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663A -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 Google Patents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663A
KR20220161663A KR1020210069661A KR20210069661A KR20220161663A KR 20220161663 A KR20220161663 A KR 20220161663A KR 1020210069661 A KR1020210069661 A KR 1020210069661A KR 20210069661 A KR20210069661 A KR 20210069661A KR 20220161663 A KR20220161663 A KR 2022016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ity
hospital
patient
user terminal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053B1 (ko
Inventor
홍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6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환자ID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환자의 병원도착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이면, 환자ID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수신된 환자ID에 기초하여 환자정보를 조회하고, 환자정보 조회결과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에 의해 공간복잡도를 계산하고, 사용자단말의 결제수납시간, 환자의 당일 진료일정, 미래 선수납시간, 평균병원체류시간에 의해 시간복잡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계산된 공간복잡도와 시간복잡도에 따라 환자의 미수금 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Method of inducing payment of receivables for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based on time complexity, spatial complexity, and similar complexity}
본 발명은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을 내원한 환자의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미수금 리스트를 제공하고 결제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료예약비(예약 진찰료)는 진료 예약시 지불해야하는 비용으로 병원 진료를 마치고 수납시 같이 청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료예약비는 진료예약 당일에 지불하지 않고 병원 내원시 지불하기 때문에 미수금으로 처리되고 있다.
또한 바쁘게 진료를 마치고 수납창구에 들르지 않고 돌아가게 되는 경우도 많아, 병원 미수금은 다양한 사유로 발생되고 있다.
최근 선납 의료비 환급에 대해 문제점이 대두되어 국민권익위원회는 의료비 결제 전 선수납에 대해 의무적으로 고지를 권고하고 있다. 무인수납기 선수납 받는 경우 선납 의료비가 함께 결제 처리된다는 사실을 사전 고지하고, 환자가 동의한 경우에만 선납 의료비 결제하며, 환자가 동의하는 경우에만 선수납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선행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2203518호(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병원비 결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가 있으나 환자에게 등록된 병원비를 보호자 등 사용자가 확인하고 가족간 분할 결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병원비를 결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활용하여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를 계산하여 환자의 미수금을 결제하도록 유도하고,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환자ID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환자의 병원도착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이면, 환자ID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수신된 환자ID에 기초하여 환자정보를 조회하고, 환자정보 조회결과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에 의해 공간복잡도를 계산하고, 사용자단말의 결제수납시간, 환자의 당일 진료일정, 미래 선수납시간, 평균병원체류시간에 의해 시간복잡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계산된 공간복잡도와 시간복잡도에 따라 환자의 미수금 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가 병원에 내원을 하면 위치정보에 의해 병원 내원 여부를 확인하고, 병원 내원이 확인되면 진료예약비 미납현황을 안내하여 결제를 유도함으로써 미수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진료수속을 진행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진료대기순번표를 받을 수 있고, 환자의 애플리케이션 종전 사용 이력을 확인하여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이후 추천 및 다음 행보를 환자에게 안내하고, 다음 진료 이후 즉시, 진료비결제를 요청하여 환자가 다시 결제하는 선순환 연결고리를 만들어 미수금을 줄이는 진료 회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은 사용자단말(200)을 소지한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S10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은 미리 로그인되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별도로 로그인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클라우드서버(100)에 환자ID 및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103). 클라우드서버(10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환자의 병원도착여부를 확인한다(S105).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이면, 환자ID를 병원서버(300)에 전송한다(S107). 병원서버(300)는 수신된 환자ID에 기초하여 환자정보를 조회한다(S109). 상기 환자정보는 환자별 진료예약현황, 당일진료일정, 진료예약비 미납현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병원서버(300)는 환자정보 조회결과를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S111).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의 위치정보에 의해 공간복잡도를 계산한다(S113).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의 결제수납시간, 환자의 당일 진료일정, 미래 선수납시간, 평균병원체류시간에 의해 시간복잡도를 계산한다(S115). 클라우드서버(100)는 계산된 공간복잡도 및 시간복잡도에 따라 환자의 미수금 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한다(S117). 즉, 수신된 환자정보에 따라 진료예약현황, 당일진료일정, 미수금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생성된 안내메시지를 사용자단말(200)에 전송한다(S119). 이때,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에 따라 안내메시지 전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메시지의 종류는 SMS, LMS, MMS, 카카오 알림톡, 푸시알림 중 하나일 수 있고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200)은 수신된 안내메시지를 승인하고(S121), 클라우드서버(100)에 미수금에 대한 결제요청을 한다(S123). 클라우드서버(110)는 결제모듈을 탑재한 병원서버에 미수금 결제요청을 한다(S125). 병원서버(300)는 미수금에 대한 결제프로세스를 진행하고(S127), 결제가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에 알림메시지를 보낸다(S129).
클라우드서버(100)는 병원서버(300)로부터 결제 완료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200)의 최근 이용메뉴를 분석하여 유사복잡도를 계산한다(S131). 클라우드서버(100)는 진료정보에 따라 진료대기순번표를 생성한다(S133). 클라우드서버(100)는 생성된 진료대기순번표를 사용자단말(200)에 전송한다(S135). 환자는 진료예약비를 결제하면 별도의 진료 수속없이 진료 수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진료대기 순번표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는 환자별 추천서비스를 분석한다(S137). 클라우드서버(100)는 분석결과에 따라 추천서비스메뉴를 생성한다(S139).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 생성된 추천서비스메뉴를 전송한다(S14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시스템(10)은 클라우드서버(100), 사용자단말(200), 병원서버(300)로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위치검출부(110), 시간복잡도계산부(120), 공간복잡도계산부(130), 유사복잡도계산부(140), 안내메시지생성부(150), 진료대기번호표생성부(160), 추천서비스메뉴생성부(170), 추천분석부(180), 통신부(191), 저장부(193), 제어부(195)로 구성된다.
사용자단말위치검출부(1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가 병원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하여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위치검출부(110)는 병원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 뿐 아니라 병원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도 검출할 수 있다.
시간복잡도계산부(120)는 환자의 진료예약, 당일일정을 확인하고, 평균 병원 체류시간을 통해 시간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진료예약을 파악하여 진료에 따른 후속조치(처방)실행 시 미수납 확인 여부 체크할 수 있고, 당일 일정을 파악하여 잔여 진료데이터가 있는 시간 일정 체크할 수 있다. 당일수납, 중간수납, 미수금 대상자 기준으로 알림 진행할 수 있다. 접수진료비, 예약검사비 알림(병원 방문 당일 특정 시간에 발송), 미수납 알림(자동발송으로 배치방식 형태), 입원환자 중간금 알림(매주 특정 요일 발송)을 할 수 있다. 시간복잡도계산부(120)는 해당 병원에 평균 결제 시간 및 체류시간을 파악하여 체류시간 > 평균 결제 시간 임계점이 되면 알림 형태의 메시지로 환자에게 미수납 확인 여부 체크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미수금 복잡도 테이블 조건으로, 조건 2, 조건 3, 조건 4, 조건 5로 복잡도 유형을 체크하여 미수금 알림을 보내고 결과 처리에 따라 유사추천메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분조건 조건1 조건2 조건3 조건4 조건5 조건6
병원체류시간분초 All 30분범위 30분범위 30~2시간범위이내 2시간시간범위이내 30분미만6시간초과입원
진료데이터개수N 1 2미만 2이상 2이상 2이상 All
비콘신호수납창구기준 All 없음 있음 없음 있음 All
알림발송결과 미수금없음 100% 50% 100% 40% 미수금대상알림보다다른요청알림필요
조건 2 내지 조건 5에 대해 미수금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조건에 따른 알림 메시지 발송 시점을 정리한 예시표이다.
Case No. Data 병원체류시간(분/초) 진료데이터개수N 비콘신호 결과 예상값 알림배치발송이상즉시/ 1~0.5 : 30분내/ 0.5 이하1일이내
1 조건1 16 0 0
2 조건1 65 0 0
3 조건1 66 0 0
4 조건1 16 0 1
5 조건1 65 0 1
6 조건1 66 0 1
7 조건2 16 1 0 100 1 즉시
8 조건2 65 1 0 100 1 즉시
9 조건2 16 2 0 100 2 즉시
10 조건2 65 2 0 100 2 즉시
11 조건2 40 1 0 100 1 즉시
12 조건3 16 1 1 50 0.5 30
13 조건3 65 1 1 50 0.5 30
14 조건3 16 2 1 50 1 즉시
15 조건3 65 2 1 50 1 즉시
16 조건3 40 1 1 50 0.5 30
17 조건4 16 3 0 50 1.5 즉시
18 조건4 65 3 0 50 1.5 즉시
19 조건4 40 3 0 50 1.5 즉시
20 조건5 16 3 1 40 1.2 즉시
21 조건5 65 3 1 40 1.2 즉시
22 조건5 40 3 1 40 1.2
23 조건6 66 1 0
24 조건6 66 2 0
25 조건6 66 1 1
26 조건6 66 2 1
공간복잡도계산부(130)는 병원을 도착한 사람의 위치경로를 확인하고 진료이력을 통해 공간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위치경로를 파악하여 환자에게 환영메시지 혹은 결제 유도 메시지 전송하고, 진료이력을 파악하여 해당 공간(진료부서) 근접 시 미수납 확인 여부 체크할 수 있다.
유사복잡도계산부(140)는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애플리케이션 상의 이용빈도가 가장 높은 20개를 분석하여 다음 행동에 대한 유사성 계산 및 추천을 통해 유사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생성부(150)는 병원서버에서 환자정보 조회결과에 따라 환자별 진료예약현황, 당일진료일정, 진료예약비 미납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SMS, LMS, MMS, 카카오 알림톡, 푸시알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진료대기번호표생성부(160)는 진료예약비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환자의 진료정보에 따라 진료대기순번표를 생성할 수 있다. 별도의 진료수속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진료수속이 진행되고 진료대기순번표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서비스메뉴생성부(170)는 환자별 성향 등에 따라 추천서비스 분석결과에 따라 추천서비스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분석부(180)는 환자별 추천서비스를 분석한다. 유사복잡도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복잡도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별 추천서비스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91)는 사용자단말과 병원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93)는 생성된 안내메시지, 복잡도계산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5)는 클라우드서버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예시도이다.
도 3(a)는 사용자단말에 진료예약비 미납현황을 표시하여 결제를 안내하는 예시도이다. 도 3(b)는 환자가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시도이고, 도 3(c)는 결제 완료를 안내하고, 진료대기순번표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예시도이다. 현재 진료정보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다음에 가야할 곳을 안내할 수 있다.
도 4(a)는 사용자단말에 진료비 결제가 진행되기 위한 화면으로, 진료비 및 미수금 내역을 안내하고 환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4(b)와 도 4(c)는 진료과 별 진료 후 안내문 화면으로 다음진료일, 오늘 가야할 곳, 예약이 필요한 검사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시스템 100; 클라우드서버
200; 사용자단말 300; 병원서버
110; 사용자단말 위치검출부 120; 시간복잡도계산부
130; 공간복잡도계산부 140; 유사복잡도계산부
150; 안내메시지생성부 160; 진료대기번호표생성부
170; 추천서비스메뉴생성부 180; 추천분석부
191; 저장부 193; 통신부
195; 제어부

Claims (4)

  1.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에 있어서,
    (a)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환자ID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환자의 병원도착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병원내이면, 환자ID를 병원서버에 전송하고, 병원서버는 수신된 환자ID에 기초하여 환자정보를 조회하고, 환자정보 조회결과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에 의해 공간복잡도를 계산하고, 사용자단말의 결제수납시간, 환자의 당일 진료일정, 미래 선수납시간, 평균병원체류시간에 의해 시간복잡도를 계산하는 단계;
    (d) 클라우드서버가 계산된 공간복잡도와 시간복잡도에 따라 환자의 미수금 현황을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사용자단말이 수신된 안내메시지를 승인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진료예약비에 대한 결제요청을 하면, 클라우드서버는 결제모듈을 탑재한 병원서버에 진료예약비 결제요청을 하고, 병원서버는 진료예약비에 대한 결제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에 알림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f)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부터 결제 완료 알림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의 최근 이용메뉴를 분석하여 유사복잡도를 계산하고, 진료정보에 따라 진료대기순번표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g) 클라우드서버가 계산된 유사복잡도에 따라 환자별 추천서비스메뉴를 생성하고, 사용자단말에 생성된 추천서비스메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KR1020210069661A 2021-05-31 2021-05-31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KR10260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61A KR102601053B1 (ko) 2021-05-31 2021-05-31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61A KR102601053B1 (ko) 2021-05-31 2021-05-31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63A true KR20220161663A (ko) 2022-12-07
KR102601053B1 KR102601053B1 (ko) 2023-11-13

Family

ID=8444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61A KR102601053B1 (ko) 2021-05-31 2021-05-31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864A (ko) * 2010-07-27 2012-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14884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지니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KR101600934B1 (ko) *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189A (ko) * 2017-01-31 2017-09-20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864A (ko) * 2010-07-27 2012-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14884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지니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KR101600934B1 (ko) *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189A (ko) * 2017-01-31 2017-09-20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053B1 (ko) 202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6331B2 (en) Subscription managed method and system for text-to-pay subscriptions at a subscription server
CN104956395A (zh) 对包含支付的电子邮件的管理
US20140324696A1 (en) Billing gateway authorize-and-capture method and system
US20130144734A1 (en) Money transfer system using pre-funded escrow
US9003078B2 (en) Merchant managed subscriptions at a merchant server
KR20160121576A (ko) 금융 대출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000200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service to monitor and adjust a booked flight
US9569761B2 (en) Text-to-pay for a new subscription
US20140279455A1 (en) Merchant managed subscriptions at a billing server
US9582791B2 (en) Phone-on-file at a billing server
KR20220124621A (ko) 아이템 판매 정보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9583873B (zh) 交易通信方法、服务器、pos机及电子设备
KR20220161663A (ko) 시간복잡도, 공간복잡도 및 유사복잡도 기반의 병원 내원 환자 미수금 결제유도방법
US9003079B2 (en) API methods for phone-on-file opt-in at a merchant server
KR20000024635A (ko) 로직에 기반한 증권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5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le-based presentment and payment of bills or invoices
US9558480B2 (en) Phone-on-file opt-in at a merchant server
US201201662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Response Rate Tracking
JP2019023889A (ja) 課金ゲートウェイ
WO2022231048A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60025796A (ko) 분할환전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153350A1 (en) Merchant managed subscriptions
KR101889360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6400698B2 (ja) 登録電話
RU126859U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цесса снятия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в банковских терминалах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ластиковой карты посредством платежного пор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