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19A -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719A
KR20210041719A KR1020190124293A KR20190124293A KR20210041719A KR 20210041719 A KR20210041719 A KR 20210041719A KR 1020190124293 A KR1020190124293 A KR 1020190124293A KR 20190124293 A KR20190124293 A KR 20190124293A KR 20210041719 A KR20210041719 A KR 2021004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medical data
medical
personal medic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700B1 (ko
Inventor
박명순
정찬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2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7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8Data partitioning, e.g. horizontal or vertical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병,의원과 의료보험공단 각각에서 보관 저장해야할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로 분류되어 P2P 네트워크 상에 분산저장되는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개인정보에 근거한 신원확인정보를 통한 접근권한설정부(200)와; 상기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신원확인정보와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권한을 비교하고, 상기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자신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 자신의 개인정보들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접근 권한 판단부(300)와;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하고, 제공하는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제공받은 개인은 보다 상세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불필요하면 종료하거나 특정 병, 의원의 세부기록이 보관된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 할 경우 제공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서 추가 상세의료데이터의 필요성에 따른 계속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계속진행요청부(500)와; 상기 계속진행요청부를 통해 계속진행이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의 신원확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기 등록된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의료기관보관용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추가접근권한설정부(600)와;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에 의해 부여된 권한에 따른 근거를 두고, 상기 추가접근권한설정부를 통한 기 설정된 보안인증수단의 정보와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세부 접근권한 판단부(7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 정보를 근거로하고, 병, 의원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제공하는 추가추출제공부(8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Blockchain-based Personal Medical Data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기반한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의료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자신의 개인의료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아 자신의 건강상태 및 기 진료기록 등의 의료데이터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병,의원 진료가 가능함은 물론 개인의료데이터의 보안성 강화와 함께 개인의료데이터의 취급 및 사용처에 따른 소유권을 개인이 갖도록 함으로써, 개인의료데이터의 무단도용과 개인정보보호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의료정보화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 또는 헬스케어 시장에서 의료정보의 전산화 및 전산 통합 수준의 의료정보화는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병, 의원에서는 이와 같은 의료정보는 병, 의원에 보관하기 위한 개인의료데이터와 환자가 진료 및 치료를 하게 되면 이를 의료보험공단에 보고하여 의료보험에 따른 진료 및 치료에 따른 의료보험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의료보험공단에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의료보험공단에 신고하고 있다.
즉, 환자가 병, 의원에서 진료 또는 치료를 하게 되면 병, 의원에서는 환자의 상세 병력이나 진료, 치료 과정 및 약의 처방이나 환자의 상태 등을 꼼꼼히 기록한 세부적인 개인의료데이터를 구축하게 되고, 이렇게 구축된 개인의료데이터에서 의료보험공단으로부터 환자의 의료보험에 따른 지원비용을 받기 위해 환자의 의료보험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개인의료데이터를 의료보험공단으로 신고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의료데이터 중 의료보험공단으로 신고되는 기본적인 개인의료데이터는 병, 의원에서 특별히 보관할 의무가 없고, 세부적인 병, 의원 진료 및 치료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만을 병, 의원에서는 보관해야할 의무가 있다.
이와 같은 개인의료데이터의 보관체계로 인해 통상 환자가 의료보험공단에서 발급받는 의료데이터는 환자의 세부적인 상태까지는 알 수 없고, 단지 병명이나 복용하는 약, 진료나 치료를 받은 병원이름 등 간단히 알 수 있는 정도의 개인의료데이터만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세한 내용을 알고자 할 경우에는 치료나 진료받은 병원에 직접 찾아가 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개인의료데이터의 구조는 사실상 개인의료데이터의 주체가 개인에게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병, 의원에서 세부적인 사항을 자체적으로 관리보관함에 따라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개인의료데이터를 병, 의원에서 보관하는 주된 이유로는 병, 의원의 영업적 이익과 더불어 갈 수록 대형화되는 병, 의원의 폐쇄적인 특징으로 인해 개인의료데이터를 통해 환자가 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진료를 하고자 하여도 병, 의원의 개인의료데이터의 주체가 병, 의원에 있어 이를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해가 갈 수록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떠힌. 이러한 개인의료데이터는 병, 의원뿐만 아니라 건강 보험, 의료보험업체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곧 병, 의원의 이익과 결부되어 좀처럼 개인의료데이터의 공유가 어렵다는 문제와 함께 환자가 다른 병, 의원을 이용하게 될 때, 자신의 개인의료데이터를 자신이 활용하지 못하고, 다시 해당 병, 의원에서 요구하는 진료나 치료를 중복으로 받아 그 결과를 다시 통보받아 활용해야 하는 2중의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개인의료데이터를 병, 의원에서의 보안성 취약으로 인해 해킹 등 정보 유출에 취약하며, 최근 개인 의료데이터는 범죄행위에 사용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로 하고 있고, 개인의료데이터는 병, 의원의 소유가 아닌 개인 소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병, 의원에서는 자신들의 이익창출에 악용하는 사례를 막고, 과도한 중복의 의료보험비용의 지출을 방지함은 물론, 개인의료데이터의 완전한 개인 소유로 전환함에 따라 자신의 개인의료데이터의 병, 의원, 보험사 등이 무단 사용하는 문제를 바로잡아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보안에 취약한 병, 의원의 자체 관리시스템을 최근에는 적용하고 이를 통해 병, 의원간에 서로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 역시, 개인의료데이터가 병, 의원의 소유로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병, 의원의 자체 네트워크가 해킹 등으로 개인의료데이터의 유출에 따른 불법사용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15909호, 출원일자 2018.02.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개인의료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되, 병, 의원간의 블록체인과 의료보험공단의 블럭체인을 트랜잭션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개인의 개인정보와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개인의료데이터의 간략정보 및 세부상세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병, 의원에서 개인의료데이터의 사용을 위해서는 개인이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접근하지 못함에 따라 보안성의 향상과 개인의료데이터의 개인소유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 의원에서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전문 내용을 번역을 통해 환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질병 상태나 건강상태의 체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진료나 치료가 가능함은 물론, 자신에게 맞는 병, 의원의 선택의 폭이 향상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구글 등과 같은 포털검색엔진을 통한 개인의료데이터 기반의 검색내용을 제공하여 주변인으로 하여금 환자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예방적인 건강에 대한 홍보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료데이터의 완전하 개인소유로의 전환을 통해 개인의료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 자신의 개인의료데이터의 거래시, 거래 주체가 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병,의원과 의료보험공단 각각에서 보관 저장해야할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로 분류되어 P2P 네트워크 상에 분산저장되는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개인정보에 근거한 신원확인정보를 통한 접근권한설정부(200)와; 상기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신원확인정보와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권한을 비교하고, 상기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자신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 자신의 개인정보들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접근 권한 판단부(300)와;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하고, 제공하는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제공받은 개인은 보다 상세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불필요하면 종료하거나 특정 병, 의원의 세부기록이 보관된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 할 경우 제공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서 추가 상세의료데이터의 필요성에 따른 계속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계속진행요청부(500)와; 상기 계속진행요청부를 통해 계속진행이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의 신원확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기 등록된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의료기관보관용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추가접근권한설정부(600)와;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에 의해 부여된 권한에 따른 근거를 두고, 상기 추가접근권한설정부를 통한 기 설정된 보안인증수단의 정보와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세부 접근권한 판단부(7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 정보를 근거로하고, 병, 의원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제공하는 추가추출제공부(8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은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정보를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테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서브블록체인(112)에 분류저장하고, 각각의 병, 의원간의 서브블록체인간(112)에 분류된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개인의료데이터를 트랜잭션에 의해 공유하며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하는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과;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부터 분류저장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의료보험공단에 할당된 개인정보에 따라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하는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과; 상기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각각 분류된 개인의료데이터에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개인정보와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개인정보와의 매칭을 통한 저장근거를 판단하며, 개인정보에 따라 매칭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는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으로 전송되면서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서는 삭제되고,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가 아닌 개인의료데이터는 다시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 리턴되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기록은 삭제되며,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는 복원되도록 마련된 저장근거 설정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의료보험공단보관 데이터로 분류된 데이터는 트랜잭션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을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은 병, 의원 각각의 서브 블록체(112)인을 구성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체인(112)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트렌잭션 변환하여 저장되고, 다수를 이루는 개별 서브 블록체인(112) 각각에는 복수 개의 노드(114)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114)들 각각에 개인의료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개인이 보다 용이하게 의료용어에 대한 이해 및 검토가 가능하도록 번역부(900) 형성되되, 상기 번역부(900)는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번역요청에 대한 유무를 확인하고, 번역이 필요없다면 종료되고, 번역이 필요하다면 다음 진행단계를 진행하도록 설정하는 번역설정부(910)와;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번역이 요청되면 번역량을 확인하고, 번역량에 따른 비용을 산정하는 번역량 연산부(920)와; 의료용어 전문그룹에 의한 의료용어 번역데이터가 저장된 번역저장부(930)와; 상기 번역량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번역량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판독하고, 상기 번역저장부의 의료용어 번역데이터를 기준으로 파독된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번역하는 번역엔진부(940)와; 상기 번역엔진부를 통해 번역이 완료되면 기 산정된 번역량에 따른 산정된 비용을 모바일결재시스템 또는 전자화폐를 통해 결재하고, 번역문을 제공하는 결재모듈부(9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번역제공을 위한 번역부(900)는 의사의 소견이나 진단서 발급으로 대체하여 제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의료보험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휴대폰번호, 휴대폰에 저장되어 신원확인이 가능한 생체인식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안인증수단은 보안카드, 토큰, RFID와 같은 하드웨어 보안인증 장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는 포털검색엔진과 연동하여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추가 설명이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 개인 질병에 대한 치료개선정보, 병,의원 정보를 함께 제공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째 개인의료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되, 병, 의원간의 블록체인과 의료보험공단의 블럭체인을 트랜잭션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개인의 개인정보와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개인의료데이터의 간략정보 및 세부상세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병, 의원에서 개인의료데이터의 사용을 위해서는 개인이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접근하지 못함에 따라 보안성의 향상과 개인의료데이터의 개인소유에 의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병, 의원에서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전문 내용을 번역을 통해 환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질병 상태나 건강상태의 체크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진료나 치료가 가능함은 물론, 자신에게 맞는 병, 의원의 선택의 폭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글 등과 같은 포털검색엔진을 통한 개인의료데이터 기반의 검색내용을 제공하여 주변인으로 하여금 환자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예방적인 건강에 대한 홍보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료데이터의 완전하 개인소유로의 전환을 통해 개인의료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 자신의 개인의료데이터의 거래시, 거래 주체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병, 의원과 의료보험공단간의 블록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병, 의원과 의료보험공단간의 블록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병, 의원에서 진료 및 치료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가 다단의 블록체인에 개인정보 및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통한 2중의 보안단계를 통해 추출이 가능하도록하여 보안성을 향상하고, 개인의료데이터의 소유권이 개인에게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료데이터의 개인이 제외된 불법적 유통이나 사용이 제한되도록 함은 물론,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만이 개인의료데이터의 해석이 가능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번역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통한 전문지식이 없는 개인이 개인의료데이터의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극적인 건강관리와 병, 의원의 선택이 가능하고, 구글 등과 같은 포털 검색엔진을 통한 치료에 대한 지식이나 대처방법, 약제의 효능, 효과, 부작용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개인의료데이터를 통한 개인의 결정권을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블록체인의 정보를 트랜잭션에 의해 공유할 수 있고, 병, 의원의 의료기간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분류를 통한 개인의료데이터의 단계적 접근성을 통한 보안강화가 가능한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 접근권한설정부(200), 접근권한 판단부(300), 추출제공부(400), 계속진행요청부(500), 추가 접근권한 설정부(600), 추가 접근권한 판단부(700), 추가 추출제공부(800)로 구성한다.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은 다단의 블럭체인을 트랜잭션을 통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블록체인을 병, 의원의 서브블록체인(110)들과 의료보험공단 블럭체인으로 구분하여 병, 의원의 서브블록체인들간의 트랜잭션을 통한 공유정보와 병, 의원의 개인의료데이터에서 의료보험공단에 신고 및 저장보관하기 위한 정보가 분류저장되어 병, 의원과 의료보험공단의 블럭체인이 트랜잭션으로 서로 연결되어 공유하도록 구성한다. 즉, 이와 같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은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병,의원과 의료보험공단 각각에서 보관 저장해야할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로 분류되어 P2P 네트워크 상에 분산저장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은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 저장근거 설정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은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정보를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테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서브블록체인(112)에 분류저장하고, 각각의 병, 의원간의 서브블록체인간(112)에 분류된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개인의료데이터를 트랜잭션에 의해 공유하며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한다.
즉,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은 병, 의원 각각의 서브 블록체(112)인을 구성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체인(112)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트렌잭션 변환하여 저장되고, 다수를 이루는 개별 서브 블록체인(112) 각각에는 복수 개의 노드(114)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114)들 각각에 개인의료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브블록체인(112)은 병원, 의원들 각각에서 환자의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는하는 것으로, 환자의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트랜잭션에 의해 서로 공유가 가능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는 환자의 성명에 대한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의료보험번호 등으로 이를 기준으로 키가 설정되어 병, 의원에서 각각 운영하는 서브블록체인(112)의 공유가 가능하되, 상기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률에 따른 개인의 동의 없이 무단사용이 불가하다는 전제하에 병, 의원에서의 개인정보를 무단사용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후술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과정에서 2중의 보안수단인 개인정보와 보안인증수단에 의한 추출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병, 의원에서 각각 운영되는 서브블록체인(112)들은 병, 의원에서 환자의 진료기록 및 치료기록의 세부사항이 보관되어 있고, 일반사항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으로 전송하여 병, 의원의 서브블록체인(112)의 저장용량을 분산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은 병, 의원에서 각각 운영하는 서브블록체인(112)의 집합체인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부터 분류저장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 즉, 환자의 진료 및 치료기록의 세부기록이 아닌 일반적인 사항을 분류 저장하도록 한 것으로, 의료보험공단에 할당된 개인정보에 따라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한다.
상기 저장근거 설정부(130)는 트랜잭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각각 분류된 개인의료데이터에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개인정보와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개인정보와의 매칭을 통한 저장근거를 판단하며, 개인정보에 따라 매칭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는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으로 전송되면서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서는 삭제되고,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가 아닌 개인의료데이터는 다시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 리턴되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기록은 삭제되며,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는 복원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의료보험공단보관 데이터로 분류된 데이터는 트랜잭션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을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에 저장하는 것이다. 즉, 상기 트랜잭션의 변환은 상기 저장근거 설정부(130)를 통해 그 근거로 병, 의원의 환자의 개인정보와 의료보험공단의 개인정보를 통해 매칭하여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과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간에 트랜잭션 변환 공유를 통한 환자의 개인의료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자의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동의없이는 병, 의원 측에서는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이 불가능하고,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을 통해서 개인정보와 보안인증수단의 2중의 보안설정을 통해서만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인의료데이터의 개인소유권의 강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개인소유권의 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에서 환자 개인의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근권한 설정부(200)는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개인정보에 근거한 신원확인정보를 통한 접근권한을 설정한다. 여기서, 신원확인정보는 환자의 성명을 기준으로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의료보험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환자 개인의 의료데이터의 제공은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을 통해서만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병, 의원의 세부사항에 대한 환자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을 위해서도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을 거쳐야만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인의료데이터의 무단사용이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 접근권한 판단부(300)는 상기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신원확인정보와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권한을 비교하고, 상기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자신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 자신의 개인정보들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한다.
상기 추출제공부(400)는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하고,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는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진료 및 치료에 관한 세부사항이 아닌 일반적인 사항만이 제공됨으로서, 환자 개인의 중요개인의료데이터가 해킹된다라고 하더라도 단순 일반적인 내용만이 해킹되어 중요데이터의 해킹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받게된다.
상기 계속진행요청부(500)는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제공받은 개인은 보다 상세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불필요하면 종료하거나 특정 병, 의원의 세부기록이 보관된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 할 경우 제공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서 추가 상세의료데이터의 필요성에 따른 계속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계속진행요청부(500)에서 환자가 일반사항의 개인의료데이터를 확인한 후, 확인된 의료데이터에서 자신이 찾았던 병, 의원에서의 보다 상세한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 할 때, 계속해서 진행할지 아니면 제공된 일반사항만으로도 충분한지를 판단하여 계속진행할 경우 다음 보안인증을 위한 단계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개인의료데이터의 로그기록을 저장한 후,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 추가접근권한 설정부(600)는 환자 본인의 개인의료데이터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이 필요로 할 겨우 계속진행요청부(500)를 통해 계속진행이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의 신원확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기 등록된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의료기관보관용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접근권한설정부(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인 신원확인정보로 1차 접근권한이 설정된 상태에서 추가로 보안카드, 토큰, RFID와 같은 하드웨어 보안인증 장치와 같은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상세 개인의료데이터의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1차 접근권한 설정을 통해 접근권한이 승인된 후, 다시 보안인증수단을 통한 세부 개인의료데이터의 접근권한을 설정하되, 보안인증수단은 1차 접근권한 설정상태에서 추가 등록하고, 이후, 등록된 보안인증수단을 통한 2차 접근권한을 설정함으로써,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이 해당 세부 개인의료데이터의 접근권한 부분과 일치하지 않으면 접근이 제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세부접근권한 판단부(700)는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에 의해 부여된 권한에 따른 근거를 두고, 상기 추가접근권한설정부를 통한 기 설정된 보안인증수단의 정보와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한다.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는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 정보를 근거로하고, 병, 의원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을 통해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는 전문 용어에 대한 기재사항으로 인해 일반인인 환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병명, 복용약품 등에 대한 부분의 지식이 없기 때문에 이를 판독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개인이 보다 용이하게 의료용어에 대한 이해 및 검토가 가능하도록 번역부(9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번역부(900)는 번역설정부(910), 번역량 연산부(920), 번역저장부(930), 번역엔진부(940), 결재모듈부(9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번역설정부(910)는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번역요청에 대한 유무를 확인하고, 번역이 필요없다면 종료되고, 번역이 필요하다면 다음 진행단계를 진행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번역량 연산부(920)는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번역이 요청되면 번역량을 확인하고, 번역량에 따른 비용을 산정한다.
상기 번역저장부(930)는 의료용어 전문그룹에 의한 의료용어 번역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번역엔진부(940)는 상기 번역량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번역량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판독하고, 상기 번역저장부의 의료용어 번역데이터를 기준으로 파독된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번역한다. 여기서, 상기 번역엔진부(940)는 번역 오류에 대하여 학습진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재모듈부(950)는 상기 번역엔진부를 통해 번역이 완료되면 기 산정된 번역량에 따른 산정된 비용을 모바일결재시스템 또는 전자화폐를 통해 결재하고, 번역문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번역부(900)를 통해 개인의료데이터의 전문적인 용어에 대한 환자 개인의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환자 개인의 건강상태나 질병에 대처방향, 복용 약품의 부작용이나 효능을 보다 빠르게 인지가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병, 의원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불필요한 병원비의 지출이나 복용하는 약품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번역부(900)는 환자 개인의 개인의료데이터의 이해도도 증진시키지만 병, 의원에서의 전문의료지식의 번역을 통한 수익창출이 가능함에 따라 병, 의원에서도 적극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보다 발전시켜 환자가 필요로하는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서를 상기 번역부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하여 병, 의원의 적극적 개입과 수익창출이 가능하여 환자개인과 병, 의원 양자 모두의 이익창출과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는 포털검색엔진과 연동하여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추가 설명이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 개인 질병에 대한 치료개선정보, 병,의원 정보를 함께 제공되도록 마련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개인의료데이터의 전문용어에 대한 번역을 번역부를 통해 번역하여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세부적인 추가 설명에 대한부분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포털검색엔진과 연동하여 보다 세부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개인의료데이터에 환자 개인의 병명이 심근경색에 따른 스탠드 삽입술이라는 시술을 하였다다라는 결과물이 추출제공되면 심근경색의 원인과 개선방향, 심근경색의 정확한 정의, 심근경색에 좋은 음식, 심근경색 환자가 피해야 할 음식이나 운동, 심근경색 시술 능력이 좋은 병,의원이나 전문의를 소개하는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심근경색에 스탠드 시술을 실시한 환자 개인은 자신이 주의해야 할 점이나 추후, 심근경색에 시술 성공률이 높은 병, 의원을 자신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고, 병, 의원에서는 이러한 검색으로 환자 개인의 선택폭이 넓어짐에 따른 양질의 서비스와 치료 및 진료에 집중하여 병, 의원의 이미지 향상에 노력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환자 개인이 병, 의원에서 진료 및 치료에 대한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하게 될 경우 환자 개인의 개인정보인 신원확인정보를 통해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접속한다. 여기서,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으로의 접속은 의료보험공단이나 특정 어플을 통해 접속하도록 구성하여 스마트폰, 개인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이 병, 의원을 방문하거나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한다.
사실상 개인의료데이터의 주체는 환자 개인의 것으로, 최근 빅데이터의 자원화가 가속되고 있는 추세를 살펴 볼 때, 이와 같은 개인의료데이터 역시 무형의 재산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병, 의원에서의 개인의료데이터의 관리는 법적 타당성에서 위배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본 발명을 통해 개인의료데이터의 소유권 주체가 환자 개인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료데이터의 개인 자산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환자 개인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에 접속하고, 자신의 신원확인정보인 개인정보를 통해 접근권한을 요청한다. 여기서, 신원확인정보와 환자 개인이 입력한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접근권한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개인정보에 의해 기록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와 개인정보가 매칭이 되지 않으면 접근권한을 차단한다.
이후, 접근권한 유무에서 접근권한이 부여되면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환자 개인의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개인정보인 신원확인정보를 통해서는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만이 추출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간단한 병명이나 자신이 진료 및 치료했던 병, 의원, 보험수가 등에 대한 간략정보만이 추출되도록 구성하여 악용될 수 있는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 제공이 완료된 후, 환자 개인의 전문지식이 없어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경우, 번역부(900)에서는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번역 여부를 요청하고, 번역을 환자 개인이 승락하면 번역량을 산정한 후, 의료용어가 번역되어 저장된 의료용어 번역데이터 저장부를 통해 번역엔진이 작동하여 번역완료한다. 이후, 번역량에 대한 비용결재가 이루어지면 번역엔진에 의해 번역된 개인의료데이터를 환자 개인에게 제공하여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만으로 환자 개인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이후 단계에서 계속진행할 것인지 아니면 세부적인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가로 제공받을 것인지 확인하고, 계속진행을 하지 않으면 로그기록을 남기고 종료되며, 계속진행을 원하면 세부적인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가로 추출제공하도록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으로 요청한다.
이때, 앞서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제공을 위해 신원확인을 위한 개인정보로 매칭되어 접근권한이 설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을 이루는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과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과의 공유를 위해 최초 개인정보 매칭을 통한 접근권한 설정은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한 키에 해당되고, 이후, 추가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환자 개인이 접근권한을 부여받는 부분은 서명에 해당되어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으로부터 해당 자료를 추출 제공받기 위한 트랜잭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추가적인 세부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이 요청되면 하드웨어적인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2차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접근권한이 판단되어 접근권한이 부여되면 병, 의원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제공한 후, 로그기록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이 때에도 전문 번역이 필요할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번역부에 의해 번역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과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은 개인의료데이터를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함에 따라 병, 의원의 서브블록체인의 저장한계를 벗어날 수 있어 보다 빠른 개인의료데이터의 추출 제공이 가능하고, 개인정보와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개인정보와 보안인증수단을 블록체인간의 공유할 수 있는 키역할과 서명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트랜잭션 변환이 가능함으로써,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과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이 서로 연결되어 개인의료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고, 해킹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개인의료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보안인증수단은 병, 의원이나 의료보험공단에서 무료로 제공하거나 일정비용으로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개인의료데이터의 활용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가능하여 재산적 가치의 상승과 함께 병, 의원의 서비스 제공과 환자의 진료 및 치료에 대한 집중이 가능하고, 개인의료데이터의 소유권이 오로지 개인에게 주어짐으로써,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질병에 대한 책임과 선택의 폭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 의원에서도 진료나 치료에 대한 책임이 높아짐에 따라 양질의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병, 의원간에 진료나 치료성공률과 수가가 투명하게 오픈됨에 따라 병, 의원간의 경쟁에 따른 의료수가가 낮아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의료수가의 절감이나 병원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
110 :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 112 : 서브블록체인
114 : 노드 120 :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
130 : 저장근거 설정부 200 : 접근권한 설정부
300 : 접근권한 판단부 400 : 추출제공부
500 : 계속진행요청부 600 : 추가접근권한 설정부
700 : 세부 접근권한 판단부 800 : 추가 추출제공부
900 : 번역부 910 : 번역설정부
920 : 번역량 연산부 930 : 번역저장부
940 : 번역엔진부 950 : 결재모듈부

Claims (9)

  1.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병,의원과 의료보험공단 각각에서 보관 저장해야할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로 분류되어 P2P 네트워크 상에 분산저장되는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개인정보에 근거한 신원확인정보를 통한 접근권한설정부(200)와;
    상기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신원확인정보와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권한을 비교하고, 상기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자신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 자신의 개인정보들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접근 권한 판단부(300)와;
    상기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하고, 제공하는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제공받은 개인은 보다 상세한 개인의료데이터가 불필요하면 종료하거나 특정 병, 의원의 세부기록이 보관된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가 필요로 할 경우 제공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서 추가 상세의료데이터의 필요성에 따른 계속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계속진행요청부(500)와;
    상기 계속진행요청부를 통해 계속진행이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의 신원확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의료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 개인의 기 등록된 보안인증수단을 통해 의료기관보관용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추가접근권한설정부(600)와;
    상기 접근권한설정부에 의해 부여된 권한에 따른 근거를 두고, 상기 추가접근권한설정부를 통한 기 설정된 보안인증수단의 정보와 접근 권한을 비교한 결과,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의 보안인증수단을 대입시켜 접근권한을 판단하고,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 제공에 대한 접근권한 불허를 요청하여 종료하는 세부 접근권한 판단부(700)와;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상기 추가 개인의료데이터 요청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에서 상기 제공을 요청받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를 추출 정보를 근거로하고, 병, 의원의 의료기관보관 개인의료데이터를 제공하는 추가추출제공부(8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 블록체인(100)은 병,의원에서 개인 진료 및 치료에 관한 개인의료데이터정보를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테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서브블록체인(112)에 분류저장하고, 각각의 병, 의원간의 서브블록체인간(112)에 분류된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개인의료데이터를 트랜잭션에 의해 공유하며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하는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과;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부터 분류저장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의료보험공단에 할당된 개인정보에 따라 P2P 네트워크상에 분산저장하는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과;
    상기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의료기관보관데이터와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로 각각 분류된 개인의료데이터에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를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개인정보와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개인정보와의 매칭을 통한 저장근거를 판단하며, 개인정보에 따라 매칭된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는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으로 전송되면서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서는 삭제되고, 의료보험공단 보관데이터가 아닌 개인의료데이터는 다시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으로 리턴되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의 기록은 삭제되며, 상기 병, 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에는 복원되도록 마련된 저장근거 설정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의 의료보험공단보관 데이터로 분류된 데이터는 트랜잭션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을 상기 의료보험공단 블록체인(1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원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룹(110)은 병, 의원 각각의 서브 블록체(112)인을 구성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체인(112)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트렌잭션 변환하여 저장되고, 다수를 이루는 개별 서브 블록체인(112) 각각에는 복수 개의 노드(114)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드(114)들 각각에 개인의료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개인이 보다 용이하게 의료용어에 대한 이해 및 검토가 가능하도록 번역부(900) 형성되되,
    상기 번역부(900)는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를 요청한 개인에게 번역요청에 대한 유무를 확인하고, 번역이 필요없다면 종료되고, 번역이 필요하다면 다음 진행단계를 진행하도록 설정하는 번역설정부(910)와;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상기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추출되는 개인의료데이터의 번역이 요청되면 번역량을 확인하고, 번역량에 따른 비용을 산정하는 번역량 연산부(920)와;
    의료용어 전문그룹에 의한 의료용어 번역데이터가 저장된 번역저장부(930)와;
    상기 번역량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번역량에 따른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판독하고, 상기 번역저장부의 의료용어 번역데이터를 기준으로 파독된 개인의료데이터 원문을 번역하는 번역엔진부(940)와;
    상기 번역엔진부를 통해 번역이 완료되면 기 산정된 번역량에 따른 산정된 비용을 모바일결재시스템 또는 전자화폐를 통해 결재하고, 번역문을 제공하는 결재모듈부(9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의료데이터의 번역제공을 위한 번역부(900)는 의사의 소견이나 진단서 발급으로 대체하여 제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의료보험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휴대폰번호, 휴대폰에 저장되어 신원확인이 가능한 생체인식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인증수단은 보안카드, 토큰, RFID와 같은 하드웨어 보안인증 장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제공부(400)와 추가추출제공부(800)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의료데이터는 포털검색엔진과 연동하여 개인의료데이터에 대한 추가 설명이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 개인 질병에 대한 치료개선정보, 병,의원 정보를 함께 제공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0190124293A 2019-10-08 2019-10-0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36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93A KR102360700B1 (ko) 2019-10-08 2019-10-0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93A KR102360700B1 (ko) 2019-10-08 2019-10-0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19A true KR20210041719A (ko) 2021-04-16
KR102360700B1 KR102360700B1 (ko) 2022-02-10

Family

ID=7574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293A KR102360700B1 (ko) 2019-10-08 2019-10-0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7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6798A (zh) * 2023-05-23 2023-07-04 肇庆市高要区人民医院 医院信息数据监控系统及方法
CN116633933A (zh) * 2023-07-24 2023-08-22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设备信息管理系统
WO2023246400A1 (zh) * 2022-06-24 2023-12-2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区块链智慧医疗系统
WO2024032658A1 (en) * 2022-08-09 2024-02-15 Wuhan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data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220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135333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통 용어체계 기반 의료용어 번역 시스템
KR20180015909A (ko) 2016-08-04 2018-02-14 (주)자임테크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25322B1 (ko) * 2018-04-10 2018-12-05 (주)우리메디컬컨설팅 전자인증, 전자서명 및 위변조방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2482A (ko) * 2018-02-26 2019-09-04 박준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220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135333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통 용어체계 기반 의료용어 번역 시스템
KR20180015909A (ko) 2016-08-04 2018-02-14 (주)자임테크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2482A (ko) * 2018-02-26 2019-09-04 박준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KR101925322B1 (ko) * 2018-04-10 2018-12-05 (주)우리메디컬컨설팅 전자인증, 전자서명 및 위변조방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6400A1 (zh) * 2022-06-24 2023-12-2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区块链智慧医疗系统
WO2024032658A1 (en) * 2022-08-09 2024-02-15 Wuhan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data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CN116386798A (zh) * 2023-05-23 2023-07-04 肇庆市高要区人民医院 医院信息数据监控系统及方法
CN116386798B (zh) * 2023-05-23 2023-08-25 肇庆市高要区人民医院 医院信息数据监控系统及方法
CN116633933A (zh) * 2023-07-24 2023-08-22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设备信息管理系统
CN116633933B (zh) * 2023-07-24 2023-09-19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设备信息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700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58616A1 (en) Privacy compliant consent and data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KR10236070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의료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1881045B1 (ko)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438209B2 (en) System for secure routing of data to various networks from a process data network
US20080071577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Le Nguyen Blockchain in healthcare: A new technology benefit for both patients and doctors
TWI674513B (zh) 健康資訊之存取系統、存取裝置及存取方法
WO2001033936A2 (en)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data informed consent to provide data privacy and security in database systems and in networked communications
Cowie The treaty settlement process
Ramos et al. Privacy and data protection concerns regarding the use of blockchains in smart cities
Corte-Real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nd universal health coverage: Health data space in global migration
Madir Smart contracts
Mendoza-Tello et al. Blockchain as a healthcare insurance fraud detection tool
Perlman et al. Focus note: the use of eKYC for customer identity and verification and AML
Davies Health and efficiency: Community law and national health systems in the light of Müller‐Fauré
Kovach et al. MyMEDIS: a new medical data storage and access system
Gavrilov et al. Blockchain-based model for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immutability of healthcare data in the referrals process
Desai The break-the-glass (BtG) principle in access control
Knopf Confidentiality for SUD records: Final rule issued
Ozsoy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in government
DeMuro et al. Healthcare Organizations as Health Data Fiduciaries: An International Analysis
Goint et al. FACILITING SECURE DATA SHARING FOR SMART LOGISTICS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Alruwaill et al. Forti-Ins: A Blockchain Based Framework to Automate Healthcare Insurance Processing in Smart Cities
Cordova Design heuristics: privacy and portability Regulation as a feature request
McHale The new EU healthcare rights directive: greater uniform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