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875A -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875A
KR20200078875A KR1020180168153A KR20180168153A KR20200078875A KR 20200078875 A KR20200078875 A KR 20200078875A KR 1020180168153 A KR1020180168153 A KR 1020180168153A KR 20180168153 A KR20180168153 A KR 20180168153A KR 20200078875 A KR20200078875 A KR 2020007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giver
patient
matching
informa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741B1 (ko
Inventor
김성익
황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Priority to KR102018016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환자측 단말로부터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와 환자와의 매칭을 요청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분류부가 분류한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간병인 중 가장 적합한 간병인을 평가하여 선택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Caregiver}
본 발명은 간병인을 환자와 매칭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온라인 상에서는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종래의 간병 서비스 매칭 시스템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간병인들의 정보를 게시하는 간병인 매칭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간병인들을 소개하는 인력 소개소 같은 장소를 방문하여, 일일이 각 간병인 정보나 각 간병인들을 확인해서 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오게 된다.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최적의 간병인을 선정하기 위해 일일이 각 간병인 정보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야만 하며, 특히, 인력 소개소 같은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경우라면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따라서 간편하게 환자의 상태와 간병인의 능력을 고려하여 최적의 간병인을 매칭해주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간병인을 매칭해서 통지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환자측 단말로부터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와 환자와의 매칭을 요청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분류부가 분류한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간병인 중 가장 적합한 간병인을 평가하여 선택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평가부는 카테고리 별로 상기 환자의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모든 카테고리에서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을 가장 적합한 간병인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간병인측 단말로부터 간병인 정보와 함께 매칭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분류부는 상기 간병인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평가부에서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가장 적합한 간병인의 선택이 완료되는 경우, 선택된 간병인 정보를 상기 환자측 단말로, 상기 환자측 단말의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일일이 간병인의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간병인을 매칭해서 통지함으로써, 환자에 간편하고도 만족도 높은 간병인이 매칭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장치가 간병인을 매칭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시스템(100)은 환자측 단말(110), 간병인측 단말(120) 및 간병인 매칭장치(13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간병인 매칭 시스템(100)은 병원측 단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측 단말(110)은 환자의 상태를 포함한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를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 전송한다. 환자측 단말(110)은 무선 통신 또는 음성 통화 등의 수단으로 간병인 매칭 장치(130)에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최적의 간병인이 매칭될 수 있도록, 환자측 단말(110)은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와 함께 환자의 상태를 전송한다. 환자측 단말(110)은 환자의 상태를 별도의 형식없이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 전송할 수도 있고,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포맷에 맞도록 환자의 상태를 전송할 수도 있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포맷은 석션이 필요한 환자인지, 호흡기가 필요한 환자인지, 별도의 음식물 투입줄이 필요한 환자인지,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마비가 온 환자인지, 치매증상이 있는 환자인지, 관절에 불편이 있는 환자인지 및 호스피스 환자인지를 포함한다. 환자측 단말(110)은 전술한 항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고 임의로 환자의 상태를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 전송하거나, 전술한 항목의 필요여부를 체크하여 환자의 상태를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측 단말(110)은 간병인 매칭 장치(130)에 의해 매칭된 간병인의 정보를 수신한다.
간병인측 단말(120)은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신호를 간병인 매칭 장치(130)로 전송한다. 간병인측 단말(120)도 환자측 단말(110)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또는 음성 통화 등의 수단으로 간병인 매칭 장치(130)에 간병인 정보를 포함하여 매칭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간병인측 단말(120)은 간병인 정보로서, 간병 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 간병 경력이나 능력, 거주지, 자격증 보유여부 등을 매칭 요청신호와 함께 전송한다. 간병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는 간병인이 간병함에 있어 선호하는 환자의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간병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는 석션, 호흡기 및 별도의 음식물 투입줄이 필요한 환자는 간병하고자 하나,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마비가 온 환자라든지 치매증상이 있는 환자 등은 간병하고자 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간병 경력이나 능력은 환자의 상태의 각 항목 별로 해당 항목을 가진 환자를 간병해본 경력이 있거나 해당 항목을 가진 환자의 간병 방법의 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 등을 의미한다. 거주지는 간병인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거주지는 환자가 있는 위치와 얼마나 가까운지를 판단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자격증 보유여부는 예를 들어, 요양보호사 등 간병인이 해당 환자를 간병하는 데 있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자격증 보유여부는 간병인이 환자를 간병함에 있어 얼마나 전문적인 인재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요소이다. 간병인측 단말(120)은 전술한 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신호를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자신의 요청이나 능력에 적합한 환자가 매칭될 수 있도록 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간병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간병인 매칭 요청이 수신될 경우, 환자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간병인을 매칭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간병인측 단말로부터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간병인측 단말로부터 전술한 간병인 정보를 수신한다. 도 1에는 간병인 매칭장치(130)가 하나의 간병인측 단말(120)과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간병인측 단말(미도시)과 통신을 하여 각 단말로부터 간병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간병인 정보들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환자의 이동, 환자의 배설, 환자의 위생, 환자의 섭취 및 환자의 기타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고리 중 환자의 이동은 환자가 척추 수술 또는 고관절 수술을 하였거나, 하체나 사지 등에 마비가 온 경우와 같이, 환자 스스로 거동이 불편하여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한다. 환자의 배설은 가래 등을 일정 주기마다 석션해야 하는 경우나 환자 스스로가 대·소변을 가릴 수 없는 상황과 같이, 환자 스스로가 배설을 할 수 없어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한다. 환자의 위생은 환자 스스로 씻을 수 없어, 환자가 씻는데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한다. 환자의 섭취는 환자가 섭식하는 데 장애가 있어, 별도의 음식물 투입줄이 필요한 상황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기타 특성은 환자가 치매 증상이 있어 폭력적이거나 행려환자와 같이 언질없이 돌아다니거나 또는 루게릭병 환자와 같이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 등 전술한 카테고리 이외의 나머지 상황이나 정보를 의미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간병인 정보들을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간병인 정보 내 간병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 간병 경력이나 능력, 및 자격증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 이처럼 분류함으로써,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특정 간병인이 어떠한 카테고리의 환자를 간병하고자 하며, 어떠한 카테고리에 경력이 있거나 교육을 받았으며, 어떠한 카테고리의 환자를 간병하는데 유용한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분류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복수의 간병인측 단말들로부터 각각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고 카테고리로 분류함으로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를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를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해당 환자에 간병인을 매칭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가 환자의 위치와 함께 "우측에 고관절 수술을 받았고, 거동과 식사 가능하고, 말씀 잘하시며, 수면상태가 양호하다"고 수신된 경우,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카테고리 중 환자의 이동 분야에서는 고관절 수술을 하여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분류하고, 환자의 배설, 위생 및 섭취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류하며, 환자의 기타특성에 있어서도 수면상태 양호하며, 의사소통도 원활한 것으로 분류한다. 이처럼,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환자의 상태를 추후 간병인 정보와의 매칭이 용이하도록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환자의 상태와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간병인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의 간병인을 매칭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각 간병인 정보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환자의 상태의 정합도를 각각 평가한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을 환자의 간병인으로 선택한다. 선택 후,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선택된 간병인 정보를 환자측 단말(110)로, 환자의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120)로 전송한다.
추후,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매칭된 간병인의 평가를 수신할 수 있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특정 간병인을 매칭받은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해당 간병인의 평가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간병인 정보 내 해당 간병인의 평가 내용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추후 다른 환자의 간병인 매칭요청이 존재할 경우, 해당 평가 내용을 간병인 매칭에 반영할 수 있다.
나아가, 간병인 매칭 시스템(100)은 병원측 단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병원측 단말(140)은 특정 간병인의 경력에 관한 검증과 간병인들의 평가를 수행하고, 검증 및 평가 결과를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측 단말(140)은 간병인 매칭장치(130)로부터 특정 간병인의 경력에 관한 검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병원측 단말(140)은 이를 검증하여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병원측 단말(140)은 특정 간병인이 과거에 했던 간병에 대한 평가나 매칭이 이루어진 후 수행한 간병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평가 내용을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추후 다른 환자의 간병인 매칭요청이 존재할 경우,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특정 간병인에 대한 병원측 단말(140)의 평가 내용을 간병인 매칭에 반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장치(130)는 통신부(210), 분류부(220), 매칭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환자의 상태를 포함한 간병인 매칭 요청신호를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매칭 요청신호를 간병인측 단말(12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환자측 단말(110)의 요청으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포맷을 환자측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포맷은 석션이 필요한 환자인지, 호흡기가 필요한 환자인지, 별도의 음식물 투입줄이 필요한 환자인지,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마비가 온 환자인지, 치매증상이 있는 환자인지, 관절에 불편이 있는 환지인지 및 호스피스 환자인지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매칭에 있어 환자 측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매칭의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자와 간병인의 매칭이 완료된 후, 통신부(210)는 매칭된 간병인의 정보를 환자측 단말(110)로, 매칭된 환자의 상태와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120)로 전송한다.
분류부(220)는 수신한 환자의 상태 또는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환자의 각 상태에 따라, 간병인에게 요구되는 물리적 능력이나 정신적 능력이 달라지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최적의 간병인 매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분류부(220)는 수신한 환자의 상태 또는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카테고리는 환자의 이동, 환자의 배설, 환자의 위생, 환자의 섭취 및 환자의 기타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분류부(220)는 수신한 환자의 상태 또는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분류부(220)는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함으로써, 어떠한 환자가 어떠한 카테고리에서는 자유롭고 어떠한 카테고리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간병이 필요한 것인지, 추후 매칭부(230)가 간병인의 매칭에 있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류부(220)는 간병인의 정보를 매칭한다. 전술한 대로, 간병인의 정보는 간병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 정보, 간병 경력이나 능력, 거주지, 자격증 보유여부 등을 포함한다. 분류부(220)는 이러한 정보들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간병인 정보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됨으로써, 특정 간병인이 어떠한 카테고리의 상태를 갖는 환자를 간병하고자 하며, 어떠한 카테고리의 상태를 갖는 환자를 간병한 경력과 능력이 있는지, 추후 매칭부(230)가 간병인의 매칭에 있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분류부(220)에 의해 분류된 간병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40) 내에 저장된다.
매칭부(230)는 분류부(220)가 분류한 환자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40) 내 저장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매칭하여 정합도를 판단하고, 가장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을 매칭한다.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매칭의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매칭부(230)는 수신한 매칭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간병인들의 정보와의 정합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환자측이 매칭의 우선순위를 환자의 상태와 유사한 환자의 간병시간이나 간병일수가 많은 간병인으로 선정한 경우, 매칭부(230)는 환자의 상태 중 간병이 필요한 각 카테고리에 대해 경력이 가장 많은 간병인을 선별하여, 해당 간병인을 매칭시킨다. 다른 예로, 환자측이 매칭의 우선순위를 환자와 지리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간병인으로 선정한 경우, 매칭부(230)는 환자와 지역적으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간병인을 선별하여, 해당 간병인을 매칭시킨다. 우선순위 정보로는, 전술한 예와 같이, 하나만이 지정될 수도 있고, 간병시간 및 지리적 접근성과 같이 복수 개가 동시에 지정될 수도 있다.
환자측 단말(110)이 특별한 우선순위를 요구하지 않은 경우, 매칭부(230)는 환자의 상태와 카테고리 전체로서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을 매칭시킨다. 매칭부(230)가 정합도를 연산하는 과정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매칭부(230)는 우선적으로 환자의 상태 중 간병이 필요한 카테고리들과 간병인이 간병하고자 하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카테고리들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간병인이 간병하기를 윈하지 않는 상태를 갖는 환자가 간병인에게 배정될 경우, 간병인의 경력이나 능력과는 무관하게 간병인이 간병을 원활히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칭부(230)는 우선적으로 환자의 상태와 간병인 정보 중 간병인이 간병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매칭부(230)는 환자의 상태 중 간병이 필요한 카테고리들에 대해 간병인의 간병 경력, 자격증 보유여부 및 능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합도를 판단하여 최적의 간병인을 매칭시킨다. 다만, 환자의 상태 중 기타 카테고리에 특별한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부(230)는 해당 요구에 대한 간병 경력이나 자격증을 보유하였는지를 최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폭력성이 강하거나 행려환자와 같이 언질없이 돌아다니는 중증 치매환자일 경우, 매칭부(230)는 다른 카테고리의 정합도 판단을 차치하고, 이러한 치매환자를 간병한 경력이 있거나, 치매환자 간병 자격증을 보유하였거나 치매환자 간병에 관한 교육을 받은 간병인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러한 간병인을 최우선적으로 매칭한다. 다른 예로, 환자가 루게릭병을 앓아 원활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일 경우, 마찬가지로 매칭부(230)는 다른 카테고리의 정합도 판단을 차치하고, 루게릭 환자에 대한 경력, 자격증 또는 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는 간병인을 최우선적으로 매칭한다.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이 복수 명이 존재할 경우, 매칭부(230)는 추가적으로 환자측 단말(110)이나 병원측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각 간병인의 평가 내용을 고려하여 간병인을 매칭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별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이 복수 명 존재할 경우, 매칭부(230)는 해당 간병인들의 평가내용을 고려하여 평가내용이 좋은 간병인을 우선적으로 매칭할 수 있다. 매칭부(230)는 평가내용까지 고려하여 간병인을 매칭함으로서, 환자의 상태에 최적인 간병인을 매칭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간병인측 단말(120)로부터 수신하여 갹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간병인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간병인측 단말(120)은 간병인 정보와 함께 매칭 요청신호를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한다(S31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간병인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한다(S320).
환자측 단말(110)은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요청신호를 간병인 매칭장치(130)로 전송한다(S33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S34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각 간병인의 정합도를 평가한다(S35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정합도가 가장 높은 간병인을 환자의 간병인으로 매칭한다(S36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매칭된 간병인 정보를 환자측 단말(110)로 전송한다(S37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110)로 전송한다(S380).
여기서, 도 3에는 S310과 S320 과정이 S330 과정 직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간병인 매칭 시스템의 모든 동작 설명을 위해 편의상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S310과 S320 과정은 S330 과정과 무관하게 S330 과정의 직전, 직후, 이전 또는 이후,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매칭 장치가 간병인을 매칭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하나 이상의 간병인측 단말(120)로부터, 각각 간병인 정보와 함께 매칭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41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수신한 각 간병인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한다(S42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측 단말(110)로부터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43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S44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각 간병인들의 정합도를 평가한다(S45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정합도가 가장 높은 간병인을 환자의 간병인으로 매칭한다(S460).
간병인 매칭장치(130)는 환자측 단말로 매칭된 간병인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로 환자의 정보를 각각 전송한다(S470).
도 3 및 4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및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4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간병인 매칭 시스템
110: 환자측 단말
120: 간병인측 단말
130: 간병인 매칭 장치
140: 병원측 단말
210: 통신부
220: 분류부
230: 매칭부
240: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환자측 단말로부터 환자의 상태와 함께 간병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환자의 상태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환자와의 매칭을 요청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분류부가 분류한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간병인 중 가장 적합한 간병인을 평가하여 선택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카테고리 별로 상기 환자의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된 각 간병인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모든 카테고리에서 정합도가 높은 간병인을 가장 적합한 간병인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간병인측 단말로부터 간병인 정보와 함께 매칭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간병인 정보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 저장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평가부에서 환자의 상태를 기초로 가장 적합한 간병인의 선택이 완료되는 경우, 선택된 간병인 정보를 상기 환자측 단말로, 상기 환자측 단말의 정보를 간병인측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인 매칭 장치.
KR1020180168153A 2018-12-24 2018-12-24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23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53A KR102230741B1 (ko) 2018-12-24 2018-12-24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53A KR102230741B1 (ko) 2018-12-24 2018-12-24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75A true KR20200078875A (ko) 2020-07-02
KR102230741B1 KR102230741B1 (ko) 2021-03-22

Family

ID=715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53A KR102230741B1 (ko) 2018-12-24 2018-12-24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4295A (zh) * 2020-09-22 2021-01-05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康养服务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422821B1 (ko) * 2021-12-23 2022-07-2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 서비스 공고의 자동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8468B1 (ko) * 2021-12-01 2022-09-28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의 예상 매칭률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4825B1 (ko) * 2022-06-29 2022-12-06 주식회사 씨플러스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KR102516660B1 (ko) * 2022-10-07 2023-03-31 박가린 사용자를 위한 간병인 매칭 제공 방법
KR2023007214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를 기초로 간병계약을 수행하는 보호자 단말과 간병인 단말을 관리서버가 중개하는 방법 및 관리서버
KR102543467B1 (ko) * 2021-12-24 2023-06-14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699B1 (ko) 2021-10-28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
KR102454289B1 (ko) 2021-11-10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스마트 캘린더를 기반으로 간병인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간병인 단말 및 서버
KR102422768B1 (ko) * 2021-11-12 2022-07-2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 서비스의 간병 난이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4730B1 (ko) 2021-11-17 2022-04-08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단말에서 간병인 근무의 보수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관리서버를 통해 간병인 단말에서 보수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간병인의 보수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76436B1 (ko) * 2021-11-18 2022-12-12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등급의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4660B1 (ko) * 2022-01-17 2022-12-06 송영희 노인요양 시설 정보 및 인력 정보를 제공하는 요양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30119406A (ko)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 관리 방법 및 관리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718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KR20170058141A (ko) * 2015-11-18 2017-05-26 김진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20170120863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플러시안 다자간 협업을 통한 스마트 간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718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KR20170058141A (ko) * 2015-11-18 2017-05-26 김진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20170120863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플러시안 다자간 협업을 통한 스마트 간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4295A (zh) * 2020-09-22 2021-01-05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康养服务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7214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를 기초로 간병계약을 수행하는 보호자 단말과 간병인 단말을 관리서버가 중개하는 방법 및 관리서버
KR102448468B1 (ko) * 2021-12-01 2022-09-28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의 예상 매칭률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22821B1 (ko) * 2021-12-23 2022-07-2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 서비스 공고의 자동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3467B1 (ko) * 2021-12-24 2023-06-14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4825B1 (ko) * 2022-06-29 2022-12-06 주식회사 씨플러스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KR102516660B1 (ko) * 2022-10-07 2023-03-31 박가린 사용자를 위한 간병인 매칭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41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8875A (ko)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Norris et al. Building evidence for the use of descriptive subtypes in youth with avoidant 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Brown Evidence-based nursing: The research-practice connection
Kaye Negotiating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motherhood: Coping with prenatal and parenting stress in teenage mothers in Mulago hospital, Uganda
Hiscock et al. Children Attending Paediatricians Study: a national prospective audit of outpatient practice from the Australian Paediatric Research Network
Gates et al. Procedural pain: systematic review of parent experiences and information needs
Talbert et al. Exclusive breastfeeding in first-time mothers in rural Kenya: a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of feeding patterns in the first six months of life
US20170161450A1 (en) Real-time veterinarian communication linkage for animal assessment and diagnosis
Patterson et al. The effect of maternity practices on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in US hospitals
Morata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futility in health care
Meakings et al. ‘She was a foster mother who said she didn’t give cuddles’: The adverse early foster car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later struggle with adoptive family life
Noah et al. Avoiding overtreatment at the end of life: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and truly informed consent
Van Andel et al. What makes a good home-based nocturnal seizure detector? A value sensitive design
KR102474825B1 (ko)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WO2020223400A1 (en) Pet evaluation and triage system
Shimizu et al.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centred support and their associations with the mother–nurse relationship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US202302231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remotely or virtually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and/or a communication network
Wariri et al. Initiating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cess in the Agincourt health and socio–demographic surveillance site
Peters et al. Destination unknown: Par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perspectives on transition from paediatric to adult care in Down syndrome
Longhurst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onceptualizing intuitive eating in autistic people
Quirke et al. Core outcomes in neonatal encephalopathy: a qualitative study with parents
US20230326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remotely or virtually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and/or a communication network
Tate et al. Overcoming barriers to pain assessment: communicating pain information with intubated older adults
Ailey et al. Evaluation of factors related to prolonged lengths of stay for patients with autism with or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Malcolm et al. Variation in facility-level rates of all-caus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30-day hospital readmissions among Medicare fee-for-service beneficiaries after discharge from postacute inpatient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