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47A -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47A
KR20200002247A KR1020180075542A KR20180075542A KR20200002247A KR 20200002247 A KR20200002247 A KR 20200002247A KR 1020180075542 A KR1020180075542 A KR 1020180075542A KR 20180075542 A KR20180075542 A KR 20180075542A KR 20200002247 A KR20200002247 A KR 2020000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bolic syndrome
health
user
central server
syndrom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249B1 (ko
Inventor
이수경
이지수
강민아
이나연
이승진
김신실
김경원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사증후군치료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과 연동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사용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가 제공되고, 상기 설문지의 결과와 사용자의 활동정보, 몸무게, 체지방율, 근육량,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결과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대사증후군을 치료받기 위한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for Early Adults Using Health-related Apps and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성인초기 20~39세 (성인중기는 40~65세이전)의 대사증후군을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은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위험인자인 비만, 고지혈증 등이 한 사람에게 동시다발적으로 발병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복부비만은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환자들은 대사증후군의 진단을 받기 위하여 직접 병원에 내방하고, 치료 및 사후관리도 직접 내방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질병들로 인하여 내방하는 경우, 빈번한 진료가 요구되지는 않고 간단한 상담과 처방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진료시간 역시 길지 않다.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크게 변화되면서 정보통신기술, 의료장비기술 및 보건의료기술의 결합을 통하여 진료중심의 의료에서 예방중심의 의료로, 건강관리(예방) 중심의 의료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대사증후군에 포함되는 질병이 증가함에 따라서, 범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국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행정기관이 행정구역별로 질병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행정기관은 한눈에 알 수 있는 지역별 건강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KR 2011-0086653 A는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은 원격 진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사증후군에 특화된 것이 아니며 지역별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이처럼, 현재 행정기관은 특정 지역민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준이나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만약, 행정기관이 지역민의 건강수준을 공통된 기준으로 파악한다면, 보건복지 수준의 계량화를 통하여 과학적인 행정적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이 증가되어 사람들의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고혈당, 복부비만 등의 만성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최대 위험요인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의 경우 식습관과 운동, 흡연이나 음주, 스트레스 등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으로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성인 남자는 30대, 여자는 20대의 건강행위실천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미흡하여 건강행위습관 개선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남자의 흡연율(54.8%), 고위험음주율(25.4%), 신체활동 부족률(52.5%), 에너지 및 지방과잉 섭취율(14.5%), 비만 유병률(40.6%)도 전체 성인남자보다 높았고, 20대 여자는 흡연율(13.6%), 고위험 음주율(9.2%), 스트레스 인지율(45.5%)이 전체 성인여자보다 더 높았다.
2014년도를 기준으로 건강생활 주요 지표인 금연, 저위험 음주, 걷기 3가지 모두를 실천하는 국민은 3명중 1명에 불과하였고, 특히 30~40대 연령층의 건강행태 실천율이 다른 연령층보다 낮아 30~40대의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대사증후군과 관련해서는 만성질환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연구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요인으로 흡연, 음주 등 환경이나 인구사회학적 요소, 신체활동 운동, 우울 등을 분석한 연구가 있었다.
또한 일상 생활습관이 불건강 행동을 초래하고 결국은 심뇌혈관질환을 유발시키므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도 있었다.
이외에도 대상자 자신의 질병에 대한 지식이 의학적 접근성을 높이고, 치료과정, 자기관리, 생활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는 연구와 같이 질병 관련 지식과 결과의 연관성 연구도 있었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직장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u-Health 기반 영양교육과 대사증후군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인지이론 기반 건강교육이 대사증후군 예방에 긍정적인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했다.
또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비만 여중생의 걷기운동, 당뇨노인의 운동중재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중재 관련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대사증후군 영향요인 및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령기, 30세 이상의 성인 전체 또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운동 또는 영양, 비만 관리 등 제한적인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대사증후군의 조기 예방효과가 높은 성인초기 대상자에 대한 통합적인 대사증후군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중년기 및 노년기에는 이미 건강습관이 고착화되어 건강행태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인초기에 올바른 건강습관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대사증후군의 인지 및 실천 증진을 위한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정보 및 스마트 산업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건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이하 앱) 과 같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증진하는 모바일 헬스(m-health)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건강 앱이 많이 출시되어 있으나 콘텐츠가 불만족스럽거나 사용이 불편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운동, 식이조절, 만성질환 정보 및 관리 등의 건강 앱 사용자 경험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사용자 집단 중 전체의 25.3%가 건강 앱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주로 콘텐츠가 불만족스럽거나 사용이 불편하여 한번 다운로드 받은 후 삭제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들은 모바일 헬스케어의 문제점으로 지속적인 사용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재미 요소의 부족과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 및 전문적인 건강관리 관련 지침을 제공하는 기능의 미비, 낮은 시각적 데이터 정보 전달성, 정보입력의 번거로움, 일방적인 피드백 등을 지적했다.
따라서 대상자들이 지속적인 건강행위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니즈(needs)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웨어러블기기(wearable device, WD)는 언제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신체활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동된 앱으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해준다. 실제로 국외 연구에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웨어러블 기기가 생활 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에는 Fitbit, 샤오미, 삼성 등 다양한 기업에서 웨어러블기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그 중 헬스케어나 피트니스와 같은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기가 시장에서 특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조기예방효과가 높은 성인초기 대상자에게 웨어러블기기를 활용한 통합적인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성인초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에 웨어러블기기와 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재미와 동기부여 요소를 추가하여 기존의 대사증후군 중재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R 2011-0086653 A
본 발명은 대사증후군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도 능동적으로 대사증후군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웨어러블기기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예방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사증후군치료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과 연동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사용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가 제공되고, 상기 설문지의 결과와 사용자의 활동정보, 몸무게, 체지방율, 근육량,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결과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대사증후군을 치료받기 위한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운동관리, 식이요법관리 및 수면관리를 포함하는 건강처방전 정보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어러블기기와 상기 중앙서버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동되되,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활동에너지, 걸음수, 일일섭취량, 활동거리, 활동시간 및 수면시간을 포함하는 활동데이터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갱신된 건강처방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실행시, 사용자 개개인별로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접속한 횟수, 상기 활동데이터 입력한 횟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에서 제공하는 건강퀴즈 및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내에서 구동되는 커뮤니케이션 창에서 글쓰기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개개인별로 건강포인트가 적립되고, 이 건강포인트를 기초로 건강랭킹이 산정되되, 상기 건강랭킹에 따른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사은품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대사증후군에 대응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대사증후군을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ERD 흐름도.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처음 나타나는 화면,
도 7 내지 도 8은 사용자별로 간단한 개인정보와 몸무게를 기입할 수 있는 도면,
도 9는 대사증후군 위험도 분석 창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대사증후군을 치료받기 위한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는 화면,
도 11은 중앙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를 전송한 화면이고,
도 12는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건강앱'을 전송한 화면,
도 13은 사용자에게 맞춤별 건강처방전을 주는 화면,
도 14 내지 도 15는 건강포인트를 기초로 건강랭킹이 산정되는 화면,
도 16은 건강랭킹에 따른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사은품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대한 ERD 흐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대사증후군치료앱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대사증후군치료앱과 연동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e-Motivate4Change('EMC')로 호칭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카카오톡(소셜 서비스 계정)을 이용하여 간편로그인을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로그인 과정을 통해 앱을 실행하게 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별로 간단한 개인정보와 몸무게를 기입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 생년월일을 기입하게 되면 사용자를 대변할 수 있는 일종의 아바타가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일 착용한 웨어러블기기인 헬스밴드를 통해 심박수, 걸음수, 일일섭취량, 활동거리 등을 기입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된다.
이때, 걸음수, 심박수 등은 일반적인 헬스밴드에 설치된 걸음수를 측정할 수 있는 진동센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수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수집할 수 있으며, 일일섭취량은 사용자가 직접 먹는 음식의 칼로리를 계산하여 기입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수면시간 역시 일반적인 헬스밴드에 설치된 움직임센서에 의해 설정된 시간 1시간 이상 헬스밴드에 움직이지 않는 시간을 시초로 수면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인적인 정보와 건강정보는 중앙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앱의 소개화면이 표시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앱의 목적과 사용방법, 대사증후군의 정의, 종류, 진단법, 위험요인, 관련 사이트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일종의 '링크'가 표시된다.
한편,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사용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가 제공된다.
이 설문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용자의 허리둘레, 2)혈압, 3)중성지방, 4)HDL 콜레스테롤 및 5)공복혈당을 입력하는 창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각각의 항목에 건강매니저가 대상자 측정후 입력 (측정기기와 앱이 연동되는 경우는 별도의 입력 불필요하며 자동입력됨)하여 그 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의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측정할 수 있는 병원 등을 내원하여 검사받은 뒤에 기입하거나,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진단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리 측정한 뒤 기입이 가능하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해당 사용자가 평소에 다니는 병원에 설치된 서버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병원 내의 서버에서 상기의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되면, 그 정보를 사용자가 기입함으로써 상기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활동정보, 몸무게, 체지방율, 근육량, 혈압(설문지에 혈압을 기입하는 란이 있는 경우 제외), 혈당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결과를 입력하는 창이 상기 앱을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되고, 이 개인정보를 기입하게 되면 이 결과와 함께 상기의 설문지 결과가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중앙서버는 상기의 개인정보 결과와 설문지 결과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측정하게 된다.
중앙서버에는 이미 남녀별 나이, 키에 따라 정상적인 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및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점수가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남자이고 22살이며, 키가 175cm인 경우 정상적인 몸무게가 73Kg으로 기준값이 정해진 경우 해당 사용자가 22살이며, 키가 175cm인 경우 몸무게가 80kg 인 경우에는 점수가 3점으로 책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간별 점수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그 절대치인 점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점수가 중요한바, 각각의 몸무게, 체지방율, 근육량, 혈압 등에 대한 점수를 합산한 뒤 대사증후군 위험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사증후군 위험도 분석 창에는 생활습관 위험도, 식습관 위험도 및 질병관련 위험도가 표시된다.
이 생활습관 위험도는 도 8에 도시된 사용자별 건강정보를 기초로 산정되며, 특히 걸음수와 일일섭취량 및 활동거리, 수면시간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중앙서버에는 이미 성별, 나이를 기준으로 한 하루 기준 걸음수와 하루 기준 일일섭취량 및 하루 기준 활동거리와 수면시간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강정보를 기입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중앙서버는 매일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생활습관 위험도를 결정하게 된다.
물론, 생활습관 위험도 산정 기간은 15일, 30일 혹은 두 달 기간 이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한달 기간을 기준으로 개인별 건강정보를 기초로 점수를 산정한 뒤 평균값을 통해 생활습관 위험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 생활습관 위험도는 '고위험','위험','양호','정상' 등 점수별로 산정될 수 있다.
식습관 위험도 역시 주로 '일일섭취량'을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생활습관 위험도와 마찬가지로 중앙서버에 정상인의 '일일섭취량'이 기 저장되어 있고, 기 저장된 '일일섭취량'과 개인별 입력 정보와 비교하여 점수를 산정하게 된다.
이 점수를 기준으로 생활습관 위험도와 마찬가지로 '고위험','위험','양호','정상' 등 점수별로 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질병관련 위험도' 역시 도 8의 건강정보를 기준으로 점수가 산정될 수 있으며, 생활습관 위험도와 식습관 위험도가 고위험일 수록 질병관련 위험도 역시 점수가 높게 형성된다.
한편, 도 10은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대사증후군을 치료받기 위한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운동관리를 원하는지 아니면 식이요법이나 수면관리에 관심이 있는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러한 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법이 웨어러블기기인지 아니면 모바일 앱 혹은 컴퓨터 인지 선택할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건강관리 선호도 조사를 통해 웨어러블기기와 모바일 건강 앱을 선택하게 되면, 대상자에게 적합한 "웨어러블 기기"와 "건강앱"이 추천된다.
즉, 사용자가 건강관리 선호도 조사를 통해 임의의 수단을 선택하게 되면, 그 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중앙서버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를 전송한 화면이고, 도 12는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건강앱'을 전송한 화면이다.
이때,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운동관리, 식이요법관리 및 수면관리를 포함하는 건강처방전 정보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는 사용자별 어떠한 방식으로 운동을 할지 정보를 주게 되는데, 예를 들면, 매일 걷기 운동 30분을 지정하거나, 혹은 아침과 저녁에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라는 등의 정보를 주게 된다.
또한, 식이요법관리에서는 탄수화물 대신 단백질 위주로 음식을 섭취하라거나, 구체적으로 '콩' '두부' '우유'등의 섭취량 정보도 주게 된다. 수면관리 면에서는 오후에 '낮잠'을 줄이라거나 혹은 '수면시간'에 'TV' 또는 '스마트폰'사용을 자제하라는 등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웨어러블기기와 상기 중앙서버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동되되,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활동에너지, 걸음수, 일일섭취량, 활동거리, 활동시간 및 수면시간을 포함하는 활동데이터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갱신된 건강처방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중앙서버에서 추천 되어진 웨어러블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활동데이터(심박수, 활동에너지, 걸음수, 일일섭취량, 활동거리, 활동시간, 수면시간)를 정해진 요일에 직접 입력하여 그 정보가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전송된다.
이때, 중앙서버는 이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갱신된 건강처방전을 제공하게 되는데, 정기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계측(키, 몸무게, 체성분)과 혈압측정 및 혈액검사(혈당, 콜레스테롤)를 이 앱을 통해 입력하고 그 정보 역시 중앙서버에 전송되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중앙서버는 새로운 처방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실행시, 사용자 개개인별로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접속한 횟수, 상기 활동데이터 입력한 횟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에서 제공하는 건강퀴즈 및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내에서 구동되는 커뮤니케이션 창에서 글쓰기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개개인별로 건강포인트가 적립되고, 이 건강포인트를 기초로 건강랭킹이 산정된다.
즉,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개개인별로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접속한 횟수, 상기 활동데이터 입력한 횟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에서 제공하는 건강퀴즈 및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내에서 구동되는 커뮤니케이션 창에서 글쓰기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개개인별로 건강포인트가 적립되고, 이 건강포인트를 기초로 건강랭킹이 산정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랭킹에 따른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사은품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4)

  1. 대사증후군치료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과 연동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사용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가 제공되고, 상기 설문지의 결과와 사용자의 활동정보, 몸무게, 체지방율, 근육량,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결과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의 실행시 대사증후군을 치료받기 위한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복수의 웨어러블기기와 건강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운동관리, 식이요법관리 및 수면관리를 포함하는 건강처방전 정보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기기와 상기 중앙서버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동되되,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활동에너지, 걸음수, 일일섭취량, 활동거리, 활동시간 및 수면시간을 포함하는 활동데이터가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활동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갱신된 건강처방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실행시,
    사용자 개개인별로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접속한 횟수, 상기 활동데이터 입력한 횟수,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에서 제공하는 건강퀴즈 및 상기 대사증후군치료앱 내에서 구동되는 커뮤니케이션 창에서 글쓰기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개개인별로 건강포인트가 적립되고, 이 건강포인트를 기초로 건강랭킹이 산정되되,
    상기 건강랭킹에 따른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사은품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 시스템.
KR1020180075542A 2018-06-29 2018-06-29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KR10212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42A KR102124249B1 (ko) 2018-06-29 2018-06-29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42A KR102124249B1 (ko) 2018-06-29 2018-06-29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47A true KR20200002247A (ko) 2020-01-08
KR102124249B1 KR102124249B1 (ko) 2020-06-17

Family

ID=6915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542A KR102124249B1 (ko) 2018-06-29 2018-06-29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07A (ko) * 2020-02-04 2021-08-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대사 증후군 점수 추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KR20220097617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대사증후군 에이아이 주치의 시스템
KR20230065844A (ko) * 2021-11-04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장애인 당사자-보호자-보건 전문가의 요구도 기반 3자간 건강 정보 공유 플랫폼 및 모바일 앱/웹 시스템
KR20240097495A (ko) 2022-12-20 202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1729B1 (en) * 2020-04-02 2024-03-05 Verily Life Sciences Llc Context-aware recommendations in a health management platform user interface
KR102470127B1 (ko) 2020-07-07 2022-11-23 김은서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방법
KR102599132B1 (ko) 2020-11-26 2023-11-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질환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99840B1 (ko) 2021-02-04 2023-11-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 발병 위험도 산출 시스템, 산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653A (ko) 2010-01-23 2011-07-29 (주)유리정보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140115232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연결정보를 이용한 건강 관리 기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600B1 (ko) *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KR20180033763A (ko) * 2016-09-26 2018-04-04 이재철 개인 기대여명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653A (ko) 2010-01-23 2011-07-29 (주)유리정보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20140115232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연결정보를 이용한 건강 관리 기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600B1 (ko) *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KR20180033763A (ko) * 2016-09-26 2018-04-04 이재철 개인 기대여명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07A (ko) * 2020-02-04 2021-08-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대사 증후군 점수 추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KR20220097617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대사증후군 에이아이 주치의 시스템
KR20230153324A (ko) * 2020-12-30 2023-11-06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대사증후군 에이아이 주치의 시스템
KR20230065844A (ko) * 2021-11-04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장애인 당사자-보호자-보건 전문가의 요구도 기반 3자간 건강 정보 공유 플랫폼 및 모바일 앱/웹 시스템
KR20240097495A (ko) 2022-12-20 202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249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Paré et al. Diffusion of the digital health self-tracking movement in Canada: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Sabo et al. Self-care needs and practices for the older adult caregiver: An integrative review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Yang et al. Factors influencing user’s adherence to physical activity application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US10930394B2 (en)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apparatus and lifestyle management supporting method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6430391B2 (ja) 自動健康データ収集、処理および通信システム
Cindy Ng et al. Does exercise training change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ith COP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auer et al. Exercise and pregnancy knowledge among healthcare providers
US8388532B2 (en) Home diagnostic system
US20140372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e-based health improvement programs and services
Meyer et al. Exploring longitudinal use of activity trackers
Taskin Yilmaz et al. The effect of body image on sexual quality of life in obese married women
US10453567B2 (en) System,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leep habits
Chevance et al. Do implicit attitudes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prospectively predict objective physical activity among persons with obesity?
Sidani et al. Gender differences in perpetuating factors, experience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Tsuboi et al. Are cold extremities an issue in women’s health? Epidemiological evaluation of cold extremities among Japanese women
Solk et al.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intensive longitudinal data collection of activity and patient-reported outcomes dur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Durant et al. Patient provider communication about the health effects of obesity
Baron et al. A feasibility study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behavioral sleep extension
López-Torres et al. Does fitness atten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sitting ti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ver tim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vidence from the EXERNET multicenter longitudinal study
See et al. Adoption of mobile health applications among adults in Kulai, Johor
Neaţu Public Health and Behavioral Economics." Nudging" Behaviors through Wearable Technology.
JP72349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