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467B1 -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467B1
KR102543467B1 KR1020210187082A KR20210187082A KR102543467B1 KR 102543467 B1 KR102543467 B1 KR 102543467B1 KR 1020210187082 A KR1020210187082 A KR 1020210187082A KR 20210187082 A KR20210187082 A KR 20210187082A KR 102543467 B1 KR102543467 B1 KR 102543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question
patient
care
careg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익
황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Priority to KR1020210187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간병인에 대한 성별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 제공하는 간병인 단말; 환자에 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한 환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상기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Description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chatbot-based nurs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자 상태에 따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저출산, 인구 고령화 및 핵가족화 등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가족 구성원이 입원하게 될 경우에, 사회적 환경상 점점 가족간병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는 가족의 간병 수발 보다는 전문 간병인에 의한 간병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질병구조의 변화나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입원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간병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간병 서비스는 집, 병원, 요양소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 간병인이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간병인은 간호(Nursing), 치료(Therapy), 목욕(Bathing), 옷 입혀주기(Dressing), 식사 준비(Preparation of meals), 식료품 구입(Grocery shopping), 처방전 발급 대행, 세탁, 병원 동행 및 기타 개인 업무 보조(Personal care) 등의 간병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간호ㆍ 간병 통합 서비스가 도입되었지만, 현실적으로 간호사와 환자 간 일대일 케어가 사실상 불가능할 뿐 아니라, 단기간(예들 들어, 6개월 정도) 교육받고 투입되는 간호조무사가 수년간 환자를 돌봐 온 간병인의 전문적 간병 서비스를 대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간병이 필요한 사람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을 연결해주는 간병인 중개 플랫폼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부분의 간병인 중개 플랫폼은 전화,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간병인이 필요한 환자의 상태, 필요한 사항 등의 간병 신청 접수하여, 접수 내용에 적합한 간병인을 검색하여 매칭하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간병인 중개 플랫폼 기술은 간병 서비스를 신청하는 보호자 또는 환자는 환자 상태에 따라 어떠한 간병인이 적합한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등록한 간병인 중개 플랫폼의 안내에 따라 작성하거나 통화하여 접수한 환자 건강 상태를 주요 매칭 정보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간병인 중개 플랫폼 기술은 상담 인력에 의한 간병 신청 상담의 한계와 상담 인력에 의한 간병인 추천 매칭으로 간병인 선택에 제한이 있어 간병인 매칭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
종래의 간병인 중개 플랫폼 기술이 상담 인력을 대신하여 인공 지능 기반의 매칭을 통해 간병인을 추천할 경우에도, 학습되지 않은 환자 데이터 또는 언어 이해의 한계성, 사회적 신호(social cue) 해석 미흡 등으로 인해 환자에게 적합한 간호 전문성 및 숙련도를 갖춘 간병인 추천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환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 상태에 맞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간병인에 대한 성별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 제공하는 간병인 단말; 환자에 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한 환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상기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병인 정보는 간병인의 성별, 나이, 활동 지역을 포함한 기본 정보, 경력, 자격증, 간병 후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간병인 정보를 환자 케어 가능한 간병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상기 간병인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화 모듈;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챗봇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 및 답변 내용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상태 정보와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답변 정보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환자별로 제공하는 대화 경로 제공 모듈; 및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 또는 각 모듈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여 환자별 간병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의 사항이 입력되는 경우에,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내용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대화 모듈로 제공하는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상기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간병인 단말로부터 간병인에 대한 성별, 나이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환자 상태 정보는, 환자에 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답변 정보에 따라 질문 시나리오의 질문 영역, 질문 개수를 포함한 대화 경로가 가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병인 요건 매트릭스 정보는.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진단명에 따른 케어 정보, 필수 질문 영역인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 정보에 따라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 내에서 후속 질문 시나리오가 연계되도록 대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환자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 시나리오로 이어지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간병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질문하는 형식에서 벗어나, 환자 상태에 따라 불필요한 질문 시나리오를 스킵할 수 있어 질문 개수가 줄어들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질문 개수가 줄더라도 환자의 세부 케어 정보를 질문하여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챗봇 기반의 대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1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2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3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4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5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6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7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8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간병인 단말(110), 사용자 단말(120) 및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간병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의료 및 요양 기관과 연계될 수도 있다.
간병인 단말(110)은 간병인에 대한 성별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간병인 정보는 간병인의 성별, 나이, 활동 지역을 포함한 기본 정보, 경력, 간병이력, 자격증, 실사용자의 간병 후기 및 서비스 평가 정보, 입주/병원/방문 요양 중 희망 근무 형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에서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대화 경로에 따라 환자에 대한 성별,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한 환자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고,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이러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간병인 단말(110)로부터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간병 이력 및 경력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 케어 가능한 간병 영역별로 간병인 단말(110)별로 간병인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간병 영역별로 간병인 정보를 구분하여 간병 영역 테이블로 저장하고, 환자 상태 정보에 따른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의 결과 값과 간병 영역 테이블을 상호 매칭하여 현재 환자에게 제일 적합한 간병인을 적어도 1인 이상 매칭하여 간병인 매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간병 영역에는 위생, 목욕, 식사 및 영양, 배설, 호흡, 피부, 체위 변경, 운동, 이동, 문제행동관리, 의사소통, 관찰/측정/안위, 투약, 검사 및 처치, 협조 및 보고, 환경 관리, 환자 물품 관리, 교육 및 상담, 간접 간호, 주/월 단위 간병 활동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통신 모듈(210),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즉, 제어 모듈(26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통신 모듈(210), 대화 모듈(220), 검색 모듈(230), 정보 관리 모듈(240), 대화 경로 제공 모듈(250) 및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2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간병인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2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대화 모듈(220)은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와 챗봇이 대화 가능한 채팅창을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메신저, 웹 메신저, 메시지(SMS)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에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 지능(AI) 기반의 챗봇(chatbot) 서비스는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 및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그리고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과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 분석 기반으로 올바른 답을 유추하고, 다음 질문을 예측하여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나아가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단순한 대화 서비스를 넘어, 의사 결정 및 결제와 같은 다양한 동작을 처리하는 용도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검색 모듈(230)은 대화 모듈(220)이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문의 사항이 입력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답변 내용을 검색하여 다시 대화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답변 내용은 데이터베이스(27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답변 내용을 제공받은 대화 모듈(220)은 챗봇을 통해 해당 답변을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관리 모듈(240)은 대화 모듈(220)이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챗봇과 사용자 단말(120) 사이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 및 답변 내용, 즉 상담 내용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상태 정보와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수정 및 삭제하여 정보를 관리한다.
대화 경로 제공 모듈(250)은 대화 모듈(220)에서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 내용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대화 경로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입력되는 답변 내용에 기초하여 환자 상태별로 다른 경로가 설정될 수 있고, 환자 상태에 맞는 후속 질문 시나리오가 연결되도록 하여 환자 상태에 적합하지 않은 질문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질문 개수가 줄어들 수 있고, 그만큼 챗봇을 이용한 상담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선행 질문과 후속 질문의 연속되는 답변 정보에 따른 응답값을 간병 요건 매트릭스에 매칭시키고, 최종 질문이 완료되면 간병 요건 매트릭스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현재 환자 상태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정된 환자 상태 정보에 최적 간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간병인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 정보에 따라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120)로 상담원이 다시 전화를 걸어 환자 상태를 재차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제어 모듈(260)은 통신 모듈(210), 대화 모듈(220), 검색 모듈(230), 정보 관리 모듈(240), 대화 경로 제공 모듈(250), 데이터베이스(27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 모듈(260)은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 또는 각 모듈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각 모듈의 정해진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270)에는 간병 영역별 환자 케어 정보, 답변 내용, 환자 상태 정보, 간병인 정보, 상담 이력 정보,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70)는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단말(130)과 별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듈들은 제어 모듈(2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각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챗봇 기반의 대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이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한다(S1).
이때,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는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진단명에 따른 케어 정보, 필수 질문 영역인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질문 시나리오를 크게 환자/간병인 정보, 진단명, 전염성, 치매, 인지, 수면, 마비, 암, 석션, 생활 정보의 질문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각 질문 카테고리별로 후속되는 질문 시나리오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입력된 답변 정보에 따라 유기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 1]
Figure 112021149919820-pat00001
환자/간병인 정보의 질문 카테고리에서는 환자의 성별이 남성인 경우에 후속 질문이 간병인 성별에 대한 질문이 되지만, 환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에 간병인 성별이 여성 간병인으로 정해진 후 간병인 성별명에 대한 질문이 스킵된 후 환자 생년월일에 대한 질문이 후속될 수 있다.
특히,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는 질문 카테고리 중에 진단명의 경우에, 대분류에서 8개의 소분류로 이어지는 8개의 경로와, 각 소분류의 항목별로 필요에 따라 질문 카테고리에서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들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치매 환자는 단기 기억에 어려움을 겪고 아침 식사를 기억하지 못한다. 이러한 초기 치매 환자는 방향 감각을 상실하고, 공통 단어를 잊어버려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로 그들의 말과 글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어제와 오늘을 구분하는 시간에 대한 개념이 조금씩 사라진다. 중기치매 환자는 건망증이 심해지고, 집에서 길을 잃게 되며, 의사소통이 더 어려워지고, 반복적인 질문을 하는 등의 변화가 생기며, 일상생활하는 방법을 점점 잃어버린다. 중증치매 환자는 가족을 인식하기 어려워지고, 말하는 능력을 잃을 수 있으며, 우울, 불안, 환각, 증세가 있을 수 있고, 언어폭력 및 신체폭력 증세를 보일 수 있다.
한편, '인지1'의 질문 카테고리에서 인지가 정상인 환자의 경우에, 시간과 공간 개념이 있고, 어떤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판단이 가능하며, 주의집중력이 있어 연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지가 부족한 환자의 경우에, 시간과 공간개념이 부족하고, 어떤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판단과 주의집중력이 부족하다. 인지가 없는 환자의 경우에, 시간과 공간개념이 없고, 어떤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판단이 안되며 시공간 구성 능력이 없다.
'인지2'의 질문 카테고리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정확히 표현하지만, 의사소통이 조금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어눌하게 표현할 수 있고,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에 언어 표현이 전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간병인은 초기 치매, 중기 치매 및 중증 치매, 인지 여부 등 환자 상태 정보에 따라 그에 맞는 간병 서비스와 환자 케어를 제공해야 하므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환자 상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해야 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간병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2),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 즉 채팅창을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S3).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로 시작 메시지를 제공하고(S3), 환자의 기본 정보와 원하는 간병인 정보를 요청한다(S4). 또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의 진단명 입력을 요청하고(S5), 진단명에 대한 답변 내용에 따라 세부 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7).
이때,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에서 텍스트 형태의 답변을 입력하거나, 다지선다형 질문 시나리오에 맞는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대화 경로 설정시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환자에 대한 필수 질문으로 수면 질문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케어 질문 영역에서는 전염성 질환인 경우에 전염성 유무 및 석션 필요 여부를 질문하게 되고, 암인 경우에 암 진행 상태를 질문하게 된다. 또한, 뇌질환인 경우에 마비 상태 등의 특수 케어가 필요한 환자 상태 정보를 질문하게 되고, 인지 질문 영역은 만 70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에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를 질문하게 된다. 수면 질문 영역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수면 상태를 질문하게 된다.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환자에 대한 수면 질문 영역을 순차적으로 질문한 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한 후에 환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확인한 후에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5, S8, S10).
이때,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과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 상태 정보를 파악한 후,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한다(S9).
이때,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 케어 정보에 전염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간병인 매칭이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또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 상태 정보에 따른 예상 간병비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간병비는 환자의 키가 크고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간병 도중에 전염성 질환을 발견하는 경우, 석션 횟수가 많은 경우, 중증 치매인 경우, 발디딤이 불가능한 경우, 수면이 불규칙한 경우, 장루 관리가 필요한 경우, 호스피스의 경우에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 상태 정보에 따라 간병비 증가 요소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예상 간병비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에 의해 간병인 단말(110)로 입주, 병원 또는 방문 등의 근무 형태에 따라 파견 가능한 간병인 후보 그룹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120)과의 간병 상담 전화를 통해 간병인 후보 그룹 중에서 최적의 간병인을 선정할 수 있다.
한편,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 또는 간병인 단말(110)로부터 환자의 간병 상태와 예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간병 일지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외에 각종 의학 및 간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단계 S1 내지 S1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1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단명 소분류 1(전염성)에 대한 대화 경로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입력되는 답변 내용에 따라 1) 경로 ~ 3)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대화 경로는 크게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진단명에 따른 세부 케어 정보, 필수 질문으로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의 순서로 질문 및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에서 전염성 질환을 선택한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1의 질문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고, 진단명 소분류1에서 결핵, VRE, CRE, 옴, 기타인지를 사용자 단말(120)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질문 시나리오는 전염성 1의 '현재 전염성이 있는 상태입니까?'로 사용자 단말(120)의 채팅창에 출력되고, 전염성 1의 '전염성 있음'으로 답변한 경우에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전염성 2의 "격리 병동입니까"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20)의 채팅창에 출력된다. 그러나, 전염성 1의 답변 내용이 '전염성 없음'으로 답변한 경우에 후속 질문으로서 "석션이 필요하신가요?"로 연결된다.
이때,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의 나이가 70세 이상인 경우에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를 질문하는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이어서 수면 질문 영역과 생활 패턴의 질문 영역에 대한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 후 최종적으로 종료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의 나이가 70세 미만인 경우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스킵하고 수면 질문 영역과 생활 패턴의 질문 영역에 대한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 후 최종적으로 종료 메시지를 제공한다.
상기한 표 1을 참조하면, 수면 질문 영역에서는 '수면 1'의 '잘 주무심'이 선택된 경우에 '생활정보 1'을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제공하고, '수면 1 ''1~2회 깸' 또는 '아주 불규칙'이 선택된 경우에 '수면 2'를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제공한다.
생활 패턴 질문 영역에서는 '수면 1' 또는 '수면 2'의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생활정보 1', '생활정보 2', '생활 정보 3'의 질문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2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명 소분류 2(암)에 대한 대화 경로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입력되는 답변 내용에 따라 1) 경로 ~ 7)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대화 경로는 크게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진단명에 따른 세부 케어 정보, 필수 질문인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의 순서로 질문 및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에서 암을 선택한 경우에,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 소분류2의 질문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하고, 진단명 소분류2에서 1)위암, 3)간암, 4)자궁암, 5)혈액암, 6)폐암, 7)기타암을 사용자 단말(120)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환자가 대장암인 경우에 암1의 "장루 관리가 필요하신가요?"라는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나머지 암인 경우에 암2의 "몇기까지 진행된 상태인가요?"라는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이러한 대화 경로로 연결되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 내용에 따라,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 적절한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이때, 진단명 소분류 2에 대한 대화 경로도 환자 나이가 70세 이상인지에 따라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추가 또는 스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3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치매인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3의 대화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채팅창에 제공한다. 이러한 대화 경로로 연결되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 내용에 따라,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로 적절한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진단명 소분류 3에 대한 대화 경로는 환자 나이에 상관없이 인지 상태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치매 1'의 질문 시나리오에서 "치매 진단을 받으셨나요?"를 질문하고, 환자가 치매 진단을 받은 경우에 '치매2'의 질문 시나리오에서 "치매 단계를 골라주세요, 1) 초기 치매 2) 중기 치매 3) 중증 치매"를 질문하게 된다.
그러나, '치매1'의 질문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이 '치매 진단받지 않음'인 경우에 '인지2'의 질문 시나리오를 통해 "의사소통이 잘 되나요?"를 질문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이 '인지 정상'인 경우에 '수면1'의 질문 시나리오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모든 환자에 대해 이미 설정된 질문을 제공하지 않고, 환자별 사용자 단말(120)의 답변 내용에 따라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질문 카테고리/질문명/질문시나리오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환자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4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뇌질환인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 4의 대화경로를 설정하는데, 마비 상태(마비 1)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설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5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근골격계 장애인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 5의 대화경로를 설정하는데, 마비 상태(마비 2)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설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6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외상에 의한 손상인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 6의 대화경로를 설정하는데, 마비 상태(마비 1)의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진단명의 소분류 6은 진단명 대분류에서 '외상에 의한 손상'을 선택한 경우에 바로 1) 경추 골절, 2) 경추 탈골, 3) 경추 염좌, 4) 고관절 골절, 5) 늑골 골절, 6) 골반 골절, 7) 요추 골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하여 진단명 대분류와 진단명 소분류 6의 질문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7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노환'인 경우에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바로 '인지1'의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인지1'의 질문 시나리오는 '마비1'에서 '4)거동 가능'을 선택한 경우에 만 70세' 이상이인 경우, 진단명 소분류4에서 2)편마비, 3)사지마비, 4)뇌출혈, 5)뇌경색, 6)뇌졸중, 7)지주막하출혈을 선택한 경우에 제공된다.
또한, '인지1'의 질문 시나리오는 '진단명 소분류7', 만 70세 이상인 경우에 '수술1', 만 70세 이상인 경우에 '석션1', 만 70세 이상인 경우에 '진단명 소분류8', '마비3'의 후속 질문으로 각각 제공된다.
'인지1'의 질문 시나리오에 대한 답변 정보가 2) 인지 부족, 3) 인지 없음일 경우에 '치매1'이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제공되고, 답변 정보가 1) 인지 정상인 경우에 '인지2'가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제공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명의 소분류8에 따른 대화 경로의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130)은 진단명이 '그 외 기타 질환'인 경우에, 세부 질환을 질문하지 않고, 환자 나이가 70세 이상인 경우에 '인지1'의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환자 나이가 70세 미만인 경우에 '수면 1'의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도 5 내지 도 12는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필수 질문으로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에 대해 동일한 질문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간병인 단말
120 : 사용자 단말
130 : 간병 서비스 제공 단말
210 : 통신 모듈
220 : 대화 모듈
230 : 검색 모듈
240 : 정보 관리 모듈
250 : 대화 경로 제공 모듈
260 : 제어 모듈
27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상기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동하여 간병인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간병인에 대한 성별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자에 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한 환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화 모듈;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챗봇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 및 답변 내용을 저장하고,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상태 정보와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및 관리하는 정보 관리 모듈;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답변 정보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를 환자별로 제공하고, 선행질문과 후속질문의 연속되는 답변 정보에 따른 응답값을 간병 요건 매트릭스에 매칭시키고, 최종 질문이 완료되면 간병 요건 매트릭스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현재 환자 상태를 추정하는 대화 경로 제공 모듈; 및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흐름 또는 각 모듈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여 환자별 간병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질문 시나리오는 환자/간병인 정보, 진단명, 전염성, 치매, 인지, 수면, 마비, 암, 석션 및 생활 정보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각 카테고리 별로 후속되는 질문 시나리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답변 내용에 기초하여 환자 상태별로 다른 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간병인 정보의 질문 카테고리에서는 환자의 성별이 남성인 경우 후속 질문이 간병인 성별에 대한 질문이 되지만, 환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 간병인 성별이 여성 간병인으로 정해진 후 간병인 성별명에 대한 질문이 스킵된 후 환자 생년월일에 대한 질문이 후속되고,
    상기 진단명의 경우, 전염성 질환, 암, 치매, 뇌질환, 근골격계 장애, 외상에 의한 손상, 노환 및 기타로 대분류가 분류되고, 상기 대분류에서 8개의 소분류로 이어지는 8개의 경로와, 각 소분류의 항목별로 필요에 따라 질문 카테고리에서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지의 경우, 시간과 공간 개념이 있는지 여부,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판단이 가능한지 여부, 연산이 가능한지 여부,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정확히 표현하는지 여부 및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텍스트 형태의 답변을 입력하거나, 다지선다형 질문 시나리오에 맞는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대화 경로 설정시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및 수면 질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케어 질문 영역은 전염성 질환인 경우 전염성 유무 및 석션 필요 여부를 질문하게 되고, 암인 경우에 암 진행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뇌질환인 경우에 마비 상태와 같이 환자 상태 정보를 질문하게 되고,
    상기 인지 질문 영역은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상기 수면 질문 영역에서는 모든 환자에 대해 수면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수면 질문 영역을 순차적으로 질문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후에 환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확인한 후에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며,
    환자 케어 정보에 전염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간병인 매칭이 불가능함을 통지하며,
    환자 상태 정보에 따른 예상 간병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대화 모듈이 제공하는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문의 사항이 입력되는 경우에,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내용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대화 모듈로 제공하는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환자의 질환에 따라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와, 상기 질문 시나리오의 답변 정보에 따른 후속 질문 시나리오로 연결되는 대화 경로가 설정된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답변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답변 정보를 통해 파악된 환자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간병인 정보를 포함한 환자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병인 요건 매트릭스 정보는. 환자 기본 정보, 진단명 정보, 진단명에 따른 케어 정보, 필수 질문으로 수면 및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에 기초한 질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 정보에 따라 상기 간병 요건 매트릭스 정보 내에서 후속 질문 시나리오가 연계되도록 대화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질문 시나리오는 환자/간병인 정보, 진단명, 전염성, 치매, 인지, 수면, 마비, 암, 석션 및 생활 정보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각 카테고리 별로 후속되는 질문 시나리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답변 내용에 기초하여 환자 상태별로 다른 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간병인 정보의 질문 카테고리에서는 환자의 성별이 남성인 경우 후속 질문이 간병인 성별에 대한 질문이 되지만, 환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 간병인 성별이 여성 간병인으로 정해진 후 간병인 성별명에 대한 질문이 스킵된 후 환자 생년월일에 대한 질문이 후속되고,
    상기 진단명의 경우, 전염성 질환, 암, 치매, 뇌질환, 근골격계 장애, 외상에 의한 손상, 노환 및 기타로 대분류가 분류되고, 상기 대분류에서 8개의 소분류로 이어지는 8개의 경로와, 각 소분류의 항목별로 필요에 따라 질문 카테고리에서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경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지의 경우, 시간과 공간 개념이 있는지 여부,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판단이 가능한지 여부, 연산이 가능한지 여부,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정확히 표현하는지 여부 및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챗봇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텍스트 형태의 답변을 입력하거나, 다지선다형 질문 시나리오에 맞는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대화 경로 설정시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및 수면 질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케어 질문 영역은 전염성 질환인 경우 전염성 유무 및 석션 필요 여부를 질문하게 되고, 암인 경우에 암 진행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뇌질환인 경우에 마비 상태와 같이 환자 상태 정보를 질문하게 되고,
    상기 인지 질문 영역은 인지 상태와 치매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상기 수면 질문 영역에서는 모든 환자에 대해 수면 상태를 질문하게 되고,
    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케어 질문 영역, 환자 연령에 따른 인지 질문 영역, 수면 질문 영역을 순차적으로 질문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에 따라 후속 질문 시나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후에 환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확인한 후에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며,
    환자 케어 정보에 전염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간병인 매칭이 불가능함을 통지하며,
    환자 상태 정보에 따른 예상 간병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간병인 단말로부터 간병인에 대한 성별, 나이 및 경력을 포함한 간병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상태 정보는, 환자에 대한 성별과 나이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질환, 건강 및 생활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87082A 2021-12-24 2021-12-24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82A KR102543467B1 (ko) 2021-12-24 2021-12-24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82A KR102543467B1 (ko) 2021-12-24 2021-12-24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467B1 true KR102543467B1 (ko) 2023-06-14

Family

ID=8674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082A KR102543467B1 (ko) 2021-12-24 2021-12-24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37B1 (ko) 2023-08-16 2024-02-19 (주)테라모션 우울증과 불안 장애에 특화된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챗봇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75891B1 (ko) * 2023-11-23 2024-06-17 주식회사 아이티브릿지 인공지능 모델 기반 챗봇 결합형 동행 및 돌봄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및 매니저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15A (ko) * 2018-10-23 2020-05-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챗봇을 이용한 치과 예약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63352A (ko) * 2018-11-23 2020-06-05 박해유 딥러닝기술기반 챗봇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78875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US20200228470A1 (en) * 2017-09-22 2020-07-16 1Thefull Platform Limited User care system using chatbot
KR20210058535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유니메오 간병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28470A1 (en) * 2017-09-22 2020-07-16 1Thefull Platform Limited User care system using chatbot
KR20200045815A (ko) * 2018-10-23 2020-05-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챗봇을 이용한 치과 예약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63352A (ko) * 2018-11-23 2020-06-05 박해유 딥러닝기술기반 챗봇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78875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간병인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10058535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유니메오 간병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37B1 (ko) 2023-08-16 2024-02-19 (주)테라모션 우울증과 불안 장애에 특화된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챗봇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66149B1 (ko) 2023-08-16 2024-05-14 (주)테라모션 사용자와의 대화에 따른 상태 정보 및 평가 정보를 바탕으로 상담 절차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66148B1 (ko) 2023-08-16 2024-05-14 (주)테라모션 사용자의 우울증 및 불안 장애에 따라 치료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75891B1 (ko) * 2023-11-23 2024-06-17 주식회사 아이티브릿지 인공지능 모델 기반 챗봇 결합형 동행 및 돌봄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및 매니저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roe et al. Primary care physician preferences regarding spiritual behavior in medical practice
Kuluski et al. What is important to older people with multimorbidity and their caregivers? Identifying attributes of person centered care from the user perspective
Doherty et al. Enhancing person-centred ca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Hall et al. Differences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re and treatment among sub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
Sanders et al. Would you say you had sex if...?
Vega et al. Lifetime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s among urban and rural Mexican Americans in California
Brincks et al. The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on the patient–provider relationship
Decker et al.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information needs over the course of treatment and recovery
Baer et al. Automated telephone screening survey for depression
Kolbe et al. Sexual counsel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 silent phenomenon: results from a convergent parallel mixed method study
Tiedje et al. An ecological approach to breastfeeding
Hopp et al. Life disruption, life continuation: contrasting themes in the lives of African-American elder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KR102543467B1 (ko) 챗봇 기반의 간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hen et al. The potential of object-relations theory for improving engagement with health apps
Albert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telemonitoring us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Fleming et al.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in low-incidence areas: How safe is unsafe sex?
Munce et al. Using the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for complex intervention development: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spinal cord injury
KR20170120863A (ko) 다자간 협업을 통한 스마트 간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heng et al. Codesign and usability testing of a mobile application to support family-delivered enteral tube care
Russell et al. Responding to urgency of need: initial qualitative stage in the development of a triage tool for use in palliative care services
de Peralta et al. Leveraging telemedicine for management of veterans with heart failure during COVID-19
Hays et al. Member ratings of health care provided by 48 physician groups
Davidson et al. Activities of home-based heart failure nurse specialists: a modified narrative analysis
Agurcia et al. The behavioral risks and life circumstances of adolescent mothers involved with older adult partners
Matsuda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of sexu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family planning factors among immigrant Latino couples in the United St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