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998A -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9998A KR20110119998A KR1020100039461A KR20100039461A KR20110119998A KR 20110119998 A KR20110119998 A KR 20110119998A KR 1020100039461 A KR1020100039461 A KR 1020100039461A KR 20100039461 A KR20100039461 A KR 20100039461A KR 20110119998 A KR20110119998 A KR 201101199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lth care
- information
- terminal
- biometric information
- heal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의 기본적인 건강정보가 입력되어 있어, 실시간은 현재 건강상태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건강관리 단말기(20) 및 건강관리 단말기(20)로부터 건강 상태 및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전송하고, 다시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로부터 종합 소견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건강관리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진료센터서버(30)를 통해, 가입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하고,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듣고, 응급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 유뮤선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 건강관리 단말기를 통해 인체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거나 입력받아 현재 가입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입력된 데이터를 진료센터서버로 전송하여 전문가가 검토한 후 정밀 결과 및 대처방안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과 의료 분야가 결합된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 Care , U-Health Care)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이는 일반가정을 비롯하여 요양시설, 노인복지시설, 산후조리원과 같이 항상 건강상태를 확인할 필요는 있으나 의료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전문의료인이 상주하지 않는 곳에서 통신망을 통해 U-헬스케어 센터의 지시에 따라 가입자가 자신의 신체조건들을 수동으로 입력시키거나, 자동으로 측정장치를 통해 가입자의 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측정항목들을 측정하여 입력받고, 신체지수를 포함하는 각종 생리변수들을 입력받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원격진료센터서버로 전송하면, 원격진료센터서버에 상주하는 전문의의 진단이나 소견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확인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진료 시스템이다.
따라서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통신망이 연결된 가입자가 가정 내에서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U-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게 되면 간단한 의료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이에 대한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질병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건강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U-헬스케어 시스템은 24시간 관리가 불가능하고 환자가 응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으며, 환자와 의사가 1:1로 대면하기 전에는 정확한 건강정보를 얻지 못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진료 정보 전송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 건강관리 단말기를 통해 인체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거나 입력받아 현재 가입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입력된 데이터를 진료센터서버로 전송하여 전문의가 검토한 후 정밀 결과 및 대처방안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 생체정보센서(10), 건강관리단말기(20), 진료센터서버(30), 전문가 운영 단말기(40), 통신망(50), 응급센터서버(60), 이동통신망(70) 및 이동통신단말기(8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센서(10)는 인체의 외부, 표피 내 또는 인체 내부에 위치하여, 심박수, 혈압,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건강관리 단말기(20)에 유선 내지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센서이다. 또한 건강관리 단말기(20)에 의해 정보수집 시간 및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생체 정보란 혈압, 체온, 심박수등 신체 상태를 알기 위하여 측정하는 신체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관리 단말기(20)는 가입자별로 건강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고, 생체정보센서(10)로부터 전송된 생체 정보를 입력된 가입자 건강정보를 토대로 분석할 수 있으며, 진료센터서버(30)와의 송수신을 위해 항상 유,무선 통신망(5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생체정보, 건강 정보 분석 결과 및 진료센터서버(30)에서 수신된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90)의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생체정보센서(10)의 자동 체크 시간 및 반복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진료센터서버(30)는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진료기록 및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전송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로부터 송신되는 종합소견을 저장하고, 건강관리 단말기(20)로 종합 소견을 전송한다. 또한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나 건강관리 단말기(20)로부터의 호출 또는 생체정보판단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구조를 요청한다. 생체정보판단프로그램은 가입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가입자가 응급구조나 응급치료가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건강관리 단말기(20)나 진료센터 서버(30)에 탑재되어 있다.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는 통신망을 통해 항상 진료센터서버(30)에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진료센터서버(30)로부터 가입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전문가에 의해서 입력된 종합소견을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한다.
진료센터서버(30)는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서 송신된 종합소견을 이동통신단말기(80)로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망(50)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건강관리단말기(20)에 가입자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건강관리단말기(20)를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가입자의 개인별 문진을 입력받는 단계, 개인별 문진을 입력받은 후 생체정보센서(10)를 통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개인별 문진과 생체정보를 통해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된 광고를 단말기에 건강정보 단말기(20)에 표시하는 단계, 분석된 건강상태를 건강정보 단말기(20)에 표시하고 입력된 개인별 문진 정보과 생체정보를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개인별 문진기록, 생체정보 및 진료기록을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전송하는 단계,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입력된 종합 소견을 전송받아 진료센터서버(30)에 가입자별로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의 건강관리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 및 건강관리단말기(20)에서 진료센터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표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강관리단말기(20)를 통한 인증절차 수행 전에 건강단말기에 개인별 건강상태에 따른 정상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나 건강관리단말기(20)의 요청이나 생체정보 분석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로부터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된 종합소견을 이동통신망(7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8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되는 종합소견에는 처방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망(50)을 통해 진료센터서버(30)와 건강관리 단말기(20)와 전문가 운영 단말기(4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가입자의 개인별 문진 및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미 설정된 개인별 건강상태에 따른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동안 광고를 송출하고, 분석된 결과를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가입자에게 일차적으로 표시한 후, 진료센터서버(30)로 입력된 개인별 문진 및 생체정보를 전문가 운영 단말기에(40)에 전송하여.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가입자에게 송신하여 줌으로써 일반적인 상황은 물론 응급 상황까지 대처하고, 전문가그룹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으로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진료센터서버에서 종합소견에 따라 가입자들을 구분하여 응급상황의 발생시 진료센터서버에서 즉시 독자적인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인체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거나 입력받아 현재 가입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전문 의료진의 종합소견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강 정보를 분석하는 동안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종합소견 및 건강관리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건강 정보를 통해 응급상태가 발생할 경우,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기반 U-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생체정보센서(10)를 통해 혈압, 혈당, 체온, 체지방 등 가입자의 건강상태 및 생리변수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은 유, 무선을 통해 건강관리단말기(20)로 송신된다. 또한 가입자별로 건강상태가 설정 입력되어 있고, 생체정보센서(10)로부터 전송된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및 전문가그룹에서 수신된 종합소견을 출력하여 표시하고, 입력된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통신망(70)과 접속 가능한 건강관리 단말기(20)가 설치된다.
건강관리 단말기(20)에는 분석결과 및 종합소견 등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40)가 설치될 수 있다.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저장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진료기록 및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송신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서 회신되는 종합소견을 저장하고 건강관리 단말기(20)로 통보하는 진료센터서버(30)가 설치된다.
한편,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는 의료분야의 전문가들과 병의원들에 의해 운영되며, 통신망(50)에 접속되어 진료센터서버(30)로부터 가입자의 개인별 문진정보나 생체정보와 진료기록 등을 입력받아 종합소견을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기반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도 2에 표시하였다.
우선, 개인 가입자들이 소지하게 되는 건강관리 단말기(20)에는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담당 상담의가 가입자에 대한 사전정보를 바탕으로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를 설정하고 생체정보센서(10)의 측정 주기 및 시간등을 설정하게 된다(S10).
이렇게 기본정보가 설정된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주민등록번호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고(S20), 인증절차를 마치게 되면 개인별 문진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30).
개인별 문진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생체정보센서(10)는 설정된 주기 및 시간에 따라 심박수, 칼로리소비량, 행동속도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건강관리단말기(20)에 전송한다.(S40).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이미 설정된 개인별 기본정보를 통해 정해진 생체정보판단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다.(S50) 상기 상황판단프로그램이란 개인별 건강정보를 생체정보센서(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가입자의 건강상태를 “위험” 내지 “정상”으로 구분하는 논리식을 의미한다.
건강 정보를 분석하는 동안, 일정시간 저장된 광고를 건강관리단말기(20)에 표시한다(S60). 이렇게 표시되는 광고는 개인별 기본정보에 따라 광고의 내용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객 맞춤형 타겟 광고로서, 광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석이 완료되고 광고의 출력이 완료되면 분석된 건강상태를 건강관리 단말기(20)에 표시하게 된다.(S70).
그 후 건강관리 단말기(20)은 입력된 개인별 문진정보와 생체정보, 분석정보를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한다(S80). 그러면 진료센터서버(30)에서는 개인별 전송된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진료기록 및 개인별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전송한다(S90).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전송된 개인별 진료기록과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전문가의 종합소견 및 처방전은 전문가 운영 단말기(30)에 입력되고, 종합소견과 처방전은 치료센터(30)로 전송된다(S100).
그러면, 진료센터서버(30)에서는 전송받은 종합소견과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건강관리 단말기(20)로 송신한다(S110).
이때, 이동통신망(70)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개인별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80)로도 종합소견을 통보하여 종합소견 및 처방전을 받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건강관리 단말기(20)에서 종합소견 및 처방전을 표시하게 된다(S120).
한편, 진료센터서버(30)에서는 건강관리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건강정보를 토대로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조치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게서 전송되는 종합소견의 경중에 따라 해당 가입자를 분리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응급상태를 자체적으로 대처하도록 통지할 수도 있다. 가입자가 건강관리 단말기를 통해 직접 응급조치를 요청한 경우, 자동으로 응급센터서버에 응급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건강관리 단말기(20)에 입력된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통해, 가입자는 즉각적인 건강정보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안에 전문적인 종합소견을 건강관리 단말기(20) 혹은 이동통신단말기(8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질 높은 건강관리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10 : 생체정보센서
20 : 건강관리단말기
30 : 진료센터서버
40 : 전문가 운영 단말기
50 : 통신망
60 : 응급센터서버
70 : 이동통신망
80 : 이동통신단말기
90 : 프린터
20 : 건강관리단말기
30 : 진료센터서버
40 : 전문가 운영 단말기
50 : 통신망
60 : 응급센터서버
70 : 이동통신망
80 : 이동통신단말기
90 : 프린터
Claims (2)
- 인체의 외부, 표피 내 또는 인체 내부에 위치하여, 생체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건강관리 단말기(20)에 유선 내지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생체정보센서(10);
가입자별로 건강정보를 입력, 설정할 수 있고, 생체정보센서(10)로부터 전송된 생체 정보를 입력된 가입자 건강정보를 토대로 분석할 수 있고, 생체정보, 건강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진료센터서버(30)에서 수신된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표시할 수 있고, 진료센터서버와의 송수신을 위해 항상 유,무선 통신망(50)에 연결있는 건강관리 단말기(20);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진료기록 및 가입자의 생체정보 및 문진정보를 전송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로 부터 회신되는 종합소견을 저장하고, 건강관리 단말기(20)로 종합 소견을 전송하는 진료센터서버(30);
및 통신망을 통해 항상 진료센터서버(30)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진료센터서버(30)로부터 가입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전문가에 의해서 입력된 종합소견을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하는 전문가 운영 단말기(40);
를 포함하는 인터넷 기반 유뮤선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센서(10)은 건강관리 단말기(20)에서 설정한 작동 시간 및 주기에 따라 생체정보를 수집하며, 건강관리단말기(20)는 이를 자동으로 진단센터ㅅ서서버(30)에 전송하며,
상기 건강관리 단말기(20)에는 생체정보, 분석정보 및 종합소견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9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료센터서버(30)는 이동통신망(50)이 연결되어 있어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서 송신된 종합소견을 이동통신단말기(80)로 전송할 수 있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나 건강관리 단말기(20)로부터의 호출로 인해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진료센터서버(30)에 내장된 생체정보판단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유뮤선 건강관리 시스템. -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관한 사전정보, 생체 정보의 측정값에 대한 정상범위 및 생체정보센서(10)의 측정 주기 및 시간을 건강관리단말기(20)에 입력하는 단계(S10);
기본정보가 설정된 건강관리 단말기(20)를 통해 개인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20);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가입자의 개인별 문진을 입력받는 단계(S30);
설정된 작동시간 및 주기에 따라 생체정보센서(10)가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건강관리단말기(20)에 전송하는 단계(S40);
개인별 문진과 생체정보를 통해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S50);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된 광고를 건강관리단말기(20)에 표시하는 단계(S60);
분석된 건강상태를 건강관리 단말기(20)에 표시하는 단계(S70);
건강관리단말기(20)가 개인별 문진정보와 생체정보, 분석정보를 진료센터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S80);
진료센터서버(30)에 개인별 전송된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저장하고,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진료기록 및 개인별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0);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 전송된 개인별 진료기록과 문진정보와 생체정보를 토대로 전문가 운영 단말기(30)에 입력된 전문가의 종합소견 및 처방전을 치료센터(30)로 전송하는 단계(S100);
진료센터서버(30)에 전송받은 종합소견과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건강관리 단말기(20)로 송신하는 단계(S110);
및 진료센터서버(30)로부터 전송된 전문가의 종합소견을 건강관리단말기(20)에 표시, 출력하는 단계(S120)로 이루어진 인터넷기반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건강관리단말기(20)에서 생체정보와 건강정보를 바탕으로 응급치료를 요청해야 할지 결정하는 단계;
건강관리단말기(20)에서 치료센터(30)로 응급치료를 요청하는 단계;
및 전문가 운영 단말기(40)에서 치료센터(30)으로 전송되는 종합소견의 요청 혹은 건강관리 단말기(20)의 응급치료요청에 따라 응급센터서버(60)에 응급치료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9461A KR20110119998A (ko) | 2010-04-28 | 2010-04-28 |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9461A KR20110119998A (ko) | 2010-04-28 | 2010-04-28 |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9998A true KR20110119998A (ko) | 2011-11-03 |
Family
ID=4539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9461A KR20110119998A (ko) | 2010-04-28 | 2010-04-28 |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1999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77465A1 (en) * | 2012-05-23 | 2013-11-28 | Capia Ip | Phenotypic integrated social search database and method |
KR101392065B1 (ko) * | 2013-01-15 | 2014-05-2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지체 부자유자를 위한 능동형 재활 운동 장치 |
-
2010
- 2010-04-28 KR KR1020100039461A patent/KR201101199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77465A1 (en) * | 2012-05-23 | 2013-11-28 | Capia Ip | Phenotypic integrated social search database and method |
KR101392065B1 (ko) * | 2013-01-15 | 2014-05-2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지체 부자유자를 위한 능동형 재활 운동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1263B1 (ko) |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US1163310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 |
US8721543B2 (en) | Data analytics system | |
KR101141425B1 (ko) |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 |
US20170007126A1 (en) | System for conducting a remote physical examination | |
JP2012008931A (ja) |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KR20120076615A (ko) |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 |
WO2013155002A1 (en) | Wireless telemedicine system | |
WO2013136611A1 (ja) |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 |
WO2021140670A1 (ja) |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 |
Fouad | Continuous health-monitoring for early detection of patient by web telemedicine system | |
US20170354383A1 (en) | System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a medical sensor evaluation | |
Mars et al. | Electronic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for healthcare | |
KR102233725B1 (ko) |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
KR20010097151A (ko) |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20049697A (ko) |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 |
CN112397166A (zh) | 一种慢性疾病医疗管理系统 | |
KR20110119998A (ko) |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
KR20130051911A (ko) |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US20220230741A1 (en) |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and Vital Sign Monitoring | |
KR101148424B1 (ko)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 |
KR102470263B1 (ko) |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 |
CN104699932A (zh) | 远距离健康照护系统及其方法 | |
KR20020091655A (ko) | 인터넷기반 유무선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
KR20010037228A (ko) | 원격진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정보관리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