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942A -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942A
KR20070106942A KR1020070062250A KR20070062250A KR20070106942A KR 20070106942 A KR20070106942 A KR 20070106942A KR 1020070062250 A KR1020070062250 A KR 1020070062250A KR 20070062250 A KR20070062250 A KR 20070062250A KR 20070106942 A KR20070106942 A KR 2007010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information
diagnosi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102007006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6942A/ko
Publication of KR2007010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 입력단계; 환자로부터 환자의 진단받고자 하는 내용에 관한 데이터인 1차 데이터를 소정의 분류 기준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입력받는 1차 데이터 입력단계; 입력받은 1차 데이터와 징후DB에 저장된 진단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 및 예상진단결과 또는 예상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예상 진료과를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환자에게 표시하는 결과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현실의 진료와 같은 세부적이고 단계적인 진료를 통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온라인에 의하여 완벽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무인 진단, 원격 진료, 사이버 진료

Description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Method for service of anticipatory medical diagnos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따른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환자용 단말기 120...메인 서버
130...병의원 140...약국
150...국민건강보험공단
본 발명은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버상에서 온라인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MRI, CT, 입체 초음파 등 우수한 진단 장비의 발명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은 높아지고 국민건강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의 발달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원하는 상대방과 원격으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의 발달 및 의료 수준의 향상에 따라 환자는 사이버 공간에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게 되며, 앞으로 사이버 공간에서 진료가 가능하게 될 것을 감안하면, 첨단장비의 발전과 이를 개인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뒷받침도 중요하다.
또한, 이와 병행하여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고 처방 및 치료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환자로부터 얻는 최초의 주관적인 정보는 이러한 일련의 의료행위의 시작점이 되며 치료에 이르기까지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가 된다.
의료업에 종사하고 있는 보건 의료 서비스의 주축인 의사들에게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 고가의 첨단 의료장비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의사가 환자를 떠나서 살 수 없듯이, 의사들이 진단 및 치료를 함에 가장 중요한 사항은 바로 환자에 대한 정보이다.
사이버 공간에서 현재의 법제하에서는 진료 및 처방이 수행되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허용되고 있지 않지만, 각 병의원의 홈페이지 등을 통한 의료 상담은 개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담은 환자를 직접적으로 진찰하지 않고 행할 수 있어서, 환자에게 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경제적인 이득을 주지만, 의사에게 있어서는 의학적 판단을 하는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환자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하여 오진을 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담의 내용은 개별의사나 병원 등의 운영지침에 따라 다르겠지만,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질문이나 개괄적인 병명에 관한 추상적인 정보만의 의사소통밖에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병의 진단에 이르기까지 가장 효율적인 질문을 환자가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상태에서 단편적으로 단순히 환자의 직감적인 병상에 대한 서술식 기재내용에 근거한 정보교환을 통한 상담으로는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상담만이 가능할 뿐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한 의료진단서비스는 실질적인 진단을 예상하는 데 있어 도리어 시간이 이중으로 소요되거나 오판을 양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막연하고 단순한 정보는 그 정보를 정화하여 DB화 한다고 하여도 구체적인 의료예상진단이나 의료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전혀 기여되지 못하는 일회적이고 단편적인 정보만이 될 뿐이다.
향후 미래사회에 네트워크와 의료장비의 확충, 보충에 의하여 기본적인 검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시기가 도래하더라도 이러한 의료장비와 시스템의 구축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정밀하고 정확한 환자의 증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의 데이터화의 필요는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보건 의료 서비스의 미래를 예측함에 있어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진료행위가 의료상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자신의 증상에 대하여 최대한의 객관적일 수 있는 진단을 예상, 예측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진료에 임함에 있어 환자에게도 유리하며, 의사 또는 병의원에서도 부수적인 의료행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반적인 의료환경에 일익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의 질병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하다.
첫째, 환자는 질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므로 본인의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련된 정보를 얻고자 하므로 환자에게 증상에 따른 질병에 관련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현대인은 질병의 증상이 있어도 쉽게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편리한 진료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사이버 공간에서 정확한 진단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사이버 공간상의 진료와 현실에서의 진료 간에 발생하는 오차를 산출하여 통계를 내어 온라인에서 이루어진 진단이 직접적으로 병의원에서 이루어진 진단의 결과가 차이가 나지 않도록 지속적인 분석, 통계 작업이 병행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넷째, 사이버 공간에서 진단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의 진료환경이 현실에서의 진료환경에 못지 않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질병에 대한 진단적 근거와 치료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질병에 대한 연구센터 및 임상실험센터 등이 운영되는 바와 같이 사이버상 의료 서비스의 구현에 있어서도 의료 정보의 입력과 분석 그리고 처리 부분에도 정보의 신뢰성과 유용성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 실제 진단에 근거를 둔 사이버상의 의료 데이터의 운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순한 환자의 증상에 대한 막연한 정보를 지양하고 환자의 주관적 데이터를 의학적으로 객관화된 데이터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완벽한 온라인 진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하여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 입력단계; 상기 환 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단받고자 하는 내용에 관한 데이터인 1차 데이터를 소정 분류 기준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입력받는 1차 데이터 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1차 데이터와 징후DB에 저장된 진단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 및 상기 예상진단결과 또는 상기 예상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예상진료과를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환자에게 표시하는 결과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환자의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키, 체중, 전화번호, 주소, 메일주소 및 병의원에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번호인 병록번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상기 예상진료과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주소를 기준으로 소정범위 내에 있는 해당병원의 정보를 표시하는 해당병원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상기 해당병원에 대한 상담 또는 진료 예약 신청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예상진료과에 관한 정보를 해당병원에 전송하여 상담예약 또는 진료 예약 신청을 수행하며, 해당병원으로부터 상기 상담예약 결과 또는 상기 진료 예약에 대한 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화면표시수단 또는 상기 입력받은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예약상담 수행단계; 및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담당의사에 대한 열람허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1차 데이터 또는 예상진단결과를 상기 예약된 해당병원의 상기 환자 담당의사에게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분류기준은 주요 증상, 현재 병력, 과거 병력, 사회적 병력, 가족적 병력, 약물 복용 여부, 과거 의료서비스 이용 병원 중 하나 이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재 병력은 증상 부위, 발병 시간, 통증 양상, 발병 경위, 통증 빈도, 통증 기간, 증상의 호전 여부, 증상 회수 중 하나 이상으로 더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상기 환자가 진단받기 위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청진기, 진료부위를 촬영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장비(동영상 구현이 가능하고 인체의 체온변화 및 화학물질을 센싱할 수 있으며, 평면적 영상신호를 입체화 가능한 장비를 모두 포함), 주파수 특성에 따른 진단 장비,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및 칼로리 소모 측정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2차 데이터를 더 입력받는 2차 데이터입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2차 데이터를 해당병원에 더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예상진단결과에 대한 징후, 식이요법, 관련사례, 관련사이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관련정보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전송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예상진단결과, 상기 1차 데이터 및 상기 2차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환자 담당의사로부터 산출된 처방정보가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가 포함된 처방조제정보를 소정의 약국 서버로 전송하는 처방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약국 서버는 상기 처방조제정보에 따라 제조된 의약품에 관한 소정의 택배요청정보를 택배회사 서버로 전송하는 택배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하여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따른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과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창안하고자 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의 구현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구성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개인정보 입력단계(S200), 1차 데이터 입력단계(S210), 2차 데이터 입력단계(S220),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S230, S240), 결과표시단계(S250), 상담 또는 진료예약 신청단계(S260), 상담 또는 진료 예약 수행단계(S270) 및 데이터전송단계(S2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환자로부터 환자용 컴퓨터(112)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무인진단부스(114)를 통하여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환자의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키, 체중, 전화번호, 주소, 메일주소 및 병의원에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번호인 병록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받는다(S200).
상기 개인정보는 환자에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메인 서버(120)의 개인정보DB(121)에 저장되며, 현재 웹사이트 등에서 이용하고 있는 방법과 같이 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환자를 등록하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하여 이 후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에 의하여 로그인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병록번호는 각 병원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번호로서, 현재 모든 병원에서 동일한 번호로 적용되고 있지는 않으나, 향후 의료시스템의 표준화 단계를 거쳐 모든 병원에서 동일 번호로 통합될 수 있는 번호이다.
이러한 각각의 개인에 대한 개인정보는 향후 기본적인 예상진단의 기초자료로 이용되며, 메인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접근은 등록되어 있는 개인에게만 국한되어 이용하는 것이 프라이버시나 의료정책상 더욱 바람직한 것은 자명하다.
개인 컴퓨터나 개인 휴대단말기 등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인터넷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는 소정의 사이트에 온라인 접속함으로써 상기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무인 부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무인 부스 시스템은 개별적인 입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서버(120)에 등록된 환자는 환자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과거의 의료적인 검사 및 진료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통합되어 저장되며, 환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의 내용을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서버(120)는 병의원들과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병의원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데이터화하여 저장된 자료를 송수신함으로써 모든 개인의 병력 등에 관한 사항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된 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에게도 접근을 허용하여 담당 의사가 자신의 환자의 과거병력과 다른 병의원 의사의 진단기록, 조치된 시술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의사 개인에게만 국한된 폐쇄적인 자료를 환자 중심에서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라면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열람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의료정책과 의료업 복지화에 일익이 됨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재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가 환자의 개인보호차원에서 환자의 허락을 받아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과정을 수행한 후,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은 환자의 증상에 대한 1차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서버(120)로부터 상기 환자용 단말기(110)를 통하여 소정의 분류기준으로 분류되어 있는 단계적인 질의 사항을 제시하고 단계적으로 제시된 질의사항에 상기 환자가 응답하는, 즉, 제시된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하는 방식에 의하여 1차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1차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120)의 1차 데이터DB(122)에 저장한다(S21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단말기 등이 메인 서버(120)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방식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단말기 또는 무인 부스에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 1차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차 데이터란, 환자의 주관적 의사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 이용되고 있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자로부터 상세하고 정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병상의 예상 진단에 필요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질의를 생성하여, 생성된 질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환자가 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획득되는 것으로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트리구조로 단계적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먼저, 1차 데이터는 크게 주요 증상, 현재 병력, 과거 병력, 사회적 병력, 가족적 병력, 약물 복용 여부 및 과거 의료서비스 이용병원 등으로 분류되어 제시되며, 환자가 주요 증상을 입력할 경우, 증상 부위가 어디인지, 증상의 정도는 어떤지 등과 같은 항목을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에 의하여 입력되 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환자로부터 증상 부위를 입력받는 것은 환자용 단말기(110)를 통하여 입체적인 인체 형상을 구현하여 환자에게 제시하며, 증상 부위를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미세하게 지적되는 것이 가능하고, 인체 내부의 장기의 세부적인 부분까지도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적인 인체 형상은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툴(tool)을 더 구비하여 보다 정확한 증상 부위가 입력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데이터의 현재 병력은 증상 부위, 발병 시간, 통증 양상, 발병 경위, 통증 빈도, 통증 기간, 증상의 호전 여부, 증상 회수 등과 같이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증상부위가 입력되면, 상기 증상 부위에 대한 발병 시간을 입력받고, 통증 양상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통증 양상은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정도를 수준별로 분류하여 통증의 수준을 정확하게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질문의 순서와 이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데이터인 1차 데이터에 관한 저장 순서는 다양한 변형례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질문의 순서와 질문카테고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례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으로 예시된 부분을 기초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는 모든 예를 포함한다.
상기 발병 경위는 환자가 예상할 수 있는 발병의 경로를 제시하여 환자가 선 택할 수 있도록 하며, 어느 정도의 기간에 걸쳐 어느 정도의 횟수로 통증이 느껴지는지의 통증의 빈도와 통증의 기간을 입력받게 된다.
그리고 증상이 통증의 기간에 따라 악화되어 가는지 완화되어 가는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가는지의 증상의 호전 여부도 입력받게 되며 증상의 회수를 시간적 표로 구성 및 제시하여 장기간에 걸친 증상의 회수를 입력받도록 하여 주관적인 정보를 산술적으로 객관화되어 입력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환자가 의사를 직접 대면하여 진료를 받는 수준과 유사한 수준의 현재 병력을 환자로부터 입력받음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향후 진보된 의료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로 이용되며, 단순하게 정보만을 정량적으로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정밀하게 분류되어 있는 카테고리별로 정성적, 정량적 TABLE이 가능하도록 정보가 구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거 병력은 현재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어떤 질병을 앓고 있었는지, 과거의 질병에 대하여 치료가 진행 중인지, 치료가 완료되었는지와 같은 과거의 병력에 대하여 입력을 받게 된다.
또한, 사회적 병력과 가족적 병력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현재 약물을 복용 중인지,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어떤 병원 또는 경로를 통한 약을 복용 중인지, 그리고 과거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은 병의원은 어느 병의원인지까지 세분화된 질의 사항을 제시하여 환자로부터 1차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다(S210).
상기와 같이 입력받은 1차 데이터는 환자의 정보수집 부분으로서 병/의원에서는 진료기록지의 차트의 앞부분에 들어가는 입력사항이 되며, DB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메인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 국민 건강보험 관리공단, 등 기타 통계학적 연구기관)에서는 향후 사이버 진단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basic DB를 제공하고 현실의 진료에서 반영된 진단과의 비교를 통해서 사이버 진단 시스템과의 오차를 산정하여 산정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정보가 된다.
상기 1차 데이터의 입력은 환자의 인체의 전반적인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인체 시스템적 체크가 더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인체 시스템적 체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강 사항과 직결되며 통상적으로 사람에게 이상이 있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분류된 일반적 사항과 인체를 보다 세분화하여 피부,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구멍, 경부, 흉부, 심장, 혈관, 유방, 위장관, 비뇨기, 남성생식기, 여성생식기, 근골격, 말초혈관, 신경, 정신, 내분비, 혈액 등으로 분류된 사항을 환자에게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환자는 상기 항목들 중 증상이 느껴지는 사항에 대하여 체크하게 되고 체크된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프레젠테이션 되어 환자로부터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일반적 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일반적 사항은 평소 건강 상태는 어떤지(예: 매우 좋음, 좋은,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 발열이 있는지(있 다면 온도를 표기하여 입력받을 수 있음 또는 환자용 단말기에 구비된 체온계를 활용하여 직접 입력 가능), 오한이 있는지, 일정 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의 유무(있을 경우 증가인지 감소인지, 기간에 따른 정도를 상세하게 입력), 체력의 수준, 피로의 수준, 땀의 분비 상태, 추위와 더위에 따른 신체의 변화, 빈혈의 유무, 출혈의 유무 및 경향, 과거 수혈 여부 및 수혈 부적합 유무, 방사선에 노출 유무 등과 같이 세부 사항으로서, 상기 일반적 사항이 환자에게 프레젠테이션 되면서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크된 사항에 대한 답변은 '있음', '없음'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크기의 증가가 중요한 물음에 대해서는 '증가', '변화없음', '감소'와 같은 예시문이 제시되며, 정도가 중요한 것에 대해서는 '완화', '그대로', '악화' 등과 같은 예시문을 생성하여 질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상 부위가 어딘지 불명확한 경우 상기 증상 부위를 입력받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환자용 단말기(110)를 통하여 입체적인 인체 형상을 구현하여 환자에게 제시하여, 증상 부위를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미세하게 지적되도록 구성한다.
건강 사항과 직결되며 통상적으로 사람에게 이상이 있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분류된 상기 일반적 사항을 입력받고, 환자가 인체 시스템적 체크 사항 중 피부 항목에 체크 하였다고 가정하면, 피부에 관련된 사항인 발진의 유무(있다면 어느 부위인지 입체적인 인체 형상을 통하여 선택 및 영역 표시), 가려움의 유무, 사마귀의 유무, 몸에 멍이 잘 드는지, 습진의 유무, 피부의 건조, 피부색의 변화, 머리카락의 질감 변화, 손톱의 질감 변화, 손톱의 모양 변화, 과거 피부질환의 병력, 혹의 유무, 염색약의 사용 여부 등과 같은 사항을 환자로부터 구체적으로 입력받도록 질문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자가 체크하는 사항을 의사가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모드를 병의원 서버에 구현하여 의사의 질문이 추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나 특이점의 도출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도 첨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진료를 대기하고 있는 환자나 가정에서 온라인 진단 서비스에 의하여 각 항목을 체크하고 있던 중, 응급이라고 판단되는 해당 환자에 대해서는 응급콜 서비스가 구현되어, 환자에게 응급 상황을 표시하고 즉시, 엠블런스를 환자가 있는 곳으로 보내어 환자를 인근 또는 해당 병원에 수송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미숙한 간호사에 의해서 진료가 지연되고 있는 경우 또는 대형병원에서 진료대기 환자가 많을 경우 심각한 상태의 환자가 장시간 진료대기에 의하여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하여 줄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환자가 의사를 대면하여 구체적인 질문을 하고 대답하는 과정이 누락되거나 축소되는 경우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폭넓은 데이터화를 위하여 담당 의사가 모든 것을 작업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 의료현실은 의료환경, 의사의 과도업무, 의사적 도덕적 해이, 직업적 매너리즘, 3차 의료기관에 환자가 집중되는 현상, 소위 인기 의사에 대한 환 자 밀집현상, 환자비율 의사수의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기인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환자의 정보를 디지털 정보화하여 이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은 물론, 기초적인 1차 데이터의 생성과정을 통하여 현 의료업에 종사하는 의사로 하여금 더욱 효율적으로 실제의료행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개인만의 공간에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여유로운 마음으로 요구되는 질문에 응대할 수 있어, 예약 없이는 의사를 대면할 수 없다거나, 의사와의 대면시간이 채 5분도 되지 못하는 현재의 의료현실을 환자 측뿐만 아니라 의사 측에서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환자로부터 1차 데이터의 입력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환자의 증상 부위에 대한 정보를 환자용 컴퓨터(112) 또는 무인진단부스(114)에 구비된 의료장비에 의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기술되는 2차 데이터는 1차 데이터와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데이터로서 1차 데이터가 환자의 주관적인 오감에 의하여 출발하는 것으로 개념 짓는다면, 2차 데이터는 환자의 오감을 보충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이학적 검진 등이 실현된 의료기기 등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환자가 증상 부위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청진기를 이용하여 특정부분의 청진음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증상 부위를 촬영하여 시각 적으로 감지하는 디지털 영상장비(동영상 구현이 가능하고 인체의 체온변화 및 화학물질을 센싱할 수 있으며, 평면적 영상신호를 입체화 가능한 장비를 모두 포함) 및 생체공학적 혈액가스 측정 장치(혈액에 대한 생화학적 측정을 생체공학적 장비에 의해서 도출된 데이터 제공 장치로서, 예로 혈당, 혈압, 혈액산소포화도, 혈액이산화탄소포화도, 기타 혈액 내 모든 효소나 특이성분에 대한 물질 검출이 용이한 모든 장비를 포함), 초음파적 기계 및 아직 개발 단계이거나 현재 시행 중이지 않은 모든 생체 공학적 측정 장치에 의하여 2차 데이터를 입력받아 2차 데이터DB(123)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20).
따라서, 1차 데이터 입력단계(S210)에서 입력받을 수 없는 사항까지 입력받아 환자의 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진단하여 개인의 증상에 대한 주관적인 데이터 이외에 객관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데이터와 상기 2차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메인 서버(120)에 구비되어 진단명에 따른 징후리스트가 저장된 징후DB(124)의 징후리스트와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30).
일정 진단명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이 일치될 경우, 상기 진단명에 따른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여 진단결과DB(125)에 저장되며, 가장 근접한 진단명과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 기준이란, 환자가 입력한 상기 데이터와 진단명에 따른 징후리스트가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기준으로서, 시스템의 특성 및 하기에 설명 할 오진율 산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 징후DB(124)는 의학적으로 보고되어 있는 다양한 병명과 각각의 병명에 해당되는 객관화된 징후들이 연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1차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1차 데이터에 일치하는 각각의 징후들을 매칭(matching) 또는 매핑(mapping) 등의 비교 알고리즘을 통하여 대비한다.
예를 들어, 단계적인 질문에 대한 환자의 입력 데이터의 개수가 20개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20개의 데이터와 징후DB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병명에 따른 징후들과 비교하여, 개별 병명의 징후와 일치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연산한다.
징후와 일치되는 데이터 개수가 1개인 병명이 있을 수도 있으며, 15개 이상 일치되는 병명에 해당하는 징후도 가능하므로, 일치되는 정도를 판단하고 일치되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진단명을 산출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위·십이지장 궤양, 급성 위염, 위·식도 역류증, 단순 소화불량, 급성 미만성 위염 등에 해당하는 징후DB에 저장된 징후가 20개라고 가정하면, 입력된 1차 데이터의 20개 증상과 상기 징후 100(20×5)개의 증상을 상호 비교하여, 소화불량에 해당하는 징후와 1차 데이터의 증상과 몇 개가 일치되는지 연산하고, 마찬가지로 위궤양, 위염 등의 각각의 징후와 몇 개의 증상이 일치하는지 연산하게 된다.
각 병명의 징후데이터와 일치비율을 기준으로 환자에게 더욱 가능성이 높은 진단명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가능 진단명의 기준을 데이터 일치 10개를 기준으로 상기 10개 이상 일치되는 경우와 10개 이하 일치되는 경우를 분별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S240)의 과정에 의하여 예상진단결과가 산출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환자에게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 진 단 명 연 관 성 비 고
1 위·십이지장 궤양 조속한 치료 요망
2 급성 위염
3 위·식도 역류증 치료 요망
4 단순 소화불량 참고 요망
5 급성 미만성 위염
상기와 같은 형태로 환자에게 진단결과를 관련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홍길동 환자는 의료 예상진단에 따라 상기 1, 2번의 질환이 의심스럽습니다. 각 질환에 대해서 궁금하신 점은 가능한 진단명을 클릭하시고, 보다 더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시면 의학 정보 자료실에 개시된 정보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와 같은 문구를 추가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학 정보 자료실에는 가능한 모든 진단명에 관련된 세부적인 자료, 즉, 의학논문, 화상데이터, 징후의 연관성 등이 개시되어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에게 해당 가능 진단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의학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은 환자의 접근만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약사, 의료종사자, 물류업자 등 다양한 접근을 허용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으로 개시한 의학 정보 자료실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하나의 예를 든 것이며, 상기 의학 정보 자료실은 다양한 의료종사자들(의사, 한의사, 약사, 간호사 등)의 통합 커뮤니티, 해당 진단명과 관련된 환자가족커뮤니티 등을 연계하여 운영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에게 필요한 의료 기구, 보조기구에 관련 커뮤니티도 포함한 광의의 의학 정보 자료실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의사는 예상 진단 시스템에 접근하여서 진료실 내원 환자에 대한 주관적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며, 그 환자가 다른 병원을 이용했을 시는 환자의 동의 아래 다른 병원의 진단과 처방 목록 그리고 검사 기록 등을 열람하여 보다 환자에게 적합한 상담,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환자에 대한 질환의 부연 설명이 필요할 경우 의학 정보 자료실을 열람하여 상기 질환에 대한 추가적인 자료나 데이터로서 환자에게 실시간 설명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의학 정보 자료실은 환자(고객), 의사, 약사 및 보건의료종사자, 기타사용자의 5가지 로그인 화면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서비스 관련 컨텐츠로 세분화되어 업종이나 분류에 따라서 해당항목에 대한 접근의 차별성을 두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예상 진단 시스템의 데이터가 진료 차트로의 연동이 가능하여 차트작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되고, 환자에게 제공되는 처방전 및 진단서를 환자가 원할 경우 온라인상으로 환자의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20) 또는 자체 로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상기 연관성이 있는 진단명에 대한 해당 진료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라 환자는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해당 진료과를 클릭하게 되고, 해당 진료과와 연관된 병의원을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에 포함된 주소를 기준으로 일정범위에 있는 병원의 정보를 표시하여 병원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S250).
이러한 구성은 개인정보에서 입력받았던 개인의 주소 정보를 기준으로 GIS 정보 등을 통하여 환자의 주소와 가장 가까이 있는 병의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에게 진료 예약 또는 온라인 상담 문의의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S260) 진료 예약과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S270), 1, 2차 데이터 입력단계(S210, S22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병원에 전송하여(S280) 원활하고 정확한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연계되어 있는 병의원과 공동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온라인으로 예약 등을 원하는 환자와 병의원을 직접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추가적으로 직접 병의원을 방문하여 예약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병의원의 의료행위 및 상담 등이 증대할 수 있는 의료산업의 발전에도 기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S240)에서 예상되는 진단명에 대한 식이요법에 관한 정보를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거나 예상진단결과에 대한 진단의 과정, 치료 및 시술방법, 징후, 관련사례, 관련사이트 등을 더 표시하여 주는 것이 가능하다.
향후 법적 규제와 책임문제가 분명해진다면, 상기 메인 서버(120)에서 상기 예상진단결과 또는 1, 2차 데이터를 상기 예상진단결과 또는 1, 2차 데이터의 열람이 허용된 해당 병의원(130)에 전송하고, 이를 통하여 병의원의 처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이 현재의 병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료와 차이가 크지 않다고 입증되어 향후 예상진단 시스템에 의하여 처방전이 환자에게 발행될 수 있다면, 환자가 프린트 등과 같은 출력장치에 의하여 출력가능한 형태로 처방전이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처방에 관한 정보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과 연계되어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병의원(130)에서 생성된 처방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120)로 전송하며, 상기 처방정보를 소정의 약국 서버로 전송하여 약사로 하여금 조제케 할 수 있다.
조제가 완료된 상기 약국(140)에서는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에 따른 택배요청정보를 택배회사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약국(140)에서 조제된 의약이 소정의 택배유통을 통하여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의 주소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약국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120)에 입력된 상기 환자의 주소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인접한 약국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환자가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선택된 약국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즉, 환자가 지정 약국에서 조제를 원할 경우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지정약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처방전 발송을 시도하여, 환자가 처방전을 직접 들고 약국에 가야하는 수고를 덜게 해줄 수도 있으며, 부득이한 사정으로 환자가 약국에 들르지 못하고 집으로 바로 가야 할 경우에는 환자로 하여금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조제약이 집으로 직접 송부 되도록 하는 소정의 택배요청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약국서버에서는 이러한 처방정보 및 개인정보 입력단계에서의 개인정보 등을 포함한 처방조제정보를 이용하여 의약품을 조제하고, 조제가 완료되면, 전달된 주소정보, 의약품 취급주의 여부, 전달예정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택배요청정보를 소정의 택배서버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전송된 택배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가 거주하는 곳까지 상기 의약품 등이 택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에 의하여 산출된 예상진단결과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가 병의원에서 직접 진료를 받아 진단받은 결과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두 결과를 비교하여 향후 비교, 분석된 자료를 기초로 더욱 정교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정보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등을 통하여 상기 예상 진단 시스템의 예상진단이 일반 병의원에서 이루어지는 진단과의 차이를 줄여나가 의료행정과 향후 온라인 의료사업의 실현가능을 위한 근거와 인프라를 구축함에 있어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의료선진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소정의 홈페이지나 웹싸이트는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크게 수동적 접근방법과 자동적 접근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동적 접근 방법이란, 사용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커뮤니티 중심의 운영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수동적 접근 방법은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커뮤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은 예상 진단 시스템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커뮤니티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당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 또는 가족의 모임을 온라인 카페 또는 블로그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부분뿐만이 아닌 검색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질병이나 해당 의료정보에 대한 회원들 간의 공유 기능을 추가하여 환자 또는 환자의 가족 등 질병에 관하여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질병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상기 온라인 카페 또는 블로그에는 해당 질병에 관한 후원회 및 후원 병원, 그리고 복지 기금이 마련될 수 있도록 관련 사이트가 링크되어 연동할 수 있으며, 사이버 머니 등이 추가되어 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비용을 지불하거나 후원금을 기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게시판이 제공될 수 있는데, 사이트 이용방 법, 예상 진단 시스템의 사용 후기, 시스템 협력 병원, FAQ, 궁금점 및 문의 사항 등의 다양한 게시판이 제공되어 관련된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적 접근 방법이란, 예상 진단 시스템의 결과 도출 화면과 연계하여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사용자들이 별도의 클릭과 같은 입력이 없이도 의료적 서비스와 연결시키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상 진단결과 산출 화면에서 예상 진단결과 항목에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의 조향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방법은 예상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에게만 허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향후 병의원 방문 시 요구되는 추가 검사와 기타 검사 방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환자에게 도출된 예상 진단에 대한 진료실 오프라인상의 검사 및 진단 절차를 공개하여 환자의 알 권리 충족과 질병에 대한 지식 함양 및 향후 진행되거나 필요시는 검사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과 동영상 등의 기술로서, 의료 서비스 행태의 완벽한 온라인상의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예상 진단 시스템과 협력병원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직접적으로 환자가 병원을 선택, 예약, 온라인 상담, 오프라인상의 진료 예약까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홈페이지는 하나의 큰 의료 커뮤니티로서 의료 관련 자료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 다.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을 통한 환자의 정보는 아래에 사항에 의하여 인증된 자 또는 아래에 사항과 같은 상황일 경우 법적 책임성, 프라이버시, 응급성 등을 그 기준으로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자의 동의 아래 열람이 가능; 응급이거나 심각한 질환 판단시 또는 환자의 의사표현이 부적절한 상황; 이전 병원에서 새로운 병원으로 전입시 새로운 병의원에서의 정보필요시 환자가 동의한 경우; 환자의 법정 대리인의 자격을 갖는 사람의 동의가 있거나, 보호자 또는 법정 대리인이 없는 경우라면 임의 대리인의 자격을 갖춘 사람의 동의가 있을 경우; 열람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홈페이지는 환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병의원에서 진단한 진단서, 처방전, 검사 및 치료 결과 데이터 등의 각종 병의원 기록들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상기와 같은 경우에 열람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처방전과 같은 경우는 관련의사 또는 약사에게만 공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회 자료실을 더 포함하여, 동영상, 학회지, 의학 관련 문건 등을 제공하여, 의사 면허증을 인증받은 회원에게 열람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각 전문과 별로 분류된 환자 사례를 통한 연구 발표자료를 관리하는 환자 케이스 스터디 자료실 및 의학 도서관 및 의학 논문 자료실을 구축하여 의대생 및 모든 의사가 열람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자재 및 기타 의료기구, 진단 검사기구에 대한 판매 및 구매가 가능한 의료 쇼핑몰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매체로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현실의 진료와 같은 세부적이고 단계적인 진료를 통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온라인에 의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이버 공간에서의 진료를 통하여 환자에게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인 효율성을 제공하게 된다.
셋째, 환자에게 세부적이고 편리하게 질병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여 알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의사에게 환자의 주관적인 정보를 획득하여 객관화될 수 있도록 하여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환자에게 표시되는 예상진단결과에 관련된 의료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의료 정보를 통하여 질병의 심각성 내지 진료의 필요성이 이 인지되는 경우 병의원의 정보를 얻어 원하는 병원에서의 진료 예약 및 상담이 가능하므로 의료산업에도 적지않은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다섯째, 낙도 등의 물리적 의료기관이 설립되어 있지 않거나, 설립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서는 국민의료행위의 선진화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진 진단과 현실의 병의원에서 이루어진 진단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진료의 신뢰도를 입증하며, 시스템의 보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Claims (1)

  1. 환자로부터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인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 입력단계;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의 진단받고자 하는 내용에 관한 데이터인 1차 데이터를 소정분류기준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입력받는 1차 데이터 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1차 데이터와 징후DB에 저장된 진단명에 따른 징후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정 기준 이상 일치되는 진단명인 예상진단결과를 산출하는 예상진단결과 산출단계;
    상기 예상진단결과 또는 상기 예상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예상진료과를 화면표시수단을 통하여 상기 환자에게 표시하는 결과표시단계; 및
    상기 예상진료과의 선택신호가 상기 환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주소를 기준으로 소정범위 내에 있는 해당병원의 정보를 표시하는 해당병원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예상진단 서비스 방법.
KR1020070062250A 2007-06-25 2007-06-25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KR20070106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50A KR20070106942A (ko) 2007-06-25 2007-06-25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50A KR20070106942A (ko) 2007-06-25 2007-06-25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18 Division 2006-05-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942A true KR20070106942A (ko) 2007-11-06

Family

ID=3906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50A KR20070106942A (ko) 2007-06-25 2007-06-25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69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16B1 (ko) * 2007-12-03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기반 기계학습 추론을 이용한 질환 진단 및 검사 항목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303B1 (ko) * 2014-04-07 2015-04-09 (주)인투씨엔에스 Emr 서버와 임상병리 검사장비 연동 시스템
KR20210004373A (ko) * 2019-07-04 2021-01-13 김상수 진단정보제공서버 및 이를 이용한 진단정보제공방법과 이의 사용자인터페이스제공방법
KR20210156590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16B1 (ko) * 2007-12-03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기반 기계학습 추론을 이용한 질환 진단 및 검사 항목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303B1 (ko) * 2014-04-07 2015-04-09 (주)인투씨엔에스 Emr 서버와 임상병리 검사장비 연동 시스템
KR20210004373A (ko) * 2019-07-04 2021-01-13 김상수 진단정보제공서버 및 이를 이용한 진단정보제공방법과 이의 사용자인터페이스제공방법
KR20210156590A (ko) *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sch et al. Effect of electronic symptom monitoring on patient-reported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hen et al. A comparison of dermatologist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accuracy in diagnosing melanoma: a systematic review
Steinwachs et al. Health services research: scope and significance
Aharony et al. Patient satisfaction: what we know about and what we still need to explore
Linder et a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haryngitis in primary care practice: the difference between guidelines is largely academic
US20140324469A1 (en) Customizable context and user-specific patient referenceable medical database
Mafi et al. Association of primary care practice location and ownership with the provision of low-value care in the United States
Apkon et al. A randomized outpatient trial of a decision-support information technology tool
US2015017846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 opinion
CN109427420B (zh) 诊断有效性工具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Liu et al. A comparison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cancer referred to palliative care
US20150199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Medical Information
Hwang et al. Association of a geriatric emergency department innovation program with cost outcomes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Gernant et al. Access to medical records’ impact on community pharmacist–delivered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a pilot from the medication safety research network of indiana (Rx-SafeNet)
Mohajer et al. Internal medicine and emergency medicine physicians lack accurate knowledge of current CDC HIV testing recommendations and infrequently offer HIV testing
Ganguli et al. Assessment of prevalence and cost of care cascades after routine testing during the Medicare annual wellness visit
KR100737382B1 (ko) 의료 진단 데이터 연산방법
Singer et al. Gender identity and lifetime prevalence of skin cancer in the United States
Admon et al. Assessment of symptom, disability, and financial trajectories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COVID-19 at 6 months
Saitz Screening for unhealthy drug use: neither an unreasonable idea nor an evidence-based practice
Erikson et al. Historic redlining and contemporary behavioral health workforce disparities
Smulowitz et al. Association of functional status, cognition, social support, and geriatric syndrome with admission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Núñez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Declining Lung Cancer Screening After Discussion With a Clinician in a Cohort of US Veterans
Read et al. Testing practices, interpretation, and diagnostic evaluation of iron deficiency anemia by US primary care physici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