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097A -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097A
KR20110024097A KR1020090081971A KR20090081971A KR20110024097A KR 20110024097 A KR20110024097 A KR 20110024097A KR 1020090081971 A KR1020090081971 A KR 1020090081971A KR 20090081971 A KR20090081971 A KR 20090081971A KR 20110024097 A KR20110024097 A KR 2011002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e
graphic data
user terminal
manufacturing apparatu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998B1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김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9320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240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환 filed Critical 김진환
Priority to KR102009008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은,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상기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 및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81971
치아, 3D, 스캐너, 손상치, 복원치

Description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SYSTEM FOR MANUFACTURING TEETH MOLD IN ON-LINE AND METHOD THEREOF}
3D 스캐너를 통해 채득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여 복원치의 기공물을 제조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치아 치료는 환자의 치아 상태가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능적인 장애(씹을 때 소리가 난다든지, 음식의 저작을 잘할 수 없다든지, 발음의 문제, 치아 복구의 문제 등)와 심미적인 장애(주걱턱, 덧니, 옥니 등)를 치료해 주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치아 치료는 치료 개시 시점에서 환자 치아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여 치아의 현 상태 데이터(기울기, 위치, 모양 등)를 측정한 후 이들 치아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정상적인 치아로 바꾸기 위한 치료 방법을 확정하고, 여러 치료 장치를 활용하여 치료에 들어가는 순서로 진행된다.
종래에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기 위한 기공물을 제조해야 할 경우 우선 치과 병원에서 환자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치아 석고 모형을 제작한 후 이에 따른 기공물 제조를 치과 기공사에게 의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공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환자 치아의 현 상태를 진단 및 측정하기 위해서 치아 석고 모형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치료 데이터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공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치과 기공소는 1 또는 수 개소의 특정 치과의와 계약하고 있어, 그 치과의의 주문에 따라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아의 석고 모형을 제조하지 않고, 3D 스캐너를 통해 직접적으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킴으로써 복수의 치과 병원이 고가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손상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한 후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환자의 손상치 상태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기공물을 제조할 수 있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및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 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 및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및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수신하는 재료 정보 관리부 및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재료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를 포함하는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복 원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적용 결과 표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하는 적용 결과 수정부 및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및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환자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생성된 손상치를 포함하는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부의 그래 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치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적용시킨 결과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6 측면은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채득된 환자의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가 환자 및 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환자 및 상기 환자의 손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하나에 의하면, 치아의 석고 모형을 제조하지 않고, 3D 스캐너를 통해 직접적으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킴으로써 복수의 치과 병원이 고가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손상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한 후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환자의 손상치 상태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기공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연결은 3D 스캐너(110, 112), 사용자 단말(120, 122), 네트워크(130, 160),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하나 이상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D 스캐너(110, 112)는 환자의 환부를 스캔하여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3D 그래픽 데이터를 채득한다.
사용자 단말(120, 122)은 치과 병원에 설치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3D 스캐너(110, 112)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 122)은 기공물 제조 시에 사용할 재료 정보(예를 들면, 금, 레진(Resin),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0, 122)에는 3D 스캐너(110, 112)를 통해 채득된 환부에 대한 3D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 수정 및 가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20, 122)에서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 122)은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의 전송 시에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환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
도 2는 3D 스캐너(110, 112)를 통해 채득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10)의 일 예이고, 도 3은 이러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10)로부터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20)의 일 예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스캐너(110, 112)를 통해 채득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10)는 치료 대상인 손상치(11), 이 손상치(11)와 좌/우에 인접한 인접 치아(12)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치(11)와 맞물리는 대합치(13)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20)은 이러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10)로부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손상치(11)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20)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손상치(11)와 인접한 좌/우의 인접 치아(12) 및 손상치(11)와 맞물리는 대합치(13)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함께 채득함으로써 치료 대상인 손상치(11)와 주변 치아들, 즉 좌/우의 인접 치아(12) 및 대합치(13)와의 조화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환부 상태에 따라 손상치(11)에 대한 다양한 치료 방법, 즉 복원치의 복구 형태가 결정되는데, 이러한 복원치의 복구 형태로서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파샬 크라운(Partial Crown), 비니어(Veneer), 크라운(Crown) 등이 있 다.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및 파샬 크라운(Partial Crown)은 손상치(11)의 손상 부위를 제거한 후 기공물 재료, 예를 들어 금, 레진,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 등을 이용하여 손상된 부위를 충전하는 방법이고, 비니어(Veneer)는 손상치(11)의 앞면에 기공물을 접착시키는 방법이며, 브리지(Bridge)는 손상치(11)가 빠진 경우에 빠진 치아의 좌/우의 건강한 인접 치아(12)를 연결하는 방법이고, 크라운(Crown)은 손상치(11)를 완전히 덮어 씌우는 방법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20, 122)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한다. 이때,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환자의 식별정보 및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에 의해 사용자 단말(120, 122)로부터 수신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및 기공물 제조 장치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네트워크(130, 16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 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연결되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 재료 정보 관리부(142),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3) 및 결제 처리부(144)를 포함한다.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는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재료 정보 관리부(142)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제조 시에 사용할 재료 정보(예를 들면, 금, 레진(Resin), 세라믹 또는 지르코니아 등)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3)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기공물 제조 요청을 수신하는 대로, 처리량이 가장 낮은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한다.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3)에 의해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할 기공물 제조 장치가 선택되면,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는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며, 재료 정보 관리부(142)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 예를 들어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로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144)는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요청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카드사 서버(미도시) 및 금융사 서버(미도시)와 결제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101)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3D 스캐너(110)를 통해 환자의 환부로부터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채득한 다음, 단계(S102)로 진행하여, 이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S103)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입력 받은 다음, 단계(S104)로 진행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 송한다.
단계(S105)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수신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환자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 다음, 단계(S106)으로 진행하여,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요청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단계(S107)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요청된 기공물 제조 비용을 결제한 다음, 단계(S108)로 진행하여, 결제 처리 결과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단계(S109)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예를 들어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를 선택한 다음, 단계(S110)으로 진행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단계(S109)에서 선택된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에 전송한다. 이때,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의 식별정보를 단계(S105)에서 저장한 환자의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단계(S111)에서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재료 정보에 따라 기공물을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킴으로써 복수의 치과 병원들이 고가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사용자 단말이 3D 스캐너를 통해 채득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의뢰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 저장된 다수의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기공물을 제조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 재료 정보 관리부(142’), 복원치 그래픽 데이터 검색부(143’), 적용 결과 표시부(144’), 적용 결과 수정부(145’),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6’) 및 결제 처리부(147’)를 포함한다.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는 3D 스캐너(110)를 통해 채득된 환부, 즉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좌/우의 인접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다.
재료 정보 관리부(142’)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공물 제조 시에 사용할 재료 정보를 수신한다.
복원치 그래픽 데이터 검색부(143’)는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를 통해 수신된 손상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한다.
적용 결과 표시부(144’)는 복원치 그래픽 데이터 검색부(143’)에 의해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를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시킨다.
적용 결과 수정부(145’)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손상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합하게 수정한다.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6’)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한다. 이때,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146’)에 의해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가 선택되면,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141’)는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또는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147’)는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요청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 결된 카드사 서버(미도시) 및 금융사 서버(미도시)와 결제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201)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다양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단계(S202)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3D 스캐너(110)를 통해 환자의 환부, 즉 손상치,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채득한 다음, 단계(S203)으로 진행하여, 이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단계(S204)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손상치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한 다음, 단계(S205)으로 진행하여, 이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단계(S206)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키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 다음, 단계(S207)로 진행하여,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의 수정 부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단계(S208)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의 수정 요청을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하고, 단계(S209)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한다.
단계(S2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입력 받은 다음, 단계(S211)로 진행하여,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단계(S212)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단계(S209)에서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단계(S211)에서 수신된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환자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 다음, 단계(S213)으로 진행하여,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요청을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단계(S214)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요청된 기공물 제조 비용을 결제한 다음, 단계(S215)로 진행하여, 결제 처리 결과를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공물 제조 비용의 결제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단계(S216)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170, 172, 174)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예를 들어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를 선택한 다음, 단계(S217)로 진행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단계(S216)에서 선택된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에 전송한다.
단계(S217)에서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재료 정보에 따라 기공물을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공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건강한 상태일 때의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미리 촬영하여 저장해두고, 이후에 손상치가 발생한 경우 이 손상치에 해당하는 완전 치아의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공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도 8을 참조하여 완전 치아의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한 기공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S301)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3D 스캐너(110)를 통해 채득된 환자의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환자 및 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단계(S302)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환자 및 환자의 손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다음, 단계(S303)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검색한다.
단계(S304)에서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 치(170, 172, 174)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예를 들어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를 선택한 다음, 단계(S305)로 진행하여, 단계(S303)에서 검색된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단계(S304)에서 선택된 제 1 기공물 제조 장치(170)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 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상기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 및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공물을 제조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공물에 대한 재료 정보를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료 정보를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는 상기 재료 정보에 대응하는 기공물 재료를 선택하여 상기 기공물을 제조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물 데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5.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상기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수신하는 재료 정보 관리부 및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재료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는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
  7.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를 포함하는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손상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수신된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복원치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적용 결과 표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하는 적용 결과 수정부 및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또는 상기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수신하는 재료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정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데이터 관리 장치.
  10.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환부로부터 채득된 손상치, 상기 손상치와 인접한 치아 및 상기 손상치와 맞물리는 대합치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환자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기공물 제조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 결과의 수신에 따라 상기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13.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생성된 손상치를 포함하는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상치에 대응하는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환부의 그래픽 데이터에 적용시킨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적용시킨 결과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복원치의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14.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통해 채득된 환자의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가 환자 및 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환자 및 상기 환자의 손상 치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기공물 제조 장치로 전송하여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따라 제조될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공물을 제조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기공물 제조 장치 중 각 기공물 제조 장치의 처리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기공물 제조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공물 제조 장치에 상기 완전 치아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및 상기 기공물의 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공물 제조 방법.
KR1020090081971A 2009-09-01 2009-09-01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971A KR101146998B1 (ko) 2009-09-01 2009-09-01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971A KR101146998B1 (ko) 2009-09-01 2009-09-01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097A true KR20110024097A (ko) 2011-03-09
KR101146998B1 KR101146998B1 (ko) 2012-05-24

Family

ID=4393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971A KR101146998B1 (ko) 2009-09-01 2009-09-01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9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76A1 (ko) * 2014-11-28 2016-06-02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8007645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지르코리아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WO2018151370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오브젝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KR102424457B1 (ko) * 2022-04-25 2022-07-26 쓰리디업앤다운 주식회사 영구 틀니 제작용 통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737A (ko) * 2005-03-18 2006-09-21 양계식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환자 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GB0514554D0 (en) * 2005-07-15 2005-08-24 Materialise Nv Method for (semi-) automatic dental implant plan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76A1 (ko) * 2014-11-28 2016-06-02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8007645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지르코리아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WO2018151370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오브젝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079009B1 (ko) *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KR102424457B1 (ko) * 2022-04-25 2022-07-26 쓰리디업앤다운 주식회사 영구 틀니 제작용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998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7079B2 (en) On-line system for manufacturing a dental mold
KR101918015B1 (ko) 치과 의료 정보 및 제작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56480B1 (ko) 디지털 치과 진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46998B1 (ko)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200865A1 (en) Interactive dental restorative network
JP2016528577A (ja) 医療用デバイスの処方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90023113A1 (en) Dental Appliance On-Line Ordering Including Display Of End Product Image And Mold Three-Dimensional Scanning For Digital Transmission
KR102050458B1 (ko) 치과 병원과 치기공물 제작자 간의 업무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2424096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영상 정합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정합 방법
US20200405447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eeth
JP2016071784A (ja) 歯科用補綴物受発注システムおよび歯科用補綴物受発注方法
Memon et al. A review on patient-specific facial and cranial implant desig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CN111772840A (zh) 全口数字化种植导板的制作方法及制作系统
CN111192649A (zh) 一种牙齿矫正问诊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17565B1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KR10254932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TW201434008A (zh) 健康狀態的個人化地視覺化呈現
JP6697200B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CN108305689A (zh) 牙齿修复效果生成方法及装置
KR101559462B1 (ko)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0362A (ko)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KR102452171B1 (ko) 보철물 관리 시스템
JP7382582B2 (ja) 技工物自動設計システム
US20150213199A1 (en) Healthcare data management system
KR20190023133A (ko) 구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8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216

Effective date: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