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640B1 -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640B1
KR102637640B1 KR1020230078371A KR20230078371A KR102637640B1 KR 102637640 B1 KR102637640 B1 KR 102637640B1 KR 1020230078371 A KR1020230078371 A KR 1020230078371A KR 20230078371 A KR20230078371 A KR 20230078371A KR 102637640 B1 KR102637640 B1 KR 10263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face
medical staff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래
Original Assignee
(주)유신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신씨앤씨 filed Critical (주)유신씨앤씨
Priority to KR102023007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 상태 및 다양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의사를 매칭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의료진의 의료진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환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 수신부,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표시부,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스케줄 정보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CTOR MATCHING SERVICE ACCORDING TO PATIENT’S CONDITON}
본 발명은 사용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건강 상태 및 다양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의사를 매칭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의료(telemedicine)란 의료인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실시하는 의료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재 정보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은 의료서비스 전달체계에서도 큰 변화와 진전을 야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의료정보화라는 이름으로 환자에게는 질병의 진단, 치료에 있어서 보다 신속, 세밀하고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수준 높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의료기관 및 관련기관은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가고 있다.
새로운 의료시장의 확대, 급격한 글로벌화에 따른 의료산업의 경쟁격화 및 환자들의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 요구 등은 대규모 의료장비 및 의료 IT 시설의 투자를 요구하고 있어서, 제한적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규모 병원의 경우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또한, 상당수의 병원들이 인력난 사태를 겪고 있어 의료인력 부족 및 수급 불균형 문제가 의료업계의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나 의료 인력의 부족에 따라 하락하고 있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병원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병원 시스템의 개선 방안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병원 시스템의 개선 방안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원격의료는 의료기관의 방문 없이 대기시간의 단축, 일률적인 고도의 의료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제도이다. 특히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방대한 의학에 관한 정보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의사를 추천해주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에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선행특허 1: 10-2021-0149893
선행특허 2: 10-2017-0181767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 상태 및 다양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의사를 매칭 시키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장치 및 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선호 정보와 의사와의 적합성에 따라 적합한 의사를 매칭 시키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통한 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환자의 긴급 정도와 환자의 선호도 그리고 의사의 경력 등에 대한 전반 사항을 통해 환자에게 적합한 의사를 매칭시키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통한 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을 수행하는 의료 장치는 의료진의 의료진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환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 수신부,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표시부,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스케줄 정보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발명을 통해 기존의 단순 환자 상태에 따라서 의사를 배치하는 것이 아닌, 환자의 상태 여부를 판단 후에 환자의 기호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 함으로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병원서버(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병원서버(110)의 생체 신호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병원서버(110)로 해당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신호 데이터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표준을 따를 수 있다. DICOM은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표현과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말로, 미국방사선의학회(ACR)와 미국전기공업회(NEMA)에서 구성한 연합 위원회에서 발표하며, 임상 사용에 필요한 데이터 및 품질로 교환할 수 있는 의료 영상의 형식을 정의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병원서버(110)는 병원서버(110)에 기 저장된 환자의 X-ray 이미지, 초음파 이미지 등의 정보와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의료진 전자 장치(120, 125)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진은 전송된 정보 및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와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진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200), 메모리(210), 통신부(220), 입력 수신부(230), 영상 획득부(240), 영상 표시부(245), 생체 신호 획득부(250), 스케줄 정보 획득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10), 및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10)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10)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하의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10)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10)는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색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이 매핑될 수 있다. 중증도에 따른 색상 정보는 병원전 중증도 분류체계(Pre-KTAS) 또는 START triage 분류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류법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류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색상 정보는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대기시간, 체류시간, 또는 과밀화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수신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수신부(2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수신부(230)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240)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영상 표시부(245)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240)는 다양한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화각에 따라 분류되는 광각렌즈, 표준렌즈, 망원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각렌즈(廣角, wide-angle lens)는 표준 렌즈에 비해 초점거리가 상당히 작은 렌즈를 가리키며, 표준렌즈에 비해 더 많은 주위 장면을 담을 수 있어 더 멀리서 장면을 찍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다. 이러한 광각렌즈는 보통 화각이 63도 이상이다. 표준렌즈(normal lens)는 렌즈들 중에서, 사람의 눈과 가장 유사한 원근감을 가질 수 있는 초점거리의 렌즈이다. 보통 초점거리가 50mm 내외이며 화각은 47도 내외다. 망원 렌즈(telephoto lens)는 초점 거리보다 렌즈의 물리적 거리가 짧은 장초점 렌즈의 특수한 형태이다. 보통 초점거리가 85mm 이상이며 화각은 28도 이하다. 멀리 있는 피사체를 확대해 찍을 수 있으며 가까이 있는 피사체의 특정 부분만 강조해서 찍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240)는 다양한 렌즈를 이용하여 사람이 바라보았을 때의 원근감이 나타나도록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거나, 환자의 안면과 같은 특정부위가 확대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획득부(240)는 열화상 카메라(Thermal Imager)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비접촉 온도 측정 장비이며, 절대0도(0°Kelvin) 이상의 온도에서 모든 물질에 의하여 방사, 전송 또는 반사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고 이러한 에너지 요인을 온도측정치 또는 온도기록으로 전환한다. 온도기록은 카메라가 표시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방사, 전송 또는 반사하는 물체의 열 이미지로 출력된다. 열화상카메라는 주로 전통적인 센서를 사용할 수 없는 적용분야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해주며, 특히 움직이는 물체 측정(생명체, 롤러, 움직이는 기계 또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위험 환경의 온도 측정(오염 또는 고압), 접촉식 온도센서를 사용하기에는 측정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측정 대상 물체의 온도 차이를 보여주는 이미지를 제공하므로 측정 영역의 평균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적외선 건에 비해서 뜨거운 부분이 즉시 식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부(245)는 본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부(245)는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생체 신호 획득부(250)는 외부 생체 신호 측정센서와 연결되어 해당 측정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획득부(250)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연결포트, 심전도 측정센서 연결포트, 또는 혈압 측정커프 연결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획득부(250)는 산소포화도 신호, 심전도 신호, 혈압 신호 등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케줄 정보 획득부(260)는 외부 또는 내부 데이터 서버와 연결되어 해당 데이터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 정보 획득부(260)는 메모리(210) 또는 기존에 진료진의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매체/장치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거나 기존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입력 수신부(23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환자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는 병원 서버(110)에 등록된 복수의 환자들 중 한 명을 지시할 수 있다. 병원 서버(110)의 관리자는 관리자 장치(예: PC)를 이용하여 병원 서버(110)에 병원(예: 응급실)에 방문하거나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환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관리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관리자 화면에 대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병원서버(11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자 장치를 통해 병원 서버(110)에 저장하는 환자에 대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환자의 성함, 성별, 생년월일, 과거병력,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정보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생체 신호 획득부(250)를 통해 획득한 환자의 생체 신호와 병원서버(110)로부터 수신된 환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 정보는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환자의 중증도, 대기시간, 체류시간, 또는 과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병원 서버(100)의 관리자는 관리자 장치(예: PC)를 통해 병원 서버(100)에 의료 기관을 방문하거나 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이용할 환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300). 병원 서버(100)는 병원 서버(100)에 등록된 환자 목록을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302).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입력 수신부(230)를 통해 환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10). 사용자는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을 보조하기 위한 의료 인력(예: 간호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병원 서버(110)로 선택된 환자의 정보와 의료진 정보를 를 요청할 수 있다(312). 병원 서버(110)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환자의 정보와 의료진의 정보를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314).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생체 신호 획득부(250)를 통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316). 동작 316은 비대면 진료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생체 신호 및 환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고 표시할 수 있다(318).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환자의 상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319)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의료진 중에서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320)
일 실시 예에서, 진료 예약과 접수될 수 있으며(321), 이후 예약된 진료를 선택할 수 있다(330).
일 실시 예에서 원격진료실에 적합 의사와 환자가 입장할 수 있으며(340), 생체 신호를 전송 받은 후(350) 이에 대한 진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상태 정보는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환자의 중증도, 대기시간, 체류시간, 또는 과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 정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환자의 성별, 연령, 직업, 최종 학력, 결혼 유무, 종교, 또는 월수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환자 정보의 일부로써 병원 서버(1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환자의 중증도는 분류 기준표에 근거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중증도는 병원전 중증도 분류체계(Pre-KTAS) 또는 START triage 분류법에 기반할 수 있다. 도 5a는 KTAS 분류체계에 따른 분류 기준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5b는 START triage 분류법에 따른 분류 기준 및 분류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5b에서, 각각의 중증도는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기시간은 환자가 의료 기관에 도착하여 병원 서버(110)에 환자 등록을 마친 후, 의료진의 진료를 받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류시간은 환자가 의료 기관에 도착하여 환자 등록 후 퇴실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과밀화는 병상 포화지수에 근거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밀화는 의료 기관의 병상 점유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긴급도는 환자 상태 정보에 기반한 긴급도 점수를 계산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환자가 고령(예: 60세 이상)인 경우, 긴급도를 1만큼 가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START triage 분류법 상, 환자의 중증도가 황색인 경우, 1만큼, 환자의 중증도가 적색인 경우 긴급도를 2만큼 가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환자의 대기 시간이 지정된 시간(예: 2시간) 이상인 경우, 긴급도를 1만큼 가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환자의 체류 시간이 지정된 시간(예: 4시간) 이상인 경우, 긴급도를 1만큼 가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병상 점유율이 지정된 수치(예: 80%) 이상인 경우, 긴급도를 1만큼 가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가중치를 다르게 두어 긴급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긴급도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선택된 환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를 예약하고 접수할 수 있다(320).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병원 서버(110)를 통하여 동작 32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는 의료진의 의료진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 정보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정보 획득부는 의료진의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와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환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및 통신부, 입력 수신부, 영상 획득부, 영상 표시부,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스케줄 정보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환자를 선택하고,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환자의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환자 정보 및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S100)하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를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S101)하고,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의료진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S102)할 수 있다.
이때 의료진 정보는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의료진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의료진의 스케줄과 전공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 정보는 의료진의 경력 정보, 이력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의료진의 경력 정보, 이력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 있으며, 위의 요소들 전부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1에 의할 수 있다.
[수학식 1]
Rm은 매칭 수치를 나타내고, b는 전공 정보, 의료진의 경력 정보, 이력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적합 의사 결정 요소의 수를 나타내고, Ta는 a번째 적합 의사 결정 요소에 대응하는 수치 값을 나타내고, Fa는 a번째 적합 의사 결정 요소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나타내고, Utimegap은 스케줄 정보에 기초한 의료진의 진료 가능 시간과 환자 정보에 포함된 혼자의 진료 희망 시간의 갭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 차이가 없다면 1의 값이 부여되며, 분 단위로 희망 시간이 겹치는 시간이 많을수록 0.02씩 더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0.05 이외에도 설정된 값에 따라 다른 값 단위로 더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자가 특정 날짜의 저녁 3시 반부터 4시까지를 희망하고, 스케줄 정보에 기반하여 의사의 스케줄이 3시 50분 이후로 가능하다고 하면 20분의 시간이 겹치지 않는 바, 20*0.02의 값이 부여된 0.4의 값이 더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V는 환자 정보에 포함된 의사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의사가 선택이 되었고, 환자의 진료 희망 시간과 스케줄 정보에 기초한 시간이 환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 이상 겹치는 경우 0 값이 부여되며, 그 이외의 경우는 1의 값이 부여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공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가 a=1, 의료진의 경력 정보 요소가 a=2, 이력 정보 요소가 a=3, 나이 정보 요소가 a=4, 성별 정보 요소가 a=5로 설정할 수 있다.
a=1인 경우, Ta의 값은 환자 정보에 포함된 환자가 선호하는 전공과, 의료진 정보에 포함된 전공의 유사율 값이 대입되고, 이때 전공간 유사율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에 의할 수 있다.
a=2인 경우, Ta의 값은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경력 정보와 의료진 정보에 포함된 경력 정보를 비교하여 경력의 유사율 값이 대입되고, 이때 경력간 유사율은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에 없는 경우 환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다.
a=3인 경우, Ta의 값은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이력 정보와 의료진 정보에 포함된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이력의 유사율 값이 대입되고, 이때 경력간 유사율은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에 없는 경우 환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다.
a=4인 경우, Ta의 값은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나이 정보와 의료진 정보에 포함된 나이 정보를 비교하여 나이의 유사율 값이 대입되고, 이때 나이간 유사율은 나이 차에 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에 없는 경우 환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나이차가 적을수록 값이 커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나이 차가 없다면 미리 설정된 가장 높은 값이 설정될 수 있다.
a=5인 경우,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성별 정보와 의료진 정보에 포함된 성별 정보를 비교하여 같은 성별인 경우 더 높은 값이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는 긴급 상태 카테고리, 위험 상태 카테고리, 관리 필요 상태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의료진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환자가 속한 카테고리 중 위의 수학식 1의 수치 값이 가장 높은 의사가 적합 의사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위험 수치와 환자 정보에 포함된 환자 질병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위험 수치를 도출하고,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수치 이상이면,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및 의료진의 경력 정보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를 결정하고, 또한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수치 미만이고 미리 정해진 제2 수치 이상이면,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및 의료진의 경력 정보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 후보를 결정하고, 적합 의사 후보 중 의료진의 나이 정보 및 성별 정보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를 결정하고, 의료진의 성별 정보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의사의 성별 및 나이 정보에 적합한 의사를 적합 의사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수학식 1에서 위의 해당하는 변수만을 이용하여 수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자 정보는 환자의 성함, 성별, 생년월일, 과거병력, 또는 특이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언급한 바와 같이 선호하는 의사에 대한 정보(나이, 이력, 경력,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자의 상태를 식별할 때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환자의 중증도, 대기시간, 체류시간, 또는 과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중증도는 병원전 중증도 분류체계 또는 START triage 분류법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지정된 간격으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갱신하고,원격 진료실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된 생체 신호를 의료진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00)는,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수치 미만이면, 환자의 상태를 경증 상태로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적합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적합 의사가 결정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 의사에 대한 정보는 의사에 대한 이름, 전공, 성별, 경력, 이력, 가능한 스케줄, 진료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지정에 따라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을 수행하는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의료진의 의료진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 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환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환자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및
    통신부, 상기 입력 수신부,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표시부,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스케줄 정보 획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 서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 정보 및 의료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하고,
    상기 의료진 정보는 상기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진 정보는 상기 의료진의 경력 정보, 이력 정보, 나이 정보, 성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테고리는 긴급 상태 카테고리, 위험 상태 카테고리, 관리 필요 상태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의료진 정보에 초하여 상기 환자에 적합한 의료진인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위험 수치와 상기 환자 정보에 포함된 환자 질병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위험 수치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수치 이상이면, 상기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및 상기 의료진의 경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합 의사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수치 미만이고 미리 정해진 제2 수치 이상이면, 상기 의료진의 스케줄 정보, 전공 정보 및 상기 의료진의 경력 정보에 기반하여 적합 의사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적합 의사 후보 중 상기 의료진의 나이 정보 및 성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합 의사를 결정하고,
    상기 의료진의 성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환자 정보에 포함된 선호 의사의 성별 및 나이 정보에 적합한 의사를 상기 적합 의사로 결정하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환자의 성함, 성별, 생년월일, 과거병력, 또는 특이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상기 환자의 중증도, 대기시간, 체류시간, 또는 과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식별하도록 더 설정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중증도는 병원전 중증도 분류체계 또는 START triage 분류법에 기반하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 지정된 간격으로 상기 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를 갱신하고, 원격 진료실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갱신된 생체 신호를 상기 의료진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험 수치가 미리 정해진 제2 수치 미만이면, 상기 환자의 상태를 경증 상태로 판단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후 상기 적합 의사를 결정하는 비대면 진료서비스 제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78371A 2023-06-19 2023-06-19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63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371A KR102637640B1 (ko) 2023-06-19 2023-06-19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371A KR102637640B1 (ko) 2023-06-19 2023-06-19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640B1 true KR102637640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371A KR102637640B1 (ko) 2023-06-19 2023-06-19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6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429182B1 (ko) *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20230064694A (ko) * 2021-11-03 2023-05-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정보 등록 장치, 환자 정보 등록 장치와 통신하는 환자 데이터 분석 서버 및 환자 데이터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795A (ko) * 2017-12-28 2019-07-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20230064694A (ko) * 2021-11-03 2023-05-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정보 등록 장치, 환자 정보 등록 장치와 통신하는 환자 데이터 분석 서버 및 환자 데이터 분석 시스템
KR102429182B1 (ko) *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109B2 (en) Method for automating collection, association, and coordination of multiple medical data sources
KR20200051290A (ko) 요양병원추천시스템과 요양병원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양병원추천용 어플리케이션
US20220108804A1 (en) Medical suppor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atient image data acquisition method
JP2012008931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297367B1 (ko)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811769B1 (ko) 건강검진 예약 및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1040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ormal observations about a care recipient by caregivers
US20220415490A1 (en) Smart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201601888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nline and on-demand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patient
JP5845235B2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Young et al. Efficacy of smartphone-based telescreening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with and without artificial intelligence in India
KR102637640B1 (ko)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의사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12749321B (zh) 数据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WO2021140670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JP7382741B2 (ja) 医療機関選定支援装置
KR20170020400A (ko) 건강검진 예약 및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20189639A1 (en) Healthcare device, system, and method
US11322250B1 (en) Intelligent medical care path systems and methods
US11033227B1 (en) Digital eyewear integrated with medical and other services
Moreira et al. Design of a biomedical kit for bedridden patients: a conceptual approach
WO2022261903A1 (en) Intelligent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intelligent healthcar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program product
Janda et al. Redefining dermatologists’ role in skin cancer early detection and follow-up care
US20230070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monitoring and/or diagnosis
US20230238089A1 (en) Medical checkup presentation apparatus, medical checkup presen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57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odality device with abstraction layer support from a healthcar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