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359B1 -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359B1
KR102453359B1 KR1020200125938A KR20200125938A KR102453359B1 KR 102453359 B1 KR102453359 B1 KR 102453359B1 KR 1020200125938 A KR1020200125938 A KR 1020200125938A KR 20200125938 A KR20200125938 A KR 20200125938A KR 102453359 B1 KR102453359 B1 KR 10245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toothbrush
information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740A (ko
Inventor
고성준
차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차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차원
Priority to KR102020012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00Machines for finishing brushes
    • A46D9/02Cutting; Tr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한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 질문 정보를 제공하고, 질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뷰 유닛; 및 인터뷰 유닛을 통해 획득한 답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는 타입 도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System for customizing goods for cleaning mouse by analyzing condition of users}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의 진단과 분석에 따라 구강의 청결 제품을 사용자별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국내 주요 일간지 중 하나에서 보도된 바에 따르면, 치아 건강 소화·인지 기능·혈관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고 한다(http://health.chosun.com).
본 보도에 따르면, i) 소화기에 악영향으로서, 치아의 부실로 인하여 충분히 씹지 않으면 침이 분비되지 않고,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아서 위·장 소화기에 많은 부담을 줘 소화불량,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기 쉽다고 한다. 침 뿐 아니라 활성산소를 없애는 역할을 하는 페록시다아제라는 효소도 잘 나오지 않으며, 치아가 건강하지 않은 노인일수록 빨리 늙는다는 덴마크의 연구결과도 보도하고 있다.
ii) 아울러, 인지기능 저하도 언급한다. 치아 건강은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일본 도호쿠대학 연구팀이 70세 이상 노인 1167명을 조사했더니, 인지기능이 정상인 그룹의 치아 개수는 14.9개인 반면, 치매 환자의 치아 개수는 9.4개였다고 한다. 치아 개수가 많은 사람이 뇌 기능이 좋다는 의미이며, 이는 윗니와 두개골이 연결돼 있어서 음식물을 씹으면 뇌의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잘 씹어서 영영섭취가 충분히 이뤄지는 것도 뇌 기능 향상에 영향을 준다.
iii) 마지막으로, 부실한 치아는 심혈관계도 나빠진다고 한다. 즉, 치아 건강은 심혈관계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미국 콜롬비아대학 연구팀이 지난해 ‘미국심장협회보’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치아 주변에 플라크(치석, 세균, 음식물찌꺼기 등)가 잘 쌓이지 않은 사람일수록 동맥경화 발병 위험이 낮고, 병의 진행도 느렸다고 한다. 플라크는 잇몸을 통해 혈액 속으로 들어가 혈관을 막히게 하며, 또 사이토카인의 과다분비를 유발해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한다고 한다.
이처럼, 치아 건강은 치아 그 자체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치아 문제가 인체에 다양한 부수적인 문제점을 도미노 현상처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치아 건강이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절대 다수의 일반 대중은 자신의 치아 상태와 치아 문제에 적합한 치아 및 구강 청결 상태를 유지 혹은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대부분의 일반 대중은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기성 칫솔 제품과 치약 제품을 사용하여, 치아 및 구강 전반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적합한 처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치아 건강과 이에 대한 적절한 문제의 해결에 대한 기술적인 접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소수에 해당하나 선행 공개기술들이 존재하는데, 예컨대, "치아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맞춤치약 판매시스템(공개번호 특2001-0056801호, 특허문헌1)"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일반인의 치아상태 검진을 통하여 얻어진 개인별 치아진단정보 및 신상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가맹 치과병원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치과단말컴퓨터; 치아건강 및 질환상태별로 적합한 맞춤치약 정보를 저장하는 맞춤치약 데이터테이블 메모리; 치과단말컴퓨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개인별 신상정보와 함께 치아상태정보를 받아들여 맞춤치약 데이터테이블에 조회하는 것으로 개인별 치아상태에 따른 치유 및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맞춤치약 정보를 획득하고 개인별 맞춤치약의 사용일정 및 차기 검진방문일정을 관리하는 중앙관제컴퓨터; 중앙관제컴퓨터를 통하여 수집된 개인별 치아상태정보 및 신상정보와 처방 맞춤치약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개인별 데이터베이스;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치약을 공급하기 위한 판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아울러, "준수 모니터링을 위한 시각적 인식을 갖는 구강 위생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18-0125507호, 특허문헌2)"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구강 위생 디바이스의 위치상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별개의 광학 센서를 갖는 구강 위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칫솔질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특허문헌2의 경우, 광학 센서는 단독으로 또는 모션 센서 데이터와 조합하여 사용자의 입에 대한 구강 위생 디바이스의 위치 및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2에 따른 시스템은 칫솔질의 품질, 양 및 위치를 결정하고 칫솔질의 품질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치석, 충치 및 치은염을 감소로 이어지는 사용자가 자신의 칫솔질 습관을 증가시키는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또한,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공개번호 제10-2017-0075334호, 특허문헌3)"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의 경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특허문헌3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경우,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 및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구강 이미지 상에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종래의 위 기술들은 구강의 상태에 맞추어 칫솔의 개별적이며 구체적인 설계의 접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치약의 맞춤 개발 역시 구강의 상태에 해당하는 부분만 접근할 뿐, 구강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까지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01-0056801호 공개번호 제10-2018-0125507호 공개번호 제10-2017-0075334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사용자의 치아 및 구강의 상태에 맞추어, 사용자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사용자 맞춤형 제품의 제공을 위하여 면밀한 사용자 상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분석된 사용자 컨디션에 따라 구강 상태에 맞추어진 제품의 설계와 이에 대한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한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질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질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뷰 유닛; 및 상기 인터뷰 유닛을 통해 획득한 상기 답변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는 타입 도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질문 정보는, 상기 답변 정보 내에 상기 사용자의 구강 상태의 증상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니즈 정보가 구비되도록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는, 상기 증상 정보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는, 잇몸 증상, 충치 증상, 시린 증상, 입냄새 증상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니즈 정보는, 상기 증상 정보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는, 잇몸 개선, 충치 개선, 시림 개선, 입냄새 개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키는 브러시 커스텀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브러시 커스텀 유닛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파이버(fiber)의 상단 팁의 에지 각을 조절하는 파이버 팁 조절부; 및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파이버(fiber)의 굵기를 조절하는 파이버 굵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브러시 커스텀 유닛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면(head face)으로부터 칫솔 파이버(fiber)의 앵글(angle)을 조절하는 파이버 앵글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브러시 커스텀 유닛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의 평면 형상을 조절하는 헤드 형상 조절부; 및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손잡이 대비 상기 칫솔 헤드의 앵글을 조절하는 헤드 앵글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치약 내 개별 성분의 설정과 설정된 상기 개별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치약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키는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별 성분은, i)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ii)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iii) 불소(F) 또는 iv)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상기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은, 상기 치약 내 상기 개별 성분 취사 선택하도록 하는 성분 조절부; 및 상기 치약 내 상기 개별 성분 상호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성분 밸런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한 문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디션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분석한다.
둘째, 사용자의 컨디션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사용자의 컨디션과 니즈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자의 컨디션과 니즈 분석에 따라, 사용장에게 제공하는 칫솔과 치약의 미세 설계가 자동으로 전산화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구독하는 사용자의 시간의 추이에 따른 컨디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컨디션의 변화에 따른 칫솔 및 치약의 설계의 변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독자에게 추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인터뷰 유닛이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는 질문 정보의 예시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타입 도출 유닛이 사용자의 증상과 니즈에 따라 사용자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브러시 커스텀 유닛이 칫솔을 자동 전산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브러시 커스텀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이 치약을 자동 전산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인터뷰 유닛이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는 질문 정보의 예시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타입 도출 유닛이 사용자의 증상과 니즈에 따라 사용자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브러시 커스텀 유닛이 칫솔을 자동 전산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브러시 커스텀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이 치약을 자동 전산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중,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답변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의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을 전산적으로 수행하고, 칫솔이나 치약 등의 제품이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져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제시하는 질문 정보를 제시받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톱(desktop PC), 랩탑(laptop PC)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면 족하며, 내부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존재와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및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가 구비되는 형태이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한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하여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의학적인 질문 즉, 문진을 제공받으며, 이에 대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인터뷰 유닛(interview unit, 110)과 타입 도출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인터뷰 유닛(11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로 질문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인터뷰 유닛(110)은 사용자가 질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인터뷰 유닛(110)이 제공하는 질문정보와는 달리, 답변 정보는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순히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되어, 답변의 형태를 정형화 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인터뷰 유닛(110)에서 제시하는 질문 정보에는 답변 정보에서 구강상태의 증상 정보와 사용자의 니즈 정보가 반영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제시된다. 이는 도 3 내지 11에서의 예시와 같이 질문 정보가 제시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11의 답변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증상과 니즈가 분석될 수 있도록 한다.
타입 도출 유닛(120)의 경우, 인터뷰 유닛(10)을 통해 획득한 답변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타입 도출 유닛(120)을 사용자가 도 3 내지 11에서 선택한 답변에 따라 사용자의 증상을 복수 개 예컨대, 네 가지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사용자의 니즈도 복수 개 예컨대 네 가지로 분류하여 획득하여 이들에 따라 패턴화 하게 된다.
사용자의 증상은 개별 증상마다 중, 준중, 경, 예비 등의 단계로 구분 지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구강의 상태에 따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패턴화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는 잇몸 증상, 충치 증상, 시린 증상, 혹은 입냄새 증상 등으로 분류화, 카테고리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니즈 정보 역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카테로리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카테고리는 잇몸 개선, 충치 개선, 시림 개선, 입냄새 개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니즈 정보는 증상 정보와 매칭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타입 도출 유닛(120)의 경우, 구강 컨디션 정보를 도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증상 정보는 기본적으로 반영하되, 니즈 정보는 부수적이거나 부가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은 도 1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toothbrush)의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킨다.
즉,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은 칫솔의 각 부위에 대한 설계를 사용자에 맞추어서 설계를 하게 되고, 이렇게 설계된 사양은 전산적으로 외주업체 혹은 자체제작 설비에 전달되어 칫솔이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의 경우,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팁 조절부(132) 및 파이버 굵기 조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버 팁 조절부(132)의 경우,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의 솔 즉, 파이버(fiber)의 상단 팁(tip)의 에지(edge) 각을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따라 둥근 모 혹은 각진 모가 필요한 경우에 맞추어, 파이버 상단 팁의 모양과 그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파이버 굵기 조절부(135)의 경우,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파이버(fiber)의 굵기를 결정하여 설계하게 된다.
사용자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그 파이버의 굵기가 달리 설정될 수 있는데, 파이버 굵기 조절부(135)는 이를 결정하고 설계하게 된다.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의 경우, 파이버 앵글 조절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버 앵글 조절부(131)의 경우,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면(head face)으로부터 칫솔 파이버(fiber)의 앵글을 조절하게 된다.
파이버 앵글 조절부(131)는 칫솔 파이버의 한가닥 한가닥 마다 그 앵글을 달리 설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칫솔 헤드에 장착되는 수 많은 칫솔 파이버들의 앵글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은 헤드 형상 조절부(133) 및 헤드 앵글 조절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형상 조절부(133)의 경우,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의 평면적 형상을 조절하게 된다.
헤드 형상 조절부(133)는 헤드의 타입을 둥근 타입, 타원 타입, 팔각형 타입, 사각 타입, 모서리가 둥근 사각 타입, 대 중 소 등의 크기까지 조절하여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헤드 앵글 조절부(134)의 경우,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손잡이 대비 칫솔 헤드의 앵글을 조절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경우,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140)의 경우,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 도출 유닛(120)이 도출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치약 내 개별 성분의 유무 설정과 설정된 개별 성분 상호간의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치약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키게 된다.
여기서 개별 성분은 기타 성분 외, 주로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i)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ii)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iii) 불소(F) 또는 iv)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140)은 성분 조절부(141)와 성분 밸런싱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성분 조절부(141)의 경우, 치약 내 개별 성분의 취사 선택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성분 조절부(14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하는 바 즉, 사용자 증상에 따른 처방에 맞추어, 항염, 잇몸 증상, 구취 제거 등의 가중치를 개별 적용하여, 이들 증상과 처방에 맞추어진 개별 성분의 취사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충치 예방, 플라그 제거, 시린 현상 개선(제거)를 위한 개별 성분의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게 된다.
성분 밸런싱부(142)의 경우, 치약 내 개별 성분 상호간의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즉, 목적하는 바 즉, 사용자 증상에 따른 처방에 맞추어, 항염, 잇몸 증상, 구취 제거 등의 가중치를 개별 적용하여, 선택된 개별 성분 상호간의 비율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현태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개별 성분의 비율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적용하게 된다.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140)이 설계한 치약의 성분에 따라,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의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브러시 커스텀 유닛(130)이 설계하는 칫솔의 각 사양 정보는 치약의 성분에 따라 최적화되고, 이러한 칫솔 최적화는 사용자의 증상 정보와 니즈 정보와 함께 반영될 수 있다.
사용자는 ID 혹은 이메일(e-mail) 주소를 매개로 하여 회원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회원은 구독 혹은 정기금 납부 여부에 따라 주기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주기적으로 관리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문진 정보(질문 징보)가 제시되고, 그때 마다 답변 정보가 달리 획득되는 바에 따라, 구강 컨디션 정보 역시 달리 도출될 수 있으며, 달리 도출된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치약과 칫솔의 전산적 설계와 제작은 달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커스텀 제품
110: 인터뷰 유닛(interview unit)
120: 타입 도출 유닛
130: 브러시 커스텀 유닛
131: 파이버 앵글 조절부
132: 파이버 팁 조절부
133: 헤드 형상 조절부
134: 헤드 앵글 조절부
135: 파이버 굵기 조절부
140: 페이스트 커스컴 유닛
141: 성분 조절부
142: 성분 밸런싱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한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청결 제품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질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질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뷰 유닛;
    상기 인터뷰 유닛을 통해 획득한 상기 답변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구강 컨디션 정보를 도출하는 타입 도출 유닛; 및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키는 브러시 커스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질문 정보는,
    상기 답변 정보 내에 상기 사용자의 구강 상태의 증상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니즈 정보가 구비되도록 제시되도록 하며,
    상기 브러시 커스텀 유닛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파이버(fiber)의 상단 팁의 에지 각을 조절하는 파이버 팁 조절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파이버(fiber)의 굵기를 조절하는 파이버 굵기 조절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면(head face)으로부터 칫솔 파이버(fiber)의 앵글(angle)을 조절하는 파이버 앵글 조절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헤드의 평면 형상을 조절하는 헤드 형상 조절부; 및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칫솔 손잡이 대비 상기 칫솔 헤드의 앵글을 조절하는 헤드 앵글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버 굵기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에 따라 혹은 상기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상기 칫솔 파이버의 굵기를 달리 설정하며,
    상기 파이버 앵글 조절부는,
    상기 칫솔 파이버의 한가닥 한가닥마다 상기 칫솔 파이버의 앵글이 달리 설정되며, 하나의 칫솔 헤드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상기 칫솔 파이버들의 앵글을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헤드 형상 조절부는,
    상기 칫솔 헤드의 타입을 둥근 타입, 타원 타입, 팔각형 타입, 사각 타입, 모서리가 둥근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조절하고,
    상기 칫솔 헤드의 타입을 대, 중, 소 중 어느 하나의 크기로 조절하여 설계하며,
    상기 브러시 커스텀 유닛은,
    칫솔의 각 부위에 대한 설계를 상기 사용자에게 맞추어 설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는,
    상기 증상 정보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는,
    잇몸 증상, 충치 증상, 시린 증상, 입냄새 증상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즈 정보는,
    상기 증상 정보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는,
    잇몸 개선, 충치 개선, 시림 개선, 입냄새 개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타입 도출 유닛이 도출한 상기 구강 컨디션 정보에 맞추어, 치약 내 개별 성분의 설정과 설정된 상기 개별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여, 치약 커스터마이징 설계의 자동 전산화를 진행시키는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별 성분은,
    i) 아미노카프로산(Aminocaproic acid), ii)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iii) 불소(F) 또는 iv)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커스텀 유닛은,
    상기 치약 내 상기 개별 성분을 취사 선택하도록 하는 성분 조절부; 및
    상기 치약 내 상기 개별 성분 상호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성분 밸런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1020200125938A 2020-09-28 2020-09-28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KR10245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38A KR102453359B1 (ko) 2020-09-28 2020-09-28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38A KR102453359B1 (ko) 2020-09-28 2020-09-28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40A KR20220042740A (ko) 2022-04-05
KR102453359B1 true KR102453359B1 (ko) 2022-10-07

Family

ID=811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938A KR102453359B1 (ko) 2020-09-28 2020-09-28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3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809A (ja)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科衛生商品販売促進装置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801A (ko) 1999-12-16 2001-07-04 송정부 치아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맞춤치약 판매시스템
KR20020078513A (ko) * 2001-04-03 2002-10-19 황현식 구강위생용품 판매방법
KR101836187B1 (ko) * 2015-10-30 2018-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29444B1 (ko) 2015-12-23 2022-08-03 차희찬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9152471A (zh) 2016-03-14 2019-01-04 科里布里公司 具有视觉识别功能以用于监测依从性的口腔卫生系统
KR20180043121A (ko) * 2016-10-19 2018-04-27 이형철 개인별 구강용품 맞춤처방 코디시스템
KR20180097881A (ko) * 2017-02-24 2018-09-03 (주)에티모비타 개인별 맞춤 건강제 공급 단말기를 통한 건강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809A (ja) 2005-02-23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科衛生商品販売促進装置
KR101788030B1 (ko) *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40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hbali et al. The gingival biotype assessed b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clinicians
Erbe et al. A comparative assessment of plaque removal and toothbrushing compliance between a manual and an interactive power toothbrush among adolescents: a single-center,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Zimmerman et al. Changing the culture of mouth care: mouth care without a battle
Kressin et al. Increased preventive practices lead to greater tooth retention
Peltola et al. Effects of 11‐month interventions on oral cleanliness among the long‐term hospitalised elderly
Bos et al. Attitudes towards orthodontic treatment: a comparison of treated and untreated subjects
Kosaka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s in masticatory performance: the Suita study
Prowse et al. Diversity considerations for promoting early childhood oral health: a pilot study
JP7115833B2 (ja) 健康寿命延長の支援システム
JP2006235809A (ja) 歯科衛生商品販売促進装置
Abrahamsson et al. Patients' views on periodontal disease; attitudes to oral health and expectancy of periodontal treatment: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Jones et al. Family and friends: Supporting oral care in care homes
Ojima et 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oral health at initial office visit and compliance with supportive periodontal treatment
MacEntee Caring for elderly long-term care patients: Oral health–related concerns and issues
KR102453359B1 (ko)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Guzmán-Armstrong Rampant caries
Chalmers et al. Caring for oral health in Australian residential care
KR102412703B1 (ko)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wyer Dietetic assessment of ambulatory cancer patients. With special attention to problem of patients suffering from head—neck cancer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McDevitt et al. Dental health and diabetes: The link between oral hygiene and wellness
Vidone A healthy mouth: an important part of a diabetes management plan
KR20230147839A (ko) 개인 맞춤형 구강 관리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8513A (ko) 구강위생용품 판매방법
DK202170559A1 (en) Customized oral care products
Wagner et al. Oral-care adherence. Service design for nursing homes–initial caregiver reactions and socio-economic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