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51A -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451A
KR20180076451A KR1020160180607A KR20160180607A KR20180076451A KR 20180076451 A KR20180076451 A KR 20180076451A KR 1020160180607 A KR1020160180607 A KR 1020160180607A KR 20160180607 A KR20160180607 A KR 20160180607A KR 20180076451 A KR20180076451 A KR 2018007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smart device
implant
model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묵
고주영
이선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8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451A/ko
Publication of KR2018007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온라인 및 스마트 기기로 처리할 수 있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임플란트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임플란트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대기화면에서 신규거래를 선택하면 의뢰를 요청하는 전자의뢰서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 표시되는 단계; 거래추가 선택시 요청거래가 작업 중 상태로 거래 목록이 표시되고, 제작자가 3D 모델을 제작하여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PC 버전에서 3D모델 파일을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는 해당 의뢰에 대해 검수요청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는 거래목록에서 해당거래 선택 시에는 의뢰시 작성했던 전자의뢰내용 수정사항 확인을 위한 세부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세부화면에서 모델확인버튼 선택시 3D 모델이 다운로드되고, 애플리케이션 이용해 가상공간에서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 검수버튼을 선택하여 의뢰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PC로 검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의뢰자 PC 또는 의뢰자 스마트 기기를 통해 검수가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의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 검수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Implant commissioning, ordering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온라인 및 스마트 기기로 처리할 수 있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추간 보철물은, 척추뼈의 움직임을 보존하면서 척추뼈 사이의 공간을 유지 또는 회복하도록 두 개의 인접한 척추뼈 사이에 이식될 수 있다. 인터소매틱 케이지는, 디스크 공간(disk space)에 있어서의 뼈 조직 이식편(또는 대체물)의 배치 및 성장을 위해 또 관절고정술(두 척추뼈의 융합)을 얻기 위해 두 개의 인접한 척추뼈 사이에 이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가 위치된 후, 척추간 공간은 자가 해면골(autologous spongy bone) 또는 적절한 뼈 대체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척추간 공간에서 위치하기에 앞서, 케이지의 캐비티(cavity)에도(또는 대체물에도)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척추간 임플란트, 임플란트 앵커(implant anchor), 앵커에 의한 임플란트의 척추뼈에의 고정 및 이식 기구에 의한 디스크 공간에서 임플란트의 이식에 관한 것이다.
한편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은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악 및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시술은 잇몸 뼈, 즉 치조골에 픽스처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심겨진 픽스처에 지대주(어버트먼트 또는 링크)를 연결하여 치아 대체물을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사람의 뼈나 치아를 대신하여 인공으로 제작된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인간 생활에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임플란트에 있어서, 현재 치아 임플란트를 제외한, 다른 신체부위의 임플란트는 몇 해 전까지만 해도, 미국, 독일 등에서 수입하여 시술하는 실정이었다.
즉 치아 임플란트는 비교적 제작이 쉽고 제작 기술이나 장비도 다양하게 있어서 자체 생산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치아를 제외한 임플란트는 그 형태를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를 산출하기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 제작하기 위한 장치나 기술도 부족한 편이다.
대부분의 임플란트의 경우 환자맞춤형 임플란트가 아니므로, 이러한 규격의 임플란트는 환자 개인에게 좋지 않은 착용감을 줄 수밖에 없을뿐더러, 부작용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즉 규격이 제한된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임플란트는 정확하게 환자에 맞는 것을 제공하기가 곤란한 실정인 것이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번호 10-2016-0001316호(2016.01.06. 공개) - 3D 조영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모형제작방법 특허문헌 2 : 공개특허번호 10-2016-0142142호(2016.12.12 공개) -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온라인 및 스마트 기기로 처리할 수 있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은 임플란트 제작을 의뢰하는 의뢰자 PC; 상기 의뢰자 PC를 통해 의뢰한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토대로 3D(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3D 제작자 PC; 상기 의뢰자 PC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환자의 각종 정보와, 복수의 의뢰자 정보와 제작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뢰자 PC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3D 제작자 PC로 제공하며, 3D 제작자 PC에서 모델링된 3D 임플란트 모델을 상기 의뢰자 PC로 전송하는 웹 사이트 서버; 및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의뢰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여 운용되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은 웹 사이트 서버로부터 임플란트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임플란트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대기화면에서 신규거래를 선택하면 의뢰를 요청하는 전자의뢰서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 표시되는 단계; 거래추가 선택시 요청거래가 작업 중 상태로 거래 목록이 표시되고, 제작자가 3D 모델을 제작하여 상기 웹 사이트 서버에 PC 버전에서 3D모델 파일을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는 해당 의뢰에 대해 검수요청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는 거래목록에서 해당거래 선택 시에는 의뢰시 작성했던 전자의뢰내용 수정사항 확인을 위한 세부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세부화면에서 모델확인버튼 선택시 3D 모델이 다운로드되고, 애플리케이션 이용해 가상공간에서 확인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 검수버튼을 선택하여 의뢰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PC로 검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의뢰자 PC 또는 의뢰자 스마트 기기를 통해 검수가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의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 검수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임플란트 수주 및 검수 과정을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과 스마트기기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수주 및 검수 과정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임플란트 수주 및 검수 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과 통신망을 통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함으로써 검수 및 수주가 용이하고 수주에 따른 모델링과 검수 역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를 스마트 기기에서 할 수 있어 임플란트에 대한 작업일정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을 위한 웹사이트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에서 3D 모델 업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을 위한 웹사이트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의뢰자 PC(10, 11, 12), 복수의 3D 제작자 PC(20, 21, 22), 웹 사이트 서버(30), 관리자 스마트 기기(40), 의뢰자 스마트 기기(50) 및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의뢰자 PC(10 : 11, 12, 13)는 임플란트 제작을 의뢰하는 의뢰자의 PC이다. 이때, 의뢰자는 의뢰자 PC(10)를 통해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로는 임플란트 소재와 제작시 필요한 설명을 입력하며, 사진자료가 포함된다.
복수의 3D 제작자 PC(20 : 21, 22, 23)는 의뢰자가 의뢰자 PC(10)를 통해 의뢰한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토대로 3D(3차원) 모델링을 수행한다.
웹 사이트 서버(30)는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환자의 각종 정보와, 복수의 의뢰자 정보와 제작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임플란트 환자 정보로는 의뢰자 PC(10)로부터 전송된 임플란트 환자 정보를 포함되는데 임플란트 환자의 임플란트 완료희망일, 임플란트 소재, 제작설명자료, 사진자료, 작업자료, 3D 모델자료, 수정요청자료, 검수자료 등이 포함된다. 한편 의뢰자정보와 제작자 정보는 의뢰자와 제작자의 이름,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번호, 주소, 계좌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웹 사이트 서버(30)는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3D 제작자 PC(20)로 제공하며, 3D 제작자 PC(20)에서 모델링된 3D 임플란트 모델을 의뢰자 PC(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웹 사이트 서버(30)는 의뢰자 PC(10)와 제작자 PC(20)간의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는 웹 사이트 서버(3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로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설치할 수 있다.
의뢰자 스마트 기기(50)는 의뢰자 PC(10)에서 의뢰된 임플란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전송받는다.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는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임플란트 모델링을 의뢰받거나, 수정 요청 사항을 전송받는다.
한편 웹 사이트 서버(30)는 관리자 스마트 기기(40), 의뢰자 스마트 기기(50) 및 제작자 스마트 기기(60)와 통신망(70)을 통해 통신한다. 이러한 통신망(70)은 이동통신망,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웹 사이트 서버(30)는 도 2에서와 같이 통신부(31), 인터페이스부(32), 데이터베이스(33),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34) 및 제어부(35)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31)는 관리자 스마트 기기(40), 의뢰자 스마트 기기(50) 및 제작자 스마트 기기(60)와 통신망(70)을 통해 통신한다.
인터페이스부(32)는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프린터, 모니터 등 웹 사이트 운영자가 웹사이트 서버(30)에 접속하여 다양한 작업(입력, 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33)는 임플란트 환자의 각종 정보와, 복수의 의뢰자 정보와 제작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임플란트 환자 정보로는 의뢰자 PC(10)로부터 전송된 임플란트 환자 정보를 포함되는데 임플란트 환자의 임플란트 완료희망일, 임플란트 소재, 제작설명자료, 사진자료, 작업자료, 3D 모델자료, 수정요청자료, 검수자료와 의뢰자와 제작자의 이름,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번호, 주소, 계좌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뢰자정보와 제작자 정보가 포함된다.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34)은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별도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물론 한글, MSWORD, 엑셀, VISIO 프로그램, 2D, 3D 캐드 프로그램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5)는 통신부(31), 인터페이스부(32), 데이터베이스(33) 및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34)을 제어하여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3D 제작자 PC(20)로 제공하며, 3D 제작자 PC(20)에서 모델링된 3D 임플란트 모델을 의뢰자 PC(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의뢰자 PC(10)에서 의뢰된 임플란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통신부(31)를 통해 의뢰자 스마트 기기(50)로 전송하고, 임플란트 모델링을 의뢰받거나, 수정 요청 사항을 전송받으면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해당 요청사항을 통신부(31)를 통해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3)에 의뢰자 PC(10)와 제작자 PC(20)간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로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 이벤트 발생을 통신부(31)를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웹 사이트 서버(30)와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100).
그러면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된다(S110). 이와 같은 대기화면은 예를 들면 도 4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의뢰내용에 대한 간단한 정보가 표시되며, 아이콘과 텍스트로 현재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태는 작업중, 검수요청, 수정요청, 검수완료, 취소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리스트 항목중 하나를 클릭하면 세부 내용페이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메뉴 화면 버튼을 눌러 거래처 추가, 신규 거래 요청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화면에서 신규거래를 선택하면 의뢰를 요청하는 전자의뢰서가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 표시된다(S120). 이러한 전자의뢰서는 의뢰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이므로, 의뢰 대상인 거래처를 선택 후 환자정보 및 완료일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작할 임플란트 소재와 제작시 필요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추가적으로 사진촬영 및 사진 선택 기능으로 사진자료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어 거래추가 선택시 요청거래가 작업 중 상태로 거래 목록을 표시한다(S130).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거래를 요청하면 거래목록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거래목록에 '작업중' 상태로 요청 거래가 나타나며 선택 시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작자(제조업체)가 3D 모델을 제작하여 웹 사이트 서버(30)에 PC 버전에서 3D모델 파일을 업로드하면(S140), 세부정보의 버튼이 모델 확인 버튼으로 전환되며 버튼클릭시 도 8에서와 같이 모델을 다운로드 받고 3D 가상공간화면에서 제작된 3D 모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 알림기능을 통해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관리자 스마트 기기에서는 해당 의뢰에 대해 검수요청 상태 전환된다(S150).
이어 거래목록에서 해당거래 선택 시에는 의뢰시 작성했던 전자의뢰내용 수정사항 확인을 위한 세부 화면이 표시된다(S160).
그리고 모델확인버튼 선택시 3D 모델이 도 9에서와 같이 다운로드된다(S170).
다운로드된 3D 모델을 화면에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이용해 가상공간에서 확인한다(S180).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모델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3D 모델 보기화면으로 전환되고, 페이지가 나온 후 모델 로딩 화면을 거친 후 3D 모델이 렌더링 된다.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 또는 PC를 통해 한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를 통해 모델 회전, 핀치 제스처를 통해 확대축소, 두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를 통해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우측상단의 버튼을 통해 이동된 모델을 원점으로 다시 돌릴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메뉴를 통해 부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좌측 메뉴의 모델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표시된 3D 모델의 목록이 나오게 되며 우측의 버튼을 통해 보이기/안보이기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터치기능 및 마우스를 이용해 표시된 3D모델 화면이동 및 특정모델 보기를 포함하는 수정요청 등을 수행한다(S190). 수정요청 버튼을 선택하면 수정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수정사항 추가 버튼을 선택한 후 3D 모델상의 수정 부위를 터치하면 공모양의 마커가 생성되고, 텍스트를 입력 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를 입력하면 우측 메뉴창에 수정사항 내용이 표시되며, 수정사항 리스트의 목록을 선택 시 수정내용창이 나오게 되며 수정사항 수정, 삭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수정사항 작성이 완료되면 제작자에게 수정사항이 추가되었다는 알림이 전달된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자르기 버튼을 이용하여 모델의 단면을 관측할 수 있고, 자르기 버튼을 누른 후 3D 화면에서 자를 단면을 드레그를 통해 입력한다. 모델은 드레그 방향으로 잘리게 되며, 잘려진 모델은 반전 버튼을 통해 단면의 우측이 보이느냐 좌측이 보이느냐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을 자른 후 거리측정 버튼을 통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측정 버튼을 누른 후 드레그 입력을 통해 시작점을 설정한다, 이후 드레그 좌표의 이동에 따라 선이 그려지며 선을 관통하는 모델의 길이는 녹색선으로 표시되며 녹색선의 모델상의 거리가 우측에 mm로 표시된다. 자른 단면은 실행취소 버튼을 통해 원래 모델로 복귀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3에서와 같이 검수버튼을 선택하여 의뢰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PC로 검수를 요청한다(S200).
이어 의뢰자가 자신의 PC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검수를 확인하면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 검수완료 상태로 전환된다(S210). 이때, 검수다이얼로그의 회색 부분은 수기 사인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글씨를 이용하여 자필 서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서명이 끝난 후 완료버튼을 누르면 제작자에게 검수완료 알림이 전송되며 3D 화면 보기를 마칠지에 대한 메시지 박스가 나타난다. 이후 대기화면으로 돌아가면 처리완료탭으로 해당 거래가 이동하여 거래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에서 3D 모델 업로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에서 3D 모델 업로드는 우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300).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S310), 의뢰자 PC(10)로부터 웹 사이트 서버(30)에 임플란트에 대한 신규거래 도착시 거래목록에 작업의뢰로 표시되며(S320), 거래목록 선택시 의뢰자 작성 전자의뢰서 표시된다(S330). 이때, 의뢰가 들어오면 거래목록화면에 작업중 상태표시와 함께 목록이 추가된다. 해당 의뢰를 선택하면 우측에 의뢰 내용이 표시되며, 수기자료, 사진자료를 클릭 시 큰 화면으로 확인가능하다.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해 제작자 PC(20)나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의뢰자 PC(10)에서 전송된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3D모델 제작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제작자는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3D 모델을 제작한다(S340).
모델버튼 선택 시 제작한 3D모델 업로드를 표시한다(S350). 그리고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3D 모델을 제작한 후 업로드 할 시에 모델 업로드 버튼을 누른다.
업로드 대기목록 모델 화면에 도 16에서와 같이 표시한다(S360). 이때, 모델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3D 가상공간 화면이 나타나며, 도 17에서와 같이 STL 3D 파일목록을 드레그&드롭 형태로 프로그램 위에 놓거나, 불러오기 버튼을 통한 파일 선택으로 3D 모델이 로딩된다. 불러온 3D 모델은 마우스움직임을 통해 회전, 확대, 축소 이동 등의 시점이동이 가능하다
이어 3D 모델을 추가한 후 이상이 없을 시 업로드 버튼 선택 시 웹 사이트 서버(30)에 3D 모델이 업로드 된다(S370).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업로드 다이얼로그 박스가 나타나며 도 18에서와 같이 프로그래스 바를 통해 업로드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에서와 같이 업로드가 완료되어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요청 거래가 검수요청 상태로 전환되고,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의뢰자 PC 또는 스마트 기기로 검수요청을 전송한다(S380). 의뢰자 PC와 스마트 기기로 모델이 업로드 되었다는 알림이 전송되며 대기화면에서 도 20에서와 같이 검수 요청으로 상태가 전환된다.
그에 따라 의뢰자 PC 또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정요청이 있다면(S390) 제작자는 의뢰내용(수정내용)에 해당하는 3D 모델을 다시 제작하고, 없는 경우에는 의뢰자가 검수를 확인하면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는 해당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이 검수완료상태로 전환된다(S400).
상기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1, 12, 13 : 고객 PC 20, 21, 22, 23 : 3D 제작자 PC
30 : 웹 사이트 서버 31 : 통신부
32 : 인터페이스부 33 : 데이터베이스
34 :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 35 : 제어부
40 : 관리자 스마트 기기 50 : 의뢰자 스마트 기기
60 : 제작자 스마트 기기 70 : 통신망

Claims (9)

  1. 임플란트 제작을 의뢰하는 의뢰자 PC(10);
    상기 의뢰자 PC(10)를 통해 의뢰한 임플란트에 대하여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토대로 3D(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3D 제작자 PC(20);
    상기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환자의 각종 정보와, 복수의 의뢰자 정보와 제작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3D 제작자 PC(20)로 제공하며, 3D 제작자 PC(20)에서 모델링된 3D 임플란트 모델을 상기 의뢰자 PC(10)로 전송하는 웹 사이트 서버(30); 및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에 의뢰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여 운용되는 관리자의 스마트기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환자 정보로는 상기 의뢰자 PC(10)로부터 전송된 임플란트 환자 정보가 포함되는데 임플란트 환자의 임플란트 완료희망일, 임플란트 소재, 제작설명자료, 사진자료, 작업자료, 3D 모델자료, 수정요청자료, 검수자료가 포함되고, 의뢰자정보와 제작자 정보는 의뢰자와 제작자의 이름,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번호, 주소, 계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나 의뢰자의 스마트 기기(50) 및 제작자의 스마트 기기(60)와 통신망(70)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31)와,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프린터, 모니터를 포함하여 웹 사이트 운영자가 웹사이트 서버(30)에 접속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32)와
    상기 임플란트 환자의 각종 정보와, 복수의 의뢰자 정보와 제작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와,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별도로 개발된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34)과,
    상기 통신부(31), 인터페이스부(32), 데이터베이스(33) 및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34)을 제어하여 상기 의뢰자 PC(10)로부터 의뢰되는 임플란트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3D 제작자 PC(20)로 제공하며, 상기 3D 제작자 PC(20)에서 모델링된 3D 임플란트 모델을 상기 의뢰자 PC(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의뢰자 PC(10)에서 의뢰된 임플란트에 대한 작업 진행 상황을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의뢰자 스마트 기기(50)로 전송하고, 임플란트 모델링을 의뢰받거나, 수정 요청 사항을 전송받으면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해당 요청사항을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33)에 상기 의뢰자 PC(10)와 제작자 PC(20)간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로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의뢰, 수주 및 검수 이벤트 발생을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4.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임플란트 의뢰/수주/검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S100);
    상기 임플란트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S110), 상기 대기화면에서 신규거래를 선택하면 의뢰를 요청하는 전자의뢰서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 표시되는 단계(S120);
    거래추가 선택시 요청거래가 작업 중 상태로 거래 목록이 표시되고(S130), 제작자(제조업체)가 3D 모델을 제작하여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에 PC 버전에서 3D모델 파일을 업로드하는 단계(S140);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는 해당 의뢰에 대해 검수요청 상태로 전환되고(S150),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는 거래목록에서 해당거래 선택 시에는 의뢰시 작성했던 전자의뢰내용 수정사항 확인을 위한 세부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S160);
    상기 세부화면에서 모델확인버튼 선택시 3D 모델이 다운로드되고(S170), 애플리케이션 이용해 가상공간에서 확인하는 단계(S180);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검수버튼을 선택하여 의뢰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PC로 검수를 요청하는 단계(S200); 및
    의뢰자 PC(10) 또는 의뢰자 스마트 기기(50)를 통해 검수가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의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 검수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는 단계(S110)는,
    의뢰내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아이콘과 텍스트로 현재의 상태가 표시되고, 상기 현재의 상태는 작업중, 검수요청, 수정요청, 검수완료, 취소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의뢰서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 표시되는 단계(S120)는,
    의뢰 대상인 거래처를 선택 후 환자정보 및 완료일이 설정되고, 제작할 임플란트 소재와 제작시 필요한 설명이 텍스트로 입력되며, 사진촬영 및 사진 선택 기능으로 사진자료가 함께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화면에서 모델확인버튼 선택시 3D 모델이 다운로드되고(S170), 애플리케이션 이용해 가상공간에서 확인하는 단계(S180)는,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모델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3D 모델 보기화면으로 전환되고, 페이지가 나온 후 모델 로딩 화면을 거친 후 3D 모델이 렌더링되고, 한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 두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를 통해 이동하거나, 우측상단의 버튼을 통해 이동된 모델을 원점으로 다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화면에 표시된 3D 모델의 목록이 나오게 되며 보이기/안보이기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도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은,
    3D모델 화면이동 및 특정모델 보기를 포함하는 수정요청이 수행되는 단계(S190)가 추가되어 3D 모델상의 수정 부위를 터치하면 공모양의 마커가 생성되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정사항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 또는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에서 상기 제작자의 PC(30) 또는 스마트 기기(60)로 수정사항이 추가되었다는 알림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자 PC(10) 또는 의뢰자 스마트 기기(50)를 통해 검수가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의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 검수완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S210)는 검수다이얼로그의 회색 부분은 수기 사인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글씨를 이용하여 자필 서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명이 완료되면 상기 제작자 PC 또는 스마트 기기로 검수완료 알림이 전송되며 3D 화면 보기를 마칠지에 대한 메시지 박스가 나타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의뢰/수주 목록을 포함하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S110), 상기 대기화면에서 신규거래를 선택하면 의뢰를 요청하는 전자의뢰서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 표시되는 단계(S120)는,
    상기 의뢰를 요청하는 의뢰자 PC(10)로부터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에 임플란트에 대한 신규거래 도착시 거래목록에 작업의뢰로 표시되며(S320), 거래목록 선택시 의뢰자 작성 전자의뢰서 표시되고(S330), 상기 의뢰가 들어오면 거래목록화면에 작업중 상태표시와 함께 목록이 추가되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해 제작자 PC(20)나 제작자 스마트 기기(60)로 상기 의뢰자 PC(10)에서 전송된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3D모델 제작이 요청되고, 의뢰내용에 해당하는 3D 모델이 제작되어(S340), 제작한 3D모델 업로드가 표시되는 단계(S350)와,
    모델 업로드 버튼이 선택되면 3D 가상공간 화면이 나타나며, 3D 모델이 로딩되어 업로드 버튼 선택 시 상기 웹 사이트 서버(30)에 3D 모델이 업로드 되는 단계(S370)와,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 의뢰자 PC 또는 스마트 기기로 검수요청이 전송되어(S380), 의뢰자 PC와 스마트 기기로 모델이 업로드 되었다는 알림이 전송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의 대기화면이 검수 요청으로 상태가 전환되고, 상기 의뢰자 PC 또는 의뢰자 스마트 기기에서 검수가 확인되면 상기 관리자 스마트 기기(40)에서는 해당 거래목록에서 해당 의뢰목록이 검수완료상태로 전환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방법.
KR1020160180607A 2016-12-28 2016-12-28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6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07A KR20180076451A (ko) 2016-12-28 2016-12-28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07A KR20180076451A (ko) 2016-12-28 2016-12-28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51A true KR20180076451A (ko) 2018-07-06

Family

ID=6292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607A KR20180076451A (ko) 2016-12-28 2016-12-28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064A (ko) * 2018-11-27 2020-06-15 황은기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9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인터넷과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치아 모형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4097A (ko) * 2009-09-01 2011-03-09 김진환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00419A (ko) * 2014-02-25 2015-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용 맞춤형 지대주 제조방법
KR101619343B1 (ko) * 2014-11-28 2016-05-11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9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인터넷과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치아 모형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4097A (ko) * 2009-09-01 2011-03-09 김진환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00419A (ko) * 2014-02-25 2015-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용 맞춤형 지대주 제조방법
KR101619343B1 (ko) * 2014-11-28 2016-05-11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064A (ko) * 2018-11-27 2020-06-15 황은기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0142A1 (en) Integrated orthopedic planning and management process
US9208531B2 (en) Digital dentistry
US2010010501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Implant Planning And Tooth Implant Kits
US67720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customizing design, manufacture and/or selection of biomedical devices
US20140303938A1 (en) Integrated orthopedic planning and management process
US9107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sign, creation and installation of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WO20030307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customizing design, manufacture and/or selection of biomedical devices
US20230053766A1 (en) System for treatment planning environments
Peel et al. Additively manufactured maxillofacial implants and guides–achieving routine use
JP4738152B2 (ja) 歯科治療を支援する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2417565B1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JP6697200B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JP5997224B2 (ja) 複数の人が複数の場所で使用可能かつインタラクティブな、治療のシミュレ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uergens et al. Navigation-guided harvesting of autologous iliac crest graft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KR20180076451A (ko) 임플란트 의뢰, 수주와 검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419010B1 (ko)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시술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방법
KR10194109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24097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가상 배치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가상 배치 방법
Bircan et al. Development of the customised implant system using CAD/CAM/CAE tools
CN113140322A (zh) 用于联合制定牙齿矫正方案的系统及方法
Dol et al. Optimization of dental implantation
JP2007117423A (ja) 歯科画像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