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981B1 -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981B1
KR101506981B1 KR1020070141561A KR20070141561A KR101506981B1 KR 101506981 B1 KR101506981 B1 KR 101506981B1 KR 1020070141561 A KR1020070141561 A KR 1020070141561A KR 20070141561 A KR20070141561 A KR 20070141561A KR 101506981 B1 KR101506981 B1 KR 10150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health
home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583A (ko
Inventor
윤영로
윤형로
황성오
장승진
이정훈
심훈
이주환
김효민
송상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메디게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메디게이트(주)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재택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습득한 후, 재택센터에서 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건강 이상유무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와 계약 병원과의 협조를 통해 지속적인 환자 건강의 관리가 가능하며, 초보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용이하며, 의료전문가의 직접 개입을 최소화하여 대량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다차원 센서(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를 포함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택 건강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 단계 후,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응급상황임을 판정하고, 이를 재택센터, 보호자시스템, 응급/권역 응급, 계약병원에도 알리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를 전달하는 응급상황 조치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는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상황 조치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확인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계약병원은 응급상 황이 수신되면,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상태 확인단계;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조치 확인단계 및 응급상태 확인단계 후,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후관리보고서를 작성하는 사후보고서 작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택, 건강관리, 모니터링, 생체신호, 응급, 권역응급

Description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Home healthcare system}
본 발명은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재택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습득한 후, 재택센터에서 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건강 이상유무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와 계약 병원과의 협조를 통해 지속적인 환자 건강의 관리가 가능하며, 초보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용이하며, 의료전문가의 직접 개입을 최소화하여 대량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다차원 센서(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를 포함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수준의 향상으로부터 일반인은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일약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조기진단, 그리고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맞춤형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함, 의료 전문가의 직접적인 개입, 재택 건강진단을 위한 신호처리 및 해석 기술의 부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대중화되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의료전문가의 직접 개입을 최소화하는 등 보다 최적의 재택 건강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요망되며, 이를 통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적 노동 생산성의 제고, 그리고 사회경제적 의료비용의 최소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상 생활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비용을 수반하는 의료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공급이 가능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질병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예후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맞춤형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 생활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개념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 일상 생활환경에서 검출되는 생체신호의 낮은 품질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다차원 센서(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 생체신호의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활용한 다차원 센서융합 (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 fusion)형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 고비용을 수반하는 의료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자동진단 전문가 시스템, 의료 전문가의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판단하여, 전문가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등등이 필요하다.
특히,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은 지역의 응급기관(119) 및 의료기관(권역응급센터, 계약병원)과 협조하여 각각 고유한 역할을 가지면서 상호 보완의 관계를 가진다.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는 재택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습득한 후, 재택센터에서 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건강 이상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와 계약 병원과의 협조를 통해 지속적인 환자 건강의 관리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대량 공급형 모델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 과 대형 서버를 통한 의료 정보의 관리 및 보안이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상 생활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비용을 수반하는 의료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공급이 가능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재택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습득한 후, 재택센터에서 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건강 이상유무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와 계약 병원과의 협조를 통해 지속적인 환자 건강의 관리가 가능하며, 질병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예후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맞춤형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일상 생활환경에서 검출되는 생체신호의 낮은 품질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다차원 센서(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를 구비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상황 조치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조치 지시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가 전달되었다면,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확인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계약병원은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상태 확인단계;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조치 확인단계 및 응급상태 확인단계 후,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한 결과를 재택센터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완료 모니터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택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 상기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들로부터 신호를 수집하고 연산처리하여 건강에 필요한 건강정보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 상기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로 건 강정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건강을 진단하는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 상기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로 건강정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건강을 진단하며, 또한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진단소견을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을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으로는 1차진료기관용 또는 2차진료기관용 또는 3차진료기관용의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생체신호 검출부;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생체신호 정보 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전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생체내 내장되거나, 실내의 변기, 침대, 욕조에 부착되거나 실외에서 차량, 운동기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맥박, 혈당, 체온, 혈중산소농도(SpO2), 심전도, 혈압, 체온, 체중 중의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신호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재택서버; 상기 재택서버에서 수신된 의료 데이터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하는 응급기관; 상기 재택서버에서 수신된 의료 데이터를 판별하여 응급상황 대응하며, 응급기관과 연계되어 있는 권역응급센터; 재택 의사가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 대응 지시를 하는 재택센터; 주치의가 있는 병원으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계약병원; 웹기반 서비스, 의료 데이터 조회/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재택웹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택 건강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 단계 후,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이를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이를 재택센터로 알리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재택센터는 건강주의 사항 및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재택서버로 알리는 보고서 작성단계; 보고서 작성단계 후, 재택서버는 건강지침을 작성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 계약병원, 보호자 시스템에게 알라는 건강지침 알림단계; 건강지침 알림단계 후,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온라인 진료 예약을 계약병원에 하고 계약병원은 이 예약을 확인하여 진료날짜 확인을 전달하는 진료예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고서 작성단계에서,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1주 간격으로 이메일로 발송 및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고서 작성단계에서,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한달 간격 우편 발송 및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재택 건강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 단계 후,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응급상황임을 판정하고, 이를 재택센터, 보호자시스템, 응급/권역 응급, 계약병원에도 알리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를 전달하는 응급상황 조치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는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상황 조치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확인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계약병원은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상태 확인단계;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조치 확인단계 및 응급상태 확인단계 후,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후관리보고서를 작성하는 사후보고서 작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일상 생활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비용을 수반하는 의료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량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재택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습득한 후, 재택센터에서 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건강 이상유무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와 계약 병원과의 협조를 통해 지속적인 환자 건강의 관리가 가능하며, 질병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예후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맞춤형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일상 생활환경에서 검출되는 생체신호의 낮은 품질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다차원 센서(multiple-modality-multiple-sensor)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일상 생활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개념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을 제공하며, 생체신호의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활용한 다차원 센서융합 (multiple-modality-multiple- sensor fusion)형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를 갖추며, 고비용을 수반하는 의료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자동진단 전문가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의료 전문가의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판단하여, 전문가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인의 건강 증진 및 질병의 조기 발견,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한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 만성질병 환자의 건강관리와 예후관리를 통한 사회활동 촉진, 특수 상태에 있는 산모와 운동선수 등이 추구하는 목표의 성공적인 달성, 경제 사회적 의료비용의 최소화 및 노동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구비하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한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상황 조치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조치 지시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가 전달되었다면,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확인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계약병원은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상태 확인단계;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조치 확인단계 및 응급상태 확인단계 후,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한 결과를 재택센터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완료 모니터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택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인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즉, 도 1은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의 통신망 및 서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100), 생체신호 정보 처리 단말기(200),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300), 1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400), 2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500), 3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600)을 포함한다.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100)는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생체신호 검출부, 생체신호 전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생체신호 검출부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생체내 내장되거나, 실내의 변기, 침대, 욕조에 부착되거나 실외에서 차량, 운동기구 등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생체신호 전처리부는 생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생체신호 정보 처리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100)에서 검출된 신호는 생체신호 정보 처리 단말기(200)로 전송시 LAN, PAN, WLAN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200)는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100)들로부터 신호를 수집하고 연산처리하여 건강에 필요한 건강 파라미터를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건강 파라미터를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300), 1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 는 의료기관(400), 2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500), 3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600)으로 전송한다. 전송시, 유/무선 광대역 통신, XML, SOAP, HTTP, Web service, UDDI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1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400), 2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500)는 진료 데이터를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300)로 전송하며,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300)은 1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400), 2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500)으로 진단소견을 보낸다.
도 2는 도 1의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생체신호 검출부(11), 생체신호 전처리부(30), 사용자 송신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생체신호 검출부(10)는 사용자 식별을 통해 가정 내 구성원의 맥박, 혈당, 체온, 혈중산소농도(SpO2), 심전도, 혈압, 체온, 체중 등의 생체신호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생체신호 검출부(11)는 인체로부터 생체신호들을 검출한다. 생체신호 검출부(11)는 심전도 검출센서부(12),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14), 혈압 검출센서부(16), 체온 검출센서부(18), 혈당검출 센서부(20), 체중 검출센서부(22) 등으로 이루어진다.
심전도 검출센서부(12)는 2개의 심전도 측정전극과 하나의 기준전극으로 이루어져 심전도 신호를 검출한다. 심전도 검출센서부(12)는 변기, 책상 등에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14)는 적색광, 근적외선광을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이 들 광이 투과되거나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산소포화도를 검출한다. 상기 발광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검출 수단으로 포토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14)는 핸드폰, 침대, 책상 등에 장착되어 질 수 있다.
혈압 검출센서부(16)는 발광수단과 광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광 혈류 검출센서로부터 혈압정보 신호를 검출한다. 혈압 검출센서부(16)는 핸드폰, 침대, 책상 등에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체온 검출센서부(18)는 온도검출 센서로부터 체온을 검출한다. 체온 검출센서(18)는 써미스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온 검출센서(18)는 변기, 책상, 핸드폰, 침대 등에 장착되어 질 수 있다.
혈당 검출센서부(20)는 혈당을 검출하는 센서로, 피부 접촉식 혈당검출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체중 검출센서부(22)는 체중을 검출하는 센서로, 로드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체중 검출센서부(22)는 변기, 침대 등에 장착되어 질 수 있다.
생체신호 전처리부(30)는 생체신호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들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전처리를 한다. 생체신호 전처리부(30)는 심전도신호 전처리부(32), 산소포화도신호 전처리부(34), 혈압신호 전처리부(36), 체온신호 전처리부(38), 혈당신호 전처리부(40), 체중신호 전처리부(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심전도신호 전처리부(32)는 심전도 검출센서부(12)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 신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산소포화도신호 전처리부(34)는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14)로부터 산소포화도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혈압신호 전처리부(36)는 혈압 검출센서부(16)로부터 혈압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체온신호 전처리부(38)는 체온 검출센서부(18)로부터 체온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며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사용자 송신부(160)는 생체신호 전처리부(3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들을 연산처리하여 전송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의 망 및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재택서버는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100)로부터 검출된 생체신호를 저장하며, 테크니컬 코어로 이루어진다.
응급기관(119)은 재택서버에서 수신된 의료 데이터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 되었을 경우 앰브란스 등을 출동하여 병원 후송의 능동적인 상황 대응이 가능하며, 이는 응급상황따라 맞춤형 대응을 할 수 있다.
권역응급센터는 재택서버에서 수신된 의료 데이터를 판별하여 응급상황 대응하며, 응급기관가 연계하며, 이송후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재택센터는 재택의사의 센터로, 실시간 모니터링, 응급상황 대응 지시 등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는 생체신호 획득하며, 계약병원을 예약하고, 재택 전강관리/조회 가능한 시스템이다.
계약병원은 주치의병원으로, 클라이언트 관리, 재택센터와 연계된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재택웹서비스는 웹기반 서비스, 회원등록, 데이터 조회/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의한 비응급상황에서 재택 건강관리 흐름도의 일예이다.
클라이언트 시스템 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S110),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한다(S120). 여기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환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 및 재택 서버로의 정보 전송 담당한다.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이를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S130),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판정하고(S140), 이를 재택센터로 알린다(S150). 즉 재택서버는 생체 신호 정보의 수집 및 저장을하고 생체 신호 분석을 통하여 생체 신호의 정상, 비정상, 주의, 응급 상황 판단을 판정하고 판단 정보를 재택센터에 알린다.
재택센터는 이에 따른 건강주의 사항 및 보고서를 작성하고(S160) 이를 재택서버로 알린다(S170). 다시말해, 재택센터는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1주 간격으로 이메일로 발송 및 서버에 저장하며,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한달 간격 우편 발송 및 서버에 저장 한다.
재택서버는 이로부터 건강지침을 작성하고(S180), 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알리고(S190) 또한 이를 계약병원에게도 알리고(S200), 또한 이를 보호자 시스템에게도 알린다(S210). 즉 재택서버는 이로부터 건강지침을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 계약 병원, 보호자 시스템에 알린다. 여기서, 계약 병원은 재택센터에서 생성된 환자의 건강 정보를 전송받아 재택건강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환자의 상담에 활용한다. 보호자 시스템은 재택센터에서 보내온 동일한 건강지침(건강 보고서)을 전달 받으며, 클라이언트도 재택센터에서 보내온 동일한 건강지침(건강 보고서)을 전달 받는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온라인 진료 예약을 계약병원에 하고(S220) 계약병원은 이 예약을 확인하며(S230), 계약병원은 진료날짜확인을 전달한다(S240).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건강 보고서에 의거하여 계약 병원과 진료 상담 날짜를 예약한다.
비응급상황에서는 응급/권역응급은 역할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의한 응급상황에서 재택 건강관리 흐름도의 일예이다.
클라이언트 시스템 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S310),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한다(S320). 여기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환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 및 재택 서버로의 정보 전송 담당한다.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이를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 터를 추출하고(S330),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이로부터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응급상황임을 판정하고(S340), 이를 재택센터 및 보호자시스템으로 알리며(S345,S350), 응급/권역 응급에도 알리고(S360), 계약병원에도 알리며(S370),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를 전달한다(S375).
다시말해, 재택서버는 생체 신호 정보의 수집 및 저장을 하고 생체 신호 분석을 통하여 생체 신호의 정상, 비정상, 주의, 응급 상황을 판정하고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일 경우 보호자, 클라이언트, 재택센터, 응급/권역 응급에 환자정보 회신 및 응급 상황에 대한 조치를 전달한다. 여기서 보호자 시스템은 SMS, E-mail 서비스를 통하여 환자의 위급상황을 통보 받는다.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고(S380),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하며(S385),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을 재택서버로 전달한다(S390). 즉, 재택센터는 응급 상황 조치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며 이를 SMS, E-mail 등으로 발송하고 확인하며, 응급/권역 응급, 계약 병원에의 연락 상황 확인하고 환자 이송 후 건강 보고서 작성하며, 응급 당시의 상황을 토대로 건강에 대한 보고서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고(S400), 이를 재택센터에 알리며(S405), 재텍센터는 사후관리보고서를 작성한다(S410).
여기서 응급/권역 응급은 재택센터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조치를 통보 받으며 환자 이송에 대한 관리 감독하며, 계약병원은 재택센터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조치를 통보 받으며, 이송 환자에 대한 대비책 마련하고 응급 상황에 대한 건강 보고서를 검토한다.
도 1은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인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역할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의한 비응급상황에서 재택 건강관리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의한 응급상황에서 재택 건강관리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생체신호 센싱부 12: 심전도 검출센서부
14: 산소포화도 검출센서부 16: 혈압 검출센서부
18:체온 검출센서부 20: 혈당 검출센서부
22: 체중 검출센서부 30: 생체신호 전처리부
32: 심전도신호 전처리부 34: 산소포화도신호 전처리부
36: 혈압신호 전처리부 38: 체온신호 전처리부
40: 혈당신호 전처리부 42: 체중신호 전처리부
60: 사용자 송신부 100: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
200: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 300: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
400: 1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
500: 2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
600: 3차진료기관용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

Claims (10)

  1.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
    상기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들로부터 신호를 수집하고 연산처리하여 건강에 필요한 건강정보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
    상기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로부터 건강정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건강을 진단하는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
    상기 생체신호 정보처리 단말기로 건강정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건강을 진단하며, 또한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진단소견을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의료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상기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3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으로는
    1차진료기관용 또는 2차진료기관용 또는 3차진료기관용의 관제센터 또는 의료기관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생체신호 검출 단말기는,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생체신호 정보 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상기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4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는 맥박, 혈당, 체온, 혈중산소농도(SpO2), 심전도, 혈압, 체온, 체중 중의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6. 삭제
  7.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 단계 후,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이를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건강상태를 재택센터로 알리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재택센터로부터 재택서버로, 건강주의 사항 및 보고서가 전달되면, 재택서버는, 건강지침을, 클라이언트 시스템, 계약병원, 보호자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건강지침 알림단계;
    건강지침 알림단계 후,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계약병원으로 온라인 진료 예약 요청신호가 전달되었다면, 계약병원은 진료날짜 확인 신호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진료예약 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택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 단계에서, 생체신호 검출부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3개 이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건강지침 알림단계에서, 상기 보고서는,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로서, 1주 간격으로 이메일로 발송 및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건강지침 알림단계에서, 상기 보고서는, 판단 정보에 의거하여 응급 이외의 건강 상황에 대한 보고서로서, 한달 간격 우편 발송 및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방법.
  10.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지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재택서버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 단계;
    생체신호 측정 단계 후, 재택서버는 측정된 생체 신호 정보 수집하여 연산처리하여 건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건강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응급상황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된 응급상황 여부를 재택센터, 보호자시스템, 응급/권역 응급, 계약병원에 알리는 건강상태 분석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상황 조치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재택센터는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재택서버로 응급조치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응급조치 지시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 후, 응급/권역 응급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조치신호가 전달되었다면, 응급/권역 응급은 응급조치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확인단계;
    건강상태 분석단계에서 계약병원은 응급상황이 수신되면, 계약병원은 응급상황 확인 신호를 재택서버로 전달하는 응급상태 확인단계;
    응급조치 지시단계, 응급조치 확인단계 및 응급상태 확인단계 후, 재택서버는 응급조치완료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한 결과를 재택센터로 전달하는 응급조치 완료 모니터링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재택 건강관리 방법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 단계에서, 생체신호 검출부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가 생체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변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침대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가 욕조에 장착되거나,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 중 3개 이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건강관리 방법.
KR1020070141561A 2007-12-31 2007-12-31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50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61A KR101506981B1 (ko) 2007-12-31 2007-12-31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61A KR101506981B1 (ko) 2007-12-31 2007-12-31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83A KR20090073583A (ko) 2009-07-03
KR101506981B1 true KR101506981B1 (ko) 2015-03-31

Family

ID=4133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561A KR101506981B1 (ko) 2007-12-31 2007-12-31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5B1 (ko) * 2015-10-21 2017-03-28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5B1 (ko) * 2016-11-18 2017-08-17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4B1 (ko) * 2016-11-18 2017-08-17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3B1 (ko) * 2016-11-18 2017-08-30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WO2013027869A1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자가 인지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13541B1 (ko) * 2011-12-09 2013-10-01 이동훈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1365A (ko) * 2012-03-05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를 사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93753B1 (ko) * 2012-05-11 2014-05-27 민원기 스마트 폰 본인인증을 이용한 혈당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13B1 (ko) * 2005-01-13 2007-03-0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13B1 (ko) * 2005-01-13 2007-03-0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5B1 (ko) * 2015-10-21 2017-03-28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WO2017069542A1 (ko) * 2015-10-21 2017-04-27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5B1 (ko) * 2016-11-18 2017-08-17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4B1 (ko) * 2016-11-18 2017-08-17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3B1 (ko) * 2016-11-18 2017-08-30 레이져라이팅(주)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83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981B1 (ko)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8894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processing
JP5426428B2 (ja) 患者状態情報管理システム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JP6350959B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JP6714915B2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WO2017077724A1 (ja) 健康状態判定装置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KR20210073404A (ko) 노인 요양보호를 위한 의료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4164A (ko) 간병용로봇장치 및 간병로봇 모니터링시스템
US20220230741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and Vital Sign Monitoring
KR20140022641A (ko)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건강일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210006200A (ko) Ami 통신망을 이용하는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Kirci et al. Smart phones and health monitoring
JP7020732B1 (ja) ウエアラブル端末を用いた総合体調管理システムおよび総合体調管理方法
Jang et al. Upiquitous home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with early warning reporting
KR101220462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WO2022044201A1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支援方法
KR20110119998A (ko)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