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747A - 의료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747A
KR20120010747A KR1020100072275A KR20100072275A KR20120010747A KR 20120010747 A KR20120010747 A KR 20120010747A KR 1020100072275 A KR1020100072275 A KR 1020100072275A KR 20100072275 A KR20100072275 A KR 20100072275A KR 20120010747 A KR20120010747 A KR 2012001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dical institution
server
client
tert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종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747A/ko
Publication of KR2012001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PHR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a)단계, 상기 검색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는 (b)단계, 상기 전달받은 열람승인번호가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상에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후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자 할 때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의료기록과 1차 의료기관 의사의 진료의뢰문서를 편리하게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 제공하기 위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증상과 병력, 검사결과와 치료내용 등이 포함된 의료기관의 의료기록은 전통적으로 환자별 종이문서 형태로 작성되어 의료기관 내부의 종이문서 저장소에 보관되었다가 해당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였을 때 진료실로 전달되어 의사가 종이문서의 내용을 조회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의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조회하고 기록하며 저장하는 EMR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전자의료기록시스템)을 도입하는 의료기관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이문서에 기록된 환자의 의료기록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EMR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의료기록 또한 해당 의료기관 내부의 서버 등에 저장되어 있는 관계로 환자가 본인의 전자의료기록을 열람하고자 할 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환자가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후에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자 할 때 1차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1차 의료기관 의사의 진료의뢰문서 및 1차 의료기관 서버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진료기록을 종이문서 형태로 만들어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 제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자가 연속성 있는 진료를 받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타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검사결과를 알 수 없어 환자가 동일한 검사를 반복해서 시행 받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의료기관에 산재된 의료기록과 진료의뢰문서(예를 들어, 진단서, 진료의뢰서, 소견서 등)를 종이 문서에 의한 오프라인 전달이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온라인상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현재 진료받고 있는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가 진료를 받았었던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기록과 그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작성한 진료의뢰문서를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작성한 진료의뢰문서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기록을 온라인 상으로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열람을 원하는 타 의료기관 의료인의 실명확인, 의사면허확인, 병원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증과정을 도입함으로써, 신뢰성과 안정성을 부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의료기관에 저장된 진료의뢰문서와 의료기록을 해당 의료기관에서 온라인 상으로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 열람승인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입하여 열람이 허가된 경우에만 열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를 강화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PHR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a)단계, 상기 검색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는 (b)단계, 상기 전달받은 열람승인번호가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상에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수신받는 (d)단계, 상기 수신한 전자의료기록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 이전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pa1)단계, 상기 검색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로부터 상기 진료의뢰문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진료의뢰문서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연동시키는 (pa2)단계, 상기 열람승인번호를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pa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상기 진료의뢰문서 및 상기 전자의료기록은 저장, 편집, 인쇄가 불가능하고, 열람 만이 가능하도록 보안설정된다.
상기 (a)단계 이전에,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확인을 실명인증 업체에 요청하는 과정, 의사면허확인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하는 과정, 의료기관확인을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요청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증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pa1)단계 이전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확인을 실명인증 업체에 요청하는 과정, 의사면허확인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하는 과정, 의료기관확인을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요청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증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PHR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a)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를 통해 실명인증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보건복지부를 통해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을 통해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는 (d)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통해 인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PHR서버에 접속하는 (e)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PHR서버에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을 요청하는 (f)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f)단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g)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진료의뢰문서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진료의뢰문서에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연동시키는 (h)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특정환자의 단말기로 열람승인번호를 전달하는 (i)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PHR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a)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를 통해 실명인증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보건복지부를 통해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을 통해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는 (d)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통해 인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PHR서버에 접속하는 (e)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PHR서버에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을 요청하는 (f)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f)단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g)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입력하는 (h)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열람승인번호가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상에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i)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HR서버가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수신받는 (j)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수신한 전자의료기록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k)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여러 의료기관에 산재된 의료기록과 진료의뢰문서(예를 들어, 진단서, 진료의뢰서, 소견서 등)를 종이 문서에 의한 오프라인 전달이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온라인상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현재 진료받고 있는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가 진료를 받았었던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기록과 그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작성한 진료의뢰문서를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작성한 진료의뢰문서와 의료기관에 저장된 의료기록을 온라인 상으로 열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열람을 원하는 타 의료기관 의료인의 실명확인, 의사면허확인, 병원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증과정을 도입함으로써, 신뢰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의료기관에 저장된 진료의뢰문서와 의료기록을 해당 의료기관에서 온라인 상으로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 열람승인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입하여 열람이 허가된 경우에만 열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PHR서버(100)는 의료기관에 보관된 진료기록이나, 과거병력, 약물복용력 등과 같은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계정을 통해 환자가 자신의 건강기록정보를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한 개인건강기록부(PHR:Personal Health Record)를 저장한다.
PHR서버(100)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특정환자에 대한 진료의뢰문서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1차 의료기관 EMR 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상기 진료의뢰문서와 연동시킨다. 여기서 진료의뢰문서는 진단서, 진료의뢰서 및 진료소견서가 될 수 있다.
이때 PHR서버(100)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진료의뢰문서 입력 및 전자의료기록 연동이 설정되면, 진료의뢰문서 및 전자의료기록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생성하여 환자에게 전달한다.
PHR서버(100)는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고,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검색한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입력받은 진료의뢰문서를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게 전달한다.
또한 PHR서버(100)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게 미리 연동 설정한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요청하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전달받아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게 전달한다.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는 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EMR데이터베이스(201)를 구비하며, 환자의 요청에 따라 PHR서버(100)에 접속하여 환자의 진료의뢰문서를 작성하고, EMR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의료기록 연동 설정을 요청한다.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는 PHR서버(100)에 접속하여 환자로부터 전달받은 열람승인번호를 입력하고, 열람승인번호에 해당하는 진료의뢰문서 및 전자의료기록을 PHR서버(100)로부터 전달받아 열람한다.
이때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가 PHR서버(100)로부터 전달받는 진료의뢰문서 및 전자의료기록은 저장, 편집 및 인쇄가 불가능하고, 열람 만이 가능하도록 보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와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는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진료의뢰문서를 입력하거나 또는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열람하기 위해 PHR서버(100)에 접속할 때, 실명확인, 의사면허확인, 병원확인과정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클라이언트(400)는 PHR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의 개인건강기록부를 열람 및 관리한다.
실명인증업체(500)는 PHR서버(100)로부터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전달받아 실명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하며, PHR서버(100)로부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전달받아 실명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한다.
보건복지부(600)는 PHR서버(100)로부터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전달받아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하며, PHR서버(100)로부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전달받아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한다.
의료보험관리공단(700)은 PHR서버(100)로부터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전달받아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하며, PHR서버(100)로부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 의료기관정보를 전달받아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HR서버(10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차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HR서버(100)는 S21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가 접속을 요청하면, S220단계로 진행하여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실명정보를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500)를 통해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22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인증이 완료되면 S230단계로 진행하여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의사면허정보를 입력받아, 보건복지부(600)를 통해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23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인증이 완료되면 S240단계로 진행하여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700)을 통해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의 인증이 완료되고, PHR서버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가 접속되면, PHR서버(100)는 S250단계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 요청이 있음을 판단하고, 요청된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한다.
이후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가 검색되면, PHR서버(100)는 S26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터 진료의뢰문서를 입력받고,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진료의뢰문서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연동시킨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270단계로 진행하여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진료의뢰문서 저장 및 전자의료기록 연동 설정이 되었음을 알리는 열람승인번호를 생성하여 특정환자의 휴대단말기 또는 메일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HR서버(100)는 S310단계에서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가 접속을 요청하면, S32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고,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실명정보를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500)를 통해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320단계에서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인증이 완료되면, S33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고,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의사면허정보를 입력받아, 보건복지부(600)를 통해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330단계에서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인증이 완료되면, S34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고,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의료기관정보를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700)을 통해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의 인증이 완료되면, PHR서버(100)에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가 접속되고, PHR서버(100)는 S35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가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을 요청하면, PHR서버(100)는 요청된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고, S36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게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 입력을 요청한다.
PHR서버(100)는 S370단계에서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열람승인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열람승인번호가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해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PHR서버(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가 입력한 열람승인번호가 일치하면, PHR서버(100)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게 미리 연동 설정된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 전달을 요청한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38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로부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PHR서버(100)는 S390단계에서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에게 전달받은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과 1차 의료기관 EMR서버(200)가 미리 저장해 놓은 진료의뢰문서를 2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300)에게 전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가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후 2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자 할 때, 2차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가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던 전자의료기록을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설명에서는 1차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진료의뢰문서를 작성하고, 전자의료기록을 연동하여 놓으면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접속하여 1차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작성해 놓은 진료의뢰문서 및 전자의료기록을 열람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위(1차)의료기관과 상위(2차 또는 3차)의료기관에 상관없이 타 의료기관의 의료인이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작성해 놓은 진료의뢰문서 및 전자의료기록을 현자 환자가 진료받고자 하는 의료기관에서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PHR서버 200: 1차 의료기관 EMR서버
201: EMR 데이터베이스 300: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
400: 사용자 클라이언트 500: 실명인증업체
600: 보건복지부 700: 의료보험관리공단

Claims (9)

  1. PHR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a)단계;
    상기 검색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는 (b)단계;
    상기 전달받은 열람승인번호가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상에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수신받는 (d)단계;
    상기 수신한 전자의료기록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e)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pa1)단계;
    상기 검색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로부터 상기 진료의뢰문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진료의뢰문서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연동시키는 (pa2)단계;
    상기 열람승인번호를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pa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상기 진료의뢰문서 및 상기 전자의료기록은 저장, 편집, 인쇄가 불가능하고, 열람 만이 가능하도록 보안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확인을 실명인증 업체에 요청하는 과정, 의사면허확인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하는 과정, 의료기관확인을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요청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pa1)단계 이전에,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확인을 실명인증업체에 요청하는 과정, 의사면허확인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하는 과정, 의료기관확인을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요청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7.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PHR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a)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를 통해 실명인증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보건복지부를 통해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게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을 통해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는 (d)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통해 인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PHR서버에 접속하는 (e)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PHR서버에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을 요청하는 (f)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f)단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g)단계;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가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에 진료의뢰문서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진료의뢰문서에 상기 1차 의료기관 EMR서버의 EMR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연동시키는 (h)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특정환자의 단말기로 열람승인번호를 전달하는 (i)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8.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PHR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는 (a)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실명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실명인증업체를 통해 실명인증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사면허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보건복지부를 통해 의사면허인증을 수행하는 (c)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접속한 의료인의 의료기관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아, 의료보험관리공단을 통해 의료기관인증을 수행하는 (d)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통해 인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PHR서버에 접속하는 (e)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PHR서버에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검색을 요청하는 (f)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f)단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를 검색하는 (g)단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열람을 위한 열람승인번호를 입력하는 (h)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열람승인번호가 미리 설정된 열람승인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특정환자의 개인건강기록부 상에 입력된 진료의뢰문서를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i)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PHR서버가 1차 의료기관 EMR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특정환자의 전자의료기록을 수신받는 (j)단계;
    상기 PHR서버가 상기 수신한 전자의료기록을 상기 2차 또는 3차 의료기관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k)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072275A 2010-07-27 2010-07-27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20120010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75A KR20120010747A (ko) 2010-07-27 2010-07-27 의료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75A KR20120010747A (ko) 2010-07-27 2010-07-27 의료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747A true KR20120010747A (ko) 2012-02-06

Family

ID=4583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275A KR20120010747A (ko) 2010-07-27 2010-07-27 의료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US10446274B2 (en) 2014-11-25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1891A (ko) * 2020-06-30 2022-01-06 헬스앤모어 주식회사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US10446274B2 (en) 2014-11-25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1891A (ko) * 2020-06-30 2022-01-06 헬스앤모어 주식회사 병·의원 간의 진료의뢰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진료의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i et al. Standard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framework for Indian healthcare system
US202100907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diagnostics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68041B2 (ja) 遠隔診断方法
US20140108055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telemedicine sessions across different geopolitical zones
US200801332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cal information
KR100668560B1 (ko) 개인 정보 개시 시스템, 진료 카드 정보 개시 시스템,개인 정보 개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43691A (zh) 取得电子医疗健康记录的方法与系统
Evans et al. Genetic testing and FDA regulation: overregulation threatens the emergence of genomic medicine
JP2005267358A (ja) 地域医療のための電子カルテ作成・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US20120035955A1 (en) Care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0015563A (ja) 自動的にプレポピュレートされテンプレート化された日ごとの診療経過記録
US20160180048A1 (en) Cloud-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20165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medicine
US20190108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dical consultation
Campbell et al. Survivorship care plans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KR20120010747A (ko) 의료정보 제공 방법
Eberts et al. Patient and Physician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o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US10249387B2 (en)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an EMR management system
US20100145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atient Therapeutic Plan
Campbell et al. A new age of patient transparency: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informed consent
JP2014059922A (ja) 薬剤の処方を確実に適切に行う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ollen et al. Medical informatics: past and future
KR20220077653A (ko) 국제교류 플랫폼 내 의료 관광 매칭 시스템
US20180190370A1 (en) Universal Medical Access Card System and Proces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