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97A -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97A
KR20200038597A KR1020180118007A KR20180118007A KR20200038597A KR 20200038597 A KR20200038597 A KR 20200038597A KR 1020180118007 A KR1020180118007 A KR 1020180118007A KR 20180118007 A KR20180118007 A KR 20180118007A KR 20200038597 A KR20200038597 A KR 2020003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information
user
disease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591B1 (ko
Inventor
박재병
Original Assignee
박재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병 filed Critical 박재병
Priority to KR102018011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병의원 시설 정보, 돌보미 인력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돌봄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부, 사용자 질환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부로부터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인력 정보를 검색하는 비교검색부, 상기 비교검색부의 검색결과로부터 사용자와 매칭되는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제공부, 사용자 돌봄 관리시 유의사항 및 사용자 돌봄시 발생하는 특이사항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돌봄 이력 관리부, 및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비교검색부 및 추천제공부를 제공하고, 돌봄 및 진료 이력을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돌봄 이력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DISEASE-BASED ELDERLY CARE TOTAL SERVICE PROVIDE APPARATUS}
본 발명은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 정보, 돌보미(간병인) 매칭, 돌봄이력 관리의 토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의료 분야의 정보 공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주로 환자가 치료를 원하는 분야에서 치료 경험이 있는 다른 환자에게 병원이나 의사를 추천 받는 방식으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의료 분야는 대단히 전문적이어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 간에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에는, 환자가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적합한 전문의를 찾지 못하거나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록되는 정보들은 광고성 정보인 경우가 다수이므로 이러한 정보에 현혹되는 경우 환자는 불만족스러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노인이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 획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고객 특성상 시설 및 서비스에 불만을 표시하기 힘들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기초 시설정보와 서비스의 품질 문제, 의료사고, 시설의 낙후 문제, 학대 내역을 알 수 없고, 노인 질환의 특성상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노인 질환별 전문 병원이나 시설, 업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가 없다.
그 밖에도, 노인이나 장애인의 돌봄 및 진료 내역의 관리에도 한계가 있다. 이는 '어디가 아픈지', '어떤 주위가 필요한지' 등 의사 표시가 어렵고, 의사, 피보호자, 돌보미, 보호자 간에 관리 주의 사항 등의 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다.
현 시점에서 제공되는 의료정보는 실제 상황과 비대칭되어 돌봄을 잘 받지 못하는 노인 환자가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고령화와 맞물려 아프게 오래 살지만 돌보아줄 사람이 없는 노인 인구의 증대로 노인의료 시설이 급격하게 증가할 전망이므로 신뢰성있는 의료정보 제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017(2016.06.30)호는 시술 맞춤형 병원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술받은 병원의 시술 종류, 시술전 사진, 시술후 사진, 시술가격 및 시술 만족도 평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병원 평가 정보를 로그인 인증된 회원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며, 시술한 의사의 전공분야, 의사 면허증, 학력/이력 정보, 연락처, 의사 만족도 평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의사 평가 정보를 로그인 인증된 회원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며, 병원별로 병원 평가 정보를 표시한 병원 평가 정보 웹페이지를 생성하며, 의사별로 의사 평가 정보를 표시한 의사 평가 정보 웹페이지를 생성하며, 시술 종류별/지역별로 병원 평가 정보와 의사 평가 정보를 추출하는 병원 검색 서버; 상기 병원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병원 평가 정보 웹페이지와 상기 의사 평가 정보 웹페이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시술 종류/지역을 검색자로부터 선택받는 경우 선택된 시술 종류/지역을 상기 병원 검색 서버에 전송하여, 검색된 시술 종류/지역의 병원 평가 정보와 의사 평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검색자 단말기; 및 상기 병원 검색 서버와 검색자 단말기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 검색 서버는, 회원으로부터 등록되는 병원 평가 정보 또는 의사 평가 정보가 미리 설정된 필터링 기준 미만인 허위 평가 정보로 판정되면, 허위 평가 정보를 등록한 회원의 회원 자격을 박탈하고, 회원 자격 박탈되기 이전에 등록한 병원평가 정보 또는 의사 평가 정보를 삭제 허위 정보 필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링 기준 미만인 허위 평가 정보로 판정하는 것은, 등록되는 시술전 사진과 시술후 사진을 특징점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한 특징점의 유사도 차이가 설정된 기준 유사도의 미만일 경우 허위 평가 정보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4414(2016.11.23)호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의 매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돌봄이 필요한 돌봄대상자의 돌봄보호자와, 상기 돌봄대상자의 돌봄을 지원하는 돌봄지원자가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정보 및 상기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로부터 요구되는 요구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필수정보와 요구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가 일치되는 돌봄보호자들 및 돌봄지원자들끼리 분류하는 타입분류부; 상기 돌봄보호자가 돌봄지원자를 요구시, 상기 돌봄지원자를 요구하는 돌봄보호자가 상기 타입분류부에서 분류된 돌봄보호자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돌봄지원자들의 정보와 비교하여 매칭시키는 타입매칭부; 및 상기 타입매칭부에서 돌봄보호자와 매칭된 돌봄지원자들 중, 매칭률이 높은 돌봄지원자 순으로 상기 돌봄보호자의 단말기에 상기 돌봄지원자의 필수정보와 요구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017(2016.06.3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4414(2016.11.2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 정보를 제공하고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을 비교 검색하여 최적의 병의원 시설을 추천할 수 있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질환을 기반으로 돌보미를 매칭하여 맞춤형 추천을 할 수 있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돌봄 및 진료 이력을 관리하여 의사, 환자, 돌보미, 보호자 간에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는 병의원 시설 정보, 돌보미 인력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돌봄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부, 사용자 질환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부로부터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인력 정보를 검색하는 비교검색부, 상기 비교검색부의 검색결과로부터 사용자와 매칭되는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제공부, 사용자 돌봄 관리시 유의사항 및 사용자 돌봄시 발생하는 특이사항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돌봄 이력 관리부, 및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비교검색부 및 추천제공부를 제어하고, 돌봄 및 진료 이력을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돌봄 이력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요양병원, 노인복지시설, 일반병원을 포함한 병의원 시설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병의원 시설 정보로 저장하는 병원의 시설 정보 DB, 돌보미 인적사항, 학력 및 경력사항, 희망근무조건, 사용자 작성 후기를 포함한 돌보미 인력 정보를 저장하는 돌보미 인력 DB, 노인의 인적사항, 질환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및 돌봄 및 진료 이력, 돌봄시 유의사항, 돌봄 및 진료 일정을 저장하는 돌봄 이력 D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병의원 시설 정보 DB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진료정보와 의료자원의 빅데이터를 토대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질환을 분석하여 분석된 질환을 기반으로 상기 병의원 시설 정보로부터 병의원 시설 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병의원 시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기존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유사한 특정 사용자의 선호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교차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검색부는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병의원 시설들을 사용자 평점, 요양등급, 평균진료비, 의사 및 간호사 1인당 환자수, 응급실 여부, 학대 및 사건신고 건수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추천제공부는 상기 비교검색부로부터 질환을 기반으로 비교 검색된 병의원 시설들 및 돌보미들 중 사용자 설정 가중치에 따른 우선순위로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제공부는 사용자 거주지를 토대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병의원 시설을 추천 제공하고 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병의원 시설에 대해 상세정보, 병의원 시설을 사용한 사용자의 의료진, 시설, 진료, 간병에 대해 개별 점수 및 평점, 학대 및 사건 신고 수, 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제공부는 사용자 거주지 및 돌보미 구인 목적에 매칭되는 돌보미를 추천 제공하고 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돌보미에 대해 상세이력 및 사용자 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는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에 대해 상세 정보를 검색 및 추천할 수 있으며 사고 및 학대 이력을 조회할 수 있고 병의원 시설 비교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병의원 시설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는 질환을 기반으로 돌보미 인력을 검색하여 생활도우미 및 전문간병인 등 목적에 매칭되는 맞춤형 돌보미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는 돌봄이력 및 진료이력을 기록장으로 관리하여 의사, 환자, 돌보미, 보호자 간에 정보 전달 및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질환 기반의 노인 병의원 시설 검색 추천 서비스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가) 내지 (다)는 도 3에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 검색 추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 비교 추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돌보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가) 내지 (다)는 도 6에 있는 돌보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의 (가) 내지 (다)는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환자 돌봄 내역 관리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110),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 및 사용자 단말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110)는 방대한 의료 서비스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다양하고 방대한 진료정보와 의료자원 등의 빅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110)는 기존의 병원정보 플랫폼 상 소외되었던 노인, 장애 시설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기관별 상세정보 서비스, 병원정보 서비스, 병원코드정보 서비스, 특수진료병원 정보 서비스, 약국정보 서비스, 요양병원 평가정보, 약제급여 병원평가 정보, 수술별 병원평가자료, 질병별 병원평가 정보, 병원평가 대상 정보, 요양기관 현황 정보, 질병 검사 정보 등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110)로부터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병의원 시설 정보를 수집하고 질환을 기반으로 하여 수집된 정보로부터 노인 전문 의료정보 서비스, 돌보미 인력 중개 서비스, 돌봄 및 진료 이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 전문 의료정보 서비스는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전문시설(요양원, 요양병원, 복지시설, 노인성 질환병원) 정보 제공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돌보미 인력 중개 서비스는 질환을 기반으로 돌보미를 찾아 추천을 할 수 있다.
돌봄 및 진료 이력 관리 서비스는 자녀, 돌보미, 의사 간 진료 및 돌봄 기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30)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에 접속하여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데이터베이스(DB)부(210), 비교검색부(220), 추천제공부(230), 돌봄이력 관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부(210)는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 돌보미 인력 DB(213), 사용자 DB(215) 및 돌봄 이력 DB(217)를 포함할 수 있다.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에는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110)로부터 수집한 요양병원, 노인복지시설, 일반병원 관련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에는 해당 병의원 시설에서 제공하는 병원위치, 운영시간, 병원 평점 및 후기, 전화번호, 진료과목 등의 일반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의료사고유무, 요양등급변화, 환자당 의사/간호/간병 인력 숫자 등을 포함하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지방행정공공데이터 등으로의 직접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돌보미 인력 DB(213)는 구직을 희망하는 돌보미의 인적사항, 학력/경력사항, 희망근무조건 등의 돌보미 인력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보미 인력 DB(213)에는 돌보미 검증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적은 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DB(215)는 서비스 제공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DB(215)에는 노인의 인적사항 및 질환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돌봄 이력 DB(217)는 돌봄 및 진료 이력, 유의사항, 돌봄 및 진료 일정을 저장할 수 있다.
비교검색부(220)는 사용자 단말장치(130)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 DB(215)에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질환을 분석하고 분석된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 DB(211)에 저장된 병의원 시설 정보를 비교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검색부(220)는 병의원 시설 DB(211)에 등록된 병의원 시설 정보로부터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 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병의원 시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기존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유사한 특정 사용자의 선호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교차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검색부(220)는 사용자 단말장치(130)로부터 돌보미 구인 요청에 따라 돌보미 인력 DB(213)에 저장된 돌보미 인력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검색부(220)는 돌보미 인력 DB(213)에 등록된 돌보미 인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질환을 기반으로 돌보미를 검색할 수 있다.
추천제공부(230)는 비교검색부(220)의 비교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자와 매칭되는 병의원 시설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을 자동 추천할 수 있으며, 그에 더하여 위치기반 또는 가격기반 가중치를 설정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추천을 할 수 있다.
추천제공부(230)는 비교검색부(220)의 비교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자와 매칭되는 돌보미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제공부(230)는 질환을 기반으로 검색된 돌보미들 중 지역별, 목적별, 성별, 나이대별 등 사용자 요청에 매칭되는 돌보미를 추천할 수 있다.
돌봄 이력 관리부(240)는 사용자 돌봄 관리시 유의사항 및 사용자 돌봄시 발생하는 특이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봄 이력 관리부(240)는 노인 돌봄 내역을 알림장 방식으로 기록하고 관리하여 체계적인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기존에 관리 불가능하던 노인 병의원 시설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 맞춤 추천을 제공하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에서 질환 기반의 노인 병의원 시설 검색 추천 서비스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요양, 거주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단계 S3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모바일앱을 실행하거나 웹사이트 접속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DB(215)에 등록하고 비교검색부(220)에서 병의원 시설을 비교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교검색부(22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에 등록된 병의원 시설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병의원 및 요양기관 리스트를 필터링한다(단계 S320). 비교검색부(22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질환을 분석하고, 분석한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에 등록된 병의원 시설 정보로부터 병의원 및 요양기관 리스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비교검색부(220)는 필터링된 사용자의 병의원 및 요양기관 리스트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기존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한 후(단계 S330), 사용자와 유사한 특정 사용자의 선호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340).
비교검색부(220)는 생성된 병의원 및 요양기관 리스트를 교차 비교하고, 추천제공부(230)를 통해 사용자와 매칭되는 병의원 및 요양기관을 추천 제공한다(단계 S350).
도 4의 (가) 내지 (다)는 도 3에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 검색 추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로, (가)는 사용자 거주지 정보를 토대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을 제공하는 화면이고, (나)는 특정 병의원 시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고, (다)는 해당 병의원 시설의 실제 사용자 후기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도 4의 (가)에 보여진 바와 같이 병의원 시설 검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가)를 보면, 요양등급 및 위치에 따른 병의원 및 요양기관을 사용자가 직접 검색할 수 있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 DB(215)에 등록된 사용자 거주지 정보를 토대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요양병원, 요양원, 복지시설 및 일반병원을 포함한 노인 전문시설을 지도상에 표기하여 보여줄 수 있다. 지도상에 표기된 시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선택된 시설에 대해 상세정보를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로부터 읽어들여 도 4의 (나)처럼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나)를 보면, 상단에 해당 시설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기되고, 그 하단에 의료인력, 의료시설 현황, 입원환자 현황을 포함한 상세정보가 표기되고, 최하단에 해당 시설 전화하기 및 길찾기 메뉴가 표기되어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시설에 대해 실제 사용자 후기 보기가 선택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해당 시설에 대해 실제 사용자 후기를 병의원 시설 정보 DB(211)로부터 읽어들여 도 4의 (다)처럼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다)를 보면, 해당 시설을 실제 사용한 사용자의 의료진, 시설, 진료, 간병에 대해 개별 점수 및 평점, 학대/사건 신고 수, 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는 노인 병의원 시설 비교 추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보면, 비교검색부(220)에서 질환을 기반으로 검색된 병의원 시설들을 평가 항목별로 비교하고 추천제공부(230)에서 비교 리스트와 함께 최적의 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교 리스트를 보면, 병원별로 사용자 평점, 요양등급, 평균진료비, 의사 및 간호사 1인당 환자수, 응급실 여부, 학대/사건신고 건수 등을 표기하고 이중 추천 병원을 표기할 수 있다. 추천제공부(230)는 평점이 가장 높은 병원을 자동 추천할 수 있으며 평가 항목별 사용자 설정 우선순위에 따라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및 피보호자는 선호하는 맞춤 병의원 시설을 추천받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돌보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노인 돌보미 구인 요청을 입력받는다(단계 S610). 이때, 사용자는 돌보미 구인 목적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활 도우미 목적인지 전문 간병인 목적인지를 입력할 수 있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돌보미 구인 요청에 따라, 사용자 DB(215)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질환을 분석하고 분석한 사용자 질환을 기반으로 돌보미 인력 DB(213)에 등록된 돌보미를 검색하고(단계 S620), 검색한 돌보미들 중 사용자의 거주지 및 돌보미 구인 목적에 매칭되는 돌보미를 필터링하여 추천한다(단계 S630).
추천 돌보미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돌보미에 대해 돌보미 인력 DB(213)에서 상세 이력을 읽어 들여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제공한다(단계 S640). 사용자는 추천받은 돌보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돌보미에 대한 상세 이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돌보미의 사진을 포함한 인적사항, 학력 및 경력사항, 희망근무조건, 자기소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추천 돌보미에 대한 다른 사용자가 직접 적은 후기를 통해 검증한다(단계 S650). 사용자 및 피보호자는 추천받은 돌보미 중 선택한 돌보미의 후기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
도 7의 (가) 내지 (다)는 도 6에 있는 돌보미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로, (가)는 돌보미 검색 화면이고, (나)는 돌보미 상세 이력을 제공하는 화면이고, (다)는 돌보미 사용자 후기를 통한 검증 화면이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돌보미 구인 요청한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도 7의 (가)에 보여진 바와 같이 돌보미 검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가)를 보면, 서비스 및 지역에 따른 돌보미를 사용자가 직접 검색할 수 있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사용자의 돌보미 구인 목적(예를 들면, 생활도우미, 전문간병인)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 거주지에 따라 추천순, 평점순, 거리순으로 돌보미 리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리스트 상에 나열된 돌보미 중 하나가 선택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선택된 돌보미에 대해 상세이력을 돌보미 인력 DB(213)로부터 읽어들여 도 7의 (나)처럼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나)를 보면, 상단에 해당 돌보미 사진이 표시되고, 그 하단에 학력/경력 사항, 희망근무조건, 자기소개를 포함한 상세정보가 표시되고, 최하단에 문의사항 및 신청하기 메뉴가 표시되어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돌보미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직접 적은 후기 보기가 선택되면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해당 돌보미에 대해 다른 사용자 후기를 돌보미 인력 DB(213)로부터 읽어들여 도 7의 (다)처럼 사용자 단말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다)를 보면, 돌보미의 친절, 전문, 정시, 추천에 대해 개별 점수 및 평점, 학대/사건 신고 유무, 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인 돌봄을 믿고 맡길 수 있는 돌보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8의 (가) 내지 (다)는 도 2에 있는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환자 돌봄 내역 관리 서비스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로, (가)는 유의사항 관리 화면이고, (나)는 돌보미 알림장 화면이고, (다)는 진료/돌봄 이력 관리 화면이다.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120)는 병의원 시설, 돌보미, 보호자 등의 모바일앱이나 웹사이트 접속이 가능한 단말에 도 8의 (가)에 보여진 바와 같이 환자 유의사항 관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가)를 보면, 약 복용 및 환자 상태 체크사항 등의 필수항목 및 참고사항을 기록하여 환자 돌봄시 유의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유의사항 항목들에 확인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나)처럼, 돌봄 일정 및 관리 알림장을 운영하여 돌봄내역이나 진료내역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 8의 (다)처럼 날짜별로 진료 내역 및 특이사항을 기록하여 체계적인 돌봄 히스토리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료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노인의 진료내용을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돌보미가 바뀌더라도 돌봄 이력을 통해 이전 돌보 이력을 확인하고 동일한 돌봄을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시스템
110: 병의원 시설 정보 제공장치
120: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130: 사용자 단말장치
210: 데이터베이스(DB)부
211: 병의원 시설 정보 DB 213: 돌보미 인력 DB
215: 사용자 DB 217: 돌봄 이력 DB
220: 비교검색부 230: 추천제공부
240: 돌봄이력관리부 250: 제어부

Claims (8)

  1. 병의원 시설 정보, 돌보미 인력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돌봄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부;
    사용자 질환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DB)부로부터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인력 정보를 검색하는 비교검색부;
    상기 비교검색부의 검색결과로부터 사용자와 매칭되는 병의원 시설 정보 및 돌보미 정보를 추천하는 추천제공부;
    사용자 돌봄 관리시 유의사항 및 사용자 돌봄시 발생하는 특이사항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돌봄 이력 관리부; 및
    질환을 기반으로 노인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를 검색하여 추천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비교검색부 및 추천제공부를 제어하고, 돌봄 및 진료 이력을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돌봄 이력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요양병원, 노인복지시설, 일반병원을 포함한 병의원 시설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병의원 시설 정보로 저장하는 병원의 시설 정보 DB;
    돌보미 인적사항, 학력 및 경력사항, 희망근무조건, 사용자 작성 후기를 포함한 돌보미 인력 정보를 저장하는 돌보미 인력 DB;
    노인의 인적사항, 질환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및
    돌봄 및 진료 이력, 돌봄시 유의사항, 돌봄 및 진료 일정을 저장하는 돌봄 이력 DB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원 시설 정보 DB는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진료정보와 의료자원의 빅데이터를 토대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부터 질환을 분석하여 분석된 질환을 기반으로 상기 병의원 시설 정보로부터 병의원 시설 정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병의원 시설 리스트로부터 사용자와 유사한 기존 사용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와 유사한 특정 사용자의 선호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교차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색부는
    질환을 기반으로 병의원 시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병의원 시설들을 사용자 평점, 요양등급, 평균진료비, 의사 및 간호사 1인당 환자수, 응급실 여부, 학대 및 사건신고 건수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제공부는
    상기 비교검색부로부터 질환을 기반으로 비교 검색된 병의원 시설들 및 돌보미들 중 사용자 설정 가중치에 따른 우선순위로 병의원 시설 및 돌보미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제공부는
    사용자 거주지를 토대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병의원 시설을 추천 제공하고 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병의원 시설에 대해 상세정보, 병의원 시설을 사용한 사용자의 의료진, 시설, 진료, 간병에 대해 개별 점수 및 평점, 학대 및 사건 신고 수, 후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제공부는
    사용자 거주지 및 돌보미 구인 목적에 매칭되는 돌보미를 추천 제공하고 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돌보미에 대해 상세이력 및 사용자 후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180118007A 2018-10-04 2018-10-04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KR10212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07A KR102122591B1 (ko) 2018-10-04 2018-10-04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07A KR102122591B1 (ko) 2018-10-04 2018-10-04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97A true KR20200038597A (ko) 2020-04-14
KR102122591B1 KR102122591B1 (ko) 2020-06-26

Family

ID=7029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07A KR102122591B1 (ko) 2018-10-04 2018-10-04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9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55B1 (ko) * 2020-06-29 2020-12-15 주식회사 디엠피네트웍스 표준 진료비에 기반한 동물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404441B1 (ko) * 2021-11-17 2022-05-31 박지민 시니어 헬스 케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1600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두젠코리아 성형 플랫폼의 허위 후기 검증을 기반으로 하는 올바른 의료기관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기관 정보 공유 방법
KR102474660B1 (ko) * 2022-01-17 2022-12-06 송영희 노인요양 시설 정보 및 인력 정보를 제공하는 요양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508217B1 (ko) * 2022-05-19 2023-03-09 주식회사 미듦 요양 시설의 효율적 운영 지원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CN117745497A (zh) * 2024-02-21 2024-03-22 华南理工大学 基于数据分析的养老服务机构配置优化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02B1 (ko) 2020-09-14 2022-08-29 국립암센터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14829B1 (ko) 2020-09-14 2023-03-28 국립암센터 돌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2572B1 (ko) * 2021-10-19 2022-08-18 주식회사 원스텝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56143A (ko) 2021-10-20 2023-04-27 김흥선 IoT 항균등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64A (ko) *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 건강정보 기반의 환자대 환자관계 추천방법
KR101177662B1 (ko) *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9520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637017B1 (ko) 2016-01-21 2016-07-20 박성우 시술 맞춤형 병원 검색 시스템
KR20160134414A (ko) 2015-05-14 2016-11-23 이현민 빅데이터를 이용한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의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58141A (ko) * 2015-11-18 2017-05-26 김진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20180025498A (ko)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64A (ko) *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 건강정보 기반의 환자대 환자관계 추천방법
KR101177662B1 (ko) *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9520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60134414A (ko) 2015-05-14 2016-11-23 이현민 빅데이터를 이용한 돌봄보호자와 돌봄지원자의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58141A (ko) * 2015-11-18 2017-05-26 김진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
KR101637017B1 (ko) 2016-01-21 2016-07-20 박성우 시술 맞춤형 병원 검색 시스템
KR20180025498A (ko)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55B1 (ko) * 2020-06-29 2020-12-15 주식회사 디엠피네트웍스 표준 진료비에 기반한 동물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1600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두젠코리아 성형 플랫폼의 허위 후기 검증을 기반으로 하는 올바른 의료기관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의료기관 정보 공유 방법
KR102404441B1 (ko) * 2021-11-17 2022-05-31 박지민 시니어 헬스 케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3932B1 (ko) * 2021-11-17 2023-01-02 박지민 시니어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시니어의 건강 관리 사항을 시니어 및 케어자에게 알리기 위한 시니어 헬스 케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3930B1 (ko) * 2021-11-17 2023-01-02 박지민 시니어와 케어자 간 보살핌 정도에 따른 관계 지수를 산출하여 선정된 우수 케어자 및 시니어에게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니어 헬스 케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4660B1 (ko) * 2022-01-17 2022-12-06 송영희 노인요양 시설 정보 및 인력 정보를 제공하는 요양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508217B1 (ko) * 2022-05-19 2023-03-09 주식회사 미듦 요양 시설의 효율적 운영 지원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CN117745497A (zh) * 2024-02-21 2024-03-22 华南理工大学 基于数据分析的养老服务机构配置优化方法及系统
CN117745497B (zh) * 2024-02-21 2024-04-30 华南理工大学 基于数据分析的养老服务机构配置优化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91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591B1 (ko)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Brown et al. Smartphone-based health technologies for dementia car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current practices
Bryant et al. Acute and chronic wounds: current management concepts
Young et al. “Willing but unwilling”: attitudinal barriers to adoption of home-based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Iezzoni et al. Satisfaction with quality and access to health care among people with disabling conditions
Kao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 of physician payment and patient trust
Maeng et al. Care coordination for the chronically ill: understanding the patient's perspective
Bushby et al. Ethical tension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 scoping review
Joseph et al. Key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lehealth projects
Aharony et al. Patient satisfaction: what we know about and what we still need to explore
Cleary et al. Professional carers’ experiences of caring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ement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Burke et al. The transition of adolescents with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or epilepsy from paediatric health-care services to adult health-care services: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ynthesis of the evidence
Jensen et al. Strengthening the dementia care triad: identifying knowledge gaps and linking to resources
Nijhof et al. An evaluation of preventive sensor technology for dementia care
Schneider et al. Negotiating care: patient tactics at an urban South African hospital
KR20210153845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aven et al. Vulnerable patients’ perceptions of health care quality and quality data
KR20210153878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McNamara et al. Creating person-centred suppor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end of life: An Australian qualitative study of unmet needs and strategies
Mantler et al. Integration of primary health-care services in women’s shelters: A scoping review
O’Malley et al. Receiving a diagnosis of young onset dementia: Evidence-based statements to inform best practice
Fitton et al. Restrai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critical review of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ts use
Ruiz et al. Care coordination models improve quality of care for adults aging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KR20210153869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추천 영양소와 비추천 영양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Hendriks et al. Clients’ perspective on quality of audiology care: development of the Consumer Quality Index (CQI)‘Audiology Care’for measuring client exper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