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870A -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 Google Patents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870A
KR20230045870A KR1020210128694A KR20210128694A KR20230045870A KR 20230045870 A KR20230045870 A KR 20230045870A KR 1020210128694 A KR1020210128694 A KR 1020210128694A KR 20210128694 A KR20210128694 A KR 20210128694A KR 20230045870 A KR20230045870 A KR 2023004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examination
booth
examiner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425B1 (ko
Inventor
고태연
한종구
장완호
최재유
양희영
문지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to KR102021012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8Cab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몸체,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구현한다.

Description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본 발명은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이다.
구강 질환은 적절한 예방 치료 및 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많은 구강 질환 환자들은 구강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거나 치료를 의뢰하지 않는 등 아직까지는 구강 예방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구강질환은 기타 질병과는 다르게 그 예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스케일링과 같은 간단한 시술로도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정교합이 예측되는 어린이에게 간단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면 성장기 이후 교정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어 구강건강관리뿐 아니라 비용적 편익도 매 큰 것을 알 수 있다.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를 예측함에 있어 치과 의사나 치위생사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정확한 검사 및 진단 결과와 그에 따른 객관적 수치 정보가 필요하지만 구강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
구강의 2대 질환은 충치(치아우식), 치주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치주염과 치은염을 의미하는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동통도 없고 만성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져, 치주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 질환의 상태를 사전에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치주질환 및 목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가맹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정보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구강 관리 용품 가맹점으로부터 구강 관리 용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사용자의 조건 정보 및 치료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특정 구강 관리 용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고, 환자의 구강 검진 자료를 포함하는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 거주 지역 및 연령 정보를 빅데이터화한 후, 이를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 환자의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판단한다. 이어,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강 검진 지수 산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구강 건강을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한 각각의 정보들을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강 질환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구강 데이터 및 문진 데이터, 전문 의료기관을 통해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강 질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실시간성이 떨어지고 현재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인지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대면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강 검진 방식은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경제적인 낭비도 유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467(2017.05.11. 공개)(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8979(2018.06.12. 등록)(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8030(2017.10.13. 등록)(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이용시설에서 간편하게 구강 검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강질병 악화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가정과 사회의 의료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국민 건강 증진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는,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
상기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몸체는,
상기 검진자 보호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과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몸체는,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
상기 검진자가 모습을 비추는 거울;
상기 검진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화면에 표출해주는 디스플레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몸체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 시 몸체에 내장된 기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후면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카메라부는,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살균하는 살균기;
상기 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검진자 보호부는,
상기 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
상기 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하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기는,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의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하며,
상기 구강검진 진단 요청 후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제공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해주고, 상기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관련 건강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비대면으로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구강건강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구강 이미지로 구강 건강을 분석함으로써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를 통해 예방적 구강 관리를 도모해줌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에 장착된 카메라의 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 검진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는 이용자인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제어기가 내장된 몸체(110)가 구비된다.
몸체(110)는 사각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120)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검진자 보호부(120)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거나, 커튼을 설치하여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이 구강 검진자의 검진 결과를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진자 보호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121)와, 상기 몸체(110)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122)를 구비한다.
구강 검진자는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에 의해 형성된 검진자 보호부(120) 내의 검진 영역에서 구강 검진을 수행한다.
몸체(110)와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는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홈과 돌기만을 이용하여, 홈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조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검진자 보호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111, 11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검진자 보호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113, 1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113, 114)의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담 끼움 홈(111, 112)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검진자 보호체(121)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 상단 끼움 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121a)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 하단 끼움 홈(1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121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검진자 보호체(122)도 제1 검진자 보호체(121)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 상단 끼움 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 하단 끼움 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검진자 보호체(121)의 상담 끼움 돌기(121a)를 제1 상단 끼움 홈(111)에 삽입하고, 하단 끼움 돌기(121b)를 제1 하단 끼움 홈(113)에 삽입하여, 제1 검진자 보호체(121)를 몸체(110)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제2 검진자 보호체(122)의 상담 끼움 돌기를 제2 상단 끼움 홈(112)에 삽입하고, 하단 끼움 돌기를 제2 하단 끼움 홈(114)에 삽입하여, 제2 검진자 보호체(122)를 몸체(110)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끼움 홈과 돌기만을 이용하여 몸체와 보호체 간을 결합함으로써, 추후 분리시에도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끼움 홈의 깊이와 끼움 돌기의 크기를 조절하면, 몸체와 검진자 보호체 간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험 등을 통해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 홈의 깊이와 돌기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 결합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동시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단 결합부(130)는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에서 억지 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와 상단 결합부(130)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충격 완화체(110b)를 복수로 설치하여, 양자가 결합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결합부(130)에 의해 완성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를 특정 위치에 설치한 후, 설치된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몸체(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부스 이동부(140)는 360°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이동 바퀴로 구현할 수 있다. 검진 부스를 특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스 이동부(140)에는 이동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진 부스의 이동시에는 고정부를 해제하고 이동 바퀴인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가볍게 검진 부스를 밀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검진 부스를 고정 시킨다.
이와 같이 검진 부스를 검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실제 구강 검진자가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강 검진자는 해당 업장의 임직원이거나 해당 업장을 방문한 고객이 될 수 있다.
구강 검진자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의 설정 위치에 위치한 후, 디스플레이(119)에 표시된 사용 방법에 따라 조작을 하면서 구강 검진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몸체(110)의 내부에는 구강 검진 부스의 전체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116)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기(116)는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중앙처리장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구강 검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 검진 방법을 디스플레이해준다.
구강 검진자는 구강 검진을 하고자 하면, 검진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편안한 구강 검진 및 노약자 등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앉을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된 것으로 가정한다.
구강 검진자는 마련된 의자에 착좌한 후, 몸체(110)의 전면부에 마련된 거울(118)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구강 검진자는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119)의 화면을 보고, 구강 검진을 위한 조작을 한다. 즉, 구강 검진 시작 버튼을 조작하여 구강 검진을 요청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9)는 입력과 정보 제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구강 검진 시작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기(116)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검진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실행하고, 실행된 구강 검진 프로그램에 따라 구강 검진 동작을 제어한다.
구강 검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화면에 개인 정보를 입력하라는 창이 표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간략히 이름, 전화번호 등만을 간단히 입력하는 간편 검진과 등록된 개인의 의료정보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구강 검진을 요청하는 인증 검진이 있다. 인증 검진은 구강 검진자의 인증이 요청된다.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강 검진 프로세스는 동일하므로, 이하 사용이 편리한 간편 검진에 의한 구강 검진을 시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간편 검진에 의해 개인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에 몸체(11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부(115)의 사용과 이를 이용한 구강 검진 영상을 촬영하도록 안내한다.
구강 검진자는 이러한 촬영 안내를 기반으로 카메라부(115)를 이용하여 구강을 촬영한다. 구강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 완료 버튼을 조작한다.
여기서 구강 검진용 검진 부스(100)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부(115)는 다수가 이용하는 장비이므로, 청결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부(115)를 1회 사용하면 살균을 통해 항상 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예컨대, 카메라부(115)는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115b), 상기 카메라(115b)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115b)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115a), 상기 케이스(115a)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15b)를 살균하는 살균기(115c) 및 상기 카메라(115b)를 상기 케이스(115a)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115a)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이송부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모터와 모터 구동부 또는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모터 축이나 액추에이터 축에 카메라(115b)를 연결하여, 카메라(115b)를 케이스(115a)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케이스(115a)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이송부는 제어기(116)로부터 발생하는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15b)의 이송을 제어한다.
살균기(115c)는 상기 카메라(115b)를 살균하여 청결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살균기(115c)는 카메라(115b)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건조 기능을 통해 살균하는 화학적인 살균 방법, 자외선과 같은 파장을 이용하여 살균을 하는 물리적인 살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을 이용한 물리적인 살균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강 검진자가 구강 촬영을 종료하면 촬영 종료 버튼을 조작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116)는 촬영 종료 버튼이 조작되면 정확한 구강 검진을 위해, 사전에 구강 전문가들에 의해 제작된 문진을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하고, 구강 검진자가 응답하도록 한다. 여기서 문진 응답과 구강 촬영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문진 응답이 완료되면 제어기(116)는 통신 모듈을 통해 문진 응답 정보와 이용자 개인정보 및 구강 이미지 정보를 하나의 패킷으로 만들어, 원격에 위치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 검진을 요청한다.
아울러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구강 검진 결과를 수신하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구강 검진 결과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119)에 표출됨과 동시에 프린터(117)를 이용한 종이 인쇄물로 출력 가능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에 파일 또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해줄 수 있다. 사용자가 이메일을 등록하고 이메일 전송을 요청한 경우에는 이메일로도 전송해줄 수 있다.
아울러 제어기(116)는 구강 검진 요청을 수행한 후에는 미리 설정된 구강 검진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하여, 구강 검진자가 구강 검진 결과의 대기 시간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116)는 대기시간 동안 구강 검진자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광고 정보나 구강 관리를 위한 구강 관련 건강정보를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해줄 수 있다.
여기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와 구강건강 서비스서버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갖고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구강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점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한 구강 이미지는 비정형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비정형화된 구강 이미지의 보정을 위해,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방향 조절을 하여 정면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방향 조절은 구강 구조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인식하여 정면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어, 방향이 조절된 분할 이미지를 이미지 샤핀 필터(Image Sharpen Filter)로 필터링 처리하여 선명도를 높인다. 여기서 이미지 샤핀 필터로 사진의 선명도를 높이는 기법은 이미 영상 처리분야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강 이미지의 보정이 완료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한다. 이어,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의 제어기(116)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표출해주고, 구강 검진자가 선택한 출력 방식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구강 검진자에게 제공해준다.
예컨대, 구강 검진자가 종이 인쇄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116)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117)를 제어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가 종이로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린터(117)를 통해 이용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인쇄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강 검진자가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할 수단으로 이용자 스마트폰을 선택하였을 경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직접 전송한다.
여기서 구강 검진자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구강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구강검진 진단결과는 보고서 형태이며, 구강의 어느 질병이 있다는 전문의가 진단하는 정보가 아니며,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추후 다음 문제가 발생한다는 등의 상태 정보이다.
예컨대, 구강진단 결과는 10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 3단계는 좋음, 4 ~ 7단계는 보통, 8 ~ 10단계는 위험 등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구강 검진자는 구강진단 결과를 보고 단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강 관리를 한다.
특히, 구강 검진자는 이러한 구강진단 결과 보고서를 통해 구강 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이 되면(구강진단 결과 8 ~ 10단계 범위), 즉시 치과를 방문하여 자신의 구강건강을 관리하고, 구강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110)의 후면에는 후면 도어(110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면 도어(110a)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몸체(110)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를 위해 몸체(110)에 내장된 기기를 확인할 때 활용된다. 후면 도어(110a)를 이용하여 장비 교체나 A/S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110: 몸체
111, 112: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
113, 114: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
115: 카메라부
116: 제어기
117: 프린터
118: 거울
119: 디스플레이
120: 검진자 보호부
121, 122: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
130: 상단 결합부
140: 부스 이동부

Claims (6)

  1.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
    상기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2. 청구항 1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검진자 보호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과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3. 청구항 1에서, 상기 몸체는,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
    상기 검진자가 모습을 비추는 거울;
    상기 검진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화면에 표출해주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몸체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 시 몸체에 내장된 기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후면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4. 청구항 3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살균하는 살균기; 및
    상기 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5.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진자 보호부는,
    상기 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
    상기 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하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6. 청구항 3에서, 상기 제어기는,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의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하며,
    상기 구강검진 진단 요청 후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제공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해주고, 상기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관련 건강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KR1020210128694A 2021-09-29 2021-09-29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KR10262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94A KR102627425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94A KR102627425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870A true KR20230045870A (ko) 2023-04-05
KR102627425B1 KR102627425B1 (ko) 2024-01-23

Family

ID=858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94A KR102627425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764A (ja) * 1989-08-04 1991-03-20 Toshiba Corp 診察待ち時間表示装置
JP2006126996A (ja) * 2004-10-27 2006-05-18 Yoshida Dental Mfg Co Ltd デンタ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ブース及びシステム
KR20140072310A (ko) * 2012-11-30 2014-06-13 (주) 나인원 광고 영상 장치를 포함하는 광 스캐닝을 통한 개인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50467A (ko) 2015-10-30 2017-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68979B1 (ko) 2016-05-31 2018-07-23 (주)이너웨이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6713A (ko) * 2019-08-05 2021-0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진료를 위한 자판기형 이동 진료 장치 및 진료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764A (ja) * 1989-08-04 1991-03-20 Toshiba Corp 診察待ち時間表示装置
JP2006126996A (ja) * 2004-10-27 2006-05-18 Yoshida Dental Mfg Co Ltd デンタ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ブース及びシステム
KR20140072310A (ko) * 2012-11-30 2014-06-13 (주) 나인원 광고 영상 장치를 포함하는 광 스캐닝을 통한 개인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50467A (ko) 2015-10-30 2017-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868979B1 (ko) 2016-05-31 2018-07-23 (주)이너웨이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10016713A (ko) * 2019-08-05 2021-0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진료를 위한 자판기형 이동 진료 장치 및 진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425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94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eye screening
US6594607B2 (en) Medical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436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cording and Transmitting Primary Health Indicators
KR102311398B1 (ko)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06010073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환자 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25421A (ko)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U20083024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KR20210044096A (ko)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041888B1 (ko) 구강 관리 시스템
KR20230045871A (ko)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20230045870A (ko)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KR20000036955A (ko) 인터넷 홍채 진단 시스템
KR102392912B1 (ko)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102392916B1 (ko)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JP2004008289A (ja) 眼疲労緩和サービスシステム
KR20210104381A (ko)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Umar Clinical decision-making using computer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KR20020057094A (ko) 네트워크형 체어를 이용한 치과의 통합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210044097A (ko)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JP6921445B1 (ja) 歯科診療管理システム
US11337644B2 (en) Method, device and machine for calculating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properties of a material of the bone type
JP2023065876A (ja) モバイルに基づく自己口腔検診装置
Begum et al. Video Conferencing in the Intravitreal Injection Clinic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Hale Instruments: Keeping your distance
Gupta et al. Smartphones: The Future of Smart Denti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