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653A -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653A
KR20110086653A KR1020100006237A KR20100006237A KR20110086653A KR 20110086653 A KR20110086653 A KR 20110086653A KR 1020100006237 A KR1020100006237 A KR 1020100006237A KR 20100006237 A KR20100006237 A KR 20100006237A KR 20110086653 A KR20110086653 A KR 2011008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information
remot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희찬
Original Assignee
(주)유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리정보 filed Critical (주)유리정보
Priority to KR102010000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653A/ko
Publication of KR2011008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진료 센터의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취합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를 전송받아 송신하는 원격터미널 시스템;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찾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진단하여 해당의료기관 또는 정보해석프로그램에 전송되는 원격진료센터; 상기 원격진료센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와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의사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진단 및 처방 결과를 포함하는 처방전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터미널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의사의 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사용자의 히스토리, 진단 및 처방 정보, 질병 케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하고,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질병 케이스에 따른 솔루션을 탑재하고, 상기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고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현시하고 처방받은 의약품의 복용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U-Care system for promoting health}
본 발명은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진료 센터의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환경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강관리(healthcare)비용이 함께 증대하고 있는 추세로 미국의 경우 GDP의 14% 정도, 국내의 경우는 GDP의 7%가 건강 관리 비용으로 지출되고 있다.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과 의료 분야가 결합된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 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비의 지출 증가 및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응급 구조 및 처치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는 여러 응급 구조 체계가 있음에도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급속한 노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의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간의 물리적 거리 증가, 산후조리원, 실버 타운 등의 노약자가 집중된 시설 급증, 농어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 등에 의해 응급 상태 발생시에 이를 응급 의료 기관에 신고하거나, 직접적인 응급 처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그러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장시간에 걸쳐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인 고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 등의 건강 상태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혈압이 매우 불규칙한 고혈압 환자는 혈압, 맥박 등의 상태를 적어도 하루에 몇 번씩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모니터링 된 결과 혈압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매우 신속하게 그 증상에 알맞은 약물을 투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및 응급 조치는 당뇨병 환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외출시에도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언제든지 사용자 신체의 맥박, 호흡수,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소형·경량화된 혈압계, 당뇨측정기 등이 현재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이용상의 불편함,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후속 처리 불편 등의 원인에 의해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담당 의사 등의 의료인이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된 데이터가 가공되어 관계 의료인 및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는 응급 의료 체계와 환자 혼자 독립된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응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응급 의료 체계가 구현되지 않아 많은 수의 인명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망과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무선망과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환자들 개인적으로 측정한 건강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단시간 내에 알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이 개인용 건강 측정기의 측정치를 입력받아 측정치에 관한 메시지를 건강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상기 건강관리 센터의 환자 관리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상기 환자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이 상기 메시지를 분석하여 결과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초기에, 인터넷을 이용한 환자의 질병관리는 발병 징후 및 경과에 대한 일반적인 건강정보를 웹브라우저를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하다가,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당뇨와 혈압환자 관리, 행동치료를 통한 비만환자 관리, 천식환자 관리, 심부전환자 관리, 금연관리 등 분류별 건강정보를 제공하며,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의료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질병관리는 환자 관리적 측면과 함께 환자 교육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는 환자와의 상호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발전시키고, 환자의 관점에서는 자신의 개인 건강정보를 더욱 자발적으로 관리하고 주도적으로 건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동적 유케어시스템(U-Care system)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u-health 서비스 및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 또는 특정 장소 네트워크 상의 장치나 휴대용장치 등을 통해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또한, 자동으로 병원 및 의사와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하다. 이러한 서비스 및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기술로는, u-health 전용 단말기, 생체신호 측정센서기술, 생체신호 전송 모니터링 기술, 생체신호 분석 기술이 요구된다. 첫 번째로, 생체신호 측정센서 기술은 사용자 자신이 직접 혈당, 혈압, 맥박, 체온, 심전도, 산소포화도, 활동량 등의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센서를 착용한 후 센서 소프트웨어의 작동원리를 기반으로 데이터 측정 단계까지 완료한다. 두 번째로, 생체신호 전송 모니터링 기술은 측정된 생체정보를 특정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술이다.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무선통신 USB 원격터미널웨이를 통해 로컬 PC로 전송이 되거나 네트워크망에 의해 원격 서버로 전송이 된다. 전송이 완료되면 사용자 혹은 의사들은 로컬 PC 또는 웹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체신호 분석 기술은 전문 의료인 혹은 유케어건강정보프로그램을 통해 구축된 Rule-Based System에 의해 분석이 된다. 사용자의 기본정보 및 가족질병사항, 생체신호 측정 데이터, 운동상태, 식단상태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 각종 건강지수를 산출하고 질병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운동정보, 건강정보를 개체별로 모니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개체별 환경정보를 무선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센서 태그 및 상기 태그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계시켜, 이동통신 등의 모바일 통신 수단으로도 상기 개체별 환경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개체가 위치한 주변의 공간이 아닌 개체별의 환경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항상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는 RFID/USN을 적용한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혈액 등의 검사에 따른 건강관리, 체계적인 온도와 습도 관리를 통해 건강관리, 운동관리 및 검사의 신뢰도 확보에 따라 건강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관리비용의 절감 효과를 이룰 수 있는 RFID/USN을 적용한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취합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를 전송받아 송신하는 원격터미널 시스템;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찾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진단하여 해당의료기관 또는 정보해석프로그램에 전송되는 원격진료센터; 상기 원격진료센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와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의사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진단 및 처방 결과를 포함하는 처방전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터미널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의사의 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사용자의 히스토리, 진단 및 처방 정보, 질병 케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하고,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질병 케이스에 따른 솔루션을 탑재하고, 상기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고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현시하고 처방받은 의약품의 복용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센서부는 호흡 센서, 혈압 센서, 체온센서, 혈당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망으로 연결된 원격터미널 시스템, 의사가 휴대하는 의사의 휴대장치, 원격진료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한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과 연결된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한 추론서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의사의 휴대장치와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모바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호흡 센서, 혈압 센서, 체온센서, 혈당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센서부가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생체센서부는 상기 생체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생체데이터를 파싱하고 정보화하는 단계; (d) 상기 정보화된 생체데이터를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원격터미널시스템에서 전송받은 생체데이터를 파싱하고, 생체데이터를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전송된 생체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건강상태를 알려주거나 해당 의사의 휴대장치에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f8) 개인 또는 해당의료기관에서 추론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참조를 요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추론서버에 참조를 애크날리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와 생체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f9) 상기 추론서버에서 통합된 사용자의 정보(이하 환자정보)를 모바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강관리 정보를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Identification)에 의해 구별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SMS인증하고,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디바이스별 측정 서열을 지정하여 알려주고, 상기 측정 서열에 따라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순서적으로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는 측정 관리 장치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의료소비자와 공급자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질병관리의 효과를, 의료서비스 공급자 입장에서는 보다 효율적이며 능동적인 환자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웹서비스 기반의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이기종간의 호환성을 보장하며, U-Health 사업에서 요구되는 의료 정보화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개인 의료 서비스의 발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 시설운용 및 의료 정보 자원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취합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를 전송받아 송신하는 원격터미널 시스템;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찾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진단하여 해당의료기관 또는 정보해석프로그램에 전송되는 원격진료센터; 상기 원격진료센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와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의사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진단 및 처방 결과를 포함하는 처방전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터미널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의사의 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사용자의 히스토리, 진단 및 처방 정보, 질병 케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하고,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질병 케이스에 따른 솔루션을 탑재하고, 상기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고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현시하고 처방받은 의약품의 복용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원격메인서버의 컴퓨터 시스템은 방화벽 서버, 인증 서버, 추론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모바일 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에 연계하여 실질적인 서비스의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제공한다.
생체센서부는 서비스 대상자(이하 사용자라 함) 1인이 몸에 휴대하고 있는 호흡센서, 혈압 센서, 체온 센서, 혈당센서 등의 센서들과 센서 정보를 취합하고 원격터미널 시스템을 통해 서버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시할 수 있으며, 연산 능력을 갖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가장 작은 도메인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추론 서버 및 상기 방화벽 서버와 소통하며, 사용자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 건강관리정보 히스토리 등을 저장한다.
모바일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추론 서버와 소통하며, 건강관리의 정보해석프로그램의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과 생체센서부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해당의료기관 건강관리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의료기관 및 정보해석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제공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생체센서부를 통해 건강관리 체크를 실행하여 이때 생체센서부는 환경, 운동, 건강체크를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체크된 건강정보를 즉 생체데이터를 취합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과 위치기반서비스 가능을 탑재한 유대단말기를 통해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 전송받아 수신하게 된다.
즉, LBS(Location Based Service;위치 기반 서비스) 기반으로 적정 환경 및 필요한 운동정보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은 원격 진료 센터에서 유지되고 있는 웹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한데, LBS기반의 이동궤적정보를 이용한 3차원 거리계산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및 운동을 측정하여 건강관리를 계산 및 정보수집을 하게 된다.
원격터미널 시스템은 생체센서부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에 의해 정보수집 및 연산단계를 거쳐 의료기관 등에 수집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원격의료센터 또는 건강관리 정보해석프로그램에서는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운동정보, 건강정보를 개체별로 모니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개체별 환경정보를 무선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센서 태그 및 상기 태그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계시켜, 이동통신 등의 모바일 통신 수단으로도 상기 개체별 환경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개체가 위치한 주변의 공간이 아닌 개체별의 환경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나 항상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는 RFID/USN를 탑재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센서부는 호흡 센서, 혈압 센서, 체온센서, 혈당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망으로 연결된 원격터미널 시스템, 의사가 휴대하는 의사의 휴대장치, 원격진료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한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과 연결된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한 추론서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의사의 휴대장치와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모바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호흡 센서, 혈압 센서, 체온센서, 혈당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센서부가 생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생체센서부는 상기 생체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생체데이터를 파싱하고 정보화하는 단계; (d) 상기 정보화된 생체데이터를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원격터미널시스템에서 전송받은 생체데이터를 파싱하고, 생체데이터를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전송된 생체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건강상태를 알려주거나 해당 의사의 휴대장치에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f8) 개인 또는 해당의료기관에서 추론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참조를 요구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추론서버에 참조를 애크날리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와 생체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f9) 상기 추론서버에서 통합된 사용자의 정보(이하 환자정보)를 모바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강관리 정보를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Identification)에 의해 구별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SMS인증하고,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디바이스별 측정 서열을 지정하여 알려주고, 상기 측정 서열에 따라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순서적으로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는 측정 관리 장치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2)

  1.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는 생체센서부; 상기 생체센서부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취합하고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을 탑재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를 전송받아 송신하는 원격터미널 시스템; 상기 원격터미널 시스템으로부터 생체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찾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추론하고 진단하여 해당의료기관 또는 정보해석프로그램에 전송되는 원격진료센터; 상기 원격진료센터로부터 상기 생체데이터와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고, 의사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진단 및 처방 결과를 포함하는 처방전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격터미널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의사의 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진료센터는, 방화벽서버와 인증서버, 사용자의 히스토리, 진단 및 처방 정보, 질병 케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황인지엔진을 탑재하고,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어시스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질병 케이스에 따른 솔루션을 탑재하고, 상기 생체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진료센터로 전송하고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현시하고 처방받은 의약품의 복용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센터에 건강관리 정보를 소망하는 사용자들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 ID(Identification)에 의해 구별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SMS인증하고, 각 사용자 ID 별로 측정디바이스별 측정 서열을 지정하여 알려주고, 상기 측정 서열에 따라 각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순서적으로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각 사용자별로 취합하는 측정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1020100006237A 2010-01-23 2010-01-23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110086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37A KR20110086653A (ko) 2010-01-23 2010-01-23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37A KR20110086653A (ko) 2010-01-23 2010-01-23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653A true KR20110086653A (ko) 2011-07-29

Family

ID=4492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237A KR20110086653A (ko) 2010-01-23 2010-01-23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6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03B1 (ko) * 2016-12-05 2018-06-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02247A (ko) 2018-06-29 2020-01-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KR20200047997A (ko) 2018-10-29 2020-05-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건강관리용 웨어러블기기와 건강관리앱을 추천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03B1 (ko) * 2016-12-05 2018-06-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02247A (ko) 2018-06-29 2020-01-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KR20200047997A (ko) 2018-10-29 2020-05-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건강관리용 웨어러블기기와 건강관리앱을 추천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631B1 (ko) 의료 중재 레벨을 원격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162940B2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Shahriyar et al. Intelligent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IMHMS)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Karthik et al. Survey on IOT & Arduino based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1801894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lthcare
Rani et al. IoT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Saha et al. A Survey Paper on the impact of" Internet of Things" in Healthcare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zumder A novel approach to IoT based health status monitoring of COVID-19 patient
CN102090930A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100961380B1 (ko)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Dudakiya et al. Monitoring mobile patients using predictive analysis by data from wearable sensors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Upadhyaya et al. Implement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Remote Healthcare
KR102002543B1 (ko) 핵자기공명 분석에 근거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6278A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halid et al. Using telemedicine as an enabler for antenatal care in Pakistan
Sharma et al. IoT-based monitoring system for diagnosing adverse drug reactions and enhancing drug compliance in TB patients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Al-Dmour Fuzzy Logic Based Patients'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