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718A -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718A
KR20120026718A KR1020100088770A KR20100088770A KR20120026718A KR 20120026718 A KR20120026718 A KR 20120026718A KR 1020100088770 A KR1020100088770 A KR 1020100088770A KR 20100088770 A KR20100088770 A KR 20100088770A KR 20120026718 A KR20120026718 A KR 2012002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medical service
network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712B1 (ko
Inventor
전진옥
소재영
안시훈
장형종
김응환
한재진
김동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to KR102010008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7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환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는 S1 단계, S1 단계에서 입력된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 카테고리가 결정되는 S3 단계 및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및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환자가 원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특정 환자에 맞춤된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매칭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MATCHING METHOD FOR PATIENT WITH CUSTOMIZED MEDICAL SERVICE USING NETWORK}
본 발명은 환자에게 맞는 의료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의 질환에 맞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인구 증가와 함께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바쁜 현대인은 특정 질병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도 병원을 곧바로 찾지 않고, 만성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야 종합검진이나 진료를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자신의 증상에 맞는 병원이 어디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다.
오프라인 병원을 예약한다고 해도 전문적인 분야인 경우, 수요가 많기 때문에 오랜 기간이 경과 한 후에야 진찰이 가능 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원격 진료 서비스가 논의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격 진료 서비스에서도 특정 환자에게 맞는 의료 서비스 매칭이 필요하다는 점은 여전히 미해결 과제라고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온라인상에서 환자에게 맞는 의료 서비스를 매칭하여, 특정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둘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매칭으로 환자에게 조속한 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셋째,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환자에게 맞는 최적의 의료 서비스를 매칭하여 환자의 비용 및 시간 낭비 없이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환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는 S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S1 단계에서 입력된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되는 S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 카테고리가 결정되는 S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및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1 단계의 환자 정보는 진료 과목, 질환 부위, 발병 시기, 질환의 증상, 환자의 병력, 가족력, 과거 진료 기록, 환자의 연령, 환자의 키, 환자의 몸무게, 환자의 성별 및 환자의 거주지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1 단계에서 환자 정보는 사전에 결정된 문답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1 단계에서 질환 정보는 스캐너, 카메라, 자기장 장치, 체온 측정기, 체혈기, 혈당 측정기 및 맥박 측정기로 이루어진 측정 장치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3 단계는 S1 단계에서 입력되는 진료 과목에 의해 직접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3 단계는 메인 서버에 저장된 질환 데이터베이스와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는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S4-1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는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S4-1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에게 통지되는 S4-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는 S4-2 단계에서 통지받은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하는 S4-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는 S4-3 단계에서 매칭을 신청한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S4-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1 단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고, 상기 S4-4 단계는 SNS를 이용하여 매칭 신청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1 단계는 지역적 근접성, 의료 서비스를 위한 대기 시간,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의료 실적, 병원의 규모,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세부 전문 분야, 환자의 성별 및 환자의 이전 서비스 기록으로 이루어진 변수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4-4 단계는 S4-3 단계에서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한 경우,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에서 역경매 방식으로 남게 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특정 질환을 갖는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매칭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환자가 원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특정 환자에 맞춤된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매칭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매칭하여 환자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시킨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매칭을 수행하여, 환자가 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 검증된 의료서비스를 받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질환 정보 입력에 사용되는 측정 장치 및 이를 통한 질환 정보 입력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메인 서버에 저장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와 환자가 입력한 환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의료서비스제공자 데이터베이스와 환자의 요구 사항 또는 질환 정보에 따라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환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는 S1 단계, S1 단계에서 입력된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 카테고리가 결정되는 S3 단계 및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및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S1 단계는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매칭 받기 위한 첫 단계로 환자의 질환 정보 및 질환 판단에 도움이 되는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환자 정보는 컴퓨터 장치 또는 이동 통신 장치 등을 통해 입력이 가능하다.
환자 정보에 질환 정보가 포함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환자 정보는 진료 과목, 질환 부위, 발병 시기, 질환의 증상, 환자의 병력, 가족력, 과거 진료 기록, 환자의 연령, 환자의 키, 환자의 몸무게, 환자의 성별, 환자의 거주지 등이 포함된다. 이중 질환 정보는 질환 부위, 발병 시기, 질환의 증상, 환자의 병력, 가족력, 과거 진료 기록 등이 해당된다.
나아가 아래에 설명할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을 위해, 어떤 의료서비스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항목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지역적 근접성, 의료 인력의 전문성, 의료 인력의 실적, 진료를 받기까지 대기 가능한 시간, 의료진의 성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의 규모 등의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S1 단계에서는 환자 정보가 입력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오프라인 진료시 의사와 상당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온라인상에서 사전에 준비된 질문에 대해 환자가 온라인상에서 텍스트 형태로 답을 올릴 수 있다. 이후 단계별로 복수의 질문이 표시되면 환자는 이에 대한 답을 기재한다. 또한 환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환자의 응답과 관련된 질문이 표시될 수도 있다. 환자의 응답 분석은 텍스트 중 키워드를 분석하여, 사전에 준비된 응답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키워드를 비교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응답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메인 서버에 저장되어 사전에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질환 정보를 특정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질환 정보 입력에 사용되는 측정 장치 및 이를 통한 질환 정보 입력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예시적으로 측정 장치를 일부 도시하였고, 각 측정 장치는 단말기인 컴퓨터 장치 또는 이동통신 장치에 연결된 형태로 질환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측정 장치는 스캐너, 카메라, 자기장 장치, 체온 측정기, 체혈기, 혈당 측정기 또는 맥박 측정기 등이 포함된다. 측정 장치는 스캐너, 카메라, 자기장 장치, 체온 측정기, 체혈기, 혈당 측정기 또는 맥박 측정기가 하나 이상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X 레이 사진 출력기 등 전문적인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측정 장치는 컴퓨터 또는 이동 통신 장치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한다. 예컨대 손목 부위가 아픈 경우, 컴퓨터 등과 연결된 카메라로 손목 부위의 외부 모습을 입력할 수 있고, X-레이 스캐너로 손목 부위를 스캔하여 뼈 상태를 알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전술한 환자 정보는 S2 단계에서 인터넷, 인트라넷, 기타 당업자가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메인 서버에 저장된다. 환자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3 단계는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 카테고리가 결정되는 단계이다. 1단계 의료 카테고리는 내과, 외과, 이비인후과, 정신과, 신경과, 정신과, 안과, 피부과, 산부인과, 비뇨기과, 소아과, 치과 등의 카테고리를 말한다. 세부적인 2단계 카테고리로서, 내과는 호흡기내과, 순환기내과, 혈양종양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대사내과, 감염내과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외과는 대장ㆍ항문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성형외과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다른 1단계 카테고리도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2단계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S3 단계의 의료 카테고리 결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1 단계에서 환자가 환자 정보를 입력하면서 자신의 질환에 해당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단계별로 직접 지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의료 카테고리를 잘 알지 못하는 일반인 경우는 직접 의료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로서, S3 단계는 메인 서버에 저장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와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는 S1 단계에서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것이므로 S1 단계에서 입력된 환자 정보와 메인 서버에 저장된 질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시스템 구현상 통상적으로 서버 또는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비교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S2 단계에서 메인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도 3은 메인 서버에 저장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와 환자가 입력한 환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에 대한 구성도이다. 표로 표시된 것은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항목에 해당된다. 메인 서버에 저장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결정되어 저장된 것이다.
즉, 특정 질환에 따른 특정 증상들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여러 가지 질환에 공통된 증상들도 존재하므로, 특정 질환에 대한 의료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 있을 정도로 증상 항목을 모두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내과 그 중에서도 호흡기내과에 해당하는 감기는 콧물, 코막힘, 인후통, 기침, 근육통, 미열 등의 증상을 갖는다.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러한 증상과 환자 정보 중 질환 정보가 일치한다면 이를 자동으로 호흡기내과로 분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자마다 증상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각 증상의 발생여부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총 점이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 해당하는 의료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증상 발생 여부를 ×, ㅿ, ○로 표기하여 최종적으로 감기라고 판단하여 호흡기내과로 분류하였다. 해당 질환 판단 여부는 전체 총점의 60%를 넘는 점수를 획득하면 해당 질환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면에 점수를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6개 항목에 대한 만점을 60점이라고 하고, ○는 10점, ㅿ는 5점, ×는 0점으로 총점을 내보면 40점이 된다. 총점의 60%를 넘는 점수를 받았으므로 감기 질환이라고 판단하고 호흡기내과로 분류한 것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즉각적인 분류가 애매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단순한 텍스트 정보 이외에 영상 정보를 필수적으로 입력받아, 이를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영상 정보를 전문가가 보고 판단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별도의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므로, 컴퓨터 영상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영상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정 질환에 대한 특정 부위에 대한 이미지(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와 S2 단계에서 메인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와 특징점이 매칭되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다. 특징점은 영상 처리 기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들을 통해 추출가능하다.
도 4는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는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S4-1 단계,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S4-1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에게 통지되는 S4-2 단계, S4-2 단계에서 통지받은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하는 S4-3 단계 및 S4-3 단계에서 매칭을 신청한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S4-4 단계를 포함한다.
S4-1 단계는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단계이다. 물론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서비스제공자를 모두 그룹으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제공자 결정은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이라는 취지에서 환자에게 적합한 의료서비스 제공자 그룹만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역적 근접성, 의료 서비스를 위한 대기 시간,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의료 실적, 병원의 규모,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세부 전문 분야, 환자의 성별 및 환자의 이전 서비스 기록 등의 변수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에는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지역적 위치, 의료 카테고리별 전문성, 의료 인력(의사)의 학력, 의료 인력의 실적, 현재 각 의료 카테고리별 진료를 위한 대기 시간, 의료 인력의 성별 등의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의료서비스제공자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질환 종류에 따라 조속한 진료가 요구된다면, 지역적 근접성 및 의료 서비스를 위한 대기 시간이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고, 환자가 병원이나 의사의 유명도를 요구한다면,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의료 실적 및 병원의 규모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또는 산부인과 같이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성별의 의사가 다른 경우는 환자의 성별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을 위한 변수는 예를 들어, 환자가 S1 단계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항목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질환의 종류 등에 따라 조속한 진료가 요구되는 경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긴급성을 최우선 순위로 선택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의료서비스제공자 데이터베이스와 환자의 요구 사항 또는 질환 정보에 따라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과정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다.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을 위한 변수는 도 5의 우측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다. 의료 카테고리는 호흡기내과이고, 질환에 대한 진료 및 치료에 대한 긴급성은 없으며, 환자는 경력 10년의 의료진을 요구하고 있다. 호흡기내과이므로 환자의 요구가 없는 이상, 환자의 성별을 중요한 변수가 아니므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에 사용하지 않았다.
의료서비스제공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하나의 의료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가 도 5의 좌측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다. 지역적 근접성은 환자의 거주지와의 관계에서 결정된 것이다.
긴급성이 없으므로, 30분 거리라는 지역적 근접성 및 12시간의 서비스 대기사간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호흡기내과라는 의료카테고리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가능하고, 환자가 요구하는 경력 10년 이상의 의료진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좌측의 B 의료서비스제공자는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을 위한 변수는 각 변수별로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각 우선 순위에 따란 항목 배점을 사전에 결정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결정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소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위터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인터넷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환자 본인과 유사한 질환을 갖는 타인의 네트워크 또는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환자가 SNS를 제공하는 사이트 등에서 자신의 병력을 기재하면, 키워드가 자동으로 검색되어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SNS를 이용하면 한정된 범위에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검색이 수행되며, 동시에 다소 주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검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4-2 단계는 S4-1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서비스제공자에 대해 환자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이다. 환자 정보는 병력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때, 개인 신상 정보(이름, 거주지, 연락처 등)는 1차적으로 통지하지 않고, 질환과 관련된 정보만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 신상 정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S4-4 단계에서 선택이 수행된 후에 2차적으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3 단계는 S4-2 단계에서 통지받은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하는 단계이다. 즉,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특정 환자에 대한 진료의사를 표시하는 것이다.
만약 S4-3 단계에서 매칭 신청을 하는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하나도 없는 경우, S4-3 단계는 지나가고, S4-1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에서 S4-4 단계의 선택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S4-3 단계에서 매칭 신청을 하는 의료서비스제공자가 복수인 경우, S4-4 단계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이라는 모집단의 수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즉, 매칭 신청 중 보다 환자에게 유리한 매칭 신청만을 남겨서 최종 선택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역경매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S4-4 단계는 S4-3 단계에서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한 경우,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에서 역경매 방식으로 남게 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4 단계에서의 매칭 신청에 대한 선택은 최종 의료서비스제공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S4-4 단계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4-4 단계의 선택이 환자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S4-1 단계에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변수를 사용하여, 각 항목마다 점수를 합계한 후 최고 점수를 받은 의료서비스제공자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컴퓨터상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환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단말기에 입력되는 S1 단계;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된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되는 S2 단계;
    상기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 카테고리가 결정되는 S3 단계; 및
    상기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및 상기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는 S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환자 정보는 진료 과목, 질환 부위, 발병 시기, 질환의 증상, 환자의 병력, 가족력, 과거 진료 기록, 환자의 연령, 환자의 키, 환자의 몸무게, 환자의 성별 및 환자의 거주지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환자 정보는 사전에 결정된 문답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질환 정보는 스캐너, 카메라, 자기장 장치, 체온 측정기, 체혈기, 혈당 측정기 및 맥박 측정기로 이루어진 측정 장치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S1 단계에서 입력되는 진료 과목에 의해 직접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메인 서버에 저장된 표준 질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S2 단계에서 저장된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S3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는 S4-1 단계;
    상기 환자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S4-1 단계에서 결정된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에게 통지되는 S4-2 단계;
    상기 S4-2 단계에서 통지받은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하는 S4-3 단계; 및
    상기 S4-3 단계에서 매칭을 신청한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S4-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4-1 단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제공자 그룹이 결정되고, 상기 S4-4 단계는 SNS를 이용하여 매칭 신청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4-1 단계는 지역적 근접성, 의료 서비스를 위한 대기 시간,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의료 실적, 병원의 규모, 의료서비스제공자의 세부 전문 분야, 환자의 성별 및 환자의 과거 의료 서비스 기록으로 이루어진 변수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수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4-4 단계는 상기 S4-3 단계에서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가 환자와의 매칭을 신청한 경우, 복수의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매칭 신청에서 역경매 방식으로 남게 되는 하나 이상의 매칭 신청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88770A 2010-09-10 2010-09-10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KR10117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70A KR101177712B1 (ko) 2010-09-10 2010-09-10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70A KR101177712B1 (ko) 2010-09-10 2010-09-10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718A true KR20120026718A (ko) 2012-03-20
KR101177712B1 KR101177712B1 (ko) 2012-08-28

Family

ID=4613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770A KR101177712B1 (ko) 2010-09-10 2010-09-10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7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76B1 (ko) * 2018-09-05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병원 진료 애프터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37500A (ko) 2018-10-01 2020-04-09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8570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48571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진료예약 중개를 위한 콜센터 시스템
KR20200078875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10015263A (ko)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빅데이터를 이용한 역경매 방식의 환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025230A1 (ko)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99B1 (ko) * 2012-11-14 2013-10-30 나인성 온라인 상에서의 환자와 치료자간의 매칭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76B1 (ko) * 2018-09-05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병원 진료 애프터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37500A (ko) 2018-10-01 2020-04-09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8570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환자 매칭용 병의원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48571A (ko) 2018-10-30 2020-05-08 김효성 진료예약 중개를 위한 콜센터 시스템
KR20210064126A (ko) 2018-10-30 2021-06-02 김효성 관리 서버장치를 구비한 콜센터 진료예약 시스템에서 상담방법
KR20200078875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10015263A (ko)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빅데이터를 이용한 역경매 방식의 환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025230A1 (ko) * 2019-08-05 2021-02-11 뉴턴1665 주식회사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712B1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712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Hartnett et al. Perceived barriers to diabetic eye care: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and physicians
Hasin et al. The Co-occurrence of DSM-IV Alcohol Abusein DSM-IV Alcohol Dependence: Results of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Conditions on Heterogeneity That Differ by Population Subgroup
US20190131004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Daaleman et al. Placing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end-of-life care
Riegel et al. Effect of a standardized nurse case-management telephone intervention on resource u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US20090248445A1 (en) Patient database
US20160321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pic-related detection of the emotional state of a person
JP2008524738A (ja) 関係者による遠隔患者支援及び介護
US20170161450A1 (en) Real-time veterinarian communication linkage for animal assessment and diagnosis
US2021040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ormal observations about a care recipient by caregivers
Rubin Global effort to collect data on ventilated patients with COVID-19
Heckel et al.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quality of dying and death questionnaire for health professionals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Mollica Assessment of trauma in primary care
US104313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evant patient information
Horvat et al. High-flow nasal cannula use and patient-centered outcomes for pediatric bronchiolitis
KR102410322B1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Poberezhets et al. Telemedicine and home monitoring for COPD–a narrative review of recent literature
Nordentoft et al. Right-based mental health care—advantages of tax-financed universal mental health care: lessons from Denmark
Reitz et al. Early postoperative mortality among US veterans with a robust physiologic reserve undergoing open or endovascular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KR20220072049A (ko)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프로그램
Harris World Health Organization launches new app to improve care for ageing population
Fang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bile app for burn healing care based on interactive design
Wilensky It is time for hospitals to liberalize their visitation poli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