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603A -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603A
KR20200046603A KR1020180127991A KR20180127991A KR20200046603A KR 20200046603 A KR20200046603 A KR 20200046603A KR 1020180127991 A KR1020180127991 A KR 1020180127991A KR 20180127991 A KR20180127991 A KR 20180127991A KR 20200046603 A KR20200046603 A KR 2020004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home
chart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784B1 (ko
Inventor
국승진
황보준원
Original Assignee
국승진
황보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승진, 황보준원 filed Critical 국승진
Priority to KR102018012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7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로서의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1 획득와,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증상 정보에 대하여, 의사로서의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분석부와,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는 제2 획득부와,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분석부가 누적 저장한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1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HOME CHART}
본 발명은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가 점점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소비자들은 의료 서비스의 제공자인 병원 또는 의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기 어려워 대부분이 주변의 지인들로부터 들은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병원이나 의원도 자신의 서비스를 제대로 홍보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의료 소비자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선택하지 못하고 있으며 병원 또는 의원도 서비스 경쟁을 통한 마케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의료 소비자가 병원 또는 의원에 손쉽게 예약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서비스 부재의 장기화 및 고착화된 상태에 있다.
병원 또는 의원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담당 전문의의 스케줄을 확인하여 진료 일자를 예약하는 방법도 존재하여 직접 병의원을 방문하거나 병원 콜센터를 통해 진료 예약하는 방법보다는 진보된 방법일 수 있으나, 만일 전문의의 스케줄이 포화된 상태에 있거나 아예 담당 전문의가 없는 경우에는 예약 자체가 불가하다.
최근에 포털 사이트 또는 검색 사이트를 통해 병원과 전문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포털 사이트의 검색 방식이나 검색인의 수가 급증하여 의료 소비자는 적절한 전문 병원과 전문의를 확인하기 어렵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84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내원 전 입력한 증상을 복수 회 수신하여 통합 정리하고, 환자 내원 시에 환자가 입력한 정보를 진료실로 전송하여 의사가 진료를 수행하여 진료 시간을 절약하는데 있다.
또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결과를 환자 및/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볼 수 있도록 환자 및/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환자 및/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관리 장치는,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를 대신하는 사용자로서의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제1 획득부; 상기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하여, 의사로서의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분석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는 제2 획득부;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분석부가 누적 저장한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1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제3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2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획득부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획득부는,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수정 정보가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관리 방법은,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를 대신하는 사용자로서의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하여, 의사로서의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분석부가 누적 저장한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수정 정보가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환자 입장에서, 환자 및/또는 보호자가 진료실에서 증상을 설명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환자 및/또는 보호자가 미처 설명하지 못하거나 물어보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환자의 특징을 알려줌으로써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진료 결과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환자를 데려가더라도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대기시간에 증상의 작성이 가능하여 시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의사 입장에서, 진료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하루에 진료할 환자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환자의 증상을 이미 알고 진료를 시작하므로 진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앱 또는 사이트에 등록된 병원에서만 사용 가능하므로 새로운 환자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환자의 증상을 진료 시의 통계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관리자의 입장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이트에 등록된 병원 각각은 보유하고 있는 환자들이 있으므로 영업이 상대적으로 쉽고 용이할 수 있다. 앱 또는 사이트에 등록된 병원 간에는 정보 전송이 가능하여 병원 홍보 효과를 창출하고, 병원간 경쟁심을 유발하여 보다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검색 기능에 병원의 장점을 검색어로 설정하여 병원 홍보 및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홈차트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홈차트 관리 장치 중 홈차트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홈차트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홈차트 관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라 함은,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홈차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홈차트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회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내지 제5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홈차트 서비스 중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환자 및/또는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하여 환자를 대신하는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홈차트 서비스 중 제1 사용자에게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는 홈차트 서비스 중 제2 사용자와 연계하여 제1 사용자에게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제2 사용자의 조력자로서의 간호사 또는 그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의료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는 홈차트 서비스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관리하고, 홈차트 서비스 제공 현황을 열람할 수 있는 병원장 또는 그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의료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사용자는 홈차트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홈차트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도 1의 200,300,400)"라 함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도 1의 201,301,401), 스마트폰(도 1의 202,302,402), 노트북(도 1의 203,303,403),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200,300,4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가 홈차트 관리 장치(도 1의 100)와 정보를 송수신 한다 함은,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차트 시스템(1)은 홈차트 관리 장치(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제3 사용자 단말기(400) 및 통신망(500)을 포함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획득하고,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증상 정보에 대하여,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가 내원한 후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한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홈차트 증상 정보라 함은,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이상)의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정리하고 문장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 예로, 홈차트 증상 정보에는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촬영한 증상과 관련한 이미지(예를 들어, 피부 발진 이미지 등), 동영상,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녹음한 증상과 관련한 음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고,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또는 전송)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수정 정보가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홈차트 증상 정보를 갱신한 후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라 함은,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보고 제2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서 입력한 진료 내용, 의료 기구(예를 들어, 주사), 처방전 및 다음 진료일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 예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에는 제2 사용자가 진료에 이용하는 의료 기구의 상세 정보 및 처방전의 상세 정보 및/또는 이와 관련한 이미지(예를 들어, 처방전에 포함되는 약과 관련한 포장 이미지 등), 동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함과 동시에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내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의 병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으로의 내원을 접수한 홈차트 내원 정보를 생성하고,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홈차트 내원 정보라 함은, 제1 사용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선택한 병원, 내원할 날짜 및 내원할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수신하고 홈차트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생성하는 홈차트 내원 정보를 위한 일련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획득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홈차트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후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에 대응하여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40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한 후,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진료가 시작되기 직전에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2 사용자의 진료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에게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과금 정보 및/또는 처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 실시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홈차트 시스템(1)은 제4 사용자 단말기(미도시) 및 제5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단말기는 제4 사용자의 조작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제공하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300) 및 제3 사용자 단말기(400)의 정보 송수신 상황을 체크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사용자 단말기는 병원 등록한 한 명 이상의 제1 사용자를 검색하고 분류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 단말기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 및 제3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메시지 전달이나,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본인의 병원과 관련하여 광고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 단말기는 진료실에서 제1 사용자에 포함되는 보호자의 단말기(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진료 내용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병원에 가입한 회원으로서의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열람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증상과 정보 등록 또는 수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사용자 단말기는 본인의 병원 검색이 용이하도록 하는 키워드를 등록하는 기능과 광고 전송 시에 광고 문구를 등록 또는 수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사용자 단말기는 제5 사용자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홈차트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사용자 단말기는 각 병원에 등록했던 회원으로서의 제1 사용자의 아이디를 검색하고, 분류 및 정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사용자 단말기는 병원 관리자, 개인 회원(예를 들어, 제1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사용자 단말기는 병원 정보를 수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4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팝업창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고객의 불편 사항을 접수하는 기능과,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의 설명을 수정하는 기능과, 광고란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500)은 홈차트 관리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5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이 홈차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한 후 소정의 정보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5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망(500)은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홈차트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홈차트 관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500)과 연동하여 홈차트 관리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홈차트 관리 장치(100)가 처리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홈차트 관리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3 사용자 단말기(400) 중 하나 이상이 홈차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한 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저장 매체(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 매체(12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복수 회 증상 정보를 획득하는 작업, 획득한 증상 정보에 대하여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잇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는 작업,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작업,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내원 정보를 이용하여 홈차트 내원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제1 사용자 선택한 병원으로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 제1 사용자 내원 시에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작업,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작업, 획득한 진료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는 작업,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작업,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제3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작업, 제4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제5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사용자 정보 내지 제4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고유정보,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 및/또는 이력 정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이용한 자원 사용량 정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자원 사용량에 대응한 과금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에는 홈차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4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증상 메뉴 정보와, 내원 접수 메뉴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진료 결과 메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와 연계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와, 홈차트 내원 정보와,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병원정보를 저장하는 병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병원의 연혁, 병원의 위치, 진료 과목, 의료인 정보, 병원에 등록한 제1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40)의 제어하게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획득하고,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증상 정보에 대하여,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고,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가 내원한 후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수정 정보가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홈차트 증상 정보를 갱신한 후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획득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또는 전송)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내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의 병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으로의 내원을 접수한 홈차트 내원 정보를 생성하고,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홈차트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홈차트 관리 장치 중 홈차트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홈차트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홈차트 관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홈차트 관리부(160)는 처리부(161), 제1 획득부(162), 분석부(163), 제2 획득부(164), 제1 제공부(165), 제3 획득부(166), 제2 제공부(167) 및 관리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61)는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대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수신하면, 제1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회원 가입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회원 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처리부(161)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한 회원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홈차트 회원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61)가 제공하는 회원 가입 메뉴 또는 그와 유사하게 제1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의 회원 이름, 주소, 전화번호, 주민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가 가족 회원인 경우, 가족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는 가족 리스트에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다. 가족 리스트에서 제1 사용자의 이름을 선택하면 이름, 개월, 나이 및 성별을 디스플레이 하고, 그 하부에 제1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며,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는 접속 시마다(예를 들어, 매일) 입력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키와 몸무게는 날짜 별로 누적 저장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미도시)을 입력하면 처리부(161)는 키와 몸무게에 대한 퍼센타일과 그에 따른 체지방 퍼센타일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의 체지방이 5프로 미만이면 빈혈 검사 권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 할 수 있으며, 이 메시지에는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의 체지방이 95프로 이상이면 과체중 경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 할 수 있으며, 이 메시지에는 부작용에 대한 설명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의 키에 대한 분석 결과로 특정 연령에서 매월 0.5cm 이상 키가 자라면 성조숙증 경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 할 수 있다. 여기서 성조숙증 경고 메시지에는 여자 아이인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가슴이 나오는지 여부 또는 남자 아이인 경우 고환이 커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1)는 키가 95프로 이상이면 성조숙증 경고 메시지를, 키가 5프로 미만인 경우 저신장 경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 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가 1살에 빈혈 검사, 두드러기 증상을 입력한 적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MAST 검사 권유를 추천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필요한 접종 및/또는 검사 권유를 추천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와 함께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처리부(161)는 홈차트 초기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61)는 홈차트 초기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증상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획득부(162)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획득부(162)는 제1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적어도 2회 이상 복수 번 획득하는 것으로 하며, 2회 이상 획득하는 경우에만 내원 접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분석부(163)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 인지할 수 있도록 분석하여 통합 정리하고 문장화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생성하여 누적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홈차트 초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홈차트 초기 화면 중 증상 입력 메뉴 선택 수신 시에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주 증상 입력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홈차트 초기 화면에는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영역(410)과, 제1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이름, 개월 수(또는 연령), 성별, 키, 몸무게, 체지방)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영역(420)과, 제1 사용자의 이름과 함께 제1 사용자의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3 영역(430)과, 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접수할 수 있는 제4 영역(440)과, 제1 사용자의 과거력 등과 같은 특이 사항(예를 들어, 아토피, 비염, 바난 시럽 알레르기, 빈혈 약 복용 중, 열 경련 2번)을 입력할 수 있는 제5 영역(450)과, 검사 권유를 추천하는 제6 영역(460)과, 처방전을 볼 수 있는 제7 영역(470)과, 과거 기록을 볼 수 있는 제8 영역(4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차트 초기 화면의 마지막 줄에는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진료는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하다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홈차트 초기 화면에서 제4 영역(430)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처리부(161)는 도 5에 도시된 주 증상 입력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 증상 입력화면은 발열,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및 비염 중 어느 한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주 증상 영역(510)과, 복통, 설사, 구토, 변비, 혈변 중 어느 한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주 증상 영역(520)과, 피부 습진, 두드러기, 벌레물림, 눈병, 통증 중 어느 한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3 주 증상 영역(530)과, 화상, 타박상, 상처 중 어느 한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4 주 증상 영역(540)과, 기타 증상(예를 들어, 머리 비듬, 발 부종) 및 전달 사항(예를 들어 알레르기 검사 필요, 아이의 키가 작아요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제5 영역(550)과, 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접수할 수 있는 제6 영역(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된 주 증상 입력 화면의 제1 주 증상 영역(510) 내지 제4 주 증상 영역(540) 중 하나 이상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주 증상에 대한 세부 입력 창 팝업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는 세부 입력창 화면에서 주 증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입력값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증상인 발열에 대한 세부 정보는 온도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기침에 대한 세부 정보는 기침이 지속되는 시간 정보와, 기침의 정도와, 기침이 발생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가래에 대한 세부 정보는 가래가 지속되는 시간 정보와,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콧물에 대한 세부 정보는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코막힘에 해단 세부 정보는 심한 정도와, 코막힘이 발생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복통에 대한 세부 정보는 복통이 발생한 위치 예를 들어, 배꼽 위, 배꼽 주변, 아랫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설사 및 구토에 대한 세부 정보는 횟수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변비에 대한 세부 정보는 변의 형태 및 수분 정도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통증에 대한 세부 정보는 통증의 위치 예를 들어, 귀 통증(좌,우,양측), 두통, 근육통, 팔다리 관절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두드러기에 대한 세부 정보는 부위 예를 들어, 전신, 얼굴, 팔, 다리, 몸통, 엉덩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 증상인 상처에 대한 세부 정보는 찢어짐, 찰과상 등과 같은 종류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증상인 눈병에 대한 세부 정보는 눈부종, 결막염, 다래끼, 눈꼽 등과 같은 종료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 예로 부 증상 입력 화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부 증상 입력 화면은 주 증상에서 제외된 증상들을 주 증상과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증상 정보를 입력하면 제1 획득부(162)는 제1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들어 설명하면, 2018년 10월 22일 화요일 발열 38도와 구토 2회 증상이 오전 9시에 발생하였다면, 도 4의 제3 영역(430)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된 도 5에서 발열 및 구토를 선택할 수 있다. 발열을 선택하면 체온을 적을 수 있는 서브 화면이 팝업 되고, 구토를 선택하면 횟수를 적을 수 있는 서브 화면이 팝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화면에서 체온 38도와 구토 횟수 2회를 입력하고 증상 저장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증상 정보는 제1 획득부(162)가 획득하고, 분석부(163)는 제1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2018년 10월 22일 화요일 발열 38도 구토 2회>를 포함하는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당일 오후에 다시 구토를 3회 하였다면 구토를 다시 선택하여 서브 화면에 구토 횟수 3회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당일 저녁에 발열 39.5도 발생 시 발열을 다시 선택하고 서브 화면에 체온 39.5도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하루가 지나면 전날 기록한 온도는 최고 온도가 저장되고, 구토 등 증상 횟수는 해당일 총합산 될 수 있다. 이로부터 분석부(163)는 제1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2018년 10월 22일 화요일 발열 39.5도 구토 5회>를 포함하는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2018년 10월 23일 수요일 발열 38.7도, 구토 1회, 발진(복부), 설사 2회의 증상 정보를 입력하면 분석부(163)는 해당 증상 정보에 대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고, 2018년 10월 24일 목요일 발열 38.2도, 발진(얼굴), 구토 2회의 증상을 입력하면 분석부(163)는 해당 증상 정보에 대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2018년 10월 25일 금요일 내원 접수를 클릭하고 발열 37도, 발진(얼굴), 구토 1회를 입력 및 저장한다면, 분석부(163)가 분석하여 생성하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는 [발열 3일간 지속되다가 내원일 호전됨(최고 온도 39.5도), 구토 4일간 지속(총 6회), 발진 3일간 지속(복부, 얼굴), 설사 1일(총 2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부(163)는 1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있는 단어 (예를 들어, 최고 온도, 지속, 호전 등) 및 문장(예를 들어, 발열 3일간 지속되다가 내원일 호전됨 등)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처리부(161)는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획득부(162)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부(163)는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의 제4 영역(440) 또는 도 5의 제6 영역(560)의 내원일 접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처리부(161)는 내원 접수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고, 제2 획득부(164)는 내원 접수 화면으로부터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 및 내원일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한 병원 선택 정보 및 내원일 정보에 대응하여 홈차트 내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제공부(165)는 제1 사용자가 내원하게 되면, 홈차트 내원 정보 및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의 제3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61)는 제1 사용자가 접수한 내원일에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2일이 초과되면 홈차트 증상 정보를 리셋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원 접수 후 2일이 경과하면 다시 내원 접수를 수행해야 한다. 도 6은 홈차트 초기 화면 또는 주 증상 입력 화면에서 내원 접수(도 4의 제4 영역(440) 또는 도 5의 제6 영역(560)) 선택 수신 시에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내원 접수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면서 내원 접수 후 선택된 병원의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원 접수 화면에는 홈차트에 등록된 복수의 병원 중 어느 한 병원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는 제1 영역(610)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제2 영역(620)과, 내원일(시간 포함 가능)을 입력할 수 있는 제3 영역(630)과, 선택한 병원 및 내원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제4 영역(6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되는 병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정리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거나, 이전에 진료를 예약한 적이 있는 순서대로 정리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거나, 주말/공휴일인 경우 오픈한 병원 순으로 정리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원 접수 화면의 제4 영역(640)에 포함된 완료 버튼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처리부(161)는 선택된 병원의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홈차트 내원 정보 포함 가능)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처리부(161)는 진료일에 제1 사용자가 병원에 도착하면, 도 7에 도시된 홈차트 증상 정보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가 홈차트 증상 정보 화면을 수정하는 경우는, 내원일 당일 증상 정보 입력을 잊은 경우, 새로운 증상이 발생한 경우, 또는 새로운 질문이 생각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차트 증상 정보를 수정하면 분석부(163)는 이를 분석하여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고,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수정 정보가 반영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갱신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홈차트 증상 정보 화면은 날짜별로 누적되어 생성한 제1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제1 영역(710)과, 기타 증상 및 전달 사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제2 영역(720)과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을 수정하기 위해 입력하는 수정 메뉴(731)와 수정 완료시 입력하는 완료 메뉴(732)를 포함하는 제3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720)과 관련하여, 제1 획득부(162)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예를 들어, 알레르기 검사 원해요)를 획득하고, 분석부(163)는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도록 분석처리하며, 제1 제공부(165)는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예를 들면, 도 4의 제4 영역(440) 또는 도 5의 제6 영역(560)의 내원일 접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최종적으로 오늘의 증상과 내원 접수시 저장한 증상이 분석 및 정리되어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이라 함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기록 또는 표시되는 정보로서, 홈차트 관리부(160)가 획득하고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정보와 동일할 수 있으며, 하기 내용은 특히 분석부(163)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날짜는 오늘의 증상을 처음 기록하고나서 내원 접수를 선택하기까지의 날짜를 카운트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만일 중간에 오늘의 증상을 만 2일 이상 입력하지 않았다면 그 이후부터 날짜 카운트가 새로 시작될 수 있다. 즉, 2일 이상 증상이 없었다면 기존에 입력한 증상은 사라진 걸로 간주되고, 새로 질병이 걸렸으므로 다시 카운트를 시작할 수 있다. 오늘의 증상에는 지속되었다가 내원 접수일에 증상이 사라졌다면 00증상 00일 지속되다가 내원일 호전이라고 기록될 수 있다. 연속 2일 이상 같은 증상이 내원일까지 지속되면 00증상 00일간 지속됨(총 00일)이라고 기록될 수 있다. 중간 중간에 증상이 있었다면 날짜 합산, 횟수 합산으로 00증상 00일(총00일)이라고 기록될 수 있다. 통증, 두드러기 증상 위치가 날마다 다르면 기록된 위치 모두가 기록될 수 있다. 온도는 오늘의 증상 입력이 시작되고 내원전까지의 가장 높은 온도로 기록될 수 있다. 오늘의 증상을 계속 입력하다가 내원을 위해 내원 접수일을 저장했는데 내원을 하지 않은 경우 내원 접수를 입력했을 때의 증상이 오늘의 증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즉, 오늘의 증상과 내원접수 증상 버튼은 같은 종류일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에 내원하면, 제1 제공부(165)는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 및/또는 제3 사용자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수신하면 내원 등록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를 차트에 연동시킬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진료 순서가 되어 가 제3 사용자에 의한 진료실 접수 메뉴 선택 신호를 획득하면, 제1 제공부(165)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기(400)는 차트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진료실에 입장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 및 차트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제2 사용자는 진료 결과 화면 상에 제1 사용자의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고, 제3 획득부(166)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제공부(167)는 제2 사용자의 전송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진료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진료 결과 화면은 한 명 이상의 진료 대기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1 영역(810)과, 현재 진료 중인 제1 사용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영역(820)과, 제1 사용자의 기타 증상 및 전달 사항을 포함하는 홈차트 증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3 영역(830)과, 제1 사용자의 특이 사항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4 영역(840)과, 제2 사용자가 입력한 후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진료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5 영역(8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830)에는 도표화된 키, 몸무게, 체지방, 증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분석부(163)는 제1 사용자의 정보를 통계 처리하고, 제1 제공부(165)는 통계 처리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나이, 성별, 지역, 체중, 키, 증상, 기간, 증상 후 내원일 등 각 항목별로 통계치를 볼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850)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진료 결과 정보(예를 들어 증상 정보에 따른 질환의 종류, 치료 방법 등)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관리부(168)는 병원 별로 자주 내원하는 충성도를 갖는 제1 사용자를 병원별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68)는 충성도를 갖는 제1 사용자에게 내원 시 혜택(포인트, 상품권, 할인권 등)을 생성하고, 제1 제공부(165)는 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부(168)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홈차트 서비스 또는 내원한 병원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제1 사용자는 병원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대한 불만 사항이나 건의 사항을 입력할 수 있고 관리부(168)는 이를 수신하여 홈차트 서비스 개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내원한 병원에 대한 평가 정보(예를 들어 좋아요 또는 별 제공)를 생성할 수 있고, 병원에 개선할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은 제4 사용자 단말기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관리부(168)는 일련의 정보를 수신하여 홈차트 서비스 개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홈차트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내지 제5 사용자 단말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입출력부(230), 프로그램 저장부(240), 제어부(250) 및 표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부(2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25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2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40)는 홈차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증상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경우 홈차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 제2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프로그램 저장부(2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표시부(26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홈차트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 및 홈차트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차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S1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홈차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차트 사이트의 접속을 수신한다.
S2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회원 가입 정보 및 회원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 도 11에는 회원 가입 정보 및 회원 기본 정보 수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S20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회원 이름, 주소, 전화번호, 주민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가 가족 회원인 경우, 가족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는 가족 리스트에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다. 가족 리스트에서 제1 사용자의 이름을 선택하면 이름, 개월, 나이 및 성별을 디스플레이 하고, 그 하부에 제1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S20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는 접속 시마다(예를 들어, 매일) 입력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키와 몸무게는 날짜 별로 누적 저장될 수 있다.
S205단계에서, 제1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미도시)을 입력하면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키와 몸무게에 대한 퍼센타일과 그에 따른 체지방 퍼센타일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한다.
S207단게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체지방이 5프로 미만이면 빈혈 검사 권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한다. 또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체지방이 95프로 이상이면 과체중 경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 할 수 있다.
S209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키에 대한 분석 결과로 특정 연령에서 매월 0.5cm 이상 키가 자라면 성조숙증 경고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팝업한다.
S21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1살에 빈혈 검사, 두드러기 증상을 입력한 적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MAST 검사 권유를 추천한다.
S21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필요한 접종 및/또는 검사 권유 메시지를 팝업한다.
S215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홈차트 초기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S3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 증상 정보를 수신한다. 도 12에는 주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된 홈차트 초기 화면에서 오늘의 증상 메뉴 선택을 수신한다.
S30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주 증상 화면을 출력한다.
S305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 증상 중 하나 이상의 선택을 수신한다.
S307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의 주 증상 선택 신호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세부 입력창을 팝업하고 세부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S309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입력 값을 저장한다.
S31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부 증상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한다.
S31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부 증상 중 하나 이상의 선택을 수신한다.
S315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부 증상 선택 신호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세부 입력창을 팝업하고 세부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S317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입력 값을 저장한다.
S319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기타 증상 입력을 수신한다.
S32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입력값을 저장한다.
S323 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주 증상, 주 증상에 대한 세부 정보, 부 증상, 부 증상에 대한 세부 정보, 기타 증상 정보를 누적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홈차트 증상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회 예를 들어, 2회 이상) 증상을 취합하고 정리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S4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내원 전에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세부 증상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사용자의 세부 증상 정보는 상술한 도 1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S5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내원 접수 수신 후 병원 및 내원 날짜 선택을 수신한다. 도 13에는 병원 및 내원 날짜 선택 수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S50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내원 접수 메뉴 선택을 수신한다.
S50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홈차트에 등록한 병원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한다.
S505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병원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내원일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S507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내원일 선택 후 완료 버튼 선택을 수신한다.
S509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홈차트 내원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6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선택한 병원의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가 내원일에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공한다. 도 14에는 내원전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는 홈차트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S60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내원 당일 진료전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홈차트 증상 정보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출력한다.
S60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선택에 의해 홈차트 증상 정보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한다.
S605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홈차트 증상 정보 수정을 수신한 경우,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홈차트 증상 수정 정보를 수신하고 업데이트 한다.
S607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홈차트 증상 정보(홈차트 증상 수정 정보 포함) 및 홈차트 내원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의 제3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S609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내원일 당일 제3 사용자 단말기(400)에 홈차트 증상 정보를 진료 접수 정보로 출력한다.
S61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3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제1 사용자 내원 시 진료 접수 정보 선택을 수신하면, 홈차트 관리 장치(100) 또는 제3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700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1 사용자의 홈차트 증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생성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도 15에는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 생성 및 전송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S701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호출시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에 대한 홈차트 증상 정보는 제3 사용자 단말기(400)가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703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작성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S705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메시지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선택한다.
S707단계에서, 홈차트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홈차트 관리 장치
200: 제1 사용자 단말기
300: 제2 사용자 단말기
400: 제3 사용자 단말기
500: 통신망

Claims (15)

  1.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를 대신하는 사용자로서의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제1 획득부;
    상기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하여, 의사로서의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분석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는 제2 획득부;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분석부가 누적 저장한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1 제공부;를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제3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제2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홈차트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부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부는,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홈차트 관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공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수정 정보가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8.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를 대신하는 사용자로서의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 회의 증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증상 정보를 획득할 때마다 상기 증상 정보에 대하여, 의사로서의 제2 사용자가 진료 대상 정보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서의 홈차트 증상 정보로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내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분석부가 누적 저장한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 정보로서의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차트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여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증상 정보의 정도, 기간 및 횟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증상 정보를 상세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 있는 단어 및 문장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문의사항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를 확인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누적 저장된 홈차트 증상 정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내원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진료를 받을 시, 상기 수정 정보가 상기 홈차트 증상 정보에 반영되도록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차트 관리 장치.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8항 내지 제 14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27991A 2018-10-25 2018-10-25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2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91A KR102224784B1 (ko) 2018-10-25 2018-10-25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91A KR102224784B1 (ko) 2018-10-25 2018-10-25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603A true KR20200046603A (ko) 2020-05-07
KR102224784B1 KR102224784B1 (ko) 2021-03-08

Family

ID=7073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91A KR102224784B1 (ko) 2018-10-25 2018-10-25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7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56A (ko) * 2000-05-16 2001-11-28 위상오 인터넷 의료상담 서비스방법
KR20050004367A (ko) * 2003-07-02 2005-01-1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웹기반의 천식 환자 관리 방법 및 천식 환자 관리 시스템
KR100737382B1 (ko) * 2006-05-01 2007-07-09 이경수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KR20110128489A (ko)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30086796A (ko) * 2012-01-26 2013-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JP5394881B2 (ja) * 2009-10-09 2014-01-22 徳子 佐藤 診療情報処理方法
KR20180019865A (ko) * 2016-08-17 2018-02-27 정지민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56A (ko) * 2000-05-16 2001-11-28 위상오 인터넷 의료상담 서비스방법
KR20050004367A (ko) * 2003-07-02 2005-01-1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웹기반의 천식 환자 관리 방법 및 천식 환자 관리 시스템
KR100737382B1 (ko) * 2006-05-01 2007-07-09 이경수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JP5394881B2 (ja) * 2009-10-09 2014-01-22 徳子 佐藤 診療情報処理方法
KR20110128489A (ko)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30086796A (ko) * 2012-01-26 2013-08-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시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19865A (ko) * 2016-08-17 2018-02-27 정지민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784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2342B1 (en) Computing system for identifying health risk regions
Kaye et al. Long-term care: who gets it, who provides it, who pays, and how much?
Uscher-Pines et al. Analysis of Teladoc use seems to indicate expanded access to care for patients without prior connection to a provider
KR102141244B1 (ko)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US20120010904A1 (en) Method for reverse physician - patient matching for in-person health care services and tele-consultations
Wright et al.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 use among dual eligibles: rates of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llemann Iseli et al. Instruments to assess patient satisfaction after teleconsultation and triage: a systematic review
Ratnasari et al. Sustainable medical tourism: Investigating health-care travel in Indonesia and Malaysia
KR102033013B1 (ko)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US10074059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Greysen et al. Effect of behaviorally designed gamification with a social support partner to increase mobility after hospital discharg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Teng et al.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regional consistency evaluation in multi-regional clinical trials with different endpoints
Padmavati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mentally ill: practices and ethics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KR20210026152A (ko) 반려 동물 보험과 연계하여, 온라인 상에서 구현되는 반려 동물용 생활 서비스 제공 플랫폼의 구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114190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s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O’Brien et al. An exploratory correlational study in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among adult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JP7382741B2 (ja) 医療機関選定支援装置
KR102345215B1 (ko) 진단을 통한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282153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KR102224784B1 (ko) 홈차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300320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online insurance application process
KR101663686B1 (ko)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10322B1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Ferguson et al. Predicting geographic transience in homeless young adults across three US cities: Who are these frequent flyers and distance trave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