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82A -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82A
KR20230001282A KR1020210083997A KR20210083997A KR20230001282A KR 20230001282 A KR20230001282 A KR 20230001282A KR 1020210083997 A KR1020210083997 A KR 1020210083997A KR 20210083997 A KR20210083997 A KR 20210083997A KR 20230001282 A KR20230001282 A KR 2023000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everity
objective
emergency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08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82A/ko
Priority to CA3224450A priority patent/CA3224450A1/en
Priority to PCT/KR2022/009270 priority patent/WO2023277550A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부;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내원정보부; 상기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부; 및 상기 기본정보부, 내원정보부 및 증상부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OBJECTIVE TRIAGE OF EMERGENCY PATI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응급 상황에서 내원 환자의 주관적 정보를 제외한 객관적인 정보만으로, 신속하게 중증도를 분류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증도 분류(Triage)란 응급처치와 환자 이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환자를 증상별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는 응급실을 내원하는 모든 환자를 표준화된 기준으로 중증도를 분류한다.
도 1은, 기존의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표준화된 체계인 KTAS 등급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증도는 5개의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중증도는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등급 숫자가 낮을수록 진료 우선순위가 높으며, 상기 등급은: 생명이 위급하여 즉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1등급; 생명이 위급해질 수 있어 제1 시간 이내로 진료가 필요한 환자를 응급 2등급; 현재 생명이 위독하지 않지만 심각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늦은 제2 시간 이내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3등급; 위중한 상태가 아니고 상기 제2 시간 보다 늦은 제3 시간 이내로 진료해도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적은 환자를 응급 4등급; 및 비응급 환자로 상기 제3 시간 보다 늦은 제4 시간 이내에 진료해야할 환자를 응급5등급; 으로 분류된다. 중증도에 따라 응급의료의 우선 치료가 결정되고, 환자의 경, 중을 구분하여 응급처치 및 이송의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다만, 대량환자 발생시는 한정된 인원으로 많은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응급 상황에서 중증도를 일일이 분류하는 점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전문요원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환자의 경, 중을 구분하여 응급처치 및 이송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내원 환자의 주관적 정보를 제외한 객관적인 정보만으로, 신속하게 중증도를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급 상황에서 내원 환자의 주관적 정보를 제외한 객관적인 정보만으로, 신속하게 중증도를 분류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응급환자에 대한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부;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내원정보부; 상기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부; 및 상기 기본정보부, 내원정보부 및 증상부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부; 를 포함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으로서,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입력단계;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내원정보입력단계; 상기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입력단계; 및
상기 기본정보입력단계, 내원정보입력단계 및 증상입력단계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입력단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기본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환자의 성별,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수축기혈압(SBP), 이완기혈압(DBP),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및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중증도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중증도는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등급 숫자가 낮을수록 진료 우선순위가 높으며, 상기 등급은: 생명이 위급하여 즉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1등급; 생명이 위급해질 수 있어 제1 시간 이내로 진료가 필요한 환자를 응급 2등급; 현재 생명이 위독하지 않지만 심각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늦은 제2 시간 이내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3단계; 위중한 상태가 아니고 상기 제2 시간 보다 늦은 제3 시간 이내로 진료해도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적은 환자를 응급 4등급; 및 비응급 환자로 상기 제3 시간 보다 늦은 제4 시간 이내에 진료해야할 환자를 응급5등급; 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수축기혈압(SPB) 및 맥박수(P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수축기혈압(SPB) < 80mmHg 인 경우 1등급;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80 ≤ 수축기혈압(SPB) < 100mmHg 인 경우 2등급; 및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수축기혈압(SPB) ≥ 100mmHg 인 경우, 3등급; 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호흡수(R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호흡수(RR) ≥ 28회/분 또는 호흡수(RR) < 14회/분 인 경우 2등급; 및 20회/분 ≤ 호흡수(RR) < 27회/분인 경우 3등급; 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산소포화도(SpO2)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산소포화도(SpO2) < 90% 인 경우 1등급; 90% ≤ 산소포화도(SpO2) < 92% 인 경우 2등급; 및 92% ≤ 산소포화도(SpO2) < 94% 인 경우 3등급; 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7점 인 경우 2등급; 및 7점 <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13점 인 경우 3등급; 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을 기초로 하는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반응 기준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은, i) 맥박수(PR) > 90회/분, ii) 호흡수(RR) > 20회/분, iii)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 중 2개 이상을 만족하고, 상기 중증도는: 상기 SIRS 만족 기준 3개 모두 만족하는 경우 2단계; 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2개를 만족하는 경우 3단계; 및 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 만 만족하는 경우 4단계로 분류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중증도분류부가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복수의 항목을 기초로 중증도 를 분류할 때, 각각의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분류 등급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등급 중 숫자가 가장 작아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기본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환자의 생년월일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나이에 적합한 분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노령환자인 경우,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환자의 중증도 분류 등급을 한 등급 상향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 시스템에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환자의 나이를 연속형 변수로 반영한 로지스틱 회귀법(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최종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응급 상황에서 객관적 정보만으로 환자를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응급의료체계의 효율성 및 객관화를 기대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표준화된 체계인 KTAS 등급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가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분류부가 최종적으로 응급환자의 중증도 등급을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이미지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1)은 기본정보부(11), 내원정보부(13), 증상부(15), 중증도분류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정보부(11)는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데이터는 환자의 성별,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성별은 남자/여자 중 클릭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나이는 15세를 기준으로 하여 1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원정보부(13)는 환자의 주관적 정보를 배제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수축기혈압(SBP), 이완기혈압(DBP),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및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상에서 사용자가 측정 값 입력란을 클릭하면, 수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이후 활력징후 1차 고려사항으로서 KTAS 등급을 자동 분류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체온의 경우,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입력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측정 값 중 전체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입력된 측정 값만 이용하여 활력징후 1차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증상부(15)는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증상부(15)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하나 이상의 주증상에 연관된 객관적인 정보이고, 상기 증상부는 상기 환자의 증상을 검색어로 입력 받고,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된 복수의 주증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주증상 중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주증상을 선택 가능하도록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증상은 다수의 증상이 입력될 수 있고, 선택된 주증상은 추가 및 삭제하여 수정될 수 있다.
증상부(15)에서 획득한 증상별 객관적 정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상별 객관적 정보는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활력징후 1차 고려사항와 관련된 활력징후 측면의 객관적 정보이다. 예를 들어, 증상 항목은 의식수준, 혈역학적 상태, 호흡상태 및/또는 체온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증상 항목은 출혈상태, 사고기전, 급성 또는 만성 중심성 통증 및 급성 또는 만성 말초성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증도분류부(17)는 상기 기본정보부(11), 내원정보부(13) 및 증상부(15)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한다. 중증도분류부(17)는 각 입력 항목의 값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적용하여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증도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수축기혈압 (SPB) 및 맥박수(P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수축기혈압(SPB) < 80mmHg 인 경우 1등급;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80 ≤ 수축기혈압(SPB) < 100mmHg 인 경우 2등급; 및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수축기혈압(SPB) ≥ 100mmHg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호흡수(R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호흡수(RR) ≥ 28회/분 또는 호흡수(RR) < 14회/분 인 경우 2등급; 및 20회/분 ≤ 호흡수(RR) < 27회/분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산소포화도 (SpO2)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산소포화도(SpO2) < 90% 인 경우 1등급; 90% ≤ 산소포화도(SpO2) < 92% 인 경우 2등급; 및 92% ≤ 산소포화도 (SpO2) < 94%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7점 인 경우 2등급; 및 7점 <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13점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을 기초로 하는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반응 기준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은, i) 맥박수(PR) > 90회/분, ii) 호흡수(RR) > 20회/분, iii)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 중 2개 이상을 만족하고, 상기 중증도는 상기 SIRS 만족 기준 3개 모두 만족하는 경우 2등급;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2개를 만족하는 경우 3등급; 및 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만 만족하는 경우 4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중증도분류부(17)가 내원정보부(13)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복수의 항목을 기초로 중증도를 분류할 때, 각각의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분류 등급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등급 중 숫자가 가장 작아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선정할 수 있다.
중증도분류부(17)는 상기 기본정보부(11)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환자의 생년월일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나이에 적합한 분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노령환자인 경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환자의 중증도 분류 등급을 1등급 상향시켜 분류할 수 있다. 노령환자를 분류하기 위한 법정 기준이 상기 기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65세 이상 환자를 노령환자라고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법정 기준은 예를 들어, 노인외래정액제, 노인복지법에서 사용되는 법정 기준일 수 있다.
중증도분류부(17)는 환자의 나이를 연속형 변수로 반영한 로지스틱 회귀법(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최종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증도분류부는 환자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중증도 등급을 점점 상향시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1) 또는 일부 구성요소(예컨대, 기본정보부(11), 내원정보부(13), 증상부(15), 중증도분류부(17))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서, 상기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이 상기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은: (예를 들어, 기본정보부(11)에 의해)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입력단계(S21); (예를 들어, 내원정보부(13)에 의해)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내원정보입력단계(S23); (예를 들어, 증상부(15)에 의해) 환자의 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입력단계(S25); 및 (예를 들어, 중증도분류부(17)에 의해) 상기 기본정보입력단계, 내원정보입력단계 및 증상입력단계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입력단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단계(S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가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이미지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수축기혈압 (SPB)은 90mmHg, 맥박수(PR)는 110회/분이다. 이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80 ≤ 수축기혈압 (SPB) < 100mmHg 인 경우이므로 2등급으로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호흡수(RR)는 25회/분임을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20회/분 ≤ 호흡수(RR) < 27회/분인 경우에 해당하여 3등급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산소포화도(SpO2)는 89%임을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산소포화도(SpO2) < 90% 인 경우에 해당하여 1등급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는 14점인 것을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4등급 이상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맥박수(PR) 110, 호흡수(RR) 25, 체온(BT) 37.5℃를 기초로,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반응 기준에 따라i) 맥박수(PR) > 90회/분, ii) 호흡수(RR) > 20회/분, iii)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 중 i) 및 ii)에 해당하여, 2개를 만족하는 경우로서 중증도분류부는 환자의 중증도를 3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증도분류부가 최종적으로 응급환자의 중증도 등급을 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증도분류부가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복수의 항목을 기초로 중증도를 분류할 때, 각각의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분류 등급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등급 중 숫자가 가장 작아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수축기혈압 (SPB)은 90mmHg, 맥박수(PR)는 110회/분 입력 값에 대해서 2등급, 호흡수(RR) 25회/분 입력 값에 대해서 3등급, 산소포화도(SpO2) 89% 입력 값에 대해서 1등급,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반응 기준에 따라 3등급으로 각각의 입력 값에 따라 복수의 등급이 존재한다. 중증도분류부(17)는 상기 복수의 등급(2등급, 3등급, 1등급 및 3등급) 중 숫자가 가장 낮은 1등급을 최종적인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고, 해당 등급의 분류 원인이 된 항목을 제시하여 진료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1등급으로 분류된 원인인 산소포화도(SpO2) < 90%가 함께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최종 분류 등급 제시와 더불어 각각의 입력 항목 별로 분류된 KTAS 등급이 리스트화될 수 있다. 입력 정보에 따라 상이한 KTAS 등급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등급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응급 상황에서 객관적 정보만으로 환자를 중증도별로 분류하여 환자의 중증도 상태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응급의료체계의 효율성 및 객관화를 기대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신원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신원확인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응급환자에 대한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부;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내원정보부;
    상기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부; 및
    상기 기본정보부, 내원정보부 및 증상부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부; 를 포함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환자의 성별,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수축기혈압(SBP), 이완기혈압(DBP),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및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값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중증도는 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등급 숫자가 낮을수록 진료 우선순위가 높으며, 상기 등급은:
    생명이 위급하여 즉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1등급;
    생명이 위급해질 수 있어 제1 시간 이내로 진료가 필요한 환자를 응급 2등급;
    현재 생명이 위독하지 않지만 심각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늦은 제2 시간 이내로 진료해야 하는 환자를 응급 3단계;
    위중한 상태가 아니고 상기 제2 시간 보다 늦은 제3 시간 이내로 진료해도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적은 환자를 응급 4등급; 및
    비응급 환자로 상기 제3 시간 보다 늦은 제4 시간 이내에 진료해야할 환자를 응급5등급; 으로 분류되는 응급 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수축기혈압(SPB) 및 맥박수(P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수축기혈압(SPB) < 80mmHg 인 경우 1등급;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80 ≤ 수축기혈압(SPB) < 100mmHg 인 경우 2등급; 및
    (맥박수(PR) > 100회/분 또는 맥박수(PR) < 60회/분) 및 수축기혈압(SPB) ≥100mmHg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호흡수(RR)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호흡수(RR) ≥ 28회/분 또는 호흡수(RR) < 14회/분 인 경우 2등급; 및
    20회/분 ≤ 호흡수(RR) < 27회/분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산소포화도(SpO2)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산소포화도(SpO2) < 90% 인 경우 1등급;
    90% ≤ 산소포화도(SpO2) < 92% 인 경우 2등급; 및
    92% ≤ 산소포화도(SpO2) < 94%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를 기초로,
    중증도분류부는: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7점 인 경우 2등급; 및
    7점 <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GCS) ≤ 13점 인 경우 3등급; 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맥박수(PR), 호흡수(RR), 체온(BT)을 기초로 하는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 반응 기준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고,
    상기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은,
    i) 맥박수(PR) > 90회/분, ii) 호흡수(RR) > 20회/분, iii)체온(BT) > 38℃또는 체온(BT) < 36℃중 2개 이상을 만족하고,
    상기 중증도는: 상기 SIRS 만족 기준 3개 모두 만족하는 경우 2단계;
    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2개를 만족하는 경우 3단계; 및
    상기 SIRS 만족 기준 중 체온(BT) > 38℃ 또는 체온(BT) < 36℃만 만족하는 경우 4단계로 분류되고,
    상기 중증도는 분류된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중증도분류부가 상기 내원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복수의 항목을 기초로 중증도 를 분류할 때, 각각의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분류 등급이 상이한 경우, 복수의 등급 중 숫자가 가장 작아 환자의 치료 우선순위가 높은 등급을 최종 등급으로 선정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기본정보부에서 획득한 데이터 중 환자의 생년월일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나이에 적합한 분류 결과를 제시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노령환자인 경우,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상기 환자의 중증도 분류 등급을 한 등급 상향시키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증도분류부는 환자의 나이를 연속형 변수로 반영한 로지스틱 회귀법(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최종 분류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14.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기본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본정보입력단계;
    상기 환자에 관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내원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내원정보입력단계;
    상기 환자의 주증상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관적 정보 및 객관적 정보를 구분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증상입력단계; 및
    상기 기본정보입력단계, 내원정보입력단계 및 증상입력단계에서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내원정보입력단계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중증도분류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
  15.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4항에 따른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083997A 2021-06-28 2021-06-28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01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97A KR20230001282A (ko) 2021-06-28 2021-06-28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A3224450A CA3224450A1 (en) 2021-06-28 2022-06-28 Emergency patient objective triage system and method
PCT/KR2022/009270 WO2023277550A1 (ko) 2021-06-28 2022-06-28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997A KR20230001282A (ko) 2021-06-28 2021-06-28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82A true KR20230001282A (ko) 2023-01-04

Family

ID=8469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97A KR20230001282A (ko) 2021-06-28 2021-06-28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82A (ko)
CA (1) CA3224450A1 (ko)
WO (1) WO20232775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916B1 (ko) * 2005-10-21 2007-09-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1611838B1 (ko) * 2013-05-30 2016-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안전 관련 고위험군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004370B1 (ko) * 2017-07-27 2019-07-3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KR102068581B1 (ko) * 2017-12-28 2020-01-21 탑알앤디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의 환자중증도 분류시스템
KR102490087B1 (ko) * 2019-11-04 2023-0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의 중증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4450A1 (en) 2023-01-05
WO2023277550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ng et al. COVID‐19: use of the Clinical Frailty Scale for critical care decisions
Briller et al. Maternal cardiovascular mortality in Illinois, 2002–2011
JP6298454B2 (ja) 血行動態不安定性インデックス指標情報を評価する方法
Weiss et al. Validation of patient and nurse short forms of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Scale and their relationship to return to the hospital
Bilder et al. Prenatal and peri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lonso-Morán et al. Multimorbidity in risk stratification tools to predict negative outcomes in adult population
Amini et al.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preterm birth in Tehran, Iran: a comparison between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ethods
Fedele et al. An examin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parenting capacity measures in chronic illness populations
Conway et al. Outcomes in acute medicine-Evidence from extended observations on readmissions, hospital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outcomes
Rave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resenting complaints and clinical outcom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of different age categories
Cartus et al.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following severe maternal morbidity
Irwinda et al. Maternal and fetal characteristics to predict c-section delivery: A scoring system for pregnant women
Madden et al. Effects on breastfeeding of changes in maternity length-of-stay policy in a large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Shi et al. Predicting unplanned 7-day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s with machine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discharge risk assessment
KR20230001282A (ko)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Urban et al. The critical intervention screen: a novel tool to determine the use of lights and sirens during the transport of trauma patients
Nossa Aging, financing, and innovation in the health care system: a necessary discussion to maintain the right to health
WO2020148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equired parameters for predicting or detecting a medical condition of a patient
Sari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RC, a model for anticipating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coronavirus disease 2019 patients
Scheetz Complications and mortality among correctly triaged and Undertriaged severely injured older adults with traumatic brain injuries
Butikofer et al. The consequences of miscarriage on parental investments
KR20230001281A (ko)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McLaren Jr et al. A novel and precise profiling tool to predict gestational diabetes
Kennedy et al. Childhood Abuse and Postpartum Psychosis: Is There a Link?
Shamsabadi et al. Telehealth Systems for Midwifery Care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ystematic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