID=6038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52A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6-06-15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030B1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66A (ko) * 2017-11-16 2019-05-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20200000833A (ko) * 2019-12-20 2020-01-03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WO2020080819A1 (ko) * 2018-10-16 2020-04-23 주식회사 큐티티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00046162A (ko) 2018-10-16 2020-05-07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00051334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큐티티 의료서비스 플랫폼 기반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KR20200054366A (ko) 2018-11-05 2020-05-20 주식회사 큐티티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 및 교육시스템
KR20200079999A (ko) * 2018-12-26 2020-07-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017774A (zh) * 2020-08-31 2020-12-01 吾征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口臭伴随症状的疾病预测模型的构建方法及系统
WO2021025230A1 (ko)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40932B1 (ko) 2020-03-23 2021-04-15 한승호 구강 데이터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44097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10044096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10083478A (ko)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28749A (ko) * 2020-08-31 2022-03-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33360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KR20220033359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42740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고차원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20220121484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덴트시그널 치아 진단 및 진료 예약 시스템
KR20220138900A (ko) * 2021-04-06 2022-10-14 주식회사 알파도 딥러닝을 이용한 반려동물 질환 추론 모듈 및 전자 장치
KR102467694B1 (ko) * 2021-11-23 2022-11-17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진료 정보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2245160A1 (ko) * 2021-05-20 2022-11-24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임상 진단 및 처방을 위한 진료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98848B1 (ko) * 2022-05-11 2023-02-10 (주)스마투스코리아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20230033207A (ko) * 2021-08-30 2023-03-08 박상일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5871A (ko)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20230045870A (ko)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WO2023063791A1 (ko) * 2021-10-14 2023-04-20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 분석 서비스와 연동되는 맞춤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272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 이미지 학습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WO2024092976A1 (zh) * 2022-11-03 2024-05-10 上海维小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口腔诊疗体系下的集团化信息管理系统
KR20240077809A (ko) 2022-11-25 2024-06-03 최재유 치주염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 생성시스템
KR20240077810A (ko) 2022-11-25 2024-06-03 최재유 치의학 데이터활용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기반 인공지능 오토라벨링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73B1 (ko) * 2012-03-22 2014-0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리-덴탈 스마트 케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73B1 (ko) * 2012-03-22 2014-0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리-덴탈 스마트 케어 서비스 방법

Cited B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63B1 (ko) * 2017-11-16 2020-05-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20190056166A (ko) * 2017-11-16 2019-05-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WO2020080819A1 (ko) * 2018-10-16 2020-04-23 주식회사 큐티티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00046162A (ko) 2018-10-16 2020-05-07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JP2022508923A (ja) * 2018-10-16 2022-01-19 キュウティーティー カンパニー 機械学習アルゴリズムを用いた口腔健康予測装置及び方法
KR102218752B1 (ko) * 2018-10-16 2021-02-23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30098125A (ko) 2018-11-05 2023-07-03 주식회사 큐티티 의료서비스 플랫폼 기반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KR20200051334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큐티티 의료서비스 플랫폼 기반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KR20200054366A (ko) 2018-11-05 2020-05-20 주식회사 큐티티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 및 교육시스템
KR102273893B1 (ko) 2018-12-26 2021-07-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9999A (ko) * 2018-12-26 2020-07-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025230A1 (ko)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11395B1 (ko) * 2019-10-14 2021-10-13 주식회사 큐티티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10044097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20210044096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311385B1 (ko) * 2019-10-14 2021-10-13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214756B1 (ko) * 2019-12-20 2021-02-09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KR20200000833A (ko) * 2019-12-20 2020-01-03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KR20210083478A (ko)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102311398B1 (ko) * 2019-12-26 2021-10-14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102240932B1 (ko) 2020-03-23 2021-04-15 한승호 구강 데이터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2017774A (zh) * 2020-08-31 2020-12-01 吾征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口臭伴随症状的疾病预测模型的构建方法及系统
KR20220028749A (ko) * 2020-08-31 2022-03-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017774B (zh) * 2020-08-31 2023-10-03 吾征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口臭伴随症状的疾病预测模型的构建方法及系统
KR102412703B1 (ko) * 2020-08-31 2022-06-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2916B1 (ko) * 2020-09-09 2022-05-03 주식회사 큐티티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KR20220033360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KR20220033359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큐티티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20042740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고차원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102453359B1 (ko) * 2020-09-28 2022-10-07 주식회사 고차원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20220121484A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덴트시그널 치아 진단 및 진료 예약 시스템
KR102541135B1 (ko) * 2021-02-25 2023-06-14 주식회사 덴트시그널 치아 진단 및 진료 예약 시스템
KR20220138900A (ko) * 2021-04-06 2022-10-14 주식회사 알파도 딥러닝을 이용한 반려동물 질환 추론 모듈 및 전자 장치
KR102537769B1 (ko) * 2021-04-06 2023-05-31 주식회사 알파도 딥러닝을 이용한 반려동물 질환 추론 모듈 및 전자 장치
WO2022245160A1 (ko) * 2021-05-20 2022-11-24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임상 진단 및 처방을 위한 진료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583918B1 (ko) * 2021-08-30 2023-09-27 박상일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3207A (ko) * 2021-08-30 2023-03-08 박상일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5871A (ko)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20230045870A (ko)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WO2023063791A1 (ko) * 2021-10-14 2023-04-20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 분석 서비스와 연동되는 맞춤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23095931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진료 정보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67694B1 (ko) * 2021-11-23 2022-11-17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진료 정보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10272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큐티티 구강 이미지 학습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KR102498851B1 (ko) * 2022-05-11 2023-02-10 (주)스마투스코리아 사용자의 치아와 관련된 유의미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498850B1 (ko) * 2022-05-11 2023-02-10 (주)스마투스코리아 사용자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속한 관리 그룹의 소속 사용자들의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비교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498848B1 (ko) * 2022-05-11 2023-02-10 (주)스마투스코리아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WO2023219215A1 (ko) * 2022-05-11 2023-11-16 (주)스마투스코리아 치아 악화 수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치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WO2024092976A1 (zh) * 2022-11-03 2024-05-10 上海维小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口腔诊疗体系下的集团化信息管理系统
KR20240077809A (ko) 2022-11-25 2024-06-03 최재유 치주염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 생성시스템
KR20240077810A (ko) 2022-11-25 2024-06-03 최재유 치의학 데이터활용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기반 인공지능 오토라벨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30B1 (ko)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US114887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spine anatomy and spine disease
JP5506912B2 (ja) 臨床決定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239491A1 (en) Patient Data Mining for Lung Cancer Screening
Ayvaci et al. The effect of budgetary restrictions on breast cancer diagnostic decisions
JP5977898B1 (ja) 行動予測装置、行動予測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行動予測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4512624A (ja) 予測モデリング
CA2465702A1 (en) Patient data mining for diagnosis and projections of patient states
JP2019526869A (ja) Cadシステム推薦に関する確信レベル指標を提供するためのcadシステムパーソナライゼーションの方法及び手段
JP2022508923A (ja) 機械学習アルゴリズムを用いた口腔健康予測装置及び方法
JP2007257565A (ja) 保健事業支援システム
KR20180011558A (ko) 표준 치료계획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3020A1 (en) Digital twin of a person
CN110046757B (zh) 基于LightGBM算法的门诊量预测系统及预测方法
JP6379199B2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データ分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1019642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Decision-Making Model for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US20220277850A1 (en) Health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oral microorganism analysis device
KR100554355B1 (ko) 개인별 맞춤 건강증진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Sathyavathi et al. Human age estima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on dental images (orthopantomogram)
JP7365747B1 (ja) 階層図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疾患診療過程異常識別システム
US20210350530A1 (en) Dental Images Correlated to the Human Geno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10005320A1 (en) Method of inferring a need for medical test
JP2022551325A (ja) 診断ツール
JP7442860B2 (ja) 歯面着色画像データを活用した非対面の歯牙う蝕危険度診断及び口腔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7364248B2 (ja) 保健指導システム、保健指導用端末、及び保健指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