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871A -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871A
KR20230045871A KR1020210128695A KR20210128695A KR20230045871A KR 20230045871 A KR20230045871 A KR 20230045871A KR 1020210128695 A KR1020210128695 A KR 1020210128695A KR 20210128695 A KR20210128695 A KR 20210128695A KR 20230045871 A KR20230045871 A KR 2023004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examination
report
oral examination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428B1 (ko
Inventor
고태연
한종구
장완호
최재유
양희영
문지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to KR102021012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강검진 기본화면을 표시해주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약관 동의를 안내해주고, 약관 동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진 항목을 안내해주며, 안내되는 검진 항목을 구강 검진자가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을 안내하고, 정상적으로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구강 촬영 방법을 안내해주고,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면 구강검진 진단결과인 보고서의 전송 방법을 안내해주며, 보고서의 전송 방법이 선택되면,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보고서를 수신하면 선택된 보고서의 전송 방법에 따라 보고서를 전송해주는 과정을 통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Oral examination method using oral examination booth}
본 발명은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 질환은 적절한 예방 치료 및 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많은 구강 질환 환자들은 구강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거나 치료를 의뢰하지 않는 등 아직까지는 구강 예방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구강질환은 기타 질병과는 다르게 그 예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스케일링과 같은 간단한 시술로도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정교합이 예측되는 어린이에게 간단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면 성장기 이후 교정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어 구강건강관리뿐 아니라 비용적 편익도 매 큰 것을 알 수 있다.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를 예측함에 있어 치과 의사나 치위생사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정확한 검사 및 진단 결과와 그에 따른 객관적 수치 정보가 필요하지만 구강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
구강의 2대 질환은 충치(치아우식), 치주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치주염과 치은염을 의미하는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동통도 없고 만성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져, 치주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 질환의 상태를 사전에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치주질환 및 목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가맹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정보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구강 관리 용품 가맹점으로부터 구강 관리 용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사용자의 조건 정보 및 치료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특정 구강 관리 용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고, 환자의 구강 검진 자료를 포함하는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 거주 지역 및 연령 정보를 빅데이터화한 후, 이를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 환자의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판단한다. 이어,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강 검진 지수 산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구강 건강을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한 각각의 정보들을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강 질환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구강 데이터 및 문진 데이터, 전문 의료기관을 통해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강 질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실시간성이 떨어지고 현재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인지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대면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강 검진 방식은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경제적인 낭비도 유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467(2017.05.11. 공개)(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8979(2018.06.12. 등록)(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8030(2017.10.13. 등록)(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이용시설에서 간편하게 구강 검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강질병 악화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가정과 사회의 의료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국민 건강 증진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은,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제어기를 포함한 검진 부스에서, 상기 제어기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강검진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강검진 기본화면을 표시해주는 단계;
(b)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약관 동의를 안내해주고, 약관 동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진 항목을 안내해주는 단계;
(c) 안내되는 검진 항목을 구강 검진자가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을 안내하고, 정상적으로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구강 촬영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면 구강검진 진단결과인 보고서의 전송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
(e) 상기 보고서의 전송 방법이 선택되면,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구강검진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된 보고서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보고서의 전송 방법에 따라 보고서를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서는,
검진 항목에 대한 검진결과 총점과, 구강 이미지 검진을 통해 도출된 지수별 통계인 상세지수와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검진 항목은 잇몸과 잇몸 뼈 주변에 생기는 구강질환인 치주 검사 항목과 치아에 생기는 치아우식(충치) 검사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고서의 전송 방법은,
종이 인쇄물을 이용한 보고서 출력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구강검진 결과 확인 사이트에 통신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고서는,
검진 항목에 대한 성별 평균, 나이평균, 지역평균, 검진통계 그래프, 검진 통계 분석표, 현재 위치 기반의 근처 치과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고서는,
치주질환 또는 치아우식에 대한 설명정보와 구강질환 예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세지수는,
검진 항목이 치주일 경우, 치은염과 치주염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하며,
검진 항목이 치아일 경우, 치아우식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강 건강 상태정보는,
꾸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좋음 상태, 예방적 구관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주의 상태, 전문가의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좋음 상태와 주의 상태 및 위험 상태는 색상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비대면으로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고, 보고서 형태로 구강 건강 상태를 제공해줌으로써 구강 상태점검에 편리함을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구강건강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구강 이미지로 구강 건강을 분석함으로써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를 통해 예방적 구강 관리를 도모해줌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에 장착된 카메라의 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 검진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강 검진 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v는 본 발명에서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과정을 보인 화면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서 구강검진 결과인 보고서의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이 적용되는 구강 검진 부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는 이용자인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제어기가 내장된 몸체(110)가 구비된다.
몸체(110)는 사각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120)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검진자 보호부(120)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거나, 커튼을 설치하여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이 구강 검진자의 검진 결과를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진자 보호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121)와, 상기 몸체(110)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122)를 구비한다.
구강 검진자는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에 의해 형성된 검진자 보호부(120) 내의 검진 영역에서 구강 검진을 수행한다.
몸체(110)와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는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홈과 돌기만을 이용하여, 홈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조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한다.
여기서 끼움 홈의 깊이와 끼움 돌기의 크기를 조절하면, 몸체와 검진자 보호체 간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험 등을 통해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 홈의 깊이와 돌기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 결합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동시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단 결합부(130)는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에서 억지 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와 상단 결합부(130)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충격 완화체를 복수로 설치하여, 양자가 결합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결합부(130)에 의해 완성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를 특정 위치에 설치한 후, 설치된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몸체(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부스 이동부(140)는 360°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이동 바퀴로 구현할 수 있다. 검진 부스를 특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스 이동부(140)에는 이동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진 부스의 이동시에는 고정부를 해제하고 이동 바퀴인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가볍게 검진 부스를 밀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검진 부스를 고정 시킨다.
이와 같이 검진 부스를 검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실제 구강 검진자가 이를 이용하여 구강 검진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강 검진자는 해당 업장의 임직원이거나 해당 업장을 방문한 고객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상기 제어기(116)에서 구강검진을 안내하고, 수신한 보고서를 구강 검진자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은, (a)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강검진 기본화면을 표시해주는 단계(S101), (b)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약관 동의를 안내해주고, 약관 동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진 항목을 안내해주는 단계(S102 - S105), (c) 안내되는 검진 항목을 구강 검진자가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을 안내하고, 정상적으로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구강 촬영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S106 - S109), (d) 상기 (c)단계 후,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면 구강검진 진단결과인 보고서의 전송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S110 - S113), (e) 상기 보고서의 전송 방법이 선택되면,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14 - S115), 및 (f) 상기 구강검진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된 보고서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보고서의 전송 방법에 따라 보고서를 전송해주는 단계(S116 - S11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강 검진자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의 설정 위치에 위치한 후, 디스플레이(119)에 표시된 사용 방법에 따라 조작을 하면서 구강 검진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몸체(110)의 내부에는 구강 검진 부스의 전체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116)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기(116)는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중앙처리장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구강 검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검진 기본 화면을 표시해주고, 화면을 터치하라는 음성을 송출한다.
구강 검진자는 구강 검진 기본 화면을 보고 구강 검진을 하고자 하면, 검진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편안한 구강 검진 및 노약자 등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앉을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된 것으로 가정한다.
구강 검진자는 마련된 의자에 착좌한 후, 몸체(110)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119)의 화면을 보고, 구강 검진을 위한 조작을 한다. 즉, 화면을 터치한다.
화면 터치가 발생하면(S102),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약관 동의를 안내하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약관에 동의하면 구강 검진 항목 안내로 이동한다.
예컨대, 도 3b 내지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동의 등을 안내하고, 구강 검진자가 개인정보 수집 등에 동의하면(S103 - S104), 도 3g 및 도 3h와 같은 화면을 통해 검진 항목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S105).
여기서 검진 항목은 잇몸과 잇몸 뼈 주변에 생기는 구강질환인 치주 검사 항목과, 치아에 생기는 치아우식(충치) 검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구강 검진자가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 항목을 선택하면(S106), 도 3i 내지 도 3l과 같은 개인 정보 입력 안내 창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을 안내하고, 구강 검진자가 정상적으로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도 3m과 같은 안내 화면을 통해 구강 카메라로 구강을 촬영하도록 안내한다(S107 - S109).
예컨대, 도 3i 및 도 3j와 같이 성별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구강 검진자가 성별을 선택하면, 도 3k와 같이 나이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구강 검진자가 나이대를 선택하면, 도 3l과 같이 휴대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여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구강 카메라로 구강을 촬영하도록 안내한다.
구강 검진자는 촬영 안내에 따라 카메라부(115)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강을 촬영한다.
도 3m은 구강 카메라로 구강 촬영을 안내하는 화면이며, 도 3n은 구강 촬영을 위한 촬영 위치를 안내해주는 화면이다. 이어 사용자가 구강 촬영을 완료하면, 도 3o와 같은 촬영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구강 이미지를 구강 검진용으로 제출할 것인지를 질의한다. 이 질의에 구강 검진자가 제출하기를 선택하면, 제출한 구강 이미지를 구강 진자의 구강 이미지로 획득한다(S110).
구강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구강 진단을 위한 문진을 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구강 검진에 활용할 수 있다(S111 - S112). 본 발명에서는 문지 및 응답 과정을 생략하고, 구강 이미지만으로 구강 검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구강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도 3p와 도 3q와 같은 화면을 통해 구강 검진자에게 제출한 구강 이미지를 기반으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원격에 위치한 구강건강 서비스서버에 전송하여 구강검진을 요청한다(S114 - S115). 여기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와 구강건강 서비스서버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갖고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기(116)는 도 3r 및 도 3s와 같은 화면을 통해, 구강검진 진단결과인 보고서를 수신할 보고서의 전송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S113).
여기서 보고서의 전송 방법은 종이 인쇄물을 이용한 보고서 출력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구강검진 결과 확인 사이트에 통신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검진자는 종이 출력 또는 QR 전송을 선택한다.
한편,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구강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점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수신한 구강 이미지는 비정형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비정형화된 구강 이미지의 보정을 위해,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방향 조절을 하여 정면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방향 조절은 구강 구조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인식하여 정면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어, 방향이 조절된 분할 이미지를 이미지 샤핀 필터(Image Sharpen Filter)로 필터링 처리하여 선명도를 높인다. 여기서 이미지 샤핀 필터로 사진의 선명도를 높이는 기법은 이미 영상 처리분야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강 이미지의 보정이 완료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한다. 이어,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보고서)로 생성하고, 생성한 보고서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 보고서 암호화는 보고서 해킹시에도 타인이 보고서의 내용을 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기(116)는 보고서를 수신하면, 사전에 구강 검진자가 선택한 보고서 전송방법을 확인하고, 확인한 보고서 전송방법에 따라 보고서를 제공해준다(S116 - S 119).
여기서 구강검진 진단결과는 보고서 형태이며, 구강의 어느 질병이 있다는 전문의가 진단하는 정보가 아니며,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추후 다음 문제가 발생한다는 등의 상태 정보이다.
보고서의 전송 방식이 종이를 이용한 인쇄물 출력이면, 프린터(117)를 제어하여 보고서를 종이 인쇄물로 출력해주고, 사용자가 QR 전송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3t와 같이 화면에 QR 코드를 표출해준다.
구강 검진자는 화면에 표출되는 QR 코드를 자신이 휴대한 스마트폰으로 리딩한다. 이어 스마트폰에 표출되는 보고서 확인 기능을 선택하여 보고서를 확인한다.
도 4a는 구강 검진자가 검진 항목을 치주 검진으로 선택한 경우에 대한 치주검진 결과 보고서의 메인 화면이다. 보고서의 메인 화면에는 검진 항목에 대한 보고서 이름, 검진을 실행한 날짜, 로그인 시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해준다.
도 4b는 치주 검진 결과 보고서의 예시이다.
보고서에는 기본적으로 검진 항목에 대한 검진결과 총점과, 구강 이미지 검진을 통해 도출된 지수별 통계인 상세지수와,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검진 결과 총점은 치주 검진 결과인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수치화하여 보여준다. 상기 구강 건강 상태정보는 꾸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좋음 상태, 예방적 구관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주의 상태, 전문가의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좋음 상태와 주의 상태 및 위험 상태는 색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상세 지수는 각 치아 부위별 이미지와 확률로 표시해주어, 구강 검진자가 쉽게 치주 이상 위치와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검진 항목이 치주일 경우, 치은염과 치주염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한다.
도 4c는 치아(치아우식) 검진 결과 보고서의 예시이다.
보고서에는 기본적으로 검진 항목에 대한 검진결과 총점과, 구강 이미지 검진을 통해 도출된 지수별 통계인 상세지수와,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검진 결과 총점은 치아 검진 결과인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수치화하여 보여준다. 상기 구강 건강 상태정보는 꾸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좋음 상태, 예방적 구관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주의 상태, 전문가의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좋음 상태와 주의 상태 및 위험 상태는 색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상세 지수는 각 치아 부위별 이미지와 확률로 표시해주어, 구강 검진자가 쉽게 치아 이상 위치와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검진 항목이 치아일 경우, 치아우식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고서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진 항목에 대한 성별 평균 점수, 나이평균 점수, 지역평균 점수, 검진통계 그래프, 검진 통계 분석표, 현재 위치 기반의 근처 치과안내 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보고서를 통해 구강 검진자는 자신의 구강 상태에 대하여 점수로 확인하고, 성별/나이/지역 평균치와 비교하여 자신의 구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서는 도 4e 및 도 4f와 같이, 치주질환 또는 치아우식에 대한 설명정보와 구강질환 예방법을 제공해주어, 구강 검진자가 최적으로 구강질환을 관리하여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도모해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110: 몸체
115: 카메라부
116: 제어기
117: 프린터
118: 거울
119: 디스플레이
120: 검진자 보호부
121, 122: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
130: 상단 결합부
140: 부스 이동부

Claims (7)

  1.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제어기를 포함한 검진 부스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강검진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강검진 기본화면을 표시해주는 단계;
    (b)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약관 동의를 안내해주고, 약관 동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검진 항목을 안내해주는 단계;
    (c) 안내되는 검진 항목을 구강 검진자가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개인 정보 입력을 안내하고, 정상적으로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구강 촬영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구강 검진자의 구강 미지를 획득하면 문진을 안내하고, 응답을 수신하면 구강검진 진단결과인 보고서의 전송 방법을 안내해주는 단계;
    (e) 상기 보고서의 전송 방법이 선택되면,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요청정보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구강검진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된 보고서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보고서의 전송 방법에 따라 보고서를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고서는,
    검진 항목에 대한 검진결과 총점과, 구강 이미지 검진을 통해 도출된 지수별 통계인 상세지수와 구강 건강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진 항목은 잇몸과 잇몸 뼈 주변에 생기는 구강질환인 치주 검사 항목과 치아에 생기는 치아우식(충치) 검사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보고서의 전송 방법은,
    종이 인쇄물을 이용한 보고서 출력과 구강검진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구강검진 결과 확인 사이트에 통신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전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4. 청구항 1에서, 상기 보고서는,
    검진 항목에 대한 성별 평균, 나이평균, 지역평균, 검진통계 그래프, 검진 통계 분석표, 현재 위치 기반의 근처 치과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5. 청구항 1에서, 상기 보고서는,
    치주질환 또는 치아우식에 대한 설명정보와 구강질환 예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6. 청구항 1에서, 상기 상세지수는,
    검진 항목이 치주일 경우, 치은염과 치주염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하며,
    검진 항목이 치아일 경우, 치아우식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이미지와 확률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7. 청구항 1에서, 상기 구강 건강 상태정보는,
    꾸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좋음 상태, 예방적 구관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주의 상태, 전문가의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좋음 상태와 주의 상태 및 위험 상태는 색상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1020210128695A 2021-09-29 2021-09-29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102627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95A KR102627428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95A KR102627428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871A true KR20230045871A (ko) 2023-04-05
KR102627428B1 KR102627428B1 (ko) 2024-01-23

Family

ID=8588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95A KR102627428B1 (ko) 2021-09-29 2021-09-29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4488A (zh) * 2024-01-04 2024-02-06 天津医科大学口腔医院 一种口腔健康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244A (ko) * 2015-06-09 2016-1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20170050467A (ko) 2015-10-30 2017-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68979B1 (ko) 2016-05-31 2018-07-23 (주)이너웨이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0857A (ko) * 2019-04-14 2020-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검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검진 정보 제공방법
KR20210083478A (ko) *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244A (ko) * 2015-06-09 2016-1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20170050467A (ko) 2015-10-30 2017-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868979B1 (ko) 2016-05-31 2018-07-23 (주)이너웨이브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88030B1 (ko)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120857A (ko) * 2019-04-14 2020-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검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검진 정보 제공방법
KR20210083478A (ko) * 2019-12-26 2021-07-07 주식회사 큐티티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4488A (zh) * 2024-01-04 2024-02-06 天津医科大学口腔医院 一种口腔健康管理系统及方法
CN117524488B (zh) * 2024-01-04 2024-03-15 天津医科大学口腔医院 一种口腔健康管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428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4959C2 (ru) Компьютер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выдачи корректирующе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de Paula, Júnior et al. Psychosocial impact of dental esthetics on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association with malocclusion, self-Image, and oral health–related issues
KR102267197B1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1398B1 (ko)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Persson et al. A cross‐sectional survey of 5‐year‐old children with non‐syndromic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he Cleft Care UK study. Part 1: background and methodology
US20100204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US20210259807A1 (en) Method for evaluating a dental situation
KR2006010073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환자 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25421A (ko)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44096A (ko)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CN106137123A (zh) 个人口腔健康诊疗系统
KR20230045871A (ko)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방법
KR102041888B1 (ko) 구강 관리 시스템
Khan et al. Correlation of craniofacial measurements between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facial photographs
KR102627425B1 (ko)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JP6921445B1 (ja) 歯科診療管理システム
KR102392912B1 (ko)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KR20210044097A (ko)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JP2004008289A (ja) 眼疲労緩和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583918B1 (ko)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392916B1 (ko)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KR102491837B1 (ko) 치면 착색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비대면 치아우식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Umar Clinical decision-making using computer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Jedlińska et al. 3D intraoral scan and diagnostic plaster model unde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Legal protection
JP2023065876A (ja) モバイルに基づく自己口腔検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