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81A -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81A
KR20210104381A KR1020200019046A KR20200019046A KR20210104381A KR 20210104381 A KR20210104381 A KR 20210104381A KR 1020200019046 A KR1020200019046 A KR 1020200019046A KR 20200019046 A KR20200019046 A KR 20200019046A KR 20210104381 A KR20210104381 A KR 2021010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examination
eye
fundus
resul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시영
장혁재
한태화
김유리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381A/ko
Publication of KR2021010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은,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수집 단말기; 및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안구 검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eye by online}
본 발명은 안구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자가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안구를 검진 받을 수 있게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또는 눈)는 가장 소중한 신체 기관 중 하나이므로, 안구에 문제가 발생하면 신속 정확하게 처리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안구에 대해서는 전문가인 의사가 검진을 통해 정확한 처방을 해야 하고, 자기 자신이나 주위의 동료 등과 같은 비전문가가 임의로 처리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의사의 검진을 받고자 할 때에는 환자가 직접 병원을 찾아가야 하고, 이처럼 직접 병원을 찾아간 경우에도 환자가 의사의 검진을 받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안구에 대해 의심이 들 때마다 사소한 경우에조차 일일이 병원을 찾아가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불편에도 불구하고, 안구는 함부로 취급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 이므로, 의심이 날 때마다 의사의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사가 검진을 할 때, 반드시 환자를 직접 대면할 필요는 없고, 그 환자의 안구만 관찰하면 되므로, 환자의 안구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전달하면 될 것이다. 이처럼 안구에 대해 검진을 받고 싶을 때에, 환자의 안구에 대한 정보만 의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신속하게 검진을 받을 수 있고, 정확한 검진이 가능하게 되며, 환자도 병원을 직접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게 된다.
한편, 안구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가장 좋은 방법이 현재의 안구 상태에 대한 사진이나 이미지 파일을 의사에게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고액의 안구 촬영 장비를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핸드폰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안구를 촬영한 후 그 사진이나 이미지 파일 등을 의사에게 보내면 될 것이다.
그러나, 핸드폰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안구를 직접 촬영하게 되면, 그 사진이나 파일 상에 안구를 구성하는 각막, 홍채, 동공 및 결막 등이 식별 가능할 정도로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4414호(공개일 2018년 7월 3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구를 촬영한 이미지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은,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수집 단말기; 및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안구 검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는,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은,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미지 수집 단말기가,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안구 검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결과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결과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구를 촬영한 이미지를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 대상자가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안구를 검진 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력 및 시기능 측정 종합 진단시스템의 구조 및 이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안구 검사 서버(130)가 안저 이미지를 이용해 안저에 대한 진단결과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저 검사와 관련하여, 치료에서 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정기적(1년에 한번)으로 안저검사를 권장한다. 정기적인 안저검사 시 다수 질환의 초기 예측 및 진단과 예방이 가능하다. 그런데, 안저검사 판독 시 고도의 숙련의 필요하다.
해외 및 국내의 사례를 살펴보면, 인공지능/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안저 판독을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글의 경우에, 당뇨성 망막병증을 판독하기 위한 딥러닝 적용 연구(2016. JAMA)를 수행하여, InceptionV3에 12만여장의 안저영상을 입력하여 기계학습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규모 안저 사진 데이터 셋(EyePACS-1, Messidor-2)에 대하여 개발한 알고리즘과 우수한 안과전문의 7-8명의 판독 결과 비교 진행을 수행하였다.
국내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 12개 안과 질환 진단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시립보라매병원 연구팀이 수행하고 있으며, 진단할 수 있는 안과 질환으로는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신경섬유층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 등 망막안저사진에서 관찰될 수 있는 12개 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내 시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력 검사방식으로, EyeQue Personal Vision Tracker를 예시할 수 있는데, 광학 미니스코프, 스마트폰 App(myEyeQue)를 포함하며, myEyeQue 앱은 무료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광학 미니스코프를 이용하여 시력과 눈의 굴절 이상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EyeQue 미니 스코프(EQ100)를 스마트폰 화면에 부착한 뒤 myEyeQue 앱과 함께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는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력 및 시기능 측정 종합 진단시스템의 구조 및 이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력 및 시기능 측정 종합 진단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시력 및 시기능 측정 온라인 서비스, 검사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DB, 시력표 기기, 시기능 기기(contrast sensitivity, worth 4 dots, astigmatic dial 등 다양한 검사도구를 통합)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1) Amsler Grid Test(망막기능 검사) 2) Teller Visual Acuity(어린이용 객관적 시력측정검사) 3) D-15 Color Vision Test(특정 색상에 대한 감각 테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안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AI 인공지능 적용플랫폼 장치와 연동하여 안저 질환 판별하고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통해 판별 결과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100)은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 안구 검사 서버(130), 및 의료기관 서버(140)를 포함한다.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는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안저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는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로 전달한다.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는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의 무선통신을 포함한다.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는 검사 대상자에 의해 손쉽게 파지된 채 용이하게 이동되면서 조작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고안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고정된 채 안면부와 밀착됨으 로써 촬영에 따른 충분한 암실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연질의 러버재질로 이루어지는 안면보호용 커버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된 채 촬영에 필요한 여러 동작을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자유롭게 수행하기 위한 각종 콘트롤 제어부로 그 외부 구성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형식의 본체 내부면으로는 안구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홍채의 확대촬영을 가능케 한 홍채렌즈부와, 피검사자의 안면부 촬영이 가능한 안면렌즈부와, 각각의 홍채 및 안면렌즈부에서 발생된 형상의 실질적인 촬영기능을 담당하는 CCD구동부가 전술한 본체 내에 상호 유기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격 및 근접거리의 피사체 촬영와 홍채촬영을 위해 광학적 화상처리의 결상렌즈장치 및 검사자의 원활한 촬영과 홍채조명을 위해 마련되는 측방조명장치의 구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는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안구 검사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안구 검사 서버(130)가 안저 이미지를 이용해 안저에 대한 진단결과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110)로부터 실시간 검안정보를 수집하여 AI 기반 분석을 통해 다양한 안과 질환에 대한 판독하고, 의심 데이터에 대해 의료진의 직접 판독 후 추가적인 진단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안저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획득하고, 안저 이미지로부터 질환 또는 이상 소견을 검출하는 신경망 모델의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질환의 진단 또는 진단에 이용되는 보조 정보의 획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안구 검사 서버(130)는 트레이닝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보조 정보의 획득을 수행할 수 있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안구 검사 서버(130)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안구 검사 서버(130)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140)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이미지 수집 단말기(120)을 통해 개인 또는 복지관, 요양보호 센터 등에서 진단 결과가 전송되어 확인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먼저,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한다(S200 단계).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한다.
S200 단계 후에, 이미지 수집 단말기가,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안구 검사 서버로 전송한다(S202 단계).
S202 단계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한다(S204 단계).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한다.
S204 단계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 전송한다(S206 단계).
S206 단계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한다(S208 단계).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110: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
120: 이미지 수집 단말기
130: 안구 검사 서버
140: 의료기관 서버

Claims (11)

  1.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수집 단말기; 및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안구 검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는,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구 검사 서버는,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7.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검사 대상자의 안구에 대한 동공 크기 및 초점 조절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미지 수집 단말기가,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안저 이미지를 안구 검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저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구에 대한 안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획득 디바이스가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기 획득한 안저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구에 대한 질환 여부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대규모 안저 이미지들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안저 이미지에 대한 출혈, 황반 이상, 맥락막 이상, 망막 혈관 이상, 산경섬유층 결손, 녹내장성 시신경유두 변화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정보의 생성 후에,
    상기 안구 검사 서버가, 상기 생성된 진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의료진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의료기관 서버로 상기 진단결과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안구 검사방법.
KR1020200019046A 2020-02-17 2020-02-17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46A KR20210104381A (ko) 2020-02-17 2020-02-17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46A KR20210104381A (ko) 2020-02-17 2020-02-17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81A true KR20210104381A (ko) 2021-08-25

Family

ID=7749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46A KR20210104381A (ko) 2020-02-17 2020-02-17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2266A (zh) * 2021-11-18 2022-03-25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基于远程获取眼底影像的图像传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414A (ko) 2016-12-23 2018-07-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의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414A (ko) 2016-12-23 2018-07-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의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2266A (zh) * 2021-11-18 2022-03-25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基于远程获取眼底影像的图像传输方法
CN114242266B (zh) * 2021-11-18 2024-05-28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基于远程获取眼底影像的图像传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4036B (zh) 用于眼科测试和测量的方法、设备和系统
Kim et al. A smartphone-based tool for rapid, portable, and automated wide-field retinal imaging
Hogarty et al. Smartphone use in ophthalmology: what is their place in clinical practice?
EP13494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eye screening
EP3626157B1 (en) Eyeglass prescription method and system
JP7106569B2 (ja) ユーザーの健康状態を評価するシステム
Pieczynski et al. The role of telemedicine, in-home tes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alleviate an increasingly burdened healthcare system: Diabetic retinopathy
CN110338751A (zh) 使用多种照明形态的眼科检查及疾病管理
JP7376491B2 (ja) 人の眼球光学系の光学式走査を自己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0238278B2 (en) Ophthalmic information system and ophthalmic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Pujari et al. Clinical role of smartphone fundus imaging in diabetic retinopathy and other neuro-retinal diseases
CA3117117A1 (en) Portable screening devices and systems for remote opthalmic diagnostics
Xu et al. Assessment of binocular imbalance with an augmented virtual reality platform in a normal population
KR20210104381A (ko)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36956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동공 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동공 측정 방법
WO2022080307A1 (ja) 近視進行分析装置、近視進行分析システム、近視進行分析方法、及び近視進行分析プログラム
KR102283939B1 (ko) 안구촬영장치
Misra et al. Diagnosing and monitoring glaucoma with teleophthalmology
Mariakakis et al. Ocular symptom detection using smartphones
Braga et al. Clinicians’ perspectives on using mobile eye fundus cameras to screen diabetic retinopathy in primary care
KR102204112B1 (ko)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7045522B2 (ja) 患者の自覚的眼屈折を自動的に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およびブース
US202202181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ion and Eye Evaluation
Kumar et al. mNetra: A Fundoscopy based Optometer.
US20230337909A1 (en) Device for retinal neuromodulation therapy and extrafoveal reading in subjects affected by visual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