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884A -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884A
KR20130014884A KR1020110076606A KR20110076606A KR20130014884A KR 20130014884 A KR20130014884 A KR 20130014884A KR 1020110076606 A KR1020110076606 A KR 1020110076606A KR 20110076606 A KR20110076606 A KR 20110076606A KR 20130014884 A KR20130014884 A KR 2013001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keyword
storage unit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진
허연
노석범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니
Priority to KR102011007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884A/ko
Publication of KR2013001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웹 환경에서 진료 예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료시간 및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진료시작 소정 시간 전에 예정시각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줄이고 병원행정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누적 관리되는 진료기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진료사례를 근거로 평균적 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진료 예상시간을 근거로 진료일정을 수립하고 조정함과 동시에 상술한 과정에 의해 확정된 진료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확정된 진료일정을 관련 당사자에게 통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진료 예약을 수행할 수 있고,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진료 예정시각을 통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대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막고 시간을 효율적이고 계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에도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경제적인 효용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스템{A Method of Medical Schedule Management and Reservation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웹 환경에서 진료 예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료시간 및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진료시작 소정 시간 전에 예정시각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줄이고 병원행정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의료체계는 동네의 소규모 병·의원과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대변되는 대형병원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이용자의 대부분은 고가의 시설과 장비를 갖춘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동네 병원에서 간단한 진료와 처방을 받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미한 질환의 환자까지도 대형병원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 결과, 미리 진료 예약을 하고 예약된 시간에 병원을 방문하더라도 평균 2~3 시간을 기다려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은 이미 일상이 되었고, 결국 병원 진료가 예약된 날은 아침 일찍부터 병원대기실에 앉아 차례를 기다렸다가 오후가 되어서야 진료를 받고 병원문을 나서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환자가 여러 가지 증세를 보이거나 단일 증세라 하더라도 복수의 진료과목의 진단이 필요한 상황이거나 병리검사라도 추가되게 되면, 하루종일 해당 검사실과 진료실을 찾아 병원내를 돌아다니면서 하루 해를 보내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하루 안에 처리가 불가하여 검사와 진료만을 위해 2~3일이 소요되기도 하며, 그 결과를 보기 위해 며칠 후에 병원을 다시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는 몸이 성하지 않은 환자에게는 고통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고, 환자와 동반한 가족 등의 보호자에게도 피곤하고 불편한 일이며, 결국 병원을 찾은 모든 이가 바쁜 일상에서도 온전히 며칠간의 시간을 투여해야하므로 경제적인 손실도 적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병원진료 기록이 없는 초진의 환자는 진료 예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픈 몸을 이끌고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진료실 앞에서 차례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한편, 진료 예약을 받고 시간을 조정하고 관리해야 하는 병원측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예약자 가운데 예약변경이 발생하거나 수술이나 응급상황 등에 의해 예기치않은 변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상황에 맞춰 일일이 진료일정을 변경하고 변경내용을 해당 대상자에게 알려 줘야 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바, 이용자를 일일이 상대하며 진료시간을 예약받고 변동상황에 맞춰 진료일정을 변경하며 변경상황을 통보하는 일은 담당자에게 있어서 과중한 업무 부담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웹 환경에서 진료 예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료시간 및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진료 예정시각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줄이고 병원행정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일정 관리 방법은 온라인을 통한 진료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단계와,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누적 관리되는 진료기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진료사례를 근거로 평균적 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진료 예약시간 산출단계, 산출된 진료 예상시간을 근거로 진료일정을 수립하고 조정하는 스케쥴링 단계, 상기 스케쥴링 단계에 의해 확정된 진료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진료일정 저장단계, 및 확정된 진료일정을 관련 당사자에게 통보하는 진료일정 통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진료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하여 그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단계와, 산출된 가중치를 근거로 진료 예약 순위를 조정하는 예약 순위 조정단계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예약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한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 기능이 구비된 이용자 단말과, 이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정보 입력 및 결과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병원의 검진기록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진료기록 저장부, 이 진료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와 그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확정된 진료 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예약정보 저장부,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면서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진료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를 통해 진료 일정을 스케쥴링 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통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예약 시스템은 상기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호 연관성이 결여된 키워드를 검출해내는 키워드 검증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워드 검증부를 통해 허위의 키워드 입력이 확인되게 되면 해당 이용자에게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예약정보 저장부내에 반복적으로 진료순위 조작을 시도하는 이용자를 별도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DB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료 예약 시스템은 복수의 진료 예약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중앙의 서버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진료 예약을 수행할 수 있고,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진료 예정시각을 통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대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막고 시간을 효율적이고 계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에도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경제적인 효용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원측에게 있어서도 진료 예약에 따른 업무 부담을 줄이고, 상황변화에 따른 진료일정 변경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 서비스 편의를 높이고 과중한 행정 부담을 줄임으로써 경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약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약 시스템을 예시한 것으로,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PC 또는 스마트 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용자 단말로서 인터넷(20)을 통해 복수의 단말(11~1N)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참조번호 30은 진료일정 관리 모듈로서, 이 진료일정 관리 모듈(30)에는 이용자의 진료 예약 정보가 저장되는 예약정보 저장부(31)와, 검진을 받은 이력이 있는 이용자들의 진료기록이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 저장부(32), 이후에 설명할 중앙 처리부(3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료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핵심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진료에 소요될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33), 상기 이용자 단말(11~1N)을 통한 진료 예약 또는 예약변경 요청에 대하여 약정된 영상 또는 음성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34), 및 진료일정 관리 모듈(30) 내부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35)가 구비된다.
이어,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11~1N), 즉 PC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진료일정 관리 모듈(30)에 접속하게 되면, 진료일정 관리 모듈(30)내의 중앙 처리부(35)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3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웹 화면을 통해 예약 안내를 위한 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ST 10 ~ ST 11)
이용자는 웹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안내에 따라 자신의 이용자 단말(11~1N)을 조작하여 신규예약 또는 예약변경을 선택할 수 있는 바, 이용자가 신규예약을 선택하게 되면 신규 가입자에 대한 안내화면이 출력되면서 이후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신규예약의 접수 절차가 진행되게 되고, 예약변경이 선택되게 되면 해당 이용자의 기존 예약정보가 안내되면서 기존 예약내용에 대한 변경절차가 진행되게 된다.(ST 12 ~ ST 13)
한편, 이용자가 안내화면에 따라 입력하게 되는 정보에는 예약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 연락처 등이 포함된 인적정보와 진료과목, 통증이 있는 신체부위, 통증의 유형, 발열여부, 증상이 발현된 시점 등 환자의 증상과 관련한 문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용자가 화면으로 제공되는 안내에 따라 자신의 이용자 단말(11~1N)을 통해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진료일정 관리 모듈(30)의 중앙처리부(35)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예약정보 저장부(31)에 일시적으로 업데이트 시켜 저장하게 된다.(ST 14)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35)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ID와 비밀번호(P/W)를 통한 회원가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적정보가 시스템에 처음 접수되는 내용인지 기존에 접수된 바 있는 인적정보인지에 따라, 또는 동일 이용자 명의로 접수되어 있는 예약내용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신규 예약인지 예약 변경인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중앙처리부(35)는 이용자에 의한 정보입력이 모두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ST 15), 이용자의 정보입력이 완료되면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반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며, 해당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진료기록 저장부(32)에 저장된 광범위한 데이터와 대조하여 상기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33)를 통해 다양한 유사사례를 근거로 한 평균적 진료예상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ST 16)
핵심 키워드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가운데 진료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목과 사전에 유효 단어로 분류된 기준데이터를 근거로 정해질 수 있는데 각 핵심 키워드에 대한 가중치는 진료의 우선순위 또는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요소로서 예컨대 수술, 출혈, 소정 기준치 이상의 맥박이나 증상이 약정된 범위내의 등급으로 환산된 값이며, 증상에 따라 소변검사, 혈액검사, 방사선 검사 등과 연계되어 가산될 수도 있는 요소로서 예약순위의 변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요인이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해당 예약자에 대한 진료 우선순위, 예상 진료시간이 산출되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부(35)는 변경된 예약순위 및 그에 따른 예약시간 변경결과 등 바뀐 진료일정을 상기 예약정보 저장부(31)에 최종 업데이트 시켜 저장하고(ST 17), 이어 변경된 진료일정 및 진료 예정 시간을 관련 당사자(예약자 및 순위 변경 대상자의 환자, 의료진, 행정 담당자 등을 포함할 수 있음)들에게 SMS 등을 통해 일괄 통보함으로써 진료일정 스케쥴링을 완료하게 된다.(ST 18)
한편, 도 2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처리부(35)는 타이머에 의해 계수되는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예약정보 저장부(31)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색인하여, 각 진료 예약 건에 대해 일정 시간 전 알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웹 접속을 통해 간편하게 진료 예약을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이용자 입력정보만으로도 정확도 높은 진료 스케쥴링이 가능한 진료 예약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료 예약의 순위를 앞당길 목적으로 가중치 높은 키워드를 허위로 입력하는 경우를 제한하기 위하여, 연관성이 없는 무분별한 키워드를 검출해내는 키워드 검증부(36)를 추가로 구성하고 이를 근거로 허위의 키워드 입력이 확인되게 되면 해당 이용자에게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하며, 예약정보 저장부(38)내에 반복적으로 진료순위 조작을 시도하는 이용자를 별도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DB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료일정 관리 모듈(30)을 각 병원 마다 구비토록 하고, 복수의 진료일정 관리 모듈(71~7N)이 중앙서버(80)를 통해 연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로 단일화 된 시스템내에서 진료 예약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10 : 이용자 단말 20 : 인터넷
30, 70 : 진료일정 관리 모듈 31, 38 : 예약정보 저장부
32 : 진료기록 저장부 33 :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
34 : 컨텐츠 저장부 35, 37 : 중앙처리부
36 : 키워드 검증부 80 : 중앙서버

Claims (6)

  1. 온라인을 통한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 기능이 구비된 이용자 단말과,
    이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정보 입력 및 결과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병원의 검진기록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진료기록 저장부,
    이 진료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와 그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확정된 진료 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예약정보 저장부,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면서 이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진료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별 진료시간 산출부를 통해 진료 일정을 스케쥴링 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통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예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호 연관성이 결여된 키워드를 검출해내는 키워드 검증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워드 검증부를 통해 허위의 키워드 입력이 확인되게 되면 해당 이용자에게 재입력을 요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예약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 저장부내에 반복적으로 진료순위 조작을 시도하는 이용자를 별도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DB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예약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진료 예약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중앙의 서버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예약 시스템.
  5. 온라인을 통한 진료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단계와,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누적 관리되는 진료기록을 기초로 하여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진료사례를 근거로 평균적 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진료 예약시간 산출단계,
    산출된 진료 예상시간을 근거로 진료일정을 수립하고 조정하는 스케쥴링 단계,
    상기 스케쥴링 단계에 의해 확정된 진료일정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진료일정 저장단계, 및
    확정된 진료일정을 관련 당사자에게 통보하는 진료일정 통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일정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대하여 그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 산출단계와,
    산출된 가중치를 근거로 진료 예약 순위를 조정하는 예약 순위 조정단계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일정 관리 방법.
KR1020110076606A 2011-08-01 2011-08-01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KR20130014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06A KR20130014884A (ko) 2011-08-01 2011-08-01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06A KR20130014884A (ko) 2011-08-01 2011-08-01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84A true KR20130014884A (ko) 2013-02-12

Family

ID=4789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606A KR20130014884A (ko) 2011-08-01 2011-08-01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8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63A (ko) * 2014-05-16 2015-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원내 의료서비스 예약 자동화방법
KR20210056673A (ko) * 2019-11-11 2021-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N113096753A (zh) * 2021-03-25 2021-07-09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KR102327223B1 (ko) * 2020-06-2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 행동 추론에 기초한 병원 내 안내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8993A (ko) * 2020-09-01 2022-03-08 염경성 도수 치료를 위한 진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1663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63A (ko) * 2014-05-16 2015-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원내 의료서비스 예약 자동화방법
KR20210056673A (ko) * 2019-11-11 2021-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327223B1 (ko) * 2020-06-2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 행동 추론에 기초한 병원 내 안내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8993A (ko) * 2020-09-01 2022-03-08 염경성 도수 치료를 위한 진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3096753A (zh) * 2021-03-25 2021-07-09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CN113096753B (zh) * 2021-03-25 2024-02-23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病患数据自动核验方法及装置
KR20220161663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1004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US11538565B1 (en) Decision support tool for managing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JP7131164B2 (ja)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190079157A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830072A (zh) 将用户角色和用于呈现临床信息、音频、视频和通信控制的情境感知算法进行组合以安全地捕获护理员注意力、减少信息过载并且优化工作流和决策支持的独特方法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US20140012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estination-Based Care Services Model
US20140236627A1 (en) Dynamic medical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132639B2 (ja) 健康情報利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KR101177712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Zamansky et al. Activity trackers for raising guide dog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P20073234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案内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193134A (ja) 来院支援装置及び方法、並びに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isnanik et al. The development of mobile-based application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und et al. Self-management: keeping it simple with “Flo”
Xing et al. Challenges for deploying iot wearable medical devices among the ageing population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819979B1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62384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Ahmed et al. GramHealth: A bottom-up approach to provide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for unreached community
KR101222227B1 (ko)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이상징후관리를 위한 컴퓨터의사결정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186A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Love et al. Comparing palliative care provision in India and the UK
Perry Health Status and Adults Willingness to Encounter A Provider by Telehealth
KR20070055895A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