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911A -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911A
KR20130051911A KR1020120127186A KR20120127186A KR20130051911A KR 20130051911 A KR20130051911 A KR 20130051911A KR 1020120127186 A KR1020120127186 A KR 1020120127186A KR 20120127186 A KR20120127186 A KR 20120127186A KR 20130051911 A KR20130051911 A KR 2013005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data
sensor
ser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이종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헬스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액추에이터에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가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 등에 반영되어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된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본 발명은 헬스 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홈 네트워크에서 IP 기반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급격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 건강 관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 비만 환자의 증가에 따라 비만 관리 비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각종 만성 질환의 증가로 만성 질환 관리를 위한 개인 및 국가의 지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 비만, 질환 등의 이유가 아니더라도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개개인은 각종 건강 유지를 위해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 및 건강 유지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의료 및 건강 유지 비용에 따른 국가 재정 압박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는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진단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예방 및 조기 진단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 차원의 의료 혁신 및 의료법 개정도 함께 추진되고 있으며, 소비자 개개인의 의식 변화와 우수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IT 기술의 발전과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정부, 소비자의 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이에 동참하여 새로운 의료 서비스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 노력의 일환으로 소비자, 환자가 직접 병원이나 전문가를 찾아가지 않고, 댁 내에서도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connected 헬스 서비스가 규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Continua는 환자의 헬스 및 건강 관리, 만성질환자 관리, 노인 관리를 목표로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진 표준단체이다. Continua 규격은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와 댁내에서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AHD (Application Hosting Device)를 정의하였다. 또한 AHD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일종의 의료 관리 서비스 사업자인 WAN(Wide Area Network) 디바이스(device)와 의료 관리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전달받는 병원, 보험사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HRN device 를 정의하고 있다. 특히 댁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센서와 AHD간의 인터페이스로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와 PAN(Person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상기 댁 내에서의 헬스 케어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전송을 위해 LAN 인터페이스 기반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홈 네트워크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상기 Continua에서는 의료 센서로부터 수집한 의료 정보를 댁 외의 병원이나 의료 사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서비스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즉 병원에서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이루어지던 생체 정보 측정을 댁 내에서 수행하고 이를 의료진에 전달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1)는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심전도계 등의 소형 의료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일반 사용자(이하 사용자라 함)(5)의 혈압, 체중, 혈당, 심전도 등을 측정한다. 이러한 센서(1)는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체중 측정 정보, 혈당 측정 정보, 심전도 측정 정보, 온도 측정 정보 등의 일회적인 측정 정보를 사용자(5)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측정 데이터를 AHD (Application Hosting Device)(2)로 전달한다. AHD(20)는 센서(1)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측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헬스 데이터를 의료 관리 서비스 사업자인 WAN(Wide Area Network) 디바이스(미도시)를 거쳐 병원, 보험사 등의 의료 사업자에 해당하는 HRN device(3)로 전달한다. HRN device(3)은 헬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헬스 데이터를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진(4)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의료진(4)은 헬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분석결과를 우편물이나,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환자(5)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헬스 케어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형 의료 센서 등과 같은 센서(1) 자체에서 측정 정보를 일회적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으며, 단순히 측정된 수치 정도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측정된 데이터가 전송되어 얻어진 분석 결과를 의료진(5)으로부터 우편물이나 메시지 등으로 통보받을 뿐, 측정된 데이터에 따른 분석 결과가 댁내의 가전기기나 운동기기 등에 반영되지 않아, 분석 결과가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에 대해 단순히 일회적으로 특정된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누적 데이터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TV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에서 IP 기반의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볼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가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 등에 반영하여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를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화된 헬스 케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IP 기반의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헬스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액추에이터에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브릿지와, 상기 센서 브릿지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해당 액추에이터에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헬스 G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에 대해 단순히 일회적으로 특정된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누적 데이터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TV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보다 쉽고 편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가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 등에 반영되어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된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브릿지와 헬스 GW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서 센서 브릿지 제어부와 헬스 GW 제어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브릿지 서버와 센서 브릿지 CP간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헬스 서버와 e헬스 CP간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헬스 GW들간 동기화를 나타낸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헬스 GW들간 동기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에서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 센서 브릿지(300), 헬스 GW(GateWay)(400), 모바일 헬스 GW(GateWay)(450), 디스플레이 장치(500), 의료 서비스 제공자(6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 영역과, IP 홈 네트워크 영역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영역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되는 I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구간으로서, 센서로 센싱이 가능하고 프로세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전송하는 소형 무선 송수신 장치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이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은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Continua 인증 의료 센서와 Continua의 인증을 받지 않은 의료 센서 및 에너지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은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심전도계 등의 소형 의료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환자 또는 일반 사용자의 혈압, 체중, 혈당, 심전도 등을 센싱하여 혈압, 체중, 혈당, 심전도 수치 등을 측정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은 센서 브릿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체중 측정 정보, 혈당 측정 정보, 심전도 측정 정보, 온도 측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센서 데이터를 센서 브릿지(300)로 전달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은 인슐린 펌프 등의 의료 기기 또는 러닝 머신 등의 운동 기기 또는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 등의 전자 기기등이 될 수 있으며, 센서 브릿지(30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예컨대 인슐린 펌프는 센서 브릿지(300)로부터 인슐린 펌프 제어 신호에 따라 인슐린 펌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컨은 센서 브릿지(300)로부터 에어컨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컨의 냉방 온도를 조절하거나, 에어컨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러닝 머신 등의 운동 기기는 센서 브릿지(300)로부터 제어 신호에 따라 러닝 머신 온 오프 동작 또는 러닝 속도 등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IP 홈 네트워크 영역은 IP 프로토콜 및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적용하여 IT 기기나 스마트 CE 기기 등과 같이 댁 내의 PC, 가전 기기, 제어 기기, 각종 시설 등은 물론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등을 통합한 네트워크 영역으로서, 센서 브릿지(300), 헬스 GW(GateWay)(400), 모바일 헬스 GW(GateWay)(450),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해당될 수 있다.
센서 브릿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센서 브릿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로부터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체중 측정 정보, 혈당 측정 정보, 심전도 측정 정보, 온도 측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헬스 GW(400)에 전달한다. 센서 브릿지(300)는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와 동기화 수행을 통해 수집 또는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 브릿지(300)는 미리 정해진 제어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을 제어하거나,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미도시)을 제어한다. 예컨대 센서 브릿지(300)는 인슐린 펌프가 동작하도록 인슐린 펌프 제어 신호를 인슐린 펌프로 전달하여 제어하거나, 에어컨이 냉방 온도를 조절하도록 에어컨 제어 신호를 에어컨으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브릿지(300)는 러닝 머신이 러닝 속도 등을 조절하도록 러닝 머신 속도 조절 제어 신호를 러닝 머신으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300)와 연결되며, 센서 브릿지(300)에 의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300)를 통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과 연결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로부터 직접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헬스 GW(400)는 UPnP(Universal Plug & Play)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과 연결 및 통신 가능할 수 있다.
헬스 GW(400)는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의료 서비스 제공자(600)에게 전달하거나,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헬스 케어 서비스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헬스 데이터를 산출하고, 헬스 데이터를 가공한다. 예를 들면, 헬스 GW(400)는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 데이터 분석결과 산출된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거나,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된 헬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가공할 수 있다.
헬스 GW(400)는 TV등과 같은 댁내 AV(Audio and Video) 기기 또는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헬스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헬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출력되도록 한다.
헬스 GW(400)는 다른 헬스 GW(미도시)와 동기화를 수행하여 수집한 센서 데이터 또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헬스 데이터를 다른 헬스 GW(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으며, 다른 헬스 GW(미도시)와 상태 정보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이때 다른 헬스 W(미도시)는 원격의 다른 홈 네트워크 내의 헬스 GW(미도시)일 수 있다. 이때 헬스 GW(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에 중 임의의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센서데이터를 다른 센서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201~20N)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30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201~20N)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헬스 GW(400)의 자체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300)를 통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201~20N)과 직접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201~20N)을 제어할 수도 있다.
모바일 헬스 GW(450)는 댁 외에서 사용자의 이동 또는 활동 또는 운동 등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한다. 모바일 헬스 GW(450)는 사용자가 댁 내로 진입하면, 헬스 GW(400)와 동기화를 수행하여 센서 데이터가 동기화되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 헬스 GW(450)와 헬스 GW(400)간 센서 데이터 동기화는 모바일 헬스 GW(450)와 헬스 GW(400)간 동일한 데이터 유지를 위한 동기화일 수도 있고, 헬스 GW(400)가 모바일 헬스 GW(450)의 센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동기화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V등과 같은 댁내 AV(Audio and Video) 기기 또는 모니터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헬스 GW(400)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헬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헬스 데이터를 가공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영역은 댁 내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영역으로서, 의료 서비스 제공자(600)가 해당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600)는 헬스 GW(400)로부터 센서 데이터 또는 헬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600)는 수신된 센서 데이터 또는 헬스 데이터 또는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진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헬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분석결과 또는 처방을 헬스 GW(40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에를 단순히 의료 서비스 제공자(600)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센서데이터로부터 헬스 데이터를 산출하고 헬스 데이터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가공하여 TV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보다 쉽고 편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 분석 결과인 헬스 데이터가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에 반영되어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절차도이다. 도 4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이 심박계(102)와 온도계(103)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이 에어컨(202)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심박계(102)는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의 심장 박동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심박수에 해당하는 심박수 센서 데이터를 센서 브릿지(300)로 전달한다(S42). 온도 센서(103)는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 센서 데이터를 센서 브릿지(300)로 전달한다(S44).
센서 브릿지(300)는 심박계(102) 및 온도 센서(10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심박계(102) 및 온도 센서(103)에 의해 측정된 심박수 센서 데이터 및 온도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심박수 센서 데이터 및 온도 센서 데이터를 헬스 GW(400)로 전달한다(S46).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300)로부터 전달받은 심박수 센서 데이터 및 온도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헬스 데이터를 산출한다(S48). 그리고 헬스 GW(400)는 헬스 데이터를 가공한다(S50). 헬스 GW(400)는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 예컨대 심박수 관리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중 해당 액추에이터 예컨대 에어컨(202)에 반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가공하거나,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각종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헬스 GW(400)는 심박수 센서 데이터와 온도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박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의 심박수보다 높으면 심박수가 높아진 것을 나타내는 헬스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헬스 GW(400)는 심박수가 높아진 것을 나타내는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각종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거나, 심박수가 높아진 것을 나타내는 헬스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 온도를 낮출 것을 결정하고 이를 에어컨(202)에 반영하기 위한 에어컨 제어 신호로 가공한다. 이때 표시 데이터는 이전 심박수 측정 결과가 누적된 수치를 포함하여 가공될 수도 있고, 심박수 수치에 관련된 다른 정보가 결합되어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컨 제어 신호는 에어컨 설정 온도를 낮추기 위한 명령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헬스 GW(400)는 헬스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 온도를 낮출 것을 에어컨(202)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 즉, 에어컨 제어 신호를 에어컨(202)에 송신한다(S52). 또한 헬스 GW(400)는 심박수가 높아진 것을 나타내는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미리 정해진 표시 방식으로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TV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한다.
에어컨(202)은 헬스 GW(400)의 에어컨 제어 신호에 따라 에어컨 설정 온도를 낮춘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수신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 브릿지(300)와 헬스 GW(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브릿지(300)와 헬스 GW(40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센서 브릿지(300)는 센서 인터페이스(310), 센서 데이터 저장부(320), 센서 브릿지 제어부(330), 헬스 GW 인터페이스(340), 센서 데이터 동기화부(350)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로부터 측정된 혈압 측정 정보, 체중 측정 정보, 혈당 측정 정보, 심전도 측정 정보, 온도 측정 정보 등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센서 데이터 저장부(320)는 수신된 혈압 측정 정보, 체중 측정 정보, 혈당 측정 정보, 심전도 측정 정보, 온도 측정 정보 등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센서 브릿지 제어부(330)는 센서 브릿지 내에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센서 인터페이스(310)를 제어하고,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헬스 GW(4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센서 브릿지 제어부(330)는 헬스 GW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헬스 GW 인터페이스(340)는 헬스 GW(40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헬스 GW(400)로 전달한다. 또한 헬스 GW(400)로부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 데이터 동기화부(350)는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와 센서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센서 데이터 동기화부(350)는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와 동기화 수행을 통해 수집 또는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로 전달하고,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로부터 수집 또는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아 센서 브릿지(300)와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간에 센서 데이터가 동일하게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헬스 GW(400)는 센서 브릿지 인터페이스(410), 트랜슬레이터(420), 옵저베이션(observation) 저장부(430), 헬스 GW 제어부(440), WAN(Wid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450), 옵저베이션 동기화부(460), 데이터 가공부(470), CE 인터페이스(480), 부가서비스 처리부(490)를 포함한다.
센서 브릿지 인터페이스(410)는 헬스 GW 인터페이스(34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헬스 GW 인터페이스(340)를 통해 센서 브릿지(300)에서 취합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제어가 필요한 경우 헬스 GW 인터페이스(340)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트랜슬레이터(420)는 센서 브릿지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헬스 데이터(이하 '옵저베이션 데이터'라 칭함) 즉, 옵저베이션 데이터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옵저베이션 데이터는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옵저베이션 저장부(430)는 트랜슬레이터(420)에 의해 변환된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저장한다.
헬스 GW 제어부(440)는 헬스 GW(4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컨대 헬스 GW 제어부(440)는 센서 브릿지 인터페이스(410)로부터 취합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센서 브릿지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하고,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옵저베이션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트랜슬레이터(420)를 제어한다. 또한 헬스 GW 제어부(44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도록 데이터 가공부(470)를 제어한다. 헬스 GW 제어부(44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댁 외 의료 서비스 사업자(600)에게 전송하도록 WAN 인터페이스(450)를 제어하고,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헬스 GW 제어부(44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가공하고,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도록 CE 인터페이스부(480)를 제어한다. 또한 헬스 GW 제어부(440)는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와 옵저베이션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옵저베이션 동기화부(460)를 제어한다.
WAN 인터페이스(45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댁 외 의료 서비스 사업자(600)에게 전송한다.
옵저베이션 동기화부(460)는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와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옵저베이션 동기화부(460)는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와 각각 동기화 수행을 통해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로 전달하고,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로부터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전달받아 헬스 GW(450)와 다른 헬스 GW(미도시) 및 모바일 헬스 GW(450) 간에 옵저베이션 데이터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데이터 가공부(47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고,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CE 인터페이스부(480)는 UPnP를 지원하는 댁 내 기기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컨대 옵저베이션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 온도를 낮출 것이 결정된 경우 이를 에어컨(202)에 반영하기 위한 에어컨 제어 신호를 에어컨(202)으로 송신한다.
부가 서비스 처리부(490)는 옵저베이션 데이터에 따라 알람이나 응급 상황 대응 등 별도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센서 브릿지(300)와 헬스 GW(4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와 함께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중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서 센서 브릿지(300)와 헬스 GW(4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 각각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서 센서 브릿지 제어부와 헬스 GW 제어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브릿지(300)에 포함된 센서 브릿지 제어부(350)는 센서 브릿지 서버(332)와 센서 브릿지 동기화 서버(334)를 포함한다. 센서 브릿지 서버(3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101~10N)로부터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센서 브릿지 CP(Control Point)(442)로부터 요청되는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센서 브릿지 동기화 서버(334)는 다른 센서 브릿지(미도시)와의 센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헬스 GW(400)에 포함된 헬스 GW 제어부(440)는 센서 브릿지 CP(442), e헬스 서버(443), 헬스 GW 동기화 서버(445), 미디어 서버(447), 헬스 데이터 모델(448), 부가 서비스 서버(449)를 포함한다.
센서 브릿지 CP(442)는 센서 브릿지 서버(332)로 센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센서 브릿지 서버(332)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기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e헬스 서버(443)는 센서 브릿지 CP(442)에 의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수신된 센서 데이터들을 헬스 케어 서비스에 필요한 형태인 헬스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e헬스 서버(443)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 데이터를 헬스 케어 서비스에 필요한 형태인 헬스 데이터로 산출하고,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e헬스 서버(443)는 헬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201~20N)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가공한다. 헬스 GW 동기화 서버(445)는 다른 헬스 GW(미도시)와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미디어 서버(447)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미디어 서버(447)는 헬스 데이터에 대해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AV CP(Audio Video Control Point)(556)에 전달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헬스 데이터 모델(448)은 센서 데이터들을 헬스 케어 서비스에 필요한 형태인 헬스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 및 저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모델을 저장한다. 부가 서버(449)는 응급 상황 및 알람 서비스 등 향후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제어부(550)는 e헬스 CP(552), 미디어 렌더러(554), AV CP(556)를 포함한다. e헬스 CP(552)는 e헬스 서버(443)에 의한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미디어 렌더러(554)는 수신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렌더링을 수행한다. AV CP(556)는 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서의 센서 브릿지 서버(332)와 센서 브릿지 CP(441)의 상호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브릿지 서버(332)와 센서 브릿지 CP(441)간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브릿지 서버(332)는 새로운 센서가 센서 브릿지(300)에 연결되면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센서 브릿지 CP(441)DP 새로운 센서가 검출되었다는 이벤트(Event)를 전달한다(S71). 센서 검출 이벤트를 수신한 센서 브릿지 CP(441)은 센서 브릿지 서버(332)에게 새로운 센서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센서 정보 요청 액션(Action)을 전달하고(S72), 센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센서 브릿지 서버(332)는 연결된 센서로부터 새롭게 측정된 센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새로운 센서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이벤트(를 센서 브릿지 CP(441)에게 전달한다(S75). 센서 브릿지 CP(441)는 새로운 센서 데이터 전송 요청 액션을 센서 브릿지 서버(332)에게 전달하여(S77)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센서 브릿지 CP(441)는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센서 브릿지(300)에 연결된 특정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센서 기기 설정 요청 액션을 센서 브릿지 서버(332)에게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UPnP가 적용된 IP 홈 네트워크에서의 e헬스 서버(443)와 e헬스 CP(552)의 상호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헬스 서버(443)와 e헬스 CP(552)간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e헬스 서버(443)는 새로운 센서가 네트워크에 검출되면 새로운 센서가 검출됨을 알리는 정보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e헬스 CP(552)에게 전달한다(S82). e헬스 CP(552)는 새로운 센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액션을 e헬스 서버(443)로 전달하고(S84), 새로운 센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회람한다. e헬스 서버(443)는 수집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헬스 데이터가 산출될 때마다 또는 일정 헬스 데이터가 확보될 때 마다 또는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 등 미리 정해진 상황에 따라 e헬스 CP(552)에게 헬스 데이터 정보 이벤트를 전송한다(S86). e헬스 CP(552)는 헬스 데이터 정보 이벤트에 따라 헬스 데이터에 대한 회람, 수정 삭제 등의 액션을 e헬스 서버(443)에 전송한다(S88). e헬스 서버(443)는 헬스 데이터 회람 액션에 따라 헬스 데이터를 e헬스 CP(552)가 회람하도록 제공하거나, 헬스 데이터 수정 액션에 따라 헬스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헬스 데이터 삭제 액션에 따라 저장된 헬스 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e헬스 CP(552)는 회람한 헬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e헬스 서버(443)에게 센서 및 센서 브릿지(300)에 설정을 요청하는 액션을 전송한다(S89).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헬스 GW간 동기화에 대해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헬스 GW들간 동기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헬스 GW(400)(이하 '제1 헬스 GW'라 칭함)의 e헬스 서버(910)(이하 '제1 e헬스 서버'라 칭함)는 다른 헬스 GW(이하 '제2 헬스 GW'라 칭함)의 제2 e헬스 서버(920)와 별도의 모바일 헬스 GW(450)(이하 제3 헬스 GW'라 칭함)의 e 헬스 CP(930)를 통해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e 헬스 CP(930)는 제1 e헬스 서버(910)와 제2 e헬스 서버(920)에 헬스 데이터 동기화 액션을 전달하여 제1 e헬스 서버(910)와 제2 e헬스 서버(920)가 서로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헬스 GW들간 동기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e헬스 서버(910)와 제2 e헬스 서버(920)는 별도의 e 헬스 CP(930)를 통하지 않고, 제1 e헬스 서버(910)와 제2 e헬스 서버(920) 각각 내부에 제1 임베디드 e헬스 CP(912)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922)를 구비하고, 제1 임베디드 e헬스 CP(912)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922)를 이용하여 제1 e헬스 서버(910)와 제2 e헬스 서버(920)가 서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의 분석 결과가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 등에 반영되어 댁 내의 가전 기기나 운동 기기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된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에 대해 단순히 일회적으로 특정된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누적 데이터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TV 등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보다 쉽고 편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1.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헬스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액추에이터에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가공된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심전도계, 온도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은 인슐린 펌프를 포함하는 의료 기기 및 러닝 머신을 포함하는 운동 기기 및 에어컨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브릿지와,
    상기 센서 브릿지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헬스 서비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 중 해당 액추에이터에 반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해당 액추에이터에 상기 액추에이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헬스 G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는 상기 헬스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표시 방식의 표시 데이터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심전도계, 온도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은 인슐린 펌프를 포함하는 의료 기기 및 러닝 머신을 포함하는 운동 기기 및 에어컨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릿지와 상기 헬스 GW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이 적용되며, 상기 센서 브릿지의 센서 브릿지 서버는 상기 헬스 GW로 이벤트를 제공하고 상기 헬스 GW의 센서 브릿지 CP(Control Point)의 액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이 적용되며, 상기 헬스 GW의 e헬스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헬스 CP(Control Point)로 이벤트를 제공하고, 상기 e헬스 CP의 액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는 다른 헬스 GW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는 댁내 헬스 GW 와 모바일 헬스 GW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의 제1 e헬스 서버와 다른 헬스 GW 제2 e헬스 서버는 제3 헬스 GW의 e헬스 CP로부터 헬스 데이터 동기화 액션을 전달받아 서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의 제1 e헬스 서버와 다른 헬스 GW 제2 e헬스 서버는 각각 내부에 제1 임베디드 e헬스 CP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임베디드 e헬스 CP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를 이용하여 제1 e헬스 서버와 제2 e헬스 서버가 서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GW의 제1 e헬스 서버와 다른 헬스 GW 제2 e헬스 서버는 각각 내부에 제1 임베디드 e헬스 CP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임베디드 e헬스 CP 및 제2 임베디드 e헬스 CP를 이용하여 제1 e헬스 서버와 제2 e헬스 서버가 서로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20127186A 2011-11-10 2012-11-12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51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7197 2011-11-10
KR1020110117197 2011-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911A true KR20130051911A (ko) 2013-05-21

Family

ID=4866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86A KR20130051911A (ko) 2011-11-10 2012-11-12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19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67A (ko) * 2014-02-1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헬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3571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966052A (zh) * 2020-07-07 2020-11-20 黄山中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身份识别智能联动系统
US10849502B2 (en) 2014-02-10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data of periphera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67A (ko) * 2014-02-1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헬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849502B2 (en) 2014-02-10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data of peripheral device
KR20160103571A (ko)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966052A (zh) * 2020-07-07 2020-11-20 黄山中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身份识别智能联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kalp et al. Integrated telehealth and telecare for monitoring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R100755974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101051263B1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arthik et al. Survey on IOT & Arduino based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Anzanpour et al. Internet of things enabled in-home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early warning score
JP2012008931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KR20120076615A (ko)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101934821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10505910B2 (en) Patient monitor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atient
JP2022513874A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KR20130051911A (ko)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Karunanithi et al. An innovative technology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the smarter safer homes platform
KR102233725B1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76695A (ko)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1226188B1 (ko) 센서 노드와 임베디드 기기에 기반한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Lipprandt et al. OSAMI-D: An open service platform for healthcare monitoring applications
Awotunde et al. Cloud-IoMT-based wearable body sensors network for monitoring elderly pati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Al-Adwani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IoT integration on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1199528B1 (ko) 유헬스 기반의 응급 상황 내 생체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9998A (ko)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