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923A -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923A
KR20220129923A KR1020210034853A KR20210034853A KR20220129923A KR 20220129923 A KR20220129923 A KR 20220129923A KR 1020210034853 A KR1020210034853 A KR 1020210034853A KR 20210034853 A KR20210034853 A KR 20210034853A KR 20220129923 A KR20220129923 A KR 2022012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questionnaire
medical personnel
termin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183B1 (ko
Inventor
이창엽
Original Assignee
이창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엽 filed Critical 이창엽
Priority to KR102021003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1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앱 실행을 통해 기 설정된 설문내역을 로딩하고, 설문내역의 각 항목별 응답을 입력받아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진표의 응답항목들을 추출하고,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진료서버로 전송하되,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의료인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입력받은 환자의 증상정보를 토대로 문진표를 생성하고, 문진표를 수신한 의료인 단말기가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문진표와 함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의료인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간소화하고, 의료인간의 차트정보 공유에 따라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인간의 협업 진료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Patient treatment process sharing system among medical personnel}
본 발명은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입력받은 환자의 증상정보를 토대로 문진표를 생성하고, 문진표를 수신한 의료인 단말기가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문진표와 함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며, 동일 환자를 제3의 의료인이 진료하는 경우 이전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해당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원에서 이루어지는 진료 과정은 먼저, 환자의 진료 접수시 간호사가 환자로부터 간단한 증상을 듣고 접수하게 되고, 진료시 의사가 간호사로부터 전달받은 환자의 증상을 확인한 후 진료를 시작하게 된다.
진료가 시작되면 의사는 구두로 환자의 상태를 물어보게 되고 환자가 얘기한 증상에 따라 진료한 뒤 진료기록을 정리해 차트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료 과정은 환자가 병의원에 내방할 때 마다 반복되고, 상급 의료기관이나 다수의 의료인이 공동으로 진료하게 되는 경우, 의사가 환자로부터 증상을 듣고나서 진료하는 절차 역시 반복된다.
따라서, 환자는 동일한 증상을 각기 다른 시간에 다수의 의료인에게 반복해서 설명해야만 하고, 다수의 의사 각각은 동일 환자를 진료할 때 마다 환자의 증상을 재차 확인하는 절차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고, 구두로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는 절차가 시계열적으로 반복될 경우 객관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상급 의료기관의 경우 의료인b는 의료인a를 교육, 감독하는 의사이거나(레지던트/교수), 같은 환자를 두고 함께 환자를 진료 및 치료하며 의견을 공유하는 의사(정형외과의사/내과의사)일 수 있다.
이처럼, 환자 진료시 의료인이 수직적 또는 수평적 위치에서 동일 환자를 진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가 의료인간에 적절히 공유되지 못하는 경우, 의료인간의 협업 진료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진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응급환자의 경우, 구급대원 또는 보호자가 전화를 통해 해당 환자의 증상을 의료기관에 전달하고, 응급환자가 병의원에 도착시 빠른 응급처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 전화받는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을 응급처치를 이행하는 의료인에게 전달하기 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응급처치를 이행하는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을 재차 파악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전달 과정에서 환자의 증상 일부가 누락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구급대원 또는 보호자와 재차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앞서 통화한 환자와 동일 환자인지 여부를 특정하는 절차와, 해당 의료인이 파악한 환자의 증상을 응급처치를 이행하는 의료인에게 재차 전달하는 과정이 뒤따르게 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기까지 다수의 의료인을 거치게 됨에 따라 환자로부터 증상 확인을 반복하는 문제점이 있고, 의료인 간에도 진료정보가 원활하게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입력받은 환자의 증상정보를 토대로 문진표를 생성하고, 문진표를 수신한 의료인 단말기가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문진표와 함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며, 동일 환자를 제3의 의료인이 진료하는 경우 이전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해당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8667호(2019.09.27)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입력받은 환자의 증상정보를 토대로 문진표를 생성하고, 문진표를 수신한 의료인 단말기가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문진표와 함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의료인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간소화하고, 의료인간의 차트정보 공유에 따라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인간의 협업 진료를 원활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환자를 제3의 의료인이 진료하는 경우 이전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해당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을 공유함으로써, 제3의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과 진료과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 AI분석을 통해 추가 지시, 권유할 검사 또는 치료법을 포함한 추천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의료인 또는 제3의 의료인이 추천정보를 단독으로 반영 또는 협업을 통해 반영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은, 앱 실행을 통해 기 설정된 설문내역을 로딩하고, 설문내역의 각 항목별 응답을 입력받아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진표의 응답항목들을 추출하고,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진료서버로 전송하되,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의료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는 설문내역을 로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로딩부;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설문내역에 입력된 응답을 취합하고, 설문내역 및 응답에 기 설정된 식별ID를 매칭시켜 생성한 문진표를 상기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료인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진표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부; 문진표에 포함된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추출부; 및 의료인의 환자 진료에 따른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의료인 단말기는 차트정보에 포함된 의료용어와 매칭된 추천정보를 DB로부터 색인하여 화면에 출력하되,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추천정보에 포함된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시키는 AI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입력받은 환자의 증상정보를 토대로 문진표를 생성하고, 문진표를 수신한 의료인 단말기가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문진표와 함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의료인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간소화하고, 의료인간의 차트정보 공유에 따라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인간의 협업 진료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환자를 제3의 의료인이 진료하는 경우 이전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해당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을 공유함으로써, 제3의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과 진료과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현재 진료를 시행하고 있는 의료인이 수행하고 있는 진료 중 수정하거나 추가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빠르게 피드백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인이 생성한 차트정보를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 AI분석을 통해 추가 지시, 권유할 검사 또는 치료법을 포함한 추천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의료인 또는 제3의 의료인이 추천정보를 단독으로 반영 또는 협업을 통해 반영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의 의료인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의 의료인 단말기의 부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504에 대한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508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706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S)은, 앱 실행을 통해 기 설정된 설문내역을 로딩하고, 설문내역의 각 항목별 응답을 입력받아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문진표의 응답항목들을 추출하고,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진료서버(10)로 전송하되,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상기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의료인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사용자 단말기(100)는 설치된 앱에 의해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 인증을 통해 구동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의료인 단말기(200)와의 접속이 가능한 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중에 어느 하나의 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의료인 단말기(200) 역시 설치된 앱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접속이 가능한 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중에 어느 하나의 기기로 구성되며, 의료인 단말기(200)간의 접속을 통해 문진표 및 차트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가 생성한 문진표에는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증상에 대한 텍스트, 녹취 또는 영상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차트정보에는 진료한 의료인 식별데이터 및 의료기관 식별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로딩부(110)는 설문내역을 로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되, 앱 설치와 동시에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파일을 색인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앱 실행시 접속된 진료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120)는 로딩부(110)에 의해 설문내역이 화면에 활성화된 이후,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때, 설문내역은 증상, 질병 분류, 가족력, 과거력, 복용중인 약, 성별 또는 생활습관 중에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응답은 키입력 또는 화면 터치를 통해 입력받되, 객관식 체크 또는 다수의 키입력에 의한 텍스트, 활성화된 마이크 구동에 의한 녹취, 또는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문진부(130)는 설문내역에 입력된 응답을 취합하고, 설문내역 및 응답에 기 설정된 식별ID를 매칭시켜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문진표에는 설문내역에 대한 응답과 기 설정된 식별ID 외에 사용자 단말기 식별번호가 포함되고, 그밖에 연락처, 이름, 성별, 연령, 보호자 이름 또는 보호자 연락처 중에 어느 하나의 환자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문진부(130)는 의료인 단말기(200)로 기 전송한 문진표에 대한 조회를 접속된 진료서버(10)에서 인증절차를 거처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조회한 문진표 편집 기능을 활용하여 설문내역별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문진부(130)의 조회 기능 및 편집 기능에 의하면 병의원으로 이동/이송중인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인 단말기(200)의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들로부터 수신한 문진표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DB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의료인 단말기(200)의 추출부(220)는 문진표에 포함된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추출부(220)는 딥러닝을 통해 기 학습된 유사도 값을 토대로 응답과 매칭된 의료용어에 대한 정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정확도에 따라 각 응답에 대해 매칭된 의료용어를 갱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인 단말기(200)의 진단부(230)는 의료인의 환자 진료에 따른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차트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진단부(230)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기 학습된 유사도 값에 따라 각 의료용어별로 확률이 보정된 진단명을 색인하고, 의료용어와 대응하는 진단명을 유사도 순으로 1순위 내지 n순위로 정렬하여 입력받은 진단 값에 따라 차트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의료인 단말기(200)의 전송부(240)는 의료인의 조작을 통해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부터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수집부(210)로부터 인가받은 문진표 및 진단부(230)로부터 인가받은 차트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는 의료인 단말기(200)와 동일하게 수집부(210), 추출부(220), 진단부(230) 및 전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는 의료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고, 환자 진료에 따른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차트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문진표 및 차트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급 종합병원은 교수a가 담당의가 되고, 레지던트b가 주치의가 되어 입원 환자를 공동으로 진료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교수a는 외래, 수술 등의 일정을 소화하면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레지던트b가 입원환자를 제대로 진료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인 단말기(200)가 레지던트b의 진료에 따른 차트정보를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가 교수a로부터 입력받은 피드백을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구성인바, 감독하는 의료인이 피감독 의료인에게 진료중에 직접 피드백할 수 있고, 감독하는 의료인이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에도 앱을 통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피감독 의료인에게 지속적으로 진료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S)은, 차트정보에 포함된 의료용어와 매칭된 추천정보를 DB로부터 색인하여 화면에 출력하되,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추천정보에 포함된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시키는 AI 분석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추천정보는 추가 지시, 권유할 검사 또는 치료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AI 분석부(250)는 의료인으로부터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은 이후, 의료인 단독 반영 또는 제3의 의료인과 협업을 통해 반영 중에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의료인 단독 반영에 따른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추천정보와 대응하는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시킨다.
반면에, AI 분석부(250)가 제3의 의료인과 협업 반영에 따른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문진표 및 차트정보와 함께 해당 추천정보를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추천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한 이후, 의료인으로부터 입력받은 선택신호와 대응하는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분석부(250)에 의하면, 의료인 또는 제3의 의료인이 추천정보를 단독으로 반영 또는 협업을 통해 반영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가 앱 실행을 통해 기 설정된 설문내역을 로딩한다(S502)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설문내역의 각 항목별 응답을 입력받아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504).
뒤이어, 의료인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문진표의 응답항목들을 추출한다(S506).
이어서, 의료인 단말기(200)가 의료인의 환자 진료에 따른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차트정보를 생성한다(S508).
뒤이어, 의료인 단말기(200)가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그리고, 제S510단계의 판단결과, 진료내역 전송요청를 입력받거나 수신하는 경우, 의료인 단말기(200)가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상기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한다(S51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504에 대한 세부과정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가 설문내역에 입력된 응답을 취합한다(S602).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설문내역 및 응답에 기 설정된 식별ID를 매칭시켜 문진표를 생성한다(S604).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문진표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06).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508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6단계 이후, 의료인 단말기(200)가 차트정보에 포함된 의료용어와 매칭된 추천정보를 DB로부터 색인하여 화면에 출력한다(S702).
이어서, 의료인 단말기(200)가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제S704단계의 판단결과,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의료인 단말기(200)가 추천정보에 포함된 진료내역이 반영된 차트정보를 갱신한다(S706).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방법의 제S706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704단계 이후, 의료인 단말기(200)가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가 의료인 단독 반영인지 또는 제3의 의료인과 협업을 통해 반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02).
제S802단계의 판단결과,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가 의료인 단독 반영인 경우, 의료인 단말기(200)가 해당 추천정보와 대응하는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한다(S804).
반면에, 제S802단계의 판단결과,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가 제3의 의료인과 협업을 통한 반영인 경우, 의료인 단말기(200)가 문진표 및 차트정보와 함께 해당 추천정보를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06).
이어서, 의료인 단말기(200)가 제3의 의료인 단말기(200')로부터 추천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한다(S808).
그리고, 의료인 단말기(200)가 의료인으로부터 입력받은 선택신호와 대응하는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한다(S810).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인간의 차트정보 공유에 따라 진료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인간의 협업 진료를 원활하게 하고, 의료인 또는 제3의 의료인이 추천정보를 단독으로 반영 또는 협업을 통해 반영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10: 진료서버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로딩부
120: 입력부
130: 문진부
200: 의료인 단말기
200': 제3의 의료인 단말기
210: 수집부
220: 추출부
230: 진단부
240: 전송부
250: AI 분석부

Claims (4)

  1. 앱 실행을 통해 기 설정된 설문내역을 로딩하고, 설문내역의 각 항목별 응답을 입력받아 생성한 문진표를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진표의 응답항목들을 추출하고, 환자 진료에 따라 생성한 차트정보를 진료서버로 전송하되,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상기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의료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설문내역을 로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로딩부;
    상기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설문내역에 입력된 응답을 취합하고, 설문내역 및 응답에 기 설정된 식별ID를 매칭시켜 생성한 문진표를 상기 의료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문진표를 식별ID별로 분류하여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부;
    상기 문진표에 포함된 설문내역 각각에 대한 응답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추출부; 및
    의료인의 환자 진료에 따른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입력받거나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진료내역 전송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진료내용 전송요청과 대응하는 제3의 의료인 단말기로 상기 문진표 및 차트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인 단말기는,
    상기 차트정보에 포함된 의료용어와 매칭된 추천정보를 DB로부터 색인하여 화면에 출력하되, 추천정보 반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추천정보에 포함된 진료내역이 반영되도록 차트정보를 갱신시키는 AI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KR1020210034853A 2021-03-17 2021-03-17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KR10251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853A KR102515183B1 (ko) 2021-03-17 2021-03-17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853A KR102515183B1 (ko) 2021-03-17 2021-03-17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23A true KR20220129923A (ko) 2022-09-26
KR102515183B1 KR102515183B1 (ko) 2023-03-27

Family

ID=8345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853A KR102515183B1 (ko) 2021-03-17 2021-03-17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770B1 (ko) 2022-09-30 2023-01-31 한승민 환자 증상 평가 질문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722A (ko) * 2017-08-23 2019-03-06 재단법인 제주한의약연구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8667B1 (ko) 2018-09-05 2019-10-04 주식회사 케어랩스 진료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109666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722A (ko) * 2017-08-23 2019-03-06 재단법인 제주한의약연구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8667B1 (ko) 2018-09-05 2019-10-04 주식회사 케어랩스 진료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109666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닥터스체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의료인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770B1 (ko) 2022-09-30 2023-01-31 한승민 환자 증상 평가 질문지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83B1 (ko) 202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5294B2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US20220051770A1 (en) Devices and method for a healthcare collaboration space
Farmer et al.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multimorbidity: summary of NICE guidance
Kapadia et al. Emerging ICT implementation issues in aged care
US11545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c and private communication threads
US20150106123A1 (en) Intelligent continuity of car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61092B1 (ko) 의료진단 관리 시스템
US20090030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ifferentiated diagnosis of illness
JP2020155123A (ja) 問診装置
US201702939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medical data to assist decision making during a medical emergency
US20210334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Negation Expression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202301400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rocedure preparation
US20100145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201602323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medical data to assist decision making during a medical emergency
KR20220095104A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CA2955353A1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KR102515183B1 (ko)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KR20220131480A (ko) 응급환자 진단 시스템
KR102450646B1 (ko)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응급실 환자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94682A1 (en) Medical interview apparatus
Srivastava et al. Knowledge-based systems in medical applications
WO2021252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vision analysis
Dasgupta Intrusion Of Technology Ushering a New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Patient-Centered-Care.
Strain et al. An Updated Electronic Health Record (HER) for Depression Management
KR102604829B1 (ko) 문진표와 컨텐츠를 이용한 의료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