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866A -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866A
KR20060084866A KR1020050005307A KR20050005307A KR20060084866A KR 20060084866 A KR20060084866 A KR 20060084866A KR 1020050005307 A KR1020050005307 A KR 1020050005307A KR 20050005307 A KR20050005307 A KR 20050005307A KR 20060084866 A KR20060084866 A KR 2006008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ltation
counseling
information
remote medical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김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김석수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Priority to KR102005000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866A/ko
Publication of KR2006008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홈닥터 개념의 사이버 원격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하여 평상시 궁금하고 의심가는 부분의 문진 및 화상진단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정해진 상담제공회원에 의해서 정기적인 진단 및 오프라인에서의 외래진료를 연동하여 받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관리자 측면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상담의뢰회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포괄적인 진료연계 및 긴밀한 접촉으로 의사와 병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고,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개인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다.
인터넷, 원격진료, 화상진료, 회원

Description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OF REMOTE MEDICAL TREATMENT USING INTERNET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원격진료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회원 로그인과 회원가입 절차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데이터베이스 200 : 시스템서버
300 : 상담의뢰단말기 400 : 상담제공단말기
500 : 인터넷
인터넷을 이용한 홈닥터 개념의 사이버 원격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원격진료시스템은 크게 동영상진단시스템, 의료원종합관리시스템(HMIS:Hospital Medical center Information System) 및 의학영상정보시스템(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으로 구성되어 운영 관리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동영상진단시스템은 하드웨어 중심의 고가의 시스템으로 동영상과 음성을 실시간에 원격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진료와 함께 방사성진단시 원격지의 임상의와 협의할 수 있고, 또한 환자와의 문진도 가능하며 판독시 많은 임상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화상을 보면서 환자의 문진, 의료진 자문, 긴급환자 응급처치 지원 등을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상기 의료원종합관리시스템은 보건의료원의 접수, 수납, 진료처치, 처방, 관리 등의 업무를 랜(LAN)을 통해 유기적인 전산처리가 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병원내의 수많은 환자, 물류, 서류, 원무 등 정보의 기록과 신속한 정보의 교환으로 병원의 효율적인 경영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상기 의학영상정보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방사선 진단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X-ray, 자기공명영상진단(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 관련 필름 및 영상을 저장하고 원격지 전송 기능을 갖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 원격진료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 원격진료시스템은 의학영상정보시스템의 일례(한국특허 공개번호1997-71316호)로서, 전송지에서 X-ray촬영기, 자기공명장치, 단층촬영기 혹은 초음파진단기로부터 의료영상을 획득하는 의료영상 획득부(21), 의료영상획득부에서 생성된 의료영상을 컴퓨터 내부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22), 영상변환부에서 변환된 의료영상에 관심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관심영역표시부(23), 관심영역 표시부에서 관심영역이 표시된 의료영상을 ATM전송망을 통해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규약에 맞추어 전송하는 영상전송부(24), ATM전송망을 통해 전송된 의료영상을 전송 규약에 맞추어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데이터를 컴퓨터 내부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수신부(25), 영상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6)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의료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망으로 ATM전송망을 사용하고 모든 종류의 영상을 전송시작과 동시에 원격지로 전송이 가능하여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들은 하드웨어 중심의 고가장비 위주의 시스템이고 다른 장비들과 호환성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고, 포괄적으로 오프라인 진료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의 고성능화와 초고속 통신망의 발달로 인터넷이 생활화되었으며, 이에 따른 시공간의 제한을 극복하고 편리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원격진료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시스템관리자 측면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상담의뢰회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포괄적인 진료연계 및 긴밀한 접촉으로 의사와 병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고,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개인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홈닥터 개념의 사이버 원격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하여 평상시 궁금하고 의심가는 부 분의 문진 및 화상진단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정해진 상담제공회원에 의해서 정기적인 진단 및 오프라인에서의 외래진료를 연동하여 받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관리자 측면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상담의뢰회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포괄적인 진료연계 및 긴밀한 접촉으로 의사와 병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고, 기본적 구성은 기존에 형성된 인프라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개인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은,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200);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 (300);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400);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원격진료 상담은 이메일을 통한 문진이나, 화상통신을 통한 화상진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서버의 관리자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상담의뢰회원을 각 상담제공회원에게 연결하여 사이버상의 문진 및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며, 오프라인상에서의 진료형태와 연동하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체계를 관리한다. 상기 운영체계란 회원의 자격 및 회비의 책정, 진료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템관리자의 수익 모델은 상담의뢰회원의 회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담의뢰회원은 사이버상에 원하는 상담제공회원을 선택하여 문진을 받을 수 있으며, 회원자격을 부여받아 정기적인 개인 주치의(홈닥터 개념)를 지정하여 직접 상담(문진 및 화상진료)을 할 수도 있다. 화상진료의 형태는 특진과 같으며, 정기회비 외의 특진비를 별도로 지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의해서 개인 병력관리가 이루어져 오프라인 상의 회원병원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고, 정기회비를 납부하여 회원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상담제공회원은 등록된 상담의뢰회원들을 직접 상담해 주며, 환자의 요구시 오프라인의 해당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회원자격은 시스템관리자의 인준을 거쳐 등록이 이루어지며, 수익은 화상진단의 경우 정해진 진료비를 받으며, 또한 회원을 오프라인 상의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담의뢰회원의 진료는 상담의뢰회원의 요구시 1차적인 문진, 2차적인 화상진단, 3차적인 오프라인 병원 순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에서 1차적인 문진은 해당 상담제공회원에게 글을 써서 문의하면 정해진 시간 내에 답변을 전달해 주는 형태로, 질문과 답변은 이메일의 형태로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2차적인 화상진단은 일종의 특진의 형태로서 실시간 화상 진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을 선택할 때는 지역 및 전문분야를 한정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인 1차적 문진 결과, 병원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을 때는 해당 상담제공회원에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은 회원병원간의 전이 및 상담제공회원의 협업진료가 용이하여 회원의 효율적인 진료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의 운영은 회원의 정기적인 유료회비 및 특진비에 의해서 비용을 충당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200)는,
상담의뢰회원에 대한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집주소, 이메일 등의 상담의뢰회원정보(a)를 포함하며,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자격번호, 진료과목, 전화번호, 소속병원구분, 소속병원주소, 이메일 등의 상담제공회원정보(b)를 포함하고, 상담의뢰회원정보, 상담제공회원정보, 상담의뢰일, 상담제공일, 상담의뢰내용, 상담제공내용, 상담등급 등의 상담히스토리 정보(c)를 포함한다.
한편, 상담의뢰회원의 상태가 복합 증세를 보여서 상담제공회원 1인이 정확한 진단이 내리기 어려울 경우, 각 상담제공회원의 진단을 받아 치료하기에는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부담도 많이 들고 효과적인 치료를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원병원간의 전이 및 상담제공회원의 협업진료가 용이하여 회원의 효율적인 진료를 꾀할 수 있는데, 그 형태는 데이터베이스의 상담히스토리 정보를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제공회원간의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 방식으로 공동차트를 작성하여 최종진단을 내리게 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상담히스토리 정보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은 상기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을 위한 화상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의 물리적 구성요소와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을 위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담제공회원 간의 비디오컨퍼렁싱과 채팅을 이용한 의료상담은 종래의 의학영상정보시스템(PACS)을 통한 상담의뢰회원의 보조자료(CT사진, MRI사진 등)와 과거의 병력기록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담의뢰회원의 상태에 따라 각 분야의 오프라인 진료가 불가피할 때에는, 개인병원 소속의 상담제공회원은 종합병원의 상담제공회원으로 상담의뢰회원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이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의 상담의뢰회원정보, 상담제공회원정보 및 상담히스토리정보를 이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진료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시스템서버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0);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입력된 아이디로 회원등급을 판단하는 단계(S110);
상기 판단된 회원등급에 따라 상담의뢰모드나 상담제공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20, S120');
상담의뢰모드로 진입시 상담의뢰 화면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담의뢰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제공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
상담제공모드로 진입시 상담제공 화면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담제공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의뢰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
상기 상담의뢰 또는 상담제공 정보를 각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150);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회원등급에 따라 상담의뢰모드나 상담제공모드로 진입할 것인가를 판단한 후, 상담 형태 즉 1차적인 문진단계인가 2차적인 화상진료단계인가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은 협업진료가 필요할 때, 상기 상담제공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의뢰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후,
협업진료를 위한 기본 자료를 준비하는 단계(S141');
상기 협업진료를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에게 요청하는 단계(S142');
상기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의 협업진료 요청에 수락여부 결정 단계(S143');
수락한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에게 상담히스토리 정보를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준비된 기본 자료를 송부하는 단계(S143');
상담제공회원간의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 방식으로 공동차트를 작성하는 단계(S144');
상기 작성된 공동차트로부터 도출한 상담제공 정보를 상담의뢰회원에게 전송하는 단계(S1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회원 로그인과 회원가입 절차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진료 시스템에서의 회원 로그인 및 회원가입 절차는,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서버에 로그인하는 회원 로그인 단계(S101);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아이디와 회원여부 확인 단계(S105);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입력된 아이디로 회원등급을 판단하는 회원등급 확인 단계(S110);
회원에 대한 주민등록번호, 이름, e메일 정보 확인단계(S115);
사용자의 등록하고자 하는 회원 아이디에 대한 중복 확인단계(S110");
비밀번호,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에 가입하는 회원 가입단계(S115");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회원가입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가입정보 저장 단계(S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담의뢰회원,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기 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상담의뢰단말기를 통하여 문진, 화상진료를 의뢰하는 상담의뢰회원과, 인터넷에 연결된 상담제공단말기를 통하여 의뢰상담에 대한 진료정보를 제공하는 의사 및 병원 등의 상담제공회원으로 구성되는데, 상담의뢰회원의 요청시 해당 상담제공회원에게 글을 써서 질문하면 정해진 시간 내에 답변하는 1차적인 문진, 실시간 화상으로 진료정보를 제공하는 2차적인 화상진료, 직접 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는 3차적인 오프라인 진료의 순으로 진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을 선택할 때는 지역 및 전문분야를 한정하여 선택하며, 기본적인 문진으로 병원처방을 받을 필요가 있을 때는 해당 의사의 소속병원에서 처방을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비는 회원의 정기적인 유료회비와 상담 정보제공비에 의해서 충당하게 되며, 상담제공회원간의 전이 및 협업진료가 용이하여 효율적인 진료를 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와 상담의뢰회원 상담제공회원 간의 관계는 회원로그인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이 되면 등급에 따라 상담제공회원와 상담의뢰회원으로 구분되고, 로그인이 되지 않으면 회원가입모드에서 상담의뢰회원 및 상담제공회원의 등록을 한다. 회원로그인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잊어버릴 경우는 확인과정에서 주민번호와 이름, 이메일을 확인하고, 확인질문과 답에 대한 확인후, 맞으면 회원의 이메일을 통하여 아이디를 발송한다.
또한,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데이터처리를 다르게 하는데, 이에 따른 서비스 접근권한을 부여하며, 각 회원들의 인증이 뒤따른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각 회원의 로그인과 인증처리는,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회원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회원등급, 회원확인질문, 답변 등을 입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담제공회원인 의사와 병원은 실시간 화상진료를 통한 부가적인 수입을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프라인의 안정된 고객확보를 통하여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홈닥터를 지향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시스템관리자 측면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상담의뢰회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포괄적인 진료연계 및 긴밀한 접촉으로 의사와 병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고,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개인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다.

Claims (8)

  1. 원격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200);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300);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400);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는, 상담의뢰회원에 대한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집주소, 이메일 등의 상담의뢰회원정보(a)를 포함하며,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자격번호, 진료과목, 전화번호, 소속병원구분, 소속병원주소, 이메일 등의 상담제 공회원정보(b)를 포함하고, 상담의뢰회원정보, 상담제공회원정보, 상담의뢰일, 상담제공일, 상담의뢰내용, 상담제공내용, 상담등급 등의 상담히스토리 정보(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을 위한 화상카메라, 마이크, 스피커와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을 위한 해당 소프트웨어가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담히스토리 정보를 공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후 상담제공회원간의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 방식으로 공동차트를 작성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상담히스토리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개인병원 소속의 상담제공회원은 종합병원의 상담제공회원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상담의뢰회원정보, 상담제공회원정보 및 상담히스토리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진료 상담은 이메일을 통한 문진이나, 화상통신을 통한 화상진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6.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며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하고, 상담의뢰회원과 상담제공회원의 상호정보 교류 및 원격진료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서버(200); 상담의뢰회원이 원격진료 상담을 의뢰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의뢰단말기(300); 상담제공회원이 원격진료 상담내용에 대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한 수단인 상담제공단말기(400); 상기 시스템서버, 상담의뢰단말기, 상담제공단말기를 연결하는 수단인 인터넷(500);을 포함하는 원격진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원격진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상담의뢰회원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시스템서버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100);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입력된 아이디로 회원등급을 판단하는 단계(S110);
    상기 판단된 회원등급에 따라 상담의뢰모드나 상담제공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20, S120');
    상담의뢰모드로 진입시 상담의뢰 화면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담의뢰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제공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
    상담제공모드로 진입시 상담제공 화면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담제공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의뢰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
    상기 상담의뢰 또는 상담제공 정보를 각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150);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제공 내용을 입력하거나 상담의뢰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S140')후,
    협업진료를 위한 기본 자료를 준비하는 단계(S141');
    상기 협업진료를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에게 요청하는 단계(S142');
    상기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의 협업진료 요청에 수락여부 결정 단계(S143');
    수락한 해당 상담제공회원들에게 상담히스토리 정보를 접근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준비된 기본 자료를 송부하는 단계(S144');
    상담제공회원간의 비디오컨퍼런싱과 채팅 방식으로 공동차트를 작성하는 단계(S145');
    상기 작성된 공동차트로부터 도출한 상담제공 정보를 상담의뢰회원에게 전송하는 단계(S1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은, 상담의뢰회원의 요청시 해당 상담제공회원에게 글을 써서 질문하면 정해진 시간내에 답변하는 1차적인 문진, 실시간 화상으로 진료정보를 제공하 는 2차적인 화상진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방법
KR1020050005307A 2005-01-20 2005-01-20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4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07A KR20060084866A (ko) 2005-01-20 2005-01-20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07A KR20060084866A (ko) 2005-01-20 2005-01-20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66A true KR20060084866A (ko) 2006-07-25

Family

ID=3717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307A KR20060084866A (ko) 2005-01-20 2005-01-20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866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01B1 (ko) * 2010-03-04 2011-06-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00052A3 (en) * 2011-01-19 2012-11-01 Clawson Jeffrey J Meningitis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WO2014039228A1 (en) 2012-09-06 2014-03-13 Clawson Jeffrey J Pandemic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8873719B2 (en) 2013-01-31 2014-10-28 Jeffrey J. Clawson Active assailant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8971501B2 (en) 2009-04-13 2015-03-03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identify code hierarchy bias in medical priority dispatch systems
US9319859B2 (en) 2013-01-31 2016-04-19 Jeffrey J. Clawson System and method for text messaging for emergency response
US9516166B1 (en) 2015-05-28 2016-12-06 Jeffrey J. Clawson Chemical suicide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US9877171B2 (en) 2016-04-08 2018-01-23 Jeffrey J. Clawson Picture/video messaging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US10657614B2 (en) 2015-12-23 2020-05-19 Jeffrey J. Clawson Locator diagnostic system for emergency dispatch
US10699548B2 (en) 2018-04-19 2020-06-30 Jeffrey J. Clawson Expedited dispatch protocol system and method
US11910471B2 (en) 2021-04-23 2024-02-20 Priority Dispat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501B2 (en) 2009-04-13 2015-03-03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identify code hierarchy bias in medical priority dispatch systems
WO2011108867A2 (ko) * 2010-03-04 2011-09-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108867A3 (ko) * 2010-03-04 2011-12-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001B1 (ko) * 2010-03-04 2011-06-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329164B (zh) * 2011-01-19 2016-05-25 杰弗里·J·克劳森 用于紧急调度的脑膜炎诊断和干预工具
WO2012100052A3 (en) * 2011-01-19 2012-11-01 Clawson Jeffrey J Meningitis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CN103329164A (zh) * 2011-01-19 2013-09-25 杰弗里·J·克劳森 用于紧急调度的脑膜炎诊断和干预工具
WO2014039228A1 (en) 2012-09-06 2014-03-13 Clawson Jeffrey J Pandemic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CN112687398A (zh) * 2012-09-06 2021-04-20 杰弗里·J·克劳森 用于急救调度的流行病规程
US9319859B2 (en) 2013-01-31 2016-04-19 Jeffrey J. Clawson System and method for text messaging for emergency response
US9491605B2 (en) 2013-01-31 2016-11-08 Jeffrey J. Clawson Text messaging for emergency response
US8873719B2 (en) 2013-01-31 2014-10-28 Jeffrey J. Clawson Active assailant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9516166B1 (en) 2015-05-28 2016-12-06 Jeffrey J. Clawson Chemical suicide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US10657614B2 (en) 2015-12-23 2020-05-19 Jeffrey J. Clawson Locator diagnostic system for emergency dispatch
US9877171B2 (en) 2016-04-08 2018-01-23 Jeffrey J. Clawson Picture/video messaging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US10699548B2 (en) 2018-04-19 2020-06-30 Jeffrey J. Clawson Expedited dispatch protocol system and method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US11910471B2 (en) 2021-04-23 2024-02-20 Priority Dispat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4866A (ko) 인터넷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Vrečar et al. Telegenetics: an update on availability and use of telemedicine in clinical genetics service
US8799010B2 (en) Telehealth scheduling and communications network
KR101039001B1 (ko)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50044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Elford Telemedicine in northern Norway
CN103632324A (zh) 医疗健康服务系统
CN111462851A (zh) 一种开放式远程医疗平台及其方法
WO2005109301A2 (en) A clinical trial image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20070162305A1 (en) Electronic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management system
US20120136678A1 (en) System of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 its Communication and Centralized Searching of Non-Centralized Data to Allow for Patient Control, Choice, and Empowerment
US20140136235A1 (en)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CN111563145B (zh) 一种在线咨询方法、装置
JP2004062709A (ja) 医療サポートシステム、医療サポート提供方法、医療サポート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060064319A1 (en) Method for telemedicine services
Wu et al. TeleOph: a secure real-time teleophthalmology system
Söderholm et al. Visioning future emergency healthcare collaboration: Perspectives from large and small medical centers
Bamford et a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UK national telepathology network
Roberts et al. Transnational comparison: a retrospective study on e-health in sparsely populated areas of the Northern Periphery
Hu et al. Investigating telemedicine developments in Taiwan: implications for telemedicine program management
Setiawan et al. Telemedicine Design for Rural Areas as a Framework of e-Health Implementation
KR20010111950A (ko) 인터넷을 통한 개인의 의무(醫務)기록을 공유하는 방법
JP2001188858A (ja) 医用システム
Garg et al. Remote delivery of congenital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services: a unique telemedicine model
CN110473638A (zh) 一种远程视频辅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