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404B1 -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404B1
KR102550404B1 KR1020200135455A KR20200135455A KR102550404B1 KR 102550404 B1 KR102550404 B1 KR 102550404B1 KR 1020200135455 A KR1020200135455 A KR 1020200135455A KR 20200135455 A KR20200135455 A KR 20200135455A KR 102550404 B1 KR102550404 B1 KR 10255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data
nursing
servi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716A (ko
Inventor
나병복
Original Assignee
나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복 filed Critical 나병복
Priority to KR102020013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4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Abstract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요양 서비스의 수가 및 내용을 포함한 요양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 병증의 종류 및 강도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을 선택하여 보험상품을 추천받는 사용자 단말 및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부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SURANCE SERVICE BY QUALITY GRADING OF NURSING HOME}
본 발명은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요양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과 내용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고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화하는 보험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취약하여 스스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가 힘든 노인들에게 장기적인 기간 동안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이다. 한국의 문제는 사실 건강보험에서 간병에 대한 보장성이 낮다는 것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한국 내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올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연계된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한국은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도입하기 전까지, 장기요양이 필요한 개인에 대해 공적 서비스를 저소득층에게만 제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제로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질병치료와 장기요양이 둘 다 필요한 노인은 여전히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즉, 건강보험급여를 포기하고 장기요양급여를 선택하든지, 장기요양급여를 포기하고 건강보험급여를 선택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때, 장기요양보험을 중개하거나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0-0045881호(2020년05월06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75564호(2015년12월08일 공고)에는, 서비스 수요자의 등록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중에서 서비스 수요자와 서비스 요구 조건이 상호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자를 결정하고, 서비스 수요자 및 결정된 서비스 제공자 간의 장기요양 서비스 일정을 생성하며, 장기요양 서비스 일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이용 금액에서 서비스 수요자의 본인부담금을 산출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서비스 이용 금액에서 본인부담금을 차감한 장기요양급여액의 지급을 요청하는 청구서를 국민건강보험공단서버로 전송하는 구성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장기요양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신청정보에 대해 등급판정을 수행하고, 기관시스템이 청구한 장기요양에 관한 급여비용에 대한 지급을 수행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요양병원에서는 일반병원보다는 간병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받을 수 있긴 하지만, 현재 간병급여를 건강보험에서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본인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연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개선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건강보험의 보장성 또한 개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정책이 논의되고 국민의 공감을 얻어 수립 및 시행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양자는 사설 보험에 의지하거나 개인의 자본으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요양병원에 있는 환자 중 경증환자가 중증환자보다 많은데 동일한 등급으로 보험요율이 적용되고 있어 부양자의 부담이 늘어만 가고 있다. 이에, 서로 다른 형태로서 사회적 위험을 포괄하는 요양병원에서 환자의 질병정도 및 요양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등급화된 보험상품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양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병증을 중증 또는 경증으로 나누고, 요양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과 양에 근거하여 등급을 매김으로써, 환자의 병증이 중증인지 또는 경증인지에 따라, 요양병원의 등급이 높은지 또는 낮은지에 따라 보험요율을 다르게 적용시킴으로써, 차별화된 보험상품을 출시함으로써 더 좋은 질의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은 더 많이, 낮더라도 필수 서비스만 원하는 사람은 더 적은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며, 국가에서 사회적 공적부조로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때 사회보장체제에 포함되지 않은 형태를 포괄할 수 있도록 사보험을 제공하되 그 서비스를 등급화 및 다각화함으로써 선택의 기회 및 폭을 넓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 서비스의 수가 및 내용을 포함한 요양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 병증의 종류 및 강도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을 선택하여 보험상품을 추천받는 사용자 단말 및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하는 등록부,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부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요양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병증을 중증 또는 경증으로 나누고, 요양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과 양에 근거하여 등급을 매김으로써, 환자의 병증이 중증인지 또는 경증인지에 따라, 요양병원의 등급이 높은지 또는 낮은지에 따라 보험요율을 다르게 적용시킴으로써, 차별화된 보험상품을 출시함으로써 더 좋은 질의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은 더 많이, 낮더라도 필수 서비스만 원하는 사람은 더 적은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며, 국가에서 사회적 공적부조로 사회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때 사회보장체제에 포함되지 않은 형태를 포괄할 수 있도록 사보험을 제공하되 그 서비스를 등급화 및 다각화함으로써 선택의 기회 및 폭을 넓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질환의 증상이나 중증도, 또 원하는 요양병원이나 요양기관의 서비스의 종류나 질 등을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을 추천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로부터 요양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수가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등급별 기준에 따라 각 요양병원을 분류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양병원의 등급과 환자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보험료를 책정하고 다양한 보험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요양병원의 등급이나 서비스의 종류나 질(Quality)을 선택하고, 질환의 중증도를 선택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을 추천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또,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불만사항이나 고충 등을 보험 단말(50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환자 또는 보호자)와 전문보험상담사 간 상담 후 전문보험상담사가 각 요양병원의 관계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요양기관 또는 요양병원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요양병원 서버(400)는, 요양병원에서 제공하는 시설의 종류, 진찰과목, 의료진, 서비스의 종류 및 수가 등을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등급이 부여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요양병원 서버(400)는 환자나 보호자(환자 가족 포함)의 고충을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보험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이를 히스토리 데이터로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보험상품을 추천해주거나 보험상품에 대하여 설명의무를 하는 보험설계사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저장부(320), 추천부(330), 판단부(340) 및 빅데이터화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로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이란, 동일한 보험상품인데 요율만 다르게 적용하는 상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보험상품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요양병원의 등급과 환자의 질환 중증도(경증, 중증 등)에 따라 요율이 서로 다르게 매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의 보험료는, 병증의 강도가 심하거나 종류가 희귀할수록 증가하고, 요양병원의 등급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보험상품이 각 조건에 대응하여 등록될 수 있다.
등록부(310)는 보험상품을 등록할 때 병증의 종류와 강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수를 더 고려하여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분류군은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환자분류 체계로 본래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신체기능저하군의 7개 환자군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문제행동군 및 의료경도의 건수가 소수에 불과해 문제행동군은 인지장애군으로, 의료경도는 신체기능저하군으로 통합하여 총 5개 환자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진료 관련 특성은 재원일수, 상병 개수, 입원 진료과, 전과 여부 총 4개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재원일수는 요양병원 입원료가 입원 181일째부터 360일째까지는 해당 점수의 95%를 산정하고, 입원 361일째부터는 해당 점수의 90%를 산정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30일 이하’, ‘31 ∼180일’, ‘181∼360일’, ‘361일 이상’의 4개 구간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혼자 거동이 불가하거나 불편한 경우에는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의 수나 종류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보험상품의 보험료를 산정하는데 추가되는 인자로 이용할 수 있다.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는 “인지장애군은 인지기능검사(K-MMSE 또는 MMSE-K) 결과 0∼19에 해당하는 경우에 산정한다”는 기준을 바탕으로 19점을 기준으로 각 5 점씩 구간화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이는 MMSE-K 점수에 따른 표준화 연구에 따른 ‘치매의심’을 20∼23점, 24점 이상을 ‘확정적 정상’으로 하는 연구 결과에 기반한다.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동작) 점수는 옷 벗고 입기, 세수하기, 양치질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체위변경하기, 일어나 앉기, 옮겨 앉기, 방 밖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의 총 10개 항목 중 4개 항목(식사하기, 체위변경하기, 옮겨 앉기, 화장실 사용하기)을 기능자립 정도에 따라 완전 자립은 「1점」, 감독 필요는 「2점」, 약간의 도움 필요는 「3점」, 상당한 도움 필요는 「4점」, 전적인 도움 필요 및 행위발생 안함은 「5점」으로 구분하여 점수를 준 후 합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환자분류군 중 신체기능저하군으로 세부분류된 ADL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4∼5점’, ‘6∼12점’, ‘13∼20 점’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수신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로부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 서비스의 수가 및 내용을 포함한 요양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요양 서비스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것과 적용되지 않는 것을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등급은 예를 들어, A,B,C,D와 같이 A로 가까울수록 서비스의 질이 높은 병원, Z에 가까울수록 서비스의 질이 낮은 병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등급과 질환의 중증도가 함께 매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추천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병증의 종류 및 강도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을 선택하여 보험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때, EHR은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상태나 진료기록을 기록해둔 전자 문서인데, 최근 2018년 9월 28일 의료법 개정으로 환자가 요청하는 경우 EHR 발급을 거부할 수 없도록 하면서 각 개인이 EHR을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험사에 자신의 진료기록을 모두 모아 추천부(340)에서 이를 해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가입가능한 보험상품을 뽑아내고, 그 후에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만족하는 보험상품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험 단말(500)로 해당 보험상품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거나 상담시간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환자 또는 환자가족의 불편사항이나 고충을 데이터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개선을 요청할 수 있다. 신체간호, 통증관리, 욕창 및 개인위생 서비스나, 정서지지, 약물투여 및 처치, 호흡증진, 영양관리, 오심과 구토, 삼킴곤란, 수면 및 휴식에 관한 서비스 등을 더 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보험설계사나 상담사가 수집하여 요양병원이나 지정요양기관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스피스 병동과 같은 곳에서는 정서적지지, 신체간호, 영적케어 등을 원할 수도 있고, 인지장애 또는 노인에 대한 인권침해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음에 따라 이에 따른 시정을 원할 수도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관련으로는, 요양병원에서는 치료와 관리에 대한 최소한의 서비스 형식만 있을 뿐 완화의료적 삶의 질 관리, 심리사회적 돌봄이나 편안함을 극대화하려는 목표, 말기관리, 임종관리, 사별가족관리 등의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보험상품에 포함시키거나 이러한 서비스를 원하는 환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기관을 연결해줄 수 있다.
판단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보험상품의 출시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보험업은 현재 여러 고민을 안고 있다. 우선 시장 성장이 정체 되어있다. 보험 가입률은 저조해지고 있고, 5%대 성장률은 매년 꾸준히 하락해서 현재 2%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는 수익구조 악화이다. 다행히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상승하고 있고, 손해율이 낮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와 동시에 각 보험사에 자동차 보험료 인하 경쟁이 과열화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새로운 회계기준의 적용이다. 2020년에 적용한 회계기준인 IFRS17를 적용하더라도 보험회사는 보험업을 영위하기 위해 안정적인 재무안정성과 신뢰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보험금지급여력비율(RBC)을 유지해야한다. 그로 인해 안정적인 연착륙을 위해 쌓아야 하는 준비금은 매년 높아져 가고 있지만, 국내에서 자본을 확충할 수단은 유보, 유상증자, 후순위채발행등으로 그렇게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인슈어테크(Insurance+Technology)다. 4V 또는 5V로 불리며 크기(Volume), 다양성(Variety), 속도(Velocity), 정확성(Veracit y), 가치(Value)의 빅데이터의 특징들은 ‘큰 수의 법칙’을 대전제로 이용하여 리스크 분배와 공유(Risk pooling & sharing)을 하는 보험업과 사고의 방식과 방향이 일치한다. 보험업은 일어나지 않은 사건 위험을 여태 일어났던 일들을 토대로 예측해야한다. 그걸 위해서는 많은 정보가 필요했고, 따라서 지금까지의 보험업은 3이원이라고 불리우는 이자율, 위험율, 사업비율 같이 안정적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형 데이터만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오면서 이러한 제한이 없어졌다. 데이터 저장/관리 기술 발달과 프로세스, 로직 기술 발달로 인한 처리 복잡도 증가로 1초에 얻을 수 있는 데이터양과 컴퓨터의 연산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험사는 기존에 취급하던 정형 데이터들 외에도 기존에는 다루지 못하였던 수많은 비정형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모델화하여 취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기존 계약자들의 위험을 조금 더 세부적으로 분석하거나, 수많은 잠재 고객들이 원하는 바를 알아내고 분류하는 등 새로운 보험가능 리스크(Insurable Risk)를 만들거나 기준의 리스크 폭을 넓힐 수도 있게 되었다는 소리이다. 이러한 발전은 보험업이 새로운 상품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에 따라, 환자의 질환 중증도나 요양병원의 등급과 보험료 간의 비정형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비정형 데이터들간의 영향과 기존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보험상품을 도출해낼 수 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비정형 데이터의 영향력 판단에는 또한 기존의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한 회귀분석 말고도 딥러닝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 모델 분석 방법으로는 민감도 분석(Sensitivity) 방식이 유효하다. 민감도 분석 방식이란, 최빈값을 기준으로 잡고 영향력 있어보이는 요인 또는 변수가 변할 때마다 그 변화량이 예측값에 끼치는 변동량을 측정하여 그 영향력을 재는 방식이다. 그렇게 산출된 영향력은 기존의 로지스틱 모델로 산출된 변수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보강하거나, 변수 간 교호작용을 파악하여 그 변수를 활용한 맞춤형 상품(On-demand)을 만드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EHR)는,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 비정형 (unstructured)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고, 이하 표 1은 이러한 기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의 분류 예이다.
구분 일반 정의 의료 데이터의 분류
정형 (Structured)데이터 규격과 형태가 정해져 있어 고정된 필드에저장되는 데이터 EMR 데이터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 내의 특정 필드에 숫자나 항목 선택과 같은 정형 값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메타데이터 문서, 영상/이미지와 같은 각종 의료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표준 등에 기반하여 정의된 구성 요소에 따라 저장되는 데이터
반정형(Semi-structured)데이터 고정된 형태는 아니지만,일종의 스키마를 포함하는데이터 어노테이션
(annotation)
영상/이미지 또는 의료 문서에 의료 전문가가 수기 또는 디지털로 추가 작성한 코멘트로서, 텍스트 형태이지만 포함되는 내용이나 용어 등에 일정한 규칙이 존재하는 데이터
의료 전문가
소견
의료 전문가가 의료 문서(리포트) 내에 작성하는 텍스트로서, 일반적으로 비정형으로 분류되지만 포함되는 내용이나 용어 등에 일정한 규칙이 존재하는 데이터
비정형 (unstructured)데이터 형태가 불규칙한데이터 의료 검사 영상/이미지 의료 검사의 결과인 동영상 또는 이미지 데이터
정형 데이터는 종류와 형식이 정해져 있는 규격을 갖는 데이터로, 크게 2가지 종류의 의료 데이터가 포함된다. 첫번째는 주로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EMR 시스템에서 고정된 필드에 정해진 형식(수치, 날짜 등)의 값으로 기입하거나 항목으로 선택하는 유형의 데이터이다.
두 번째는 각종 자료들의 메타데이터이다. 환자 개인의 모든 의료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이나 데이터 해석을 위해서도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환자에 대한 정보(이름, 나이, 신체 정보 등), 데이터 생성에 관련된 정보(생성 기관, 생성자, 생성일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의료 영상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을 기반으로 한 의료 영상 메타데이터 표준이 이용될 수 있고, 이는 표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정보, 검사 정보, 영상 정보, 장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분류 세부 항목 설명
환자정보 환자 기본 정보(이름, ID, 출생일, 성별 등) 환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기술
임상실험 분야의 환자 정보(임상실험 프로토콜명, 식별자 등) 임상실험과 관련된 환자 정보 기술
검사정보 일반 검사 정보(검사 식별자, 검사일 등) 환자에게 실시된 검사에 대한 정보 기술
환자 검사 정보(진단 내용, 진단 코드,과거 정보 등) 검사 시점에서의 환자정보 기술
임상실험 검사 정보(식별자, 명세서) 임상실험과 관련된 검사 정보 기술
시리즈정보 시리즈 일반 정보(영상 획득 장비 타입, 영상
처리 날짜, 담당자 등)
영상 처리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기술
임상실험 시리즈 정보(임상실험 관련 영상 데이터담당자) 임상실험과 관련된 시리즈에 대한 정보 기술
영상정보 영상의 일반적 정보(이미지 식별자, 생성 날짜, 타입 등) 영상이미지의 일반적 속성 기술
이미지 픽셀 픽셀 배열 정의
SOP 정보(SOP 인스턴스 생성 장비, 날짜 등) SOP 인스턴스 확인을 위한 속성 기술
장비정보 의료장비 정보(제조사, 설치 장소 등) 의료장비의 일반적 정보 기술
반정형 데이터는 대부분 텍스트 형태로 필드가 고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료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내용을 정의할 수 있는 데이터 부류이다. 크게는 의료 전문가의 소견이 담기는 문서 데이터와 여기에 추가되는 코멘트(comment)가 해당된다. 텍스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는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되지만, 의료 분야의 특수성에 의해 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항목이나 내용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검사의 판독 보고서 내에는 의료 전문가가 시술 과정, 환자에 대한 간략한 정보, 검사/진단 결과 등을 텍스트 형태로 기술한다. 하지만 질환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환자 정보에는 흡연 여부, 지병, 통증 정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검사/진단 결과에는 증상 명칭, 증상의 정도 등이 간략하게 나열된다. 이에 따라, 증상, 명칭 등을 통하여 과를 분류하고, 부위를 분류하며, 세부병명을 분류할 수 있으며, 반정형 데이터를 정형화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는 형태가 불규칙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항목들로서, 일반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이 해당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텍스트 데이터는 반정형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영상이나 이미지 데이터만 비정형으로 고려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CAG(Coronary Angiography), 각종 초음파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동영상 데이터와 CT(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EKG(Electrocardiogram; ECG)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키워드, 태그 또는 메타 데이터로 학습되어 분류 및 패턴화되고, 이후 새로운 비정형 데이터의 분류가 요구되었을 때, 데이터를 레코드 형식으로 가공하고 연관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는, 진료기록이 된 시간과 치료 단계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로우 데이터로부터 치료 단계별 의료진료 히스토리가 타임 테이블로 추출될 수 있다. 물론, 법적으로 환자에 대한 모든 의료 정보는 5~10년 동안 보관해야 하지만, 데이터의 유용성 정도에 따른 관리도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과거 이력의 축적 여부가 의미가 있는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데이터 종류를 분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또는 제공해야 하는 데이터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는, 이력형 데이터, 이전형 데이터 및 현재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이력형(historical) 데이터는, 과거에 기록된 모든 이력 데이터가 의미 있는 항목이다. 환자 개인에 대해 모든 시점에서 생성된 데이터 값이 현재의 상태와 연관되는 데이터이며, 이전형(previous)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모든 과거 이력 값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바로 이전 시점의 값이 의미가 있는 항목이다. 현재형 데이터는, 과거 이력 정보가 큰 영향이 없는 데이터 항목이다. 즉, 과거 시점에 생성된 데이터보다는 현재의 값이 중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저장은 하는 데이터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400)로부터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요양 서비스의 수가, 종류 및 내용 등을 수집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요양병원이나 기관을 분류하고 등급을 매겨 저장할 수 있다. (b)와 같이 서비스 등급과 환자의 질환 중증도에 따라 각각 요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보험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c) 또, 사용자 단말(100)은 병증, 나이, 이름 등을 기재하여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정보와 보험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적합한 보험상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을 한 후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b)와 같이 사용자(환자)나 환자 가족은 보험설계사나 상담사에게 고충을 말하거나 제공해주었으면 하는 서비스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고, 보험설계사는 이러한 사항을 정리하여 각 요양병원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부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하고(S5200),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한다(S5300).
이때,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요양 서비스의 수가 및 내용을 포함한 요양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
    병증의 종류 및 강도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을 선택하여 보험상품을 추천받는 사용자 단말; 및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의 보험료는, 상기 병증의 강도가 심하거나 종류가 희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요양병원의 등급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상기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보험상품의 출시가능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는 빅데이터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마이닝은,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요양 서비스의 수가 및 내용을 포함한 요양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
    병증의 종류 및 강도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을 선택하여 보험상품을 추천받는 사용자 단말; 및
    병증의 종류 및 강도와, 요양병원의 등급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요양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요양 데이터에 포함된 수가 및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등급을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또는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선택하는 경우, EHR 또는 건강상태정보와,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에 대응하는 등급의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의 보험료는, 상기 병증의 강도가 심하거나 종류가 희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요양병원의 등급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상기 보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보험상품의 출시가능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Quality)에 대응하는 보험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요양 서비스의 종류 및 질을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는 빅데이터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환자 또는 환자가족의 불편사항이나 고충을 데이터화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양병원 서버로 전송하거나 개선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35455A 2020-10-19 2020-10-19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5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55A KR102550404B1 (ko) 2020-10-19 2020-10-19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55A KR102550404B1 (ko) 2020-10-19 2020-10-19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16A KR20220051716A (ko) 2022-04-26
KR102550404B1 true KR102550404B1 (ko) 2023-07-03

Family

ID=813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55A KR102550404B1 (ko) 2020-10-19 2020-10-19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4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300A (ja) * 2000-06-13 2001-12-26 Sanyo Electric Co Ltd 有料老人ホームの運営方法
JP2003016194A (ja) * 2001-07-03 2003-01-17 Toyotaka Mori 民営健康保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873926B1 (ko) * 2017-11-22 2018-07-04 김광호 빅데이터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64727A (ja) * 2018-03-20 2019-09-26 Japan Digital Design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方法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76B1 (ko) * 2014-11-28 2016-10-2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복합형 보험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75456B1 (ko) * 2018-11-05 2020-11-06 노스타일(주) 요양병원추천시스템과 요양병원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양병원추천용 어플리케이션
KR102320953B1 (ko) * 2019-01-24 2021-11-03 주식회사 뱅크샐러드 건강데이터 및 금융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300A (ja) * 2000-06-13 2001-12-26 Sanyo Electric Co Ltd 有料老人ホームの運営方法
JP2003016194A (ja) * 2001-07-03 2003-01-17 Toyotaka Mori 民営健康保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873926B1 (ko) * 2017-11-22 2018-07-04 김광호 빅데이터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64727A (ja) * 2018-03-20 2019-09-26 Japan Digital Design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方法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16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erholm et al.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healthcare utilization, with and without adjustment for need: an example from Stockholm, Sweden
Reid et al.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zing high users of physician services in one Canadian province
Hailey et al.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for the benefits of telemedicine
Kemp et al. Determinants of self-reported medicine underuse due to cost: a comparison of seven countries
Kalucy et al. Changing demand for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public hospital
Martin et al. 'Inappropriate'attendance at an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by adults registered in local general practices: how is it related to their use of primary care?
Lin et al.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hospice use and hospitalizations at end-of-life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with dementia
Perez et al. Characteristics and direct costs of academic pediatric subspecialty outpatient no‐show events
Henke et al. Medicare Advantage and traditional Medicare hospitalization intensity and readmissions
Johnson et al. Meaningful use of school health data
Riggs et al. 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 intensity and heart failure patient outcomes
Saurman et al. Use of a mental health emergency care-rural access programme in emergency departments
Cooper et al. Geographical variation in health spending across the US among privately insured individuals and enrollees in Medicaid and Medicare
Gray et al. American primary care physicians’ decisions to leave their practice: evidence from the 2009 commonwealth fund survey of primary care doctors
Kloot et al. Building a research‐ready database of rural emergency presentations: the RAHDaR pilot study
Nijland et al. Patient use and compliance with medical advice delivered by a web-based triage system in primary care
Weigel et al. Paediatric tele-emergency care: A study of two delivery models
KR102550404B1 (ko) 요양병원 등급별 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Ruksakulpiwat et al. The experience of caregivers of chronically ill patients during the COVID-19: A Systematic Review
Stawicka et al. Emerging wireless technologies based on IoT in healthcare systems in Poland
Kuwayama et al. Research on home care nursing in Japa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literature review
Stroupe et 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mong veterans receiving care from VA health care facilities
Wan et al. Racial disparities in diabetes hospitalization of rural Medicare beneficiaries in 8 Southeastern States
KR102360654B1 (ko) 가족력 데이터를 이용한 발생가능 질병에 대한 위험인자 관리용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Rowan et al. Supportive services at end of life can help reduce acute care services: observations from the Medicare Care Choices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