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328B1 -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328B1
KR102549328B1 KR1020220072620A KR20220072620A KR102549328B1 KR 102549328 B1 KR102549328 B1 KR 102549328B1 KR 1020220072620 A KR1020220072620 A KR 1020220072620A KR 20220072620 A KR20220072620 A KR 20220072620A KR 102549328 B1 KR102549328 B1 KR 10254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laboratory
prosthesis
information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Priority to KR102022007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prosthesis history information and dental laboratory platform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로 불리우며, 임플란트 수술은 인공치근(픽스쳐), 지대주(어버트먼트) 및 보철물(크라운)으로 구성된 인공적인 구성요소를 구강 내부에 삽입하여 치아 결손부위를 수복(restoration)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 나사가 포함되며,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를 턱뼈에 식립하는 1차 시술이 이루어지고, 약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긴 시간을 기다린 후에 최종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현재 치과 치료의 60% 이상은 기공소에 의뢰하는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보철치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치과 수익은 대부분 기공소에 보철물을 의뢰함으로써 발생된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작업이 대부분이던 기공 시장도 디지털 제조 방식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치과의 3D 스캐너 보급이 확대되면서 환자의 디지털 구강 데이터를 치과기공소에 의뢰하여 보철물을 주문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과도기적 상황으로 인해 여전히 종이로 작성된 기공의뢰서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수주/발주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공의뢰서는 작성 내용 부실로 보철정보의 보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시술을 받았던 치과가 폐업하거나 이전하는 경우, 과거 치료한 보철물에 대한 데이터 확인이 불가하여 타 치과에서는 동일 부위에 대한 치교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8631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의 치과치료와 관련된 정보들을 디지털화하고,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및 치과기공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 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치과 단말 및 기공소 단말과 통신하여 치과와 기공소간에 치과보철물 기공 작업의 발주와 수주를 중개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부;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송수신되는 보철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보철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 관리부는,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상기 치과 단말에 의해 선택된 기공소 단말로 전송하는 기공의뢰서 관리부; 및
생성된 보철물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과 단말과 기공소 단말 간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신규주문, Remake, Repair 중 주문 유형을 선택하는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주문 유형이 선택되면 Single, Splint, Bridge 중 임플란트가 연결된 상태를 선택하는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임플란트 연결 상태 유형이 선택되면 크라운의 종류 및 치식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크라운 종류 및 치식 번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얻은 구강 데이터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에 포함된 상기 보철정보를 분석하여, 보철물의 상부 구조물을 구성하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분석하여 환자별로 맞춤 제작된 어버트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점을 복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특징점의 픽셀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좌표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시값 정보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 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치과 단말(1) 및 기공소 단말(2)과 통신하는 관리서버(3)에 구현될 수 있으며, 치과 단말(1) 및 기공소 단말(2)은 관리서버(3)로부터 미리 다운로드받아 설치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3)로 접속하거나, 관리서버(3)와 연동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에 따른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에 구현된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플랫폼 관리부(100) 및 암호화부(200)를 포함한다.
플랫폼 관리부(100)는 치과 단말 및 기공소 단말과 통신하여 치과와 기공소간에 치과보철물 기공 작업의 발주와 수주를 중개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 관리부(100)는 기공의뢰서 관리부(110) 및 피드백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상기 치과 단말에 의해 선택된 기공소 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온라인 기공의뢰서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들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이 치과 단말에 출력되도록 한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주문종류 선택화면, 임플란트 연결 상태 선택화면, 크라운 종류 선택화면, 치식번호 선택화면 및 데이터 업로드화면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주문종류 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치과 단말로부터 보철물 주문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주문종류 선택단계에서는 신규주문, Remake 및 Repair 중 주문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신규주문은, 말 그대로 새로운 환자에 대한 임플란트를 위하여 새롭게 치과보철물을 주문하는 것을 의미하고, Remake는 이전에 주문한 적이 있던 치과보철물에 대하여 다시 제작을 의뢰하는 주문 유형을 의미하며, Repair는 이전에 주문한 적이 있던 치과보철물에 대하여 일부 수정하여 제작(개조)을 의뢰하는 주문 유형을 의미한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주문 유형이 선택되면 임플란트 연결 상태 선택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임플란트 연결 상태 선택단계에서는 Single, Splint, Bridge 중 임플란트가 연결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Single은 임플란트 싱글을 의미하고, 임플란트 픽스쳐 하나에 연결 결합될 단일의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을 말한다. Splint는 임플란트 스플린트를 의미하고, 임플란트 픽스쳐 하나에 연결 결합될 서로가 부목과 같은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 2개의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을 말한다. Bridge는, 임플란트 브릿지를 의미하고, 양쪽의 임플란트 픽스쳐 2개에 연결 결합될 3개의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을 말하고, 가운데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은 양쪽 상부구조물과 연결 결합돼 있는 것이다. 즉, 임플란트 브릿지는 치아가 여러 개 빠졌을 때 상실한 치아 수만큼 임플란트 픽스쳐를 식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 역할을 하는 몇 개의 임플란트 픽스쳐만을 식립하고 거기에 다리를 씌우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인공치근을 치아 수만큼 식립하지 않아도 돼 부담이 적은 반면 브릿지를 씌워 상실한 모든 치아의 기능을 되살릴 수 있어 효과적이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크라운 종류 선택화면을 통해 치과 단말로부터 크라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크라운의 종류는 임플란트 크라운과 지대치 프렙 크라운/인레이 중 선택할 수 있다.
이후,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치식번호 선택화면을 통해 빠진 치아의 치식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치식번호란 치아 하나하나의 명칭을 부르기에 너무 길기 때문에 번호로 간단하게 치아를 특정 지을 수 있도록 번호를 붙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FDI라는 치식을 사용하고 있고, 자기 자신의 오른쪽 위 치아가 10번대 치아, 왼쪽 위 치아가 20번대 치아, 왼쪽 아래 치아가 30번대 치아, 오른쪽 아래 치아가 40번대 치아로 각각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데이터 업로드화면을 통해 쉐이드 이미지와 구강 스캐너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얻은 구강 내부 구조에 대한 3차원 데이터파일인 구강 스캔 이미지를 업로드받을 수 있다.
쉐이드 이미지에서 쉐이드는 치아 색깔을 말한다. 환자의 치아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판단되는 쉐이드를 쉐이드란에 기재한다. 쉐이드를 판단할때는 비타클래식과 3D마스터 제품의 쉐이드 가이드의 기준으로 판단하여 기재한다. 쉐이드 가이드는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색깔을 설명하거나 표현하기 위해 일정한 원리에 의해서 서로 다른 색을 가진 인공치아 몇 개를 나열한 제품이다.
구강 스캔 이미지는, 구강 스캐너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구강 내부 구조에 대한 데이터파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구강 스캐너는 향후 개발되거나 기존에 공지되어 있던 구강 내부 구조를 스캐닝할 수 있는 구강 스캔 장치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이러한 기공의뢰서 관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UI 화면의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치식타입을 선택받기 위한 UI 화면의 일 예이고, 도 6은 어버먼트 타입을 선택받기 위한 UI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이와 같은 UI 화면을 통해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생성할 수 있다. 기공의뢰서 관리부에 의해 생성된 온라인 기공의뢰서는 주문을 발주하는 치과에 대한 정보(상호명, 위치, 의사명 등)와, 주문을 수주하는 기공소에 대한 정보와, 제작이 요구되는 보철물에 대한 정보(이하 보철 정보)와, 가격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기공의뢰서에 포함된 보철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보철정보를 사유화하면서도 보철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피드백 관리부는 생성된 보철물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과 단말과 기공소 단말 간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피드백 관리부는 치과 단말과 기공소 단말 간 온라인 대화방을 개설하여 치과와 기공소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암호화부(200)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송수신되는 보철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보철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에 포함된 상기 보철정보를 분석하여, 보철물의 상부 구조물을 구성하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 나사가 포함되며,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를 턱뼈에 식립하는 1차 시술이 이루어지고, 약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긴 시간을 기다린 후에 최종 보철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임플란트의 하부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나사 형상을 가지며 턱뼈에 대한 식립 위치(높이)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픽스츄어는 환자별 구강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턱뼈에 식립될 수 있다.
픽스츄어의 상측에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에는,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측에 결합되며 이빨 형상을 가지는 보철물 및 상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보철물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보철물 또는 커넥터와 같은 부품은 환자의 구강 환경(형상, 잇몸의 상태, 이빨의 배열)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부는 환자별로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어버트먼트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보철정보를 개인이 관리하더라도 악의적인 목적에 의해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호화부는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분석하여 환자별로 맞춤 제작된 어버트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점을 복수 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부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에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며,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 신경망은 입력층, 은닉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된 심층 신경망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 분석 및 특징점 추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암호화부는 설정된 각각의 특징점의 픽셀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좌표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시값 정보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여 기 구축된 블록체인에 결합하여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한다.
이때, 동일 환자에 대한 새로운 보철정보가 입력되면, 암호화부는 이전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의 픽셀좌표와 새롭게 입력받은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의 픽셀좌표를 비교하여 픽셀좌표의 변화된 양을 나타내는 트랜잭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암호화부는 이러한 트랜잭션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환자에 대한 보철정보 이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제3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보철정보를 획득하더라도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공간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플랫폼 관리부
200: 암호화부

Claims (3)

  1. 보철치료를 위해 치과와 기공소 간 온라인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 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보철치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치과 단말 및 기공소 단말과 통신하여 치과와 기공소간에 치과보철물 기공 작업의 발주와 수주를 중개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부;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송수신되는 보철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보철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관리부는,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를 상기 치과 단말에 의해 선택된 기공소 단말로 전송하는 기공의뢰서 관리부; 및
    생성된 보철물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과 단말과 기공소 단말 간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공의뢰서 관리부는,
    신규주문, Remake, Repair 중 주문 유형을 선택하는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주문 유형이 선택되면 Single, Splint, Bridge 중 임플란트가 연결된 상태를 선택하는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임플란트 연결 상태 유형이 선택되면 크라운의 종류 및 치식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치과 단말로부터 크라운 종류 및 치식 번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얻은 구강 데이터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UI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온라인 기공의뢰서에 포함된 상기 보철정보를 분석하여, 보철물의 상부 구조물을 구성하는 어버트먼트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어버트먼트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분석하여 환자별로 맞춤 제작된 어버트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점을 복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특징점의 픽셀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좌표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해시값 정보에 대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산 노드들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72620A 2022-06-15 2022-06-15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KR10254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20A KR102549328B1 (ko) 2022-06-15 2022-06-15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20A KR102549328B1 (ko) 2022-06-15 2022-06-15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328B1 true KR102549328B1 (ko) 2023-06-29

Family

ID=8694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20A KR102549328B1 (ko) 2022-06-15 2022-06-15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573B1 (ko) * 2023-10-12 2024-02-02 주식회사 팀퀸트 Ocr 기반으로 치아 구조물을 의뢰하고 가공하며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49996B1 (ko) * 2023-07-04 2024-03-22 주식회사 덴컴 치과용 차트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411A (ko) * 2019-08-27 2021-03-09 주성훈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KR102386306B1 (ko) * 2022-01-06 2022-04-14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치과보철물 온라인 의뢰 플랫폼 시스템
KR102386311B1 (ko) 2022-01-06 2022-04-14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치과보철물 캐드 디자인 아웃소싱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411A (ko) * 2019-08-27 2021-03-09 주성훈 블록체인 기반의 치과 임플란트 부품 정보 저장 방법
KR102386306B1 (ko) * 2022-01-06 2022-04-14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치과보철물 온라인 의뢰 플랫폼 시스템
KR102386311B1 (ko) 2022-01-06 2022-04-14 주식회사 커스토먼트 치과보철물 캐드 디자인 아웃소싱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996B1 (ko) * 2023-07-04 2024-03-22 주식회사 덴컴 치과용 차트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33573B1 (ko) * 2023-10-12 2024-02-02 주식회사 팀퀸트 Ocr 기반으로 치아 구조물을 의뢰하고 가공하며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32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보철물 이력정보 및 치과기공 플랫폼 관리 시스템
Anderson et al. Endodontic applications of 3D printing
Mennito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scan pattern has on the trueness and precision of six intraoral digital impression systems
Hassan et al. Integrating 3D facial scanning in a digital workflow to CAD/CAM design and fabricate complete dentures for immediate total mouth rehabilitation
Monaco et al. A fully digital approach to replicate peri‐implant soft tissue contours and emergence profile in the esthetic zone
Wright et al. The effects of fixed and removable implant‐stabilised prostheses on posterior mandibular residual ridge resorption
Joda et al. Digital implant impressions with the “I ndividualized S canbody T echnique” for emergence profile support
Papaspyridakos et al. Digital workflow for implant rehabilitation with double full‐arch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de Oliveira et al. Clinical efficiency and patient preference of digital and conventional workflow for single implant crowns using immediate and regular digital impression: A meta‐analysis
Monaco et al. Implant digital impression in the esthetic area
Sivaramakrishnan et al. Patient preference and operating time for digital versus conventional impressions: a network meta‐analysis
US20170027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teeth model
Arcuri et al. Full digital workflow for implant-prosthetic rehabilitations: a case report
An et al. Digital workflow for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in edentulous patients with an intraoral scanner and old complete denture
Marzadori et al. Soft‐tissue augmentation procedures in edentulous esthetic areas
KR10252314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온라인 의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arosi et al. Digital workflow to merge an intraoral scan and CBCT of edentulous maxilla: a technical report
da Silva Marques et al. Soft tissue replication in single unit implant impressions—A three dimensional clinical study
Marinis et al. Digital workflow for double complete arch zirconia prostheses utilizing a novel scan body
Lago et al. Implant rehabilitation planning protocol for the edentulous patient according to denture space, lip support, and smile line
Van Der Zel Implant planning and placement using optical scanning and cone beam CT technology
Meneghetti et al. A fully digital approach for implant fixed complete dentures: A case report
Chaves et al. Implant‐supported crown design and the risk for peri‐implantitis
Revilla‐León et al. Tracking and recording the lip dynamics for the integration of a dynamic virtual patient: A novel dental technique
Godoy et al. Simplified technique for incorporating a metal mesh into record bases for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