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72B1 -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72B1
KR102432572B1 KR1020210139567A KR20210139567A KR102432572B1 KR 102432572 B1 KR102432572 B1 KR 102432572B1 KR 1020210139567 A KR1020210139567 A KR 1020210139567A KR 20210139567 A KR20210139567 A KR 20210139567A KR 102432572 B1 KR102432572 B1 KR 10243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user terminal
rehabilitation
ta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가람
박장우
홍승표
신창용
윤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스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스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스텝
Priority to KR102021013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Bioet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위치, 검색어 및 태그를 포함하는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병원을 검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의료진, 병상수, 의료체계분류, 치료분야, 시설정보, 식단정보, 비급여보수표 및 치료재료대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수단 내 위치, 검색어 및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결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결과 리스트 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OTAL SERVICE FOR MEDICAL REHABILITATION HOSPITAL}
본 발명은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활요양병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상태알림 및 분할정산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의 의료기관 분류체계는 병원규모별로 설정되는데,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및 전문병원과, 병원, 의원 및 요양병원으로 나뉘어진다. 이때, 재활병원과 전문재활병원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및 전문병원의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재활요양병원과, 요양병원 및 요양원은 병원, 의원 및 요양병원 카테고리로 나뉘어진다. 재활병원은 급성기부터 회복기 환자의 재활과 내과적 치료를 담당하고, 요양병원은 회복기부터 유지기 환자의 관리와 유지돌봄을 담당한다. 재활병원은 담당 재활치료사의 일대일 재활치료 및 재활치료실의 의료장비가 많지만, 요양병원은 그룹단위의 재활치료가 이루어지고 회복기 이후의 환자가 많아 물리치료실이 없는 병원이 대다수이다. 또, 재활병원은 재활의학과, 신경과 및 내과의사가 상주하고 급성기 환자의 돌발상황을 대비하지만, 요양병원은 파견형식으로 상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재활병원은 개인간병 및 공동간병실을 함께 운영하지만 요양병원은 공동간병 위주로 운영된다.
이때, 환자를 병원 간 트랜스퍼하거나 환자의 건강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0-0108538호(2020년09월21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9-0067299호(2009년06월25일 공개)에는, 환자를 인계하기 위해 협진병원 리스트를 출력하고, 협진병원 리스트 내에서 환자를 의뢰할 협진병원을 결정하며, 결정된 협진병원으로 환자 트랜스퍼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중개하는 구성과, 의료시설에서 획득되는 검진데이터를 토대로 치료, 건강관리 및 재활을 관리하고, 각 재활시설로 검진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별 체계적이면서도 일원화된 관리가 가능한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일반인이 병원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플랫폼이 아니고, 후자의 경우에도 하나의 병원 내에서 환자의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것에 지나지 않아 일반인이 병원을 검색할 때 이용가능한 구성이 아니다. 2011년 이후 병원급 의료기관으로서 특정질환 또는 진료과목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을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재활전문병원이 생겨났지만, 재활병원, 재활전문병원, 재활요양병원 등 용어가 혼재되고 각 병원에서 마케팅 수단으로 진료과목이나 대상을 확대하여 홍보하고 있어 정보비대칭 및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또, 병원 간 차별화를 위하여 동일한 치료를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의료체계를 모르는 일반인이 재활병원을 선택하기가 곤란하고, 의료체계를 알더라도 워딩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그 병원에 입원하거나 근무를 하고 있는 내부인이 아니라면 정보를 알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재활요양병원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요양병원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내부시설을 비대면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에게 필요한 환자용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환자용품몰(Mall)을 부가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병원까지 배송될 수 있도록 하고, 치료비용을 정산할 때 치료비 분할납부절차를 지원하여 가족끼리 분할된 금액만큼 결제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환자의 상태를 대면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묻는 것이 아니라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환자상태를 알림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가족이나 보호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검색어 및 태그를 포함하는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병원을 검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의료진, 병상수, 의료체계분류, 치료분야, 시설정보, 식단정보, 비급여보수표 및 치료재료대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수단 내 위치, 검색어 및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결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결과 리스트 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재활요양병원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내부시설을 비대면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에게 필요한 환자용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환자용품몰(Mall)을 부가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병원까지 배송될 수 있도록 하고, 치료비용을 정산할 때 치료비 분할납부절차를 지원하여 가족끼리 분할된 금액만큼 결제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환자의 상태를 대면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묻는 것이 아니라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환자상태를 알림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가족이나 보호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재활요양병원을 검색하는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로부터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위치, 검색어 및 태그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검색엔진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환자물품몰(Mall)을 구축하여 각 병원에 입소한 환자에게 필요한 물품을 배송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다른 가족 등 결제자 단말(미도시)이 진료비 또는 치료비를 분할하여 납부할 수 있도록 1/N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병원 단말(400)로부터 환자상태를 업로드받고 사용자 단말(100)로 환자상태 메시지 또는 알람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재활병원-요양병원의 구분을 업데이트하고, 재활병원 중 재활전문병원이 고시되는 경우 공고를 웹크롤러로 수집하여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병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병원 단말(400)은,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병원정보를 등록하고 환자 상태를 업데이트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금액을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전송부(320), 출력부(330), 몰(Mall)관리부(340), 분할결제부(350), 환자상태알림부(360), 리뷰관리부(370), 질환검색부(380), 상급병원주변검색부(390), 내주변검색부(391), 지역검색부(393) 및 업데이트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로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은,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로부터 의료진, 병상수, 의료체계분류, 치료분야, 시설정보, 식단정보, 비급여보수표 및 치료재료대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의료체계분류는,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분류일 수 있다. 이때,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로부터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진행할 때, 기 저장된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400)로부터 선택받는 방식으로 병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병원정보는 기 설정된 태그를 통하여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예를 들어, 도 4d의 진료구분 내에서는 뇌신경계, 척수손상, 근골격계, 소아, 순환계, 호흡계 등이고, 병원분류에서는 병원, 요양병원 및 한방병원 등이며, 특장점 내에서는 혈액투석, 응급실 운영, 로봇재활, 수치료실, 도수치료, 민중병원, 공통간병인, 관절전문, 통합간병인, 건강검진센터운영, 호흡기재활, 외래전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태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등록되는 병원정보에 따라 새로 생성되거나 변경 또는 삭제될 수도 있는 유동적인 분류자일 수 있다.
데이터의 정제와 분류를 위해서는 정보자원의 분석이 요구되나, 다양한 종류의 병원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서로 다르고,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등이 서로 다름에 따라 각각의 병원에서 기 설정된 태그로 자신의 정보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 태그(선택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플랫폼에서는 기타 박스를 생성하고, 기타에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기재된 데이터를 태그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을 벡터 형태로 표현한 후 벡터 형태로 표현된 기타 박스의 단어 및 문장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클러스터링이란 텍스트 마이닝과 정보검색이론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비지도학습 방법이며, 군집화 방법에 따라 계층구조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분할구조 클러스터링(Partitional Clustering), 그리고 스펙트럼구조클러스터링(Spectral Clustering)으로 나누어진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군집화(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알고리즘과 K-평균 알고리즘이 있는데, K-평균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 클러스터링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효율적인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군집화 성능보다 효율성에 더 초점을 맞추어 K-평균 알고리즘을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향식 계층군집화 알고리즘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K-평균 알고리즘은, 벡터 공간 내의 K 개의 중심점을 K 개의 클러스터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각 벡터의 코사인 유사도 산출을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K-평균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Bisecting, Antipole, Multipole 등의 다양한 확장 알고리즘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의 형태소 분석 및 불용어 제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을 가지고 K-평균를 수행하기 위해 기타 박스에 기재된 데이터들은 클러스터링 수행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어 및 문장을 벡터로 변환하는 수치화 작업을 진행한다. 수치화 작업을 위하여 단어 및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며, 그 결과 형태소 하나하나가 한 벡터의 차원을 이루게 된다. 해당 형태소의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의 벡터 요소들은 1 또는 0의 값을 가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태그 풀(Tag Pool)을 생성하는 것이다. 단어 및 문장이 기재된 기타 박스 간의 거리 측정 및 비교 가능한 기준은 벡터 곱을 통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모든 형태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벡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표준벡터로 모든 기타 박스로부터 추출된 태그 풀을 사용할 수 있다. 태그 풀은, 모든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태그들을 중복 없이 모두 담고 있는 풀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태그의 계층구조를 제작하는 과정인데, 태그 계층구조는 앞서 제작한 태그 풀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태그 계층구조 생성을 위한 벡터는 태그 풀의 요소를 서로 비교하면서 임의의 태그들이 동일한 태그 풀에 포함된 경우가 몇 번 있는가에 따라 벡터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의료분류체계 또는 동일한 진료과목을 가진 병원에서 하나의 기타 박스에 입력한 단어 및 문장에서 임의의 두 태그를 동시에 입력한 정도에 따라 벡터값이 부여된다. 이러한 방식을 따라 산출된 각각의 태그 벡터들은 단위벡터로 변환 후 K-평균를 통해 클러스터링 되고, 군집 분석을 통해 유사도가 높은 벡터들끼리 그룹화하여 몇 개의 태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위와 같은 클러스터링 작업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전체 태그 집합에 대한 태그 계층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계산해야 하는데,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군집화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준비 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각각의 기타 박스가 서로 얼마나 닮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태그 계층구조를 태그 벡터에 반영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계산된 값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부여되는 벡터 값은 예를 들어, Leacock-Chodorow Measure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acock-Chodorow Measure는 0부터 무한대까지의 값으로 어휘 유사도를 표현하기 때문에, 태그 벡터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클러스터링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각 기타 박스를 묶는 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태그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첫 클러스터링 K 값의 결정을 위해, K-평균 클러스터링 적용할 때, 군집화 결과 그룹의 개수(K)는 군집화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 K는 정적인 변수로 설정되어 그 개수에 맞추어 클러스터링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병원의 방향성, 특이성으로 인하여 다른 방향의 태그를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면 일정한 K 값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에 따른 각기 다른 태그에 따라 각기 다른 K 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K-평균은 최적의 클러스터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군집을 재생성한다. 즉, K-평균에 의해 일단 클러스터가 생성되면 클러스터된 모든 그룹들에 대하여 중심 값을 다시 계산하고 모든 태그 풀을 대상으로 K 개의 클러스터에 순서대로 벡터 곱을 수행한다. 그 후 수행결과 벡터 곱이 가장 컸던 그룹에 다시 그 태그 풀을 배정하며 마지막 태그 풀까지 벡터곱과 배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새로운 클러스터링 결과가 산출되면 다시 중심 값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클러스터링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종료 시점은, 새롭게 형성된 결과들이 직전의 클러스터링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을 때이다.
전송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수단 내 위치, 검색어 및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결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과 리스트 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위치, 검색어 및 태그를 포함하는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병원을 검색할 수 있다.
몰관리부(340)는, 환자전용몰(Mall)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병원을 선택한 후 상품을 주문 및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병원을 배송지로 상품을 배송처리할 수 있다. 이때, 처음 부상을 당해서 재활치료를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초기에 재활병원에 입소할 때 무엇이 필요한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몰관리부(340)는 협업필터링 또는 상황인지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은 상황의 반영 방법에 따라 크게 Contextual Pre-Filtering, Contextual Post-Filtering, Contextual Modeling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Contextual Pre-Filtering은 U×I×C×R 로 구성된 데이터에서 현재 주어진 상황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선별해 U×I×R 데이터를 구성한 후, 여기에 기존의 추천기법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U는 사용자(User), I는 상품(Item), C는 상황(Circumstance), R은 점수(Rating)이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제공할 때 "발목부상재활 정보"에 따른 상황인지 추천을 적용할 때 Contextual Pre-Filtering을 수행한다면, 발목부상재활과 유사한 상황에 아이템을 소비한 데이터를 선별해 2차원 행렬을 만든 후 기존 추천시스템을 적용하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Contextual Post-Filtering은 U×I×C×R 로 구성된 데이터에서 먼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여 U×I×R 로 구성된 데이터를 얻는다. 이 U×I×R 데이터에 기존 추천시스템을 적용하여 추천아이템을 선택한 후, 선택된 아이템들을 현재 상황 정보 C 에 대해 재평가하여 선호도 점수 또는 추천 목록을 재생성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도메인에 "발목부상재활 정보"에 따른 상황인지 추천을 적용할 때 Contextual Post-Filtering을 수행한다면, 저장된 사용자 정보(직업, 성향)에서 상황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호할 것이라 예측되는 광고 콘텐츠 목록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현 상황에서 소비되지 않을 것 같은 광고 콘텐츠들을 제거하거나 사용자의 상황(발목부상재활)에서 자주 소비되는 상품의 광고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추천이 제공된다.
Contextual Modeling은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 점수 예측 모델을 생성할 때 상황 정보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즉, 사용자, 아이템, 상황, 점수인 U×I×C×R 로 구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기 위한 함수 R(U,I,C)를 찾는 방법이다. Contextual Modeling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으로 Heuristic Distance-based Approach, Matrix Factorization-based Approach 등이 있다. Heuristic Distance-based Approach는 기존 추천시스템의 선호도 예측함수 R(U,I)를 상황 정보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R(U,I,C)로 확장한 방법이다. 이러한 Heuristic Distance-based Approach의 한 예로 수학식 1은 기존의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을 나타내며, 이에 상황 정보를 함께 고려하는 Contextual Modeling 방식은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1119730299-pat00001
Figure 112021119730299-pat00002
수학식 1에서 (bar)ru는 는 사용자 u의 평균 선호도 점수이며, U는 사용자 u와 유사한 선호도를 갖는 이웃의 집합이고, sim(u,v)는 사용자 u와 v의 유사도이다. 즉, pred(u,i)는 다른 사용자들이 아이템 i에 갖는 선호도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u의 아이템 i에 대한 선호도 점수를 계산한다. 수학식 1에 상황 정보인 c를 추가하여 확장한 방법은 수학식 2와 같다. 즉, 사용자와 선호도 점수뿐 아니라 상황 정보가 유사한 이웃 사용자들의 집합을 이용한다. 이때 sim((u,c),(v,k))는 상황 c에 있는 사용자 u와 상황 k에 있는 사용자 v의 유사도를 나타내는데, 거리함수의 역수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간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도메인 전문가인 큐레이터를 통하여 사전 지식을 통한 거리함수의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Matrix Factorization은 주어진 행렬을 분해한 뒤 다시 조합하는 기법으로, 데이터에 존재하는 latent factor를 모델링하여 데이터의 복잡도를 완화시켜 추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에서는 2차원 행렬을 분해하는 기법도 사용되지만, 데이터가 주로 3차원 이상의 행렬로 표현되기 때문에 3차원 이상의 행렬을 분해하는 Tensor Factorization 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사용자, 아이템, 상황 정보로 이루어진 3차원 행렬은 3개의 2차원 행렬 U,I,C 와 Core Tensor인 3차원 행렬 S로 분해되며, 이를 이용하여 선호도 점수 예측을 위하여 수학식 3을 이용한다.
Figure 112021119730299-pat00003
이와 같은 Matrix Factorization-based Approach는 다른 방법론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계산 복잡도가 비교적 높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고차원 행렬로 표현하지 않고, 각 데이터와 모든 정보(사용자, 광고, 상황 정보)로 구성된 2차원 형태의 행렬로 표현한 후 선호도를 클래스 정보로 삼아, Support Vector Machines과 Matrix Factorization을 결합한 형태인 Factorization Machines을 적용하여 상황인지 추천시스템의 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상황 정보의 차원이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황 정보를 잠재 벡터로 표현함으로써 일반화를 시키는 COT(Contextual Operating Tensor)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분할결제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병원을 선택한 후 분할결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자 단말로 분할된 비용을 결제요청하고,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병원의 병원 단말(400)로 정산처리할 수 있다. 이때, 분할결제는 할부납부가 아니다. 분할결제는 여러 명이 하나의 비용을 나누어 내는 1/N 결제를 의미한다. 다만, 각 가족의 상황이나 형편에 따라 균등하게 1/N 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설정한 금액만큼 결제자 단말에서 결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자상태알림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병원의 병원 단말(400)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환자상태알림부(360)는, 각 병원 단말(400)에서 진료기록 등을 EMR 또는 EHR로 기록하는 경우 즉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안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보호법 제30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 제1항에 의거, 환자는 의료기관에 자신에 관한 기록의 열람 또는 그 사본의 교부 등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환자 이외의 사람이 환자에 관한 기록의 열람 등을 통한 그 내용의 확인은 금지된다. 이때, 시행규칙 제13조의2제1항에 따라 환자의 배우자, 직계 존속·비속 또는 배우자의 직계 존속이 환자 본인의 동의서와 친족관계임을 나타내는 증명서 등을 첨부하는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추어 요청한 경우나, 시행규칙 제13조의2제2항에 따라 기록열람이나 사본발급을 요청하는 자의 신분증 사본 등이 첨부된 경우 등인데, 이러한 과정을 모두 거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상태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상태알림부(360)는, 각 병원 단말(400)에서 직원이 입력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환자의 상태를 IoT(Internet of Things)로 측정한 후 이를 수치 자체만을 보내주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인 피보호자, 즉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한 후 상태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면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phy)는 피부 표면에서 근전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인데, 표면 근전도 신호의 최대 자발적 수축값과 중앙 주파수를 이용하면 근육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재활환자는 대부분 잘 걷지 못하거나 일어나지 못하는 등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표면 근전도로 측정된 값을 [표면근전도 수치-상태 키워드]로 매핑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태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해주는 경우, 사용자는 환자가 해당 기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즉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최대 자발적 수축값은 해당 근육이 최대로 수축할 때 해당 근육에서 측정된 근전도 시간신호에 대한 평균제곱근으로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자발적 수축값은 환자의 생체적 특성에 따라 측정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값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별로 정규화된 %MVC(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최대 자발적 수축)을 구하여 사용할 수 있다. %MVC는 최대 자발적 수축값에 대하여 특정한 동작에 대한 근육 수축값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동작을 하는 동안에 측정된 %MVC가 감소하였다면 활성화된 근육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재활치료를 받는 기간동안 호전되는 상태를 표면근전도 신호로 모니터링이 가능한데, 환자가 90도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N 회 실시하면서 %MVC를 측정한다고 전제한다. 이때, 재활기간이 길어질수록 %MVC가 감소한다면 환자의 근육상태는 호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운동을 반복하면서 근육이 피로해지는 현상을 표면근전도의 중앙주파수값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동일한 동작을 시행하면서 표면근전도 신호에 대한 중앙주파수 값이 감소한다면 반복동작에 의해 피로도가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이때, 재활기간이 길어질수록 중앙주파수 값이 감소하는 정도가 적다면 근육상태가 호전되고 있다는 것을 역시 의미할 수 있다.
리뷰관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병원을 선택하고 결제를 진행한 경우, 리뷰 및 평점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뷰 및 평점을 기재한 경우 선택된 병원의 리뷰 및 평점 데이터로 누적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리뷰를 받을 때에도 어떠한 점이 좋고 나빴는지에 대하여 태그를 선택한 후 각 태그마다 별점이나 리뷰를 쓸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설, 친절도, 간병인의 수, 청결함, 식사 등으로 세부적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도 4q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질환검색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위한 질환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질환검색 메뉴의 하위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하위 카테고리에서 질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병원을 리스트업하고, 필터 내 진료구분, 의료체계분류 및 특장점 태그를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필터 내 태그를 선택받는 경우, 태그에 대응하는 병원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도 4b 내지 도 4d와 같을 수 있다.
상급병원주변검색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위한 상급병원주변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급병원명을 입력받거나 상급병원 태그를 선택받고, 입력된 상급병원명 또는 선택된 상급병원 태그에 대응하는 병원 리스트를 추천순 또는 거리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내주변검색부(39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위한 내주변 메뉴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병원을 리스트업하면서 사용자 단말(100)과의 거리를 출력할 수 있다.
지역검색부(393)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위한 지역 메뉴가 선택된 경우, 지역, 지하철 및 병원명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병원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이는 도 4e 및 도 4f와 같을 수 있다.
업데이트부(395)는, 재활전문병원의 지정공고가 발표되는 주기마다 웹크로러를 이용하여 재활전문병원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최근 공고주기가 3년에서 1년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예를 들어 1년마다 공고를 모니터링하여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의료체계분류는, 재활전문병원, 재활병원 및 재활요양병원의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요양병원을 찾기 이전에 병원에서 진단을 확정받을 때 문진, 검사 및 진단확정의 프로세스를 거쳐 병명을 진단받게 되는데, 간단한 문진이나 검사 등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장비가 필요없는 검사, 예를 들어 특정자세를 취해보라고 가이드를 준 후, 사용자가 특정자세를 취하는 경우 이 자세를 보고 재활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이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태를 특정하고 해당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소개할 수 있다. 각 자세를 취할 수 있는지 각 관절마다 어떠한 가동범위가 나오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하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OpenPose Library>
OpenPose는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개발한 라이브러리로 사진 또는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여러 사람들의 동작에서 몸, 손, 그리고 얼굴 형태의 포인트를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을 사용해 비디오 프레임을 처리하면서 개인과 연관시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기존의 Haar기법을 사용하여 각 관절을 분류하려면 정면 영상이 필요하지만 OpenPose를 사용하여 정면과 측면에 구애받지 않고 몸체를 분류할 수 있다. Open Pose는 일반 카메라로도 사람의 스켈레톤 데이터를 따올 수 있게 만든 딥러닝 네트워크이다. 우선 Vgg-19 Network의 앞에서부터 10개 계층(Layer)을 통과한 이미지 데이터는 특징(feature)이 강조된 형태로 출력(Output)된다. 그리고 해당 출력은 1~6 스테이지(Stage)의 입력으로 활용되어 Affinity Field와 Confidence Map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각 단계에서 Ground Truth 라는 레이블(Label)과 비교를 통해 손실(Loss)을 구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형태로 네트워크(Network)를 학습시킨다.
몸체 탐지(Body Detecting)를 위한 이미지 입력은, 배치(Batch)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가 Vgg-19 Network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이미지는 네트워크를 통과하고 나면 특징점이 강조된 데이터(Data)로 나오게 된다. 이제 이 데이터를 스테이지의 입력으로 넣는다. 입력 이미지에서 각 몸체 부분 추출에서, 스테이지의 입력으로 넣게 되면 2 개의 가지를 쳐서 각각 Confidence Map과 Affinity Field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Confidence Map은 이미지 속 사람의 관절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하고 Affinity Field는 이미지에서 추출된 관절의 주인이 누구인가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Confidence Map을 통과한 사람 관절 파악에서는, 학습 초기 단계에서 입력 이미지에 따른 별 의미 없는 특징을 추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 특징을 Human Pose Data와 비교하고 그 차이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최적화를 진행하게 되면 특징점(Feature)들은 점점 사람의 관절 위치를 가리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각 관절의 가동범위나 자세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재활정도를 예측하거나 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도 3b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c 내지 도 3e와 같은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4a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하기 위해 질환검색을 선택하면 하위메뉴로 우측과 같은 질환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출력되며, 도 4c에서 자신의 위치를 선택하거나 지역을 선택하도록 하고 리스트업된 병원에서 도 4d와 같이 다시 태그를 적용하여 원하는 조건을 가진 병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태그를 더하는 AND 연산 이외에도 NOT 연산자도 함께 포함하여 서로 다른 조건인데 같은 결과로 나오는 것들을 배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e와 같이 지역을 검색하면, 도 4f와 같이 지하철, 지역 및 병원명을 나누어 보여줄 수 있도록 하고, 도 4g와 같이 병원 페이지에는 진료과목이나 특장점에 대한 태그를 출력할 수 있고, 도 4h와 같이 네비게이션이나 택시를 따로 호출할 필요없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i와 같이 상담을 신청할 때에도 어떠한 종류의 상담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병원소개를 도 4j와 같이 몇 명의 의료진이 있고 병상수는 몇 개인지 도 4k와 같이 어떠한 기구나 장비를 갖추고 있는지, 도 4l과 같이 진료시간은 요일별로 언제까지이며, 도 4m과 같이 주차가능대수는 몇 대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n과 같이 각 병실정보도 함께 제공하는데 이미지, 사진, 동영상, VR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4o 및 도 4p와 같이 비급여항목이 무엇인지 또 이에 따른 가격은 얼마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q와 같이 리뷰나 평점을 세분화하여 받음으로써 별점이 예를 들어 3 점이었다면 어떠한 점 때문에 2 점이 깎인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의료진, 병상수, 의료체계분류, 치료분야, 시설정보, 식단정보, 비급여보수표 및 치료재료대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100).
그리고,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수단 내 위치, 검색어 및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결과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결과 리스트 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위치, 검색어 및 태그를 포함하는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병원을 검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의료진, 병상수, 의료체계분류, 치료분야, 시설정보, 식단정보, 비급여보수표 및 치료재료대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검색수단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검색수단 내 위치, 검색어 및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치하는 결과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과 리스트 내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병원의 병원 단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환자상태알림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병원을 선택하고 결제를 진행한 경우, 리뷰 및 평점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리뷰 및 평점을 기재한 경우 선택된 병원의 리뷰 및 평점 데이터로 누적하여 업로드하는 리뷰관리부, 재활전문병원의 지정공고가 발표되는 주기마다 웹크롤러를 이용하여 재활전문병원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는,
    뇌신경계, 척수손상, 근골격계, 소아, 순환계 및 호흡계를 포함하는 진료구분과, 병원, 요양병원 및 한방병원을 포함하는 병원분류와, 혈액투석, 응급실 운영, 로봇재활, 수치료실, 도수치료, 민중병원, 공통간병인, 관절전문, 통합간병인, 건강검진센터운영, 호흡기재활 및 외래전문을 포함하는 특장점을 포함하며,
    상기 환자상태알림부는,
    상기 병원 단말에서 진료기록을 EMR 또는 EHR로 기록할 때, 미리 설정된 법적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안내하고, 상태 알림 시 환자의 상태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한 후 상태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상기 병원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기저장된 태그 중 상기 병원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태그를 근거로 상기 병원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리뷰관리부는,
    어떠한 점이 좋고 나빴는지에 대하여 태그를 선택한 후, 선택된 태그마다 별점이나 리뷰를 쓸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토탈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기저장된 태그 중에서의 태그 선택 대신, 상기 병원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기타 박스에 단어 및 문장을 기재할 때, 상기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을 벡터 형태로 표현한 후 벡터 형태로 표현된 기타 박스의 단어 및 문장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새로운 태그를 생성하며, 특정자세 취하기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상기 특정자세 취하기에 따라 재활정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재활정도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태를 특정하고, 사용자의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소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9567A 2021-10-19 2021-10-19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67A KR102432572B1 (ko) 2021-10-19 2021-10-19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67A KR102432572B1 (ko) 2021-10-19 2021-10-19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572B1 true KR102432572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67A KR102432572B1 (ko) 2021-10-19 2021-10-19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5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18B1 (ko) * 2015-08-04 2016-03-02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5025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앤제이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2122591B1 (ko) * 2018-10-04 2020-06-26 박재병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KR102203518B1 (ko) * 2020-05-29 2021-01-1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데이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병원비 결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3680B1 (ko) * 2021-01-05 2021-07-06 (주)메디스쿨 병원 홍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18B1 (ko) * 2015-08-04 2016-03-02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5025A (ko) * 2015-08-27 2017-03-08 (주)엘앤제이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2122591B1 (ko) * 2018-10-04 2020-06-26 박재병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KR102203518B1 (ko) * 2020-05-29 2021-01-1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데이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병원비 결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3680B1 (ko) * 2021-01-05 2021-07-06 (주)메디스쿨 병원 홍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n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for elderly care: a reflective review
KR102162522B1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Broens et al. Determinants of successful telemedicine implementations: a literature study
Varshney Pervasive healthcare
Luft et al. Does quality influence choice of hospital?
Helal et al. Smart home-based health platform for behavioral monitoring and alteration of diabetes patients
Tseng et al. Designing an intelligen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exploring user acceptance for the elderly
Bedón-Molina et al. A home-based smart health model
Nightingale et al. Apartheid medicine: Health and human rights in South Africa
Cohen et al. The potential of object-relations theory for improving engagement with health apps
Rodrigues et al. Mobile health platform for pressure ulcer monitoring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 integration
Alepis et al. M-health: supporting automated diagnosis and electonic health records
Kanrar et al. E-health monitoring system enhancement with Gaussian mixture model
Páez et al. Big data processing using wearable devices for wellbeing and healthy activities promotion
Carlson et al. Problems in treating the lower-class psychotic
Weine From war zone to contact zone: Culture and refugee mental health services
Bansal et al.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health informatics
Glasheen et al. The spectrum of community-based hospitalist practice: a call to tailor internal medicine residency training
KR102432572B1 (ko)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Liang et al. Construction of emotional intelligent service system for the age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hinnasamy et al. Health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KR20220039555A (ko)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방법, 그 기록매체
KR102550404B1 (ko)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iaz et al. Geriatric assessments in older adults with cancer
Daramola et al. Semantic integration of multiple health data for treatment decision-making in low-resource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