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444B1 -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444B1
KR102429444B1 KR1020150184861A KR20150184861A KR102429444B1 KR 102429444 B1 KR102429444 B1 KR 102429444B1 KR 1020150184861 A KR1020150184861 A KR 1020150184861A KR 20150184861 A KR20150184861 A KR 20150184861A KR 102429444 B1 KR102429444 B1 KR 10242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oral care
information
toothbrush he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334A (ko
Inventor
차희찬
Original Assignee
차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희찬 filed Critical 차희찬
Priority to KR102015018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4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은,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운동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 및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상기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칫솔질 방식을 감지, 분석하고,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구조나 구강 내 건강 상태 등에 따라 구강 관리 특히, 양치시 사용자가 개인별로 최적화된 칫솔질 방식으로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구강 관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한 후 양치를 하지 않거나, 또는 양치를 제대로 하지 않게 되면 음식 찌꺼기 등이 남아 치태, 치석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태, 치석 등은 구강 내에서 각종 질환이나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이를 제대로 제거하는 것이 구강 관리에 대단히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양치할 때 칫솔질 방법을 올바르게 숙지하지 않아 양치를 하더라도 치태나 치석 등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칫솔질의 방향이 잘못되는 경우(예컨대, 치아의 씹는면(교합면) 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칫솔질), 구강 내 건강 관리를 위한 양치가 오히려 치아의 마모나 불필요한 잇몸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회전법, 진동법, 바스법, 변형 바스법, 와타나베 양치법 등과 같은 올바른 양치를 위한 칫솔질 방법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양치할 때 양치에 온전히 집중하지 않으면 미처 신경을 덜 쓰고 충분한 칫솔질을 하지 않은채 남겨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을 사용자가 알아차리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구강 내 치아 배열이나 치아 상태는 각 개인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올바른 양치법이라 하더라도 일률적으로 적용할 경우 칫솔모가 상대적으로 닿기 어려워 칫솔질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올바른 양치법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개인에게 적용될 경우, 개인별 구강 상태 예컨대, 치아 배열이나 치아 상태 등에 따라, 또는 치아 상태(예컨대, 충치, 치아 마모 등)나 잇몸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칫솔질을 더 여러 번 수행해야하거나, 또는 칫솔 헤드의 각도나 방향을 조금씩 다르게 움직여야할 필요가 있는 등 칫솔질 방식이 조금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개인별 구강 상태는 고려되지 않은채, 양치법에 따라 모든 사용자와 구강 내 모든 부위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칫솔질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구강 관리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칫솔질 방식을 권장하고, 사용자가 이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한 영역(예컨대, 치아나 잇몸의 질환이 있는 영역)에서의 칫솔질 방식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07-0054226, "양치 패턴 분석 교정장치, 인터렉티브 양치습관 교정 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칫솔질 방식을 권장하고, 사용자가 이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한 영역(예컨대, 치아나 잇몸의 질환이 있는 영역)에서의 칫솔질 방식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은,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운동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 및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상기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장 행위 정보는, 상기 구강 영역 중 특수영역에 상응하는 특수 운동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수영역은 상기 구강 영역 중 일반 영역과는 다른 구강상태를 갖는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수 운동정보는 상기 일반 영역에 상응하는 일반 운동정보와 다른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칫솔 헤드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세기, 진동패턴 또는 진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또는 의료용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영역 중 특수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광 조사부 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의 출력을 일반영역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분석모듈은, 상기 구강 이미지를 상악 좌측구역, 상악 우측구역, 하악 좌측구역, 및 하악 우측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구역별로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운동 상태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칫솔 헤드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 및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또는 의료용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학기능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로 서로 다르게 상기 진동부 또는 상기 의학기능부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 및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상기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칫솔질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이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한 영역(예컨대, 치아나 잇몸의 질환이 있는 영역)에서의 칫솔질 방식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세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칫솔질 결과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1)은 구강 관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는 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헤드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칫솔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기능(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 감지, 진동, 광, 전자기파, 플라즈마 등을 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동칫솔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1)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위치와 사용자의 칫솔질 방식(즉,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예컨대, 소정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칫솔질 결과정보를 제공(예컨대, 사용자의 칫솔질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칫솔질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은 어디인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함으로써, 사용자가 구강 관리를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양치라 함은 구강 내의 위생관리를 위한 일련의 행위 자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칫솔질은 양치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칫솔을 사용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감지부(120), 진동부(130), 광 조사부(140), 및/또는 플라즈마 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광 조사부(140) 및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를 통칭하여 의학기능부라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양치하는 도중 칫솔 헤드가 보다 신경써야할 구강 내 위치(예컨대, 특수영역)에 도달하거나, 잘못된 방식으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소정의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부(미도시)는 후술할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 의해 분석된 칫솔 헤드의 위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신호는 후술할 상기 진동부(130)에 의한 칫솔 헤드의 진동과는 별도로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몸체부(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부분)를 진동시킬 별도의 제2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알림신호를 진동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에 소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알림신호가 음향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알림신호의 형태는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든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이러한 상기 알림신호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의 알림요청에 응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 의해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나 운동 상태 등이 분석되고, 분석된 칫솔 헤드의 위치가 특정 위치(예컨대, 특수영역)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칫솔질이 미흡 또는 불량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도록 알림요청을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 즉, 상기 알림부(미도시)는 상기 알림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나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10)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초음파 통신, RFID 통신 및/또는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10)는 무선네트워크뿐 아니라 USB 케이블 등 다양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움직임(운동 상태)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120)는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에서 칫솔 헤드 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 즉, 상기 칫솔 헤드의 회전 방향, 회전량, 이동 방향 및/또는 이동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부(12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들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수신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운동 상태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로, 상기 감지부(120)가 전술한 센서들을 통해 센싱하는 각각의 센싱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후술하겠지만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서 상기 감지부(120)가 감지한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 즉,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여 상기 칫솔 헤드의 동작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여 상기 칫솔 헤드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어떤 방향으로 이동(왕복)하는지(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상기 운동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칫솔 헤드가 특정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이동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축 센서를 통해 물체의 운동 상태를 검출, 분석하는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물체의 위치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오차가 누적되어 정확한 위치나 움직임을 측정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오차는 측정 범위가 넓을수록 더욱 커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구강 내 공간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별로 각각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오차발생범위를 줄여 사용자의 칫솔질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120)는 칫솔 헤드(칫솔모)에 의해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수행할 때 칫솔질 강도까지 감지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칫솔질 강도가 양치시 사용자의 구강 상태(예컨대, 치아의 부식/마모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칫솔질 강도는 사용자가 칫솔 헤드를 자신의 치아에 어느 정도 강하기 밀착시키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부(130)는 모터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 헤드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부(130)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 여부, 진동의 세기, 진동 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광 조사부(140) 및/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는 구강 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정 파장의 광을 출력하거나, 의료용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광 조사부(140) 및/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 역시 광 또는 플라즈마의 출력 여부나 출력 세기 등의 기능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 상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특정 파장의 빛 또는 의료용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기술적 사상은 구강 내 살균이나 질환의 치료, 치아의 미백 등에 효과가 있음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구현 형태나 구성 등 역시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러한 특정 파장의 빛 또는 의료용 플라즈마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일괄적으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구강구조나 치아 배열, 질환 유무 등의 구강 내 상태에 따라 그 출력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개개인에 적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기능 예컨대, 상기 진동부(130), 상기 광 조사부(140) 및/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의 기능 및 작용의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의 구성과 그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은 통신모듈(210), 저장모듈(220), 동작분석모듈(230), 및/또는 제어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서, 상기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신모듈(210)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나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모듈(210)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칫솔질 방식 즉, 칫솔 헤드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예컨대,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기능이나 동작(예컨대, 진동, 광 조사, 플라즈마 발생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21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 및/또는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는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은 치과 시스템 등과 같이 사용자의 구강정보나 진료기록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후술할 제어모듈(24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구강 이미지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강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강 이미지가 사용자의 구강구조를 3D로 랜더링한, 3D 이미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구강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에 의해 랜더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위해 상기 구강 이미지는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은 예컨대 치과 시스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치과에 내원하였을 때 사용자의 구강구조를 스캔하거나 랜더링하여 상기 치과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구강 이미지로써 상기 통신모듈(2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200)이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받는 구강 이미지에는 구강 영역별로 구강 이미지의 특성(예컨대, 사용자의 구강구조, 치아 상태(충치 여부, 마모 정도 등), 치아 배열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이미지의 특성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를 진료한 담당의사의 진료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모듈(240)이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영역별 구강 이미지의 특성을 검출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이러한 구강 영역별 구강 이미지의 특성은 이미지로 판단 가능한 치아 배열 형태(덧니, 치아들이 서로 겹침 등)에 대한 정보로 한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모듈(220)은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강 이미지는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모듈(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권장 행위 정보는 상기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전송받거나 후술할 제어모듈(240)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권장 행위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로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칫솔질 방식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칫솔질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라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권장 운동정보는 사용자의 구강 영역에 따라 바람직한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운동정보 예컨대, 상기 구강 영역별로 바람직한 상기 칫솔 헤드의 회전 방향, 회전량, 회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는 단순히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정보뿐 아니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기능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에 상기 진동부(13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구강 영역별로 진동 세기, 진동 패턴 등이 설정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광 조사부(140) 및/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가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광 조사부(140) 및/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150)의 기능을 상기 구강 영역별로 제어(조절)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맞춤 칫솔질 정보는 사용자의 담당의사의 진료기록이나 널리 알려진 바람직한 양치법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권장 행위 정보는 전술한 다양한 양치법 중 어느 하나를 기본으로 하여, 상기 구강 영역별로 칫솔질 횟수나 강도, 칫솔 헤드의 각도 등이 다르게 적용된 사용자 권장 행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강구조는 각각의 개인별로 차이가 있고, 특히 치아의 배열 등에 따라 양치법이 동일하더라도 개인별로 권장 행위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구강 영역 중 중 덧니가 있거나, 치아들이 서로 겹쳐있는 영역(즉, 특수영역)의 경우 해당 위치에서는 고르게 배열된 치아들에 비해 칫솔질의 횟수를 많게 하거나 칫솔질 강도를 세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는 바스법에 따른 양치법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구강 영역 중 일반 영역에서는 적어도 5회 이상의 칫솔질을 수행하도록 하고, 특수 영역에서는 적어도 10회 이상의 칫솔질을 수행하도록 하는 권장 행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20)가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각각의 위치별로 적절한 칫솔질 강도에 대한 정보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처럼 설정된 상기 권장 행위 정보가 상기 저장모듈(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영역은, 후술할 동작분석모듈(230)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 개의 구역들과는 별개로 구강 내에서 나눌 수 있는 소정 단위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강 내의 치아 단위별로(예컨대, 각각의 치아 하나, 또는 소정 개수의 치아들 단위) 상기 구강 영역이 나뉠 수 있으며, 또는 치아의 개수와 상관없이 구강 내에서 미리 정해진 단위길이만큼이 상기 구강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치아 하나가 구강 영역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강 영역들 중, 사용자가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영역이나 보다 세밀한 관리가 필요한 영역이 특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강 영역이 각각의 치아들을 기준으로 나뉘는 경우, 특정 위치의 치아에 질환(예컨대, 충치, 치아 마모 등)이 있거나, 상기 특정 위치의 잇몸에 이상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구강 관리시 보다 세밀한 관리가 필요한 구강 영역은 상기 특수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강 이미지와 함께 상기 특수영역에 대한 정보(예컨대, 구강 이미지 내에서 상기 특수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저장모듈(220)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특수영역에는 전술한 일반 영역에서의 권장 운동정보와는 다른, 상기 특수영역에 상응하는 특수 운동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특수영역에 칫솔질을 수행할 경우, 나머지 일반 영역과는 다른 방식 예컨대, 칫솔질 횟수나 칫솔질 강도 등이 변경된 방식으로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처럼 상기 일반 영역과는 다른 방식의 칫솔질에 대한 정보를 특수 운동정보라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가 상기 전동부(130), 광 조사부(140), 및/또는 플라즈마 발생부(1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는 상기 구강 영역별로 바람직한 진동/광/플라즈마의 출력 여부나 출력 세기, 출력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일반 구강 영역에서의 진동 세기 또는 조사되는 광의 출력 정도와 상기 특수영역에서의 진동 세기 또는 조사되는 광의 출력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구강 영역별 진동/광/플라즈마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상기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운동 상태(즉, 센싱값)를 이용하여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움직임 특히, 칫솔 헤드의 움직임(운동 상태)에 대한 동작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정보는 예컨대, 상기 칫솔 헤드가 구강 이미지 중 어느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칫솔 헤드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이 상기 칫솔 헤드의 구강 내 위치를 분석하기 위해, 후술할 제어모듈(240)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처음 시작하는 위치를 미리 지정하여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240)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처음 시작할 때 상악 좌측단부터 또는 상악 중앙의 앞니부터 등 칫솔질을 시작할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칫솔질이 시작되면,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상기 제어모듈(240)에 의해 지정된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의 동작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별로 구강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개인별로 다를 수밖에 없는 구강의 크기나 치아 면적 등을 미리 알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면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오차가 누적되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역별로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이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1)에서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임의의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상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와, 상악과 하악을 기준으로 아래 위를 구분하여 4개의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상악 좌측 구역(a), 상악 우측 구역(b), 하악 좌측 구역(c) 및 하악 우측 구역(d) 등 4개의 구역으로 상기 구강 관리 장치(100)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이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는 방식은 도면에 도시된 4개의 구역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구분되는 구역들의 개수 역시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구역들이 구분되면,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은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각각의 구역별로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240)은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에 의해 분석된 상기 칫솔 헤드의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칫솔질 결과정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칫솔질 결과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40)은 사용자의 칫솔질이 모두 완료된 후, 칫솔질이 바람직하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구강 영역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 영역별로 칫솔질이 미흡하거나 불량한 경우에는 a와 같이 해당 구강 영역에 소정의 색깔 또는 별도의 표식으로 표시하고, 칫솔질이 양호한 경우 b와 같이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거나 상기 a와는 다른 색깔 또는 다른 표식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칫솔질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칫솔질이 모두 완료된 후 상기 칫솔질 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도중 실시간으로 상기 칫솔질 결과정보가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치솔질을 수행하면서 자신이 올바르게 칫솔질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상기 특수영역에 도달 또는 근접하거나, 칫솔질이 미흡한 상태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24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정의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모듈(240)은 상기 동작분석모듈(230)에 의해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상기 특수영역으로 이동했음이 파악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진동하거나 소정의 음향, 음성과 같은 알림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질에 한층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알림정보는 전술한 구강 관리 장치(100)의 알림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알림신호와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고, 상기 알림신호 또는 상기 알림정보 중 선택적으로 하나만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 개인별로 다를 수밖에 없는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권장 행위 정보와 특수영역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칫솔질 방식을 맞출 수 있어, 사용자 자신에게 보다 최적화되어 효율적인 구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1)은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수신(s100)하며,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s11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1)이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s120)하고,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s13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자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운동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 -상기 동작분석모듈은 소정의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되 오차의 누적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작위치에 해당하는 구역과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타구역을 구분하여 누적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함-; 및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상기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행위 정보는,
    상기 구강 영역 중 특수영역에 상응하는 특수 운동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수영역은 상기 구강 영역 중 일반 영역과는 다른 구강상태를 갖는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특수 운동정보는 상기 일반 영역에 상응하는 일반 운동정보와 다른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칫솔 헤드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세기, 진동패턴 또는 진동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또는
    의료용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영역 중 특수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광 조사부 또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의 출력을 일반영역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분석모듈은,
    상기 구강 이미지를 상악 좌측구역, 상악 우측구역, 하악 좌측구역, 및 하악 우측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구역별로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기 칫솔 헤드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가 상기 권장 행위 정보와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구강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사용자의 구강구조가 랜더링된 구강 이미지 및 상기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구강 영역별 상기 구강 관리 장치의 권장되는 권장 운동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권장 행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구강 이미지를 복수 개의 구역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복수 개의 구역들 별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동작분석모듈-상기 동작분석모듈은 소정의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를 분석하되 오차의 누적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작위치에 해당하는 구역과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타구역을 구분하여 누적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칫솔 헤드의 운동 상태에 따른 동작정보를 분석함-; 및
    상기 동작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동작정보 및 상기 권장 행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강 이미지 상에 상기 구강 영역별 칫솔질 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10. 삭제
KR1020150184861A 2015-12-23 2015-12-23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2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61A KR102429444B1 (ko) 2015-12-23 2015-12-23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61A KR102429444B1 (ko) 2015-12-23 2015-12-23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34A KR20170075334A (ko) 2017-07-03
KR102429444B1 true KR102429444B1 (ko) 2022-08-03

Family

ID=5935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861A KR102429444B1 (ko) 2015-12-23 2015-12-23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072A (ko) 2022-08-24 2024-03-05 (주)지노글로벌 사용자 맞춤형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전동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602A (ko) 2018-07-13 2020-01-22 김태훈 구강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00105557A (ko) 2019-02-28 2020-09-08 비아이에스그룹 주식회사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EP3788985A1 (en) * 2019-09-05 2021-03-10 Koninklijke Philips N.V. Proportional division of a total operation time of a dental care procedure
KR102265864B1 (ko) * 2020-09-22 2021-06-16 주식회사 디오텍코리아 조립형 전동 칫솔
KR102453359B1 (ko) 2020-09-28 2022-10-07 주식회사 고차원 사용자 컨디션 분석에 따른 구강 청결 제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CN116578253B (zh) * 2022-05-31 2023-12-19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口腔护理系统
CN117193683A (zh) * 2022-05-31 2023-12-08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口腔护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7648A1 (en) 2005-06-20 2006-12-28 Jin-Sang Hwang Tooth brushing pattern analyzing/modify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ly modifying tooth brushing behavior
KR20090003075A (ko) * 2006-12-04 2009-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강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를 위한 전동칫솔
KR20090080574A (ko) * 2008-01-22 2009-07-27 황진상 양방향 구강보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00052084A (ko) * 2008-11-10 2010-05-19 한국과학기술원 어린이 구강위생 교육장치 및 방법
KR20150080258A (ko) * 2013-12-31 2015-07-09 차희찬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칫솔질 지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072A (ko) 2022-08-24 2024-03-05 (주)지노글로벌 사용자 맞춤형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전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34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44B1 (ko) 맞춤형 구강 관리 시스템, 구강 관리 장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22529069A (ja) 歯間空間検出のためのオーラルケアシステム
JP7386213B2 (ja) 個人衛生システム
CN111918620B (zh) 用于测量口弓几何形状和基于口弓测量选择牙套的系统和方法
KR101759898B1 (ko) 칫솔 탈착형 양치관리장치 및 양치관리시스템
JP7184816B2 (ja) 歯間空間に基づいて口腔ケアルーチンを動的に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7385574B2 (ja) 口腔ケア装置の位置の決定
JP6645842B2 (ja) 歯磨き指導システム
CN109640738B (zh) 牙刷和系统
EP3858288A1 (en) Oral care system for interdental space detection
KR101911834B1 (ko) 스마트 칫솔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0258A (ko)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칫솔질 지도 시스템
JP7394622B2 (ja) 協調型個人ケア装置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
KR20190114120A (ko) 스마트 칫솔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75335A (ko) 지능형 구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EP4164449B1 (en) Oral care device recommendation system
KR102057150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5835A (ko)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양치 유도 시스템
CN117598811A (zh) 电动牙刷的控制方法、装置、电动牙刷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