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03B1 -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703B1
KR102412703B1 KR1020200110169A KR20200110169A KR102412703B1 KR 102412703 B1 KR102412703 B1 KR 102412703B1 KR 1020200110169 A KR1020200110169 A KR 1020200110169A KR 20200110169 A KR20200110169 A KR 20200110169A KR 102412703 B1 KR102412703 B1 KR 10241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periodontal
tooth
health care
periodon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749A (ko
Inventor
박신영
정신혜
김하영
김다영
임혜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7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의료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상기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의 유무, 괴사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 여부, 탐침시 출혈 여부, 염증 여부, 치태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 분기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RAL HEALTH CARE SERVICE IN PERIODONTAL AND PERI-IMPLANT DISEASE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을 연계하여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할 수 있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치주 질환은 국내 다빈도 상병 1위를 차지하는 중요 국민 구강 질환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주질환의 유병률은 상승하며 50대에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은 구강내 세균에 의한 염증성 질환으로 치아를 감싸는 치조골을 파괴하여 치아를 상실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므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명을 도출하여 환자들로 하여금 치주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치료에 대한 동의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에 개정된 치주질환 분류표는 여러 치주과학적 근거들에 의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나, 의사가 매번 환자의 치주상태에 대한 모든 치아의 4-6부위에 대한 치주질환 표지자 (치주낭 깊이, 치주부착소실, 동요도, 탐침시 출혈, 치태 침착, 치근 분지부 병변 여부 등)를 측정하여 진단명을 도출해야 한다.
그러나, 치주 전문의가 실제 치주과 차트를 보고 해당 로직을 점검하면서 진단명을 도출하기에는 많은 데이터를 읽고 해석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이러한 직관적인 진단명 도출에 대한 어려움은 일반 개원가에서는 더욱 심화되며 향후 치주질환 및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접근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의료 전문가들이 치주질환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치주질환 진단명 도출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60362호 (발명의 명칭: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을 연계하는 서버를 통해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에 기반하여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할 수 있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른 서버, 의료 전문가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상기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과 연계하여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상기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버, 의료 전문가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연계하는 시스템에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설문 응답과 의료 전문가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여, 기본적인 치주질환 진단명을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어, 의료 전문가가 치주 질환 진단명 도출을 위해 여러 자료를 검토해야 하는 부담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주 질환 진단명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아별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료 계획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는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의료 전문가 단말(300)의 통신 연결을 통해, 각각에 설치된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는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과 하나 이상의 의료 전문가 단말(300)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서버(100)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의료 전문가 단말(300)에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사용자의 응답과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을 희망하는 각 사용자들과 의료 전문가들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이들의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구강 건강 관리 앱이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실행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제 1 설문 항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 받기에 앞서,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회원 가입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의해서 출력된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단말일 수 있으나, 노트북, PC 등도 사용자 단말(200)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2 설문 항목을 표시하고, 이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의료 전문가 단말(300)은 서버(100)에 의해서 출력된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의료 전문가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 전문가 단말(3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단말일 수 있으나, 노트북, PC 등도 의료 전문가 단말(300)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 단말(300)에는 구강 건강 관리 앱이 전용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웹 페이지 형태로 서비스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입력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 전문가 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의료 전문가 단말(3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응답과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120)에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체제나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르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 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12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12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각종 사용자 정보, 의료 전문가 정보, 사용자 별로 수집된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 데이터, 각 의료 전문가 별로 수집된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 데이터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메모리(220), 프로세서(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의료 전문가 단말의 구성 역시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의료 전문가 단말(300)도 통신 모듈,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구강 건강 관리 앱을 설치하여 실행하거나,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구강 관리 앱 또는 웹 인터페이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구강 건강 관리 앱 등을 통해 제 1 설문 항목을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제 1 설문항목의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 표와 같다. 아래는 설명의 간단을 위해 질문 내용만 정리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응답은 주로 객관식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환자 설문 항목 1. 당뇨를 진단 받은 적이 있습니까?
2. 흡연을 하십니까?
3. 현재 임신 중이십니까?
4. 성 호르몬제를 복용 중이십니까?
5. 고혈압을 진단 받은 적이 있으십니까?
6. 심장 질환이 있으십니까?
7. 고지혈증이 있으십니까?
8. 부모나 형제 중에 치주 질환으로 인한 발치를 한 적이 있으십니까?
9. 평소 잇솔질을 하루에 3회 이상 하십니까?
10. 평소 치간 칫솔을 사용하십니까?
11. 평소 운동을 하십니까?
12. 해당하는 체중 범위를 선택해 주십시오.
13. 평소 음주 습관을 선택해주세요.
14. 잇몸 출혈이 있으십니까?
15. 치아 흔들림이 있으십니까?
16. 잇몸 붓기가 있으십니까?
17. 잇몸 통증이 있으십니까?
18. 해당하는 전신질환을 작성해주세요.
의료 전문가 단말(300)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구강 건강 관리 앱을 설치하여 실행하거나,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구강 관리 앱 또는 웹 인터페이스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 단말(300)은 구강 건강 관리 앱 등을 통해 제 2 설문 항목을 표시하고, 이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설문항목은 임플란트 유무,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bone loss)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치은 손실(gingival loss)여부 및 임플란트가 있는 치아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설문항목의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 표와 같다. 아래는 설명의 간단을 위해 질문 내용만 정리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응답은 주로 객관식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의료 전문가 설문 항목 1. CAL이 있는가?
2. Necrotizing이 있는가?
3. 전신질환이 있는가?
4. 치주 질환으로 인해 발치한 치아 수
5. Furcation involvement 가 있는가?
6.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을 해야 하는가?
7. PD 수치
8. Radiographic bone loss 가 있는가?
9. 흡연 습관
10. 당뇨가 있는가?
11. Grade
12. Inflammation 이 있는가?
13. Plaque 가 있는가?
14. BOP가 있는가?

의사 임플란트 치아 진단 문항
1. 임플란트 치아 번호
치아 선택 그림 중 번호 한 개 선택 (11~18 | 21~28 | 31~38 | 41~48)
2. BOP가 있는가?
3. Bone loss 가 있는가?
4. Gingival loss 가 있는가?

의사 치아별 정보 기록 문항
1. 치아 번호
치아 선택 그림 중 번호 한 개 선택 (11~18 | 21~28 | 31~38 | 41~48)
2. 동요도
3. 분기정도(Furcation)
4. 치주낭 깊이 정도
5. 치은퇴축(GR) 정도
통신모듈(210)은 사용자 단말(200)과 서버(1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2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체제나 구강 건강 관리 앱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가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2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르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이러한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 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40)는 메모리(22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22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한다(S410).
그리고, 서버(100)는 의료 전문가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한다(S420).
다음으로, 서버(100)는 사용자의 응답과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사용자 단말(200)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S430).
이러한 알고리즘의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 도면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주 질환 진단명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응답과 의료 전문가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된다(S500).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괴사가 있다는 응답에 따라 괴사성 치주질환(necrotizing periodontal disease)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04).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과 전신 질환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지지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 질환 또는 상태(systemic diseases or conditions affecting the periodontal supporting tissues), 치주 농양 및 근관 치주 병변(periodontal abscesses and endodontic-periodontal lesions), 치아 주변의 점막 치은 기형 및 상태(mucogingival deformities and conditions around teeth), 외상성 교합력(traumatic occlusal forces), 치태 유발 치은 질환 / 치주염을 변형시키거나 경향이 있는 보철물 및 치아 관련 요인(prostheses and tooth-related factors that modify or predispose to plaque-induced gingival diseases/periodontitis) 중 어느 하나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20). 이때, 전신질환에 대한 응답은 사용자의 응답 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가의 응답도 반영한다.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및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 건강 및 치은 건강(periodontal health and gingival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20, S526).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없다는 응답,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20, S524, S526). 즉, 염증은 없으나 출혈과 치태가 있는 경우 치태 유발 치은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염증과 치태는 없으나 출혈이 있는 경우 비 치태 유발 치은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20, S524). 즉, 염증과 치태가 있는 경우 치태 유발 치은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염증은 있으나 치태가 없는 경우 비 치태 유발 치은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및 분지부 병변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04, S508, S510).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분지부 병변이 없다는 응답 및 치주낭 깊이의 수치적 범위와 방사선적 골 소실 여부에 따라 제 1 스테이지의 치주염 내지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04, S508, S510, S514, S516).
다음으로,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있는 경우, 그 개수 및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 또는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502, S504,S508, S512).
이때,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는 각각 치주염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4 스테이지로 갈수록 진행 정도가 심각한 것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개 5개 이상이거나, 그 개수가 5개 보다 작아도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4 스테이지로 진행 정도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치주염의 진행 속도를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하고 있다.
앞선 단계에서 분류된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에 대하여, 사용자의 나이대, 흡연 습관, 당뇨 여부에 따라 각 스테이지의 치주염의 진행속도를 제 1 내지 제 3 등급(grade A ~ grade C)으로 구분할 수 있다(S530, S532, S534). 이때, 제 3 등급으로 갈수록 진행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임을 나타낸다. 즉, 흡연 정도, 당뇨의 정도가 더 심할수록 제 3 등급에 가깝게 평가된다.
도 7은 임플란트가 있는 사용자에 대한 치주 질환 진단명 도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건강(peri-implant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602, S604).
다음으로,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점막염(peri-implant mucos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602, S604, S606).
다음으로,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치은 손실 여부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및 경조직 결핍(peri-implant soft and hard tissue deficiencies)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한다(S602, S604, S606, S608).
한편, 의료 전문가는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는데, 서버(100)는 이러한 응답을 시각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아별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전문가의 응답에 기초하여 각 치아별로 입력된 정보를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의료 전문가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치아 표시 인터페이스 상에 치아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치료 계획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서버(100)는 출력된 진단명 별로 미리 설정된 치료 계획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3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치주염이 제 3 스테이지이고, 진행속도가 제 2 등급(grade B) 인 것으로 진단명이 도출된 경우에는, 1단계 치료(초기 치료)로서 SRP, 교합조정, 금연교육, 당뇨조절, 항생제 처방등의 치료 계획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2단계 치료(외과적 처치)로서 치은 절제술(gingivectomy)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 치료(회복요법)로서 보철물 강화, 근관 치료, 발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4단계 치료(유지 요법)로서 TBI(Tooth Brushing Instruction), SPT(Supportive Periodontal Therrapy)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이러한 치료 계획을 그대로 승인할 수 도 있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계획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 결정된 치료 계획은 서버(100)로 전송되고, 이후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 전문가 단말(300)에 공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150: 입력모듈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 모듈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240: 데이터베이스
250: 디스플레이
300: 관리자 단말

Claims (15)

  1. 서버, 의료 전문가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통신 연결을 통해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상기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괴사가 있다는 응답에 따라 괴사성 치주질환(necrotizing periodontal disease)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과 상기 전신 질환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지지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 질환 또는 상태(systemic diseases or conditions affecting the periodontal supporting tissues), 치주 농양 및 근관 치주 병변(periodontal abscesses and endodontic-periodontal lesions), 치아 주변의 점막 치은 기형 및 상태(mucogingival deformities and conditions around teeth), 외상성 교합력(traumatic occlusal forces), 치태 유발 치은 질환 / 치주염을 변형시키거나 경향이 있는 보철물 및 치아 관련 요인(prostheses and tooth-related factors that modify or predispose to plaque-induced gingival diseases/periodontitis) 중 어느 하나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및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 건강 및 치은 건강(periodontal health and gingival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없다는 응답,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및 분지부 병변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분지부 병변이 없다는 응답 및 치주낭 깊이의 수치적 범위와 방사선적 골 소실 여부에 따라 제 1 스테이지의 치주염 내지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있는 경우, 그 개수 및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 또는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는 각각 치주염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4 스테이지로 갈수록 진행 정도가 심각한 것임을 나타내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에 대하여, 사용자의 나이대, 흡연 습관, 당뇨 여부에 따라 각 스테이지의 치주염의 진행속도를 제 1 내지 제 3 등급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 3 등급으로 갈수록 진행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임을 나타내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문항목은 임플란트 유무,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bone loss)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치은 손실(gingival loss)여부 및 임플란트가 있는 치아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건강(peri-implant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점막염(peri-implant mucos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 및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치은 손실 여부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및 경조직 결핍(peri-implant soft and hard tissue deficiencies)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출력된 진단명 별로 미리 설정된 치료 계획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각 치아별로 의료 전문가가 입력한 정보를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치아 표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과 연계하여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의료 전문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치주 질환에 대한 제 1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제 1 설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치주 질환에 대한 제 2 설문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하는 상기 제 2 설문 항목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과 상기 의료 전문가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치주 질환의 진단명을 출력하고, 출력된 진단명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제 1 설문항목은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의 유무를 질의하는 항목, 흡연 습관, 음주 습관, 운동 습관 또는 구강 위생 습관을 질의하는 항목 및 잇몸 출혈, 치아 흔들림, 잇몸 붓기 또는 잇몸 통증을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설문항목은 부착 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의 유무, 괴사(necrotizing)의 유무,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 수, 분지부 병변(furcation involvement)의 유무,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의 수치적 범위, 방사선적 골 소실(radiographic bone loss) 여부, 탐침시 출혈(Bleeding On Probing, BOP) 여부, 염증(inflammation) 여부, 치태(plaque)의 여부를 질의하는 항목 및 치아의 식별 번호별로 동요도(mobility), 분기(furcation) 정도, 상기 치주낭 깊이의 정도, 치은퇴축(GR)의 정도를 질의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상기 괴사가 있다는 응답에 따라 괴사성 치주질환(necrotizing periodontal disease)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과 상기 전신 질환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지지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 질환 또는 상태(systemic diseases or conditions affecting the periodontal supporting tissues), 치주 농양 및 근관 치주 병변(periodontal abscesses and endodontic-periodontal lesions), 치아 주변의 점막 치은 기형 및 상태(mucogingival deformities and conditions around teeth), 외상성 교합력(traumatic occlusal forces), 치태 유발 치은 질환 / 치주염을 변형시키거나 경향이 있는 보철물 및 치아 관련 요인(prostheses and tooth-related factors that modify or predispose to plaque-induced gingival diseases/periodontitis) 중 어느 하나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및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치주 건강 및 치은 건강(periodontal health and gingival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없다는 응답,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부착 소실이 없다는 응답, 상기 전신 질환이 없다는 응답, 염증이 있다는 응답 및 치태의 유무에 따라 치태 유발 치은염(plaque-induced gingivitis) 또는 비 치태 유발 치은염(non-plaque-induced gingiv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것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및 분지부 병변이 있다는 응답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없다는 응답, 분지부 병변이 없다는 응답 및 치주낭 깊이의 수치적 범위와 방사선적 골 소실 여부에 따라 제 1 스테이지의 치주염 내지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상기 부착 소실이 있다는 응답, 상기 괴사는 없다는 응답, 치주 질환으로 발치한 치아가 있는 경우, 그 개수 및 광범위한 교합 재형성 필요 여부에 따라 제 3 스테이지의 치주염 또는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는 각각 치주염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4 스테이지로 갈수록 진행 정도가 심각한 것임을 나타내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테이지의 치주염에 대하여, 사용자의 나이대, 흡연 습관, 당뇨 여부에 따라 각 스테이지의 치주염의 진행속도를 제 1 내지 제 3 등급으로 구분하되, 제 3 등급으로 갈수록 진행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임을 나타내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문항목은 임플란트 유무,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bone loss) 여부,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치은 손실(gingival loss)여부 및 임플란트가 있는 치아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건강(peri-implant health)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없다는 응답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점막염(peri-implant mucos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고,
    임플란트가 있다는 응답 및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탐침시 출혈이 있다는 응답,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골 소실이 있다는 응답과 치은 손실 여부에 따라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 및 경조직 결핍(peri-implant soft and hard tissue deficiencies) 또는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으로 진단명을 출력하는 것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출력된 진단명 별로 미리 설정된 치료 계획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각 치아별로 의료 전문가가 입력한 정보를 상기 의료 전문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치아 표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하는 것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제 1 항과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110169A 2020-08-31 2020-08-31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1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69A KR102412703B1 (ko) 2020-08-31 2020-08-31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69A KR102412703B1 (ko) 2020-08-31 2020-08-31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49A KR20220028749A (ko) 2022-03-08
KR102412703B1 true KR102412703B1 (ko) 2022-06-24

Family

ID=8081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69A KR102412703B1 (ko) 2020-08-31 2020-08-31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84B1 (ko) 2022-12-22 2024-05-07 이마고웍스 주식회사 치아 모델의 형상 변형 방법, 치아 모델의 형상 변형 장치 및 치아 모델의 형상 변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7436A (ja) 2014-10-15 2016-05-16 デジタルワン株式会社 口腔内検診管理システム
KR101710357B1 (ko)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구강 건강 관리 엔진 및 구강 건강 관리 방법
JP2017111765A (ja)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DeNAライフサイエンス 歯周病リスク判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42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11558A (ko) * 2016-07-25 2018-02-02 (주)뷰닷소프트 표준 치료계획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0362A (ko) 2016-11-29 2018-06-07 이형철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7436A (ja) 2014-10-15 2016-05-16 デジタルワン株式会社 口腔内検診管理システム
JP2017111765A (ja)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DeNAライフサイエンス 歯周病リスク判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10357B1 (ko)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구강 건강 관리 엔진 및 구강 건강 관리 방법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49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ssmann Dental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are essential for evidence-based prosthetic dentistry
Gorrel Tooth resorption in cat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ptions
KR102267197B1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45390B2 (en) Coordination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US20160038092A1 (en) Applying non-real time and non-user attended algorithms to stored non-imaging data and existing imaging data for obtaining a dental diagnosis
US201403305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st-Treatment Patient Compliance System
US20040236608A1 (en) Medical and dental software program
Müller Campanile et al.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patients in maintenance care in a private practice
US20200100724A1 (en) Applying non-real time and non-user attended algorithms to stored non-imaging data and existing imaging data for obtaining a dental diagnosis
Shen et al.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assisted dental monitoring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O2021191070A1 (en) Oral health assessment for generating a dental treatment plan
KR102412703B1 (ko)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0362A (ko)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Tormena et al. The effect of inadequate access to peri‐implant hygiene on marginal bone level. A 4‐year cohort prospective study
LT6296B (lt) Odontologijos paciento protezavimo gydymo procesą administruojantis būdas ir sistema
JP6356899B1 (ja) 歯科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Ower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periodontal and peri-implant diseases
Snider Clinical Assessment of Dental Monitoring Oral Hygiene Protocol: A Prospective Study
JP2021157320A (ja) 歯科診療管理システム
KR102583918B1 (ko)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240194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invisible dental braces containing pressure-sensitive sensors
Thieu et 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mong patients with both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 and tooth-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a pilot study
Abrahamyan et al. A practical approach to evidence-based dentistry: IX: How to appraise and use an article about economic analysis
Nascimento et al. Temporary tooth separation to improve assessment of approximal caries lesions: A school-based study
Shaikh et al. AI in Oral Health and Oral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