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16B1 -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16B1
KR100759916B1 KR1020050099501A KR20050099501A KR100759916B1 KR 100759916 B1 KR100759916 B1 KR 100759916B1 KR 1020050099501 A KR1020050099501 A KR 1020050099501A KR 20050099501 A KR20050099501 A KR 20050099501A KR 100759916 B1 KR100759916 B1 KR 10075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mergency
information
hospital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337A (ko
Inventor
유선국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9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응급구조사시 작성된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ion)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 선정을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은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에서 응급구조의 신고 및 접수와 관련된 정보, 구조활동 과정의 시간적 확인을 하는 정보와 환자 이송과 관련된 정보들이 입력 저장되는 접수관리부; 환자의 과거병력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과거병력부; 사건상황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사건상황부; 관찰검사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관찰검사부;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환자그룹관리부; 권역 응급의료센터로부터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병원을 판단하는 병원선정위치관리부;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부터 중증도 분류 결과를 수신하고 병원선정위치관리부로부터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분류에 해당병원분류를 할당하는 병원분류관리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증도 분류, 이송병원,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Description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transferring patient to the medical institute by triage-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 선정을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를 위해 만들어진 항목들간의 연결관계 일예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를 위해 항목들간의 관계 분석을 나타내는 클레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구급활동일지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의 항목의 설명창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에서 요청되는 정보표시의 일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와 이송병원 선정 과정의 관계를 보여주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 결과에 따른 이송병원 안내창의 일예이다.
본 발명은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응급구조사시 작성된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ion)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급활동일지는 구급대원이 의료기관에 도착하기 전까지 환자상태와 응급처치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그 작성을 의무화하고 있다.
중증도 분류(Triage)란 응급처치와 환자 이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환자를 증상별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대량환자 발생시는 한정된 인원으로 많은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전문요원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환자의 경, 중을 구분하여 응급처치 및 이송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응급 환자에서 긴급한 응급처치를 요하는 환자는 전체응급환자의 10~15%를 점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을 중증도에 따라서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빠른 시간내 직접 이송하는 경우에서 환자의 예후가 양호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증도 분류는 응급의료의 중요한 분야이지만, 병원이외의 장소에서 근무하는 응급요원이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은 응급의료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나 학문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신속 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병원전 상황은 이용할 수 있는 검사기구가 한정되 있고 시행할 수 있는 이학적 검사도 제한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사건발생 상황이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등은 다른 정보에 비해 획득이 용이하면서도 환자파악의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처음 파악할 때 실질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다면 환자의 병원전 중증도 파악에 도움이 될뿐만이 아니라 이후 병원에서 진단이 이루어 질 때도 효과적으로 질환에 접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응급의료체계는 사고 또는 불의의 대량 재해 등으로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진료를 행할 수 있도록 환자의 후송 및 진료에 관한 유기적인 조직체계를 정립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병원 전 단계, 후송단계, 병원단계 등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모든 과정은 상호 유기적인 협조 체제 하에서 일관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사고현장, 이송과정 및 병원 응급실을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증도 분류는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하여, 의학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순위를 정하고 구분하는 기능으로, 이를 수행함으로써 비응급환자는 1,2차 병원으로 긴급환자는 3차 병원으로 이송되어 응급의료시스템의 효율화와 환자에게도 만족할 만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환자상태와 관계없이 지리적 근접성이나 병원의 인지도 등에 의해 이송될 병원이 결정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환자나 보호자의 의료에 대한 정서적 측면에 의한 원인도 있지만, 또한 병원전 응급 상황에서 중증도 적용이 용 이하지 못하다는 점도 있다. 이는 사용할 수 있는 장비나 자원의 제한과 중증도 분류체계의 복잡성보다 중요한 원인으로 응급상황에서 환자 상태 파악과 처치에도 부족한 시간에 중증도 분류에 충분한 시간을 할당할 만한 여유가 없는 데 있다.
따라서 중증도 분류체계를 별도로 숙지할 필요없이 환자상태에 대한 기록만으로 중증도 분류 체계가 이루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이송병원의 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이에 본원발명은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응급구조사시 작성된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환자에게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의 내용에 따라 중증도 분류 체계를 위한 적절한 구급활동일지의 형식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구급활동일지의 형식을 설정에 있어서, 구급차로 의료기관의 이송시, 혈액검사나 방사선 기기 등, 각종 진단기기들을 이용하기가 어렵고, 응급구조사의 의료지식의 제한점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병원전 상황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명을 기대할 수 없다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증상 및 징후를 바탕으로 중증도 분류를 수행하는 맨체스터 환자분류 시스템(Manchester triage system)(이하 'MTS'라 한다) 분류체계를 선택하였다. MTS 분류체계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결과가 즉시치료 환자(Immediate), 긴급환자(Emergency), 응급환자(Urgency), 세미 응급환자(Semi-urgency), 비응급환자(non-urgency), 이렇게 5가지 그룹으로 분류되고 해당 그룹은 각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만 하는 시간값 (Target time)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시간값은 즉시치료 환자(Immediate)의 경우는 즉시('0')이며, 긴급환자(Emergency)의 경우는 10분이내이고, 응급환자(Urgency)는 60분이내이고, 세미 응급환자(Semi-urgency)의 경우는 120분이내이고, 비응급환자(non-urgency)는 240분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종이로 된 구급활동일지의 표기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중증도 분류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전산화로 이루어진 구급활동일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 선정을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 선정을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 응급구조사 시스템(100), 권역응급의료정보센터 서버(200), 이송병원(290)을 구비한다.
응급구조사 시스템(100)은 응급구조사가 구급활동일지 등을 작성하고 저장하 며, 이를 권역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서버(200)에 보고하며, 권역 응급의료정보센터 서버(200)로부터 해당권역의 응급의료기관의 정보를 수신한다. 응급구조사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메모리부(120), 연산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90)을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구급활동일지에 따른 정보를 입력한다.
연산처리부(130)는 상기 입력부(110)로 부터 입력된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저장하며 권역응급의료정보센터 서버(200)로부터 해당권역의 응급의료기관의 정보를 수신하고 연산처리하여 이송병원(290)을 선정하고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선정된 이송병원(290)으로 전송한다. 즉 연산처리부(120)는 구급활동일지 정보로부터 환자의 중증도를 결정하며, 환자발생위치를 중심으로 이용 가능한 인접한 병원들을 해당 중증도 분류 결과에 따라 선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연신처리부(130)는 접수관리부(135), 과거병력부(140), 사건상황부(145), 관찰검사부(150), 환자그룹관리부(155), 병원 선정 위치관리부(160), 병원분류관리부(165)를 구비한다.
접수관리부(135)는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 중 접수관리영역을 관리한다. 접수관리부(135)는 응급구조사가 환자 상태에 따라 구급활동일지의 각 항목들을 기입함으로써 환자상태에 따른 정보, 즉 응급구조의 신고 및 접수 와 관련된 정보, 구조활동 과정의 시간적 확인을 하는 정보와 환자 이송과 관련된 정보, 기타 통계 및 관리에 관한 정보가 입력 저장되고, 중증도 분류를 위해 접수관리부(135)에서 입력된 환자의 성과 나이 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하며, 접수관리부(135)에 서 환자의 발생위치를 병원 선정 위치관리부(160)로 전송한다.
과거병력부(140)는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 중 환자의 과거병력영역을 관리한다. 과거병력부(140) 응급구조사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과거병력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
사건상황부(145)는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 중 사건상황영역을 관리한다. 사건상황부(145)는 응급구조사로부터 입력된 사건상황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
관찰검사부(150)는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 중 관찰검사영역을 관리한다. 관찰검사부(150)는 응급구조사로부터 입력된 관찰검사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
환자그룹관리부(155)는 중증도를 분류한다. 환자의 중증도 분류는 즉시치료환자 그룹(시간값은 즉시), 긴급환자 그룹(시간값은 10분내), 응급환자 그룹(시간값은 60분내), 기타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중증도 분류결과에 따라 환자는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 세미 응급환자(Semi-urgency), 비응급환자 구룹중의 하나로 분류된다.
병원선정위치관리부(160)는 권역 응급의료센터(200)로부터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병원을 판단한다. 즉 병원선정위치관리부(160)는 권역 응급의료센터(200)로부터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의료기관의 인접병원 정보와 당직의료기관의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기타과의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한다.
병원분류관리부(165)는 환자그룹관리부(155)로부터 중증도 분류 결과를 수신하고 병원선정위치관리부로부터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환자분류에 해당병원분류를 할당한다.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은 응급의료기관/센터(290)에서, 기타 환자들은 비응급환자 구룹으로 간주하여 당직의료기관에 할당한다. 한편 중증도 분류에서 각 그룹은 해당되는 시간값(target time)이 정하여지며, 상기 시간값을 거리로 환산하여 해당되는 거리 반경 안에 있는 최적한 병원을 설정한다. 이때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은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이 설정되며,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은 반경 5km 거리에 있는 응급의료기관이 설정되며,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은 반경 30km거리에 있는 응급의료기관이 설정되며, 기타그룹은 응급상황에서 시간값(Target time)과 크게 관계가 없으므로 당직의료기관을 크게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정형외과/기타과 로 구분하여 해당 권역의 환자에게 해당 당직의료기관을 할당된다. 이는 구급차 평균속도를 30km/hr로 간주하였을 때로 5km이내, 30km내 등의 거리값은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연산처리부(1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90)는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권역 응급의료정보센터(290)는 응급구조사 시스템(100)으로부터 요청이 오면 해당권역의 응급의료기관의 정보를 응급구조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송병원(290)은 응급구조사 시스템(100)에서 선정된 이송병원으로, 크게 응급의료기관(300)과 당직의료기관(400)으로 나눌 수 있다.
응급의료기관(300)은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의 환자가 중증도 분류와 시간값에 따라 응급의료기관(300)이 설정된다.
당직의료기관(400)은 세미 응급환자(Semi-urgency), 비응급환자 구룹의 경우 응급상황에서 시간값(Target time)과 크게 관계가 없으므로 당직의료기관을 크게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정형외과/기타과 로 구분하고 해당그룹을 선택시 그 권역의 당직의료기관을 모두를 디스플레이하여 그중의 소망하는 당직의료기관(400)을 설정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증도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기본적인 의학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중증도 분류를 수행하는 대상을 응급 구조사로 간주하고, 구급차에 의한 병원으로의 이송상황을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급활동일지의 형식은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환자에게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의 내용으로서 이 내용만으로도 중증도 분류가 가능하도록 형식을 정하였으며, 환자의 증상 및 징후를 바탕으로 중증도 분류를 수행하는 MTS 분류체계를 이용한다.
MTS 중증도 분류체계를 구급활동일지에 적용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급활동일지의 항목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급활동일지는 MTS 각 항목들이 의미하는 바를 접수관리영역, 과거병력영역, 사건상황영역, 관찰검사영역의 4 영역 중에 해당되는 영역정보로 나누고 구체적인 사항들을 해당영역에 맞게 재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응급구조사의 업무능력과 구급차에 구비된 장비상황도 고려하였다.
표 1은 본 발명에서 구급활동일지의 각 항목들을 접수관리 영역, 과거병력 영역, 사건상황 영역, 관찰검사 영역의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하위항목을 배분한 표이다.
항목 하위 항목
접수관리영역 신고일시, 출동시간, 현장도착시간, 현장출발시간, 병원도착시간, 귀소시간, 신고자인적사항, 신고방법, 재난관할, 출동유형, 환자인적사항, 직업, 환자 발생 주소, 보호자인적사항, 환자이송내역, 미이송내역, 이송자
과거병력영역 병력
사건상황영역 환자증상,교통사고, 의도성유무, 환자발생유형
관찰검사영역 의식상태, 동공반응, 생체징후, 사고부위, 중증도 분류, 구급대원평가소견, 응급처치내역, 의사지도
접수관리영역(Reg_mag)은 응급구조의 신고 및 접수 와 관련된 정보, 구조활동 과정의 시간적 확인을 하는 정보와 환자 이송과 관련된 정보, 기타 통계 및 관리에 관한 내용 등으로 구성된다. 즉 접수관리영역은 신고일시, 출동시간, 현장도착시간, 현장출발시간, 병원도착시간, 귀소시간, 신고자인적사항, 신고방법, 재난관할, 출동유형, 환자인적사항, 직업, 환자 발생 주소, 보호자인적사항, 환자이송내역, 미이송내역, 이송자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의학적인 관점에서 접수관리영역에서 획득될 수 있는 주된 것은 환자의 성별/나이와 같은 환자의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등이 될 수 있다.
과거병력영역(Med_his domain)은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환자의 기존질환에 대한 정보를 얻는 영역이다.
사건상황영역(Inc_situ domain)은 환자가 응급 상황의 이유. 사건 발생시 구체적인 상황 등이 기술되는 영역으로 보호자나 환자에게서 파악된다. 사건상황영역은 환자증상, 교통사고, 의도성유무, 환자발생유형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관찰검사영역(Obs_exam domain)은 응급구조사가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인 검사나 관찰을 바탕으로 나온 정보들이 파악되는 영역이다. 관찰검사영역은 의식상태, 동공반응, 생체징후, 사고부위, 중증도 분류, 구급대원평가소견, 응급처치내역, 의사지도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구급활동일지는 민감도(Sensitivity)가 높은 질의 항목을 구성함으로써 위음성(False negative)이 낮게 나오도록 하여, 고위험군의 환자가 저위험군의 환자로 분류됨으로써 치료의 기회 적절성 상실과 시간적, 물질적 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한다.
표 2는 본 발명의 중증도 분류체계를 나타낸 표이다.
MTS 항목 사건상황영역 관찰검사영역
흉통; 심장통 흉통, 심장통
흉통;비이상적맥박수 흉통 맥박수>120 or 맥박수<60, ECG
두통; 측두옆의 압통 두통 측두엽의 압통 관찰
두통; 뇌막염 의심 두통 온도>37.5, 목경직 관찰, 피부의 발진(Rash)
표 2는 본 발명에서 MTS 중증도 분류체계를 구급활동일지의 정보들을 분석하여 분류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가령 MTS 중증도 분류에서 흉통 환자가 비정상적인 박동수를 보이는 경우는 사건상황영역에서 흉통이라는 항목과 관찰검사영역에서 맥박수가 120회이상이거나 60회이하 혹은 ECG에서 이상결과가 관찰될 경우로 변형하여 해석하였다. 한편 MTS 중증도 분류체계에서는 환자의 정신상태(M/S) 평가에서 글래스고 혼수 척도(Glagow Coma Scale)(이하 GCS라 한다)법을 사용하여 이를 이용한 분류-수정된 외상 점수(Triaged-revised trauma score)(이하 TRTS라 한다)를 채택하나,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GCS법이 아니라 의식상태(alert, response to verbal order, response to pain, unresponse)(이하 AVPU라 한다)법을 쓰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환자 평가를 시행한 연구 들을 참조하여 외상환자의 경우는 분류점수(triage score)(이하 TS라 한다), 비외상환자의 경우는 수정된 분류점수(modified triage score)(이하 MTS라 한다)를 본 발명에 적용했다. 이 때 MTS에서는 RTS(revised trauma score)를 세가지 그룹으로 구분하나 정신상태평가 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이러한 체계를 그대로 도입할 수 없어, 본 발명의 TS, MTS에서는 정상인 그룹과 즉시치료 환자 그룹(Immediate group)의 두가지 그룹으로 구분한다. 이 경우 본래 MTS 중증도 분류에서는 긴급환자(Emergency group)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환자도 본 발명에서는 즉시치료 환자 그룹(Immediate group)로 분류될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나 평가에서 위음성(False negative)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중증도 분류의 의미와는 적용을 달리했다. 또한 MTS 분류체계에서는 제대 탈출(Umblical cord porlapse)과 같이 사실상 병원전 응급상황에서 진단하기 어려운 항목들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항들은 배제하였다.
표 3은 중증도 평가를 위해 본 발명에서 추가된 하위항목 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기존의 구급일지 하위항목 새롭게 만들어진 하위항목들
접수관리영역 신고일시, 출동시간, 현장도착시간, 현장출발시간, 병원도착시간, 귀소시간, 신고자인적사항, 신고방법, 재난관할, 출동유형, 환자인적사항, 직업, 환자 발생 주소, 보호자인적사항 환자이송내역,미이송내역,이송자,통계용 기존의 것과 동일
과거병력영역 과거병력 기존의 것과 동일
사건상황영역 환자증상 외상외원인, 외상원인, 추가질의 1, 추가질의 3
관찰검사영역 사고부위 구급대원평가소견 이학적검사항목분류표,ECG,청진음,Glucose,Skin검사, 추가질의 2
표 3은 중증도 분류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항목들 결과를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 그룹화한 것이다.
접수관리영역 및 과거병력영역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사건상황영역에서는 환자의 증상 및 징후는 원인에 따라 외상에 의한 원인과 외상이외의 원인으로 나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정보항목들은 기타질의 1,3 에 포함된다.
관찰검사영역에서는 간략한 검사내용들을 하나의 표로 표현하며 사람의 환부의 해부학적 위치를 나타내도록 했으며. 세부적인 검사들은 별도로 표현했다. 이 외에 나머지 검사항목들은 기타질의 2에 포함시켰다.
본 발명에서 구급활동일지의 모델링과 웹을 기초로 한 시스템(web based system) 구축에 있어서, 접수관리영역, 과거병력영역, 사건상황영역, 관찰검사영역에서 각 영역들 내의 항목들 사이의 관계를 클레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으로 모델링하고, 이 결과를 기초로하여,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를 바탕으로 한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을 구축했다. 인터넷 기반의 ASP 형태는 여러 다른 의료정보시스템들과 유기적 통합이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응급의료정보시스템에서도 효과적인 방안이다. 즉 본 발명은 ASP를 바탕으로 한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을 구축함으로써 여러 다른 의료정보시스템들과 유기적 통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를 위해 만들어진 항목들간의 연결관계 일예의 설명도이다. 도 2에서는 특히 통증과 연결관계를 갖는 항목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통증양상은 복통, 심장통, 두통, 요통으로 나뉜다.
복통의 하위항목은 인적사항, 임신가능성, 지속적 구토, 토열, 혈변을 구비한다.
심장통의 하위항목은 흉통, 맥막수 이상을 구비한다.
두통의 하위항목은 광공포, 측두옆의 압통, 체온, 목경직, 피부발진을 구비한다.
요통의 하위항목은 보행불가, 직접적 외상을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어떤 항목의 정보가 다른 항목과의 정보 연결에 의해 중증도가 결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가령 두통이 있는 환자에서는 통증의 심한 정도에 의해서도 중증도가 판별될 수 있지만,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라도 목의 경직이나 고열, 광공포, 피부 발진(rash) 등이 관찰되는지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를 위해 항목들간의 관계 분석을 나타내는 클레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이다.
도 3에서 클래스간의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한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은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 디라이브(<<derive>>)의 두 가지이다.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는 특정 이벤트가 한 클래스에서 발생시 연결된 다른 클래스에 통보하는 관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디라이브(<<derive>>)는 다른 클래스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유도할 수 있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발생유형클래스에서는 환자의 발생유형이 외상인지 외상외 원인 인지가 결정되게 된다. 외상이 원인으로 파악되면 외상원인 클래스에서 환자에 해당되는 항목이 선택되게 된다 .
대부분 외상원인 클래스에서는 추가적인 정보 없이도 중증도 분류가 판단 될 수 있지만(가령, 낙상>3m 선택시 다른 정보 없이도 긴급환자그룹으로 판별되게 된다.), 중증도 분류에서 외상이 있으면서 무의식의 과거력이 있을 경우 응급환자그룹으로 분류 될 수도 있으므로 외상이 발생유형클래스에서 선택되면 , 외상원인클래스에서 입력 내용과 관계없이 추가질의1 클래스에 있는 무의식의 과거력 여부가 파악되서 입력되어야 한다.
발생유형클래스에서 외상외 원인이 선택되어지면,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환자에 해당되는 항목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외상외원인클래스 내에서 하나의 항목들이나 클래스내의 다른 항목들간의 관계에 의해 중증도가 분류될 수 있는 항목들( 가령 ,하나의 항목에 의해 중증도 결정되는 것들 : 심정지,호흡곤란, 다른 항목들간의 관계에 의해 중증도가 결정되는 항목들 복통과 객혈이 같이 선택될 경우) 도 있지만 다른 클래스들간의 관계에 의해 중증도가 결정되어야 하는 항목들도 있다.
통증양상클래스에서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통증과 관련된 항목들(요통,두통,복통,흉통)이 선택되어지면 통증정도가 어떠한지, 방사통인지, 반발통인지, 주기를 띠고 있는지 파악되어야 한다.
출혈양상클래스에서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출혈과 관련된 항목들(객혈, 질출혈, 대변의 피,)이 선택되어지면 출혈의 정도가 어떠한지 파악되어야 한다.
환자인적사항클래스에서는 성과 나이를 판단하게 되는데, 12세이상 50세 이하의 여성을 가임기 여성으로 판단하게 되고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이러한 환자가 복통을 호소할 경우 추가질의3 클래스에서 임신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과거병력 클래스에서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행동이상이나 과민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과거병력에서 주요한 정신과적 질환의 과거력이나 심한 알러지(Allergey) 과거력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ECG 클래스에서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흉통이 선택되어지고 이 클래스에서 MI/Angina여부를 확인해야 되는 클래스이다.
글루코스(Glucose)클래스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반응없음/이상반응 항목이 선택되어진다면 BST를 확인해 보아서 300이상이거나 70미만인 경우를 파악해야 하며 생체활력검사에서 M/S가 비정상인경우 200이상인지도 확인해 보아야 한다.
동공반응클래스는 생체활력징후에서 M/S가 비정상적인 경우와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반응없응/이상반응 항목이 선택되었을때 동공상태가 어떠한지 파악되어야 한다.
피부(Skin)클래스는 뇌수막염이나 두개내 혈종이 의심되는 환자(광공포, 두통, 목경직증상 ) 에게서 발진(Rash)나 자반병(purpura) 여부가 파악되거나 탈수의심이 있는 환자에게서 탈수정도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파악될 수도 있다.
청진음클래스는 천식의심환자에게서 Wheezing여부를 파악하거나 화상의심환자에게서 흡입손상여부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클래스이다.
추가질의 클래스에서는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특정 정보가 받아들여지면 추가적인 질의를 요청받는 클래스이다. 가령 환자가 가슴의 통증을 호소하여 흉통이라는 항목이 외상외 영역에서 선택되어지면 심장에 의한 통증(심장통) 인지 추가질의 3 에서 확인되어야 한다.
또한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행동이상으로 판정된 환자는 기타질의 1에 있는 자해가능성이나 상해가능성을 파악해야 한다. 다른 기타질의 클래스들이 사건상황영역과 관련된 정보들을 담고 있는 클래스라면 기타질의 2 클래스는 관찰검상영역과 관계가 있는 정보가 있는 클래스이다. 가령 외상원인클래스에서 낙상이 있는 환자였을 때 그 부위에 외형상 기형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거나 외상외원인클래스에서 배뇨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방광팽창여부를 파악할 때 필요한 클래스이다.
한편 다른 클래스와의 관계 없이도 해당 클래스는 그 자체정보만으로 중증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가령 출혈양상클래스에서 외상외원인클래스의 정보 없이도 출혈정보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과거병력클래스에서 면역저하질환이나 혈액관련질환력이 있는 경우도 그 자체 정보만으로도 중증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학적검사 클래스와 생체활력징후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들과 별도의 관계는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환자 상태와 상관없이 반드시 행해져야 하는 클래스이다
MTS/TS 클래스는 환자의 생체활력징후를 수치로서 파악하는 것으로서 외상환자는 TS , 외상외 원인 환자는 MTS 계산으로 판단한다. (MTS(Modified triage score) ≤ 11 TS(triage score) ≤8 이면 Immerdiate group) 한편 MTS는 계산하는데 흉통이라는 정보를 필요로 하므로 ,기타질의 3에 있는 흉통항목 입력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다시말해, 발생유형 클래스에서 환자 증상의 원인이 외상에 의한 것인지 외상이외의 다른 원인인지 구별하고, 해당되는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관계에 의해 추가정보가 필요한 항목들은 해당되는 추가 질의 클래스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외상외 원인 클래스에서도 항목 중 중증도를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것들은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관계에 의해 해당되는 검사결과나 과거병력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렇게 정보를 입력받게 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증도 판단 클래스는 디라이브(<<derive>>)관계를 통해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구급활동일지의 일예이다.
도 4는 구급활동일지를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화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현장에서 구급활동일지가 쓰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사용되고 있는 구급활동일지와 최대한 유사하게 항목들간의 배치를 하고 화면구성을 하였다. 기존의 종이로 된 구급활동일지의 표기형태를 최대한 그대로 웹화면으로 옮길려는 원칙하에 표현하기 어렵거나 중증도 분류를 위해 더 자세한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에서는 일부 항목을 수정하거나 항목들을 새롭게 만들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의 항목의 설명창의 일예이다.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구급활동일지의 해당 항목들이 무슨 의미인지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목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내용을 설명하는 별도의 화면이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에서 요청되는 정보표시의 일예이다.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중증도 판단을 위한 확인 버튼을 눌렀을 때 해당되는 정보만으로 중증도 분류가 힘들 경우, 도 1과 같은 연결관계를 반영하여 해당정보의 빨간 테두리가 쳐지며, 필요한 정보를 입력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한편 이러한 경우 환자 상태가 실제 양호하여 더 이상 환자 정보가 필요치 않을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중증도 판별 버튼을 누를 수 있는 횟수를 2번 정도로 제한함으로써 그 이후에는 입력된 정보만으로 중증도를 판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응급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이송을 통해 응급의료 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증도 분류의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중증도 분류를 통해 이송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5호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규정을 참고하여, 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기관, 당직의료기관 이렇게 3분류로 병원정보를 수집했고, 권역의료센터는 사실상 특정 지역에 단 한곳에 불과하므로 응급의료 센터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병원정보에 따라 임의로 정한 환자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구하고, 중증도 분류에 의한 결과정보는 해당환자의 중증 정도와 적절한 치료시간으로 구성되므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Immediate / Emergency / Urgency / 기타)에서 적절한 치료 시간(즉각적/10분이내/60분이내/없음)을 구급차의 평균속도인 30km/hr를 기준으로 수집된 병원정보를 환자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분류하고(가장 가까운곳/5km/30km/모든 병원), 세미 응급환자(semi-urgent) 이하의 중증도 결과는 응급상황으로 간주하기 힘드므로 모두 기타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와 이송병원 선정 과정의 관계를 보여주는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접수관리부(135)는 응급구조사가 환자 상태에 따라 구급활동일지의 각 항목들을 기입하여 환자상태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며(S100), 중증도 분류를 위해 접수관리부(135)에서 입력된 환자의 성과 나이 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하고(S120), 접수관리부(135)에서 환자의 발생위치를 병원 선정 위치관리부(160)로 전송한다(S140).
응급구조사가 과거병력부(140)에 환자의 과거병력정보를 입력하면(S160), 과거병력부(140)에서 환자의 과거병력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S180).
응급구조사가 사건상황정보를 사건상황부(145)에 입력하면(S200), 사건상황부(145)에서 사건상황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S220).
응급구조사가 관찰검사정보를 관찰검사부(150)에 입력하면(S240), 관찰검사부(150)에서 관찰검사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155)로 전송한다(S260).
환자그룹관리부(155)는 중증도를 분류한다(S280). 환자의 중증도 분류는 즉시치료환자 그룹(시간값은 즉시), 긴급환자 그룹(시간값은 10분내), 응급환자 그룹(시간값은 60분내), 기타 그룹으로 분류한다.
병원선정위치관리부(160)는 권역 응급의료센터(200)로부터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수신하여(S300), 인접병원을 판단한다(S320). 즉병원선정위치관리부(160)는 권역 응급의료센터(200)로부터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의료기관의 인접병원 정보와 당직의료기관의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기타과의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한다.
병원분류관리부(165)는 환자그룹관리부(155)로부터 중증도 분류 결과를 수신하고(S340) 병원선정위치관리부(160)로부터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한다(S360).
병원분류관리부(165)는 해당 환자분류에 해당병원분류를 할당한다(S380). 즉, 즉시치료 환자그룹은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이 할당되며, 긴급환자 그룹은 반경 5km이내에의 응급의료기관이 할당되며, 응급환자그룹은 반경 30km내의 응급의료기관이 할당되며, 기타그룹은 해당 권역의 환자에게 해당 당직의료기관을 할당한다. 이는 구급차 평균속도를 30km/hr로 간주하였을 때로 5km이내, 30km내 등의 거리값은 달라질 수 있다.
다시말해, 응급구조사가 환자 상태에 따라 구급활동일지의 각 항목들을 기입하게 되면, 중증도 분류를 위해 접수관리부(135)에서는 환자의 성과 나이정보가 파악되며, 과거병력부(140)에서는 환자의 과거병력정보가 파악되며, 사건상황부(145)과 관찰검사부(150)에서 환자의 상태에 해당되는 정보가 파악된다. 이렇게 파악된 정보들은 환자그룹관리부(155)에서 환자의 중증도가 결정된다.
또한 접수관리부(135)에서 환자발생위치 정보와 권역응급의료센터(200)에서 그 지역의 응급(ER)병원정보를 얻어, 이를 통해 병원 선정위치관리(160)에서 환자 발생 위치를 바탕으로 로 이용 가능한 인접한 병원들을 파악한다. 인접병원정보와 환자의 중증도 판단 결과는 병원분류 관리부(165)를 통해 연결되어 환자 중증도에 따른 이송병원선정 안내기능을 하게 된다.
연결방법은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환자그룹(Emergency group), 응급환자그룹(Urgency group)은 응급의료센터/기관에서, 기타 환자들은 비응급환자로 간주하여 당직의료기관에 할당했다 . 이는 향후 환자가 이송 병원 도착시 적절한 진단 및 치료 능력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과 긴급환자그룹(emergency group), 응급환자그룹(Urgency group)은 중증도 분류 결과에 따른 시간값(Target time)이 틀리므로 이송을 권고할 수 있는 병원수에 있어 차이가 발생한다.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은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센터가 표시되며, 긴급환자그룹(Emergency group)은 반경 5km 거리에 있는 응급의료센터가, 응급환자그룹(Urgency group)은 반경 30km거리에 있는 응급의료센터가 표시된다. 이는 서울시 구급차 평균속도 30km/hr 를 고려하여 거리로 환산하였다. 기타그룹은 응급상황에서 시간값(Target time)과 크게 관계가 없으로 당직의료기관을 크게 내과/외과/소아과/산부인과/정형외과/기타과 로 구분하고 해당그룹을 선택시 그 권역의 당직의료기관을 모두 나타나게 된다.
또한 중증도에 맞는 해당 병원이 위의 과정에 의해 나타나지 않을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 해당권역의 응급의료기관이 모두 나타나도록 하여 이송거리가 가까우면서 가급적 그 환자에 맞는 병원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중증도 분류 결과에 따른 이송병원 안내창의 일예이다.
도 8에서의 화면창을 통해 각 이송병원과 그 이송병원의 환자로부터의 거리 등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의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는 종래의 종이로 된 구급활동일지의 표기형태를 최대한 유지 하면서 중증도 분류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하기에 용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현재에 중증도 분류는 응급의료의 중요한 분야이지만, 병원이외의 장소에서 근무하는 응급요원이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은 응급의료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나 학문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병원전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검사기구가 한정되 있고 시행할 수 있는 이학적 검사도 제한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사건발생 상황이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등은 다른 정보에 비해 획득이 용이하면서도 환자파악의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처음 파악할 때 실질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다면 환자의 병원전 중증도 파악에 도움이 될뿐만이 아니라 이후 병원에서 진단이 이루어 질 때도 효과적으로 질환에 접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중증도 분류체계를 별도로 숙지할 필요없이, 환자상태에 대한 기록만으로도 중증도 분류 체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증도 분류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구급차가 단순히 환자 이송기능에만 머무르고 있는 역할에서 벗어나 환자 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환자 분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이 활성화된다면 비응급환자들에 의한 응급실 내원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비효율성, 비경제성의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환자가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더라도 병원까지의 거리를 정 하고자 할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송병원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3)

  1.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 선정을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에서 응급구조의 신고 및 접수와 관련된 정보, 구조활동 과정의 시간적 확인을 하는 정보와 환자 이송과 관련된 정보들이 입력 저장되는 접수관리부;
    환자의 과거병력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과거병력부;
    사건상황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사건상황부;
    관찰검사정보가 입력 저장되는 관찰검사부;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환자그룹관리부;
    권역 응급의료센터로부터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병원을 판단하는 병원선정위치관리부;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부터 중증도 분류 결과를 수신하고 병원선정위치관리부로부터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분류에 해당병원분류를 할당하는 병원분류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시 중증도에 따라 시간값(Target tim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 세미 응급환자(Semi- urgency), 비응급환자 구룹(Semi-urgency)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세미 응급환자(Semi-urgency) 및 비응급환자 구룹(Semi-urgency)을 묶어서 기타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긴급환자 그룹으로 분류될때 시간값(Target time)은 10분내이며, 응급환자 그룹으로 분류될때 시간값은 60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선정위치관리부는 상기 권역 응급의료센터로부터 응급의료센터 및 응급의료기관의 인접병원 정보와 당직의료기관의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기타과의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분류관리부는 즉시치료 환자그룹(Immerdiate group), 긴급 환자구룹(Emergency group), 응급 환자구룹(Urgency group)은 응급의료센터/기관로 할당하며, 기타 환자들은 당직의료기관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맨체스터 환자분류 체계(Manchester triage system)(MTS)를 이용하여 중증도 분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AVPU법을 이용하며,
    외상환자의 경우는 분류점수(triage score)(TS), 비외상환자의 경우는 수정된 분류점수(modified triage score)(MTS)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10.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를 입력 저장하며, 상기 구급활동일지 정보로부터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급활동일지가
    응급구조의 신고 및 접수 와 관련된 정보, 구조활동 과정의 시간적 확인을 하는 정보와 환자 이송과 관련된 정보, 기타 통계 및 관리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접수관리영역;
    환자의 과거 질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거병력영역;
    환자의 증상 및 징후는 원인에 따라 외상에 의한 원인과 외상 이외의 원인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며, 환자가 응급 상황의 이유, 사건 발생시 구체적인 상황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건상황영역;
    이학적검사항목분류표, ECG, 청진음, 글루코스(Glucose), 피부검사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며,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인 검사나 관찰을 바탕으로 나온 정보들이 입력되는 관찰검사영역;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를 입력 저장하며, 상기 구급활동일지 정보로부터 중증도 분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최적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산화된 구급활동일지의 각 항목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환자의 성과 나이 정보를 환자그룹관리부로 전송하고, 환자의 발생위치를 병원 선정 위치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과거병력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과거병력정보를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사건상황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건상황정보를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관찰검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관찰검사정보를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는 즉시치료환자 그룹, 긴급환자 그룹, 응급환자 그룹, 기타 그룹으로 중증도를 분류하되,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시 중증도에 따라 시간값(Target time)을 갖게 분류하는 단계;
    병원선정위치관리부는 권역 응급의료센터로부터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수신하여, 인접병원을 판단하는 단계;
    병원분류관리부는 상기 환자그룹관리부로부터 중증도 분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병원선정위치관리부로부터 인접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분류에 해당병원분류를 할당하는 단계;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99501A 2005-10-21 2005-10-21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75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01A KR100759916B1 (ko) 2005-10-21 2005-10-21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01A KR100759916B1 (ko) 2005-10-21 2005-10-21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37A KR20070043337A (ko) 2007-04-25
KR100759916B1 true KR100759916B1 (ko) 2007-09-18

Family

ID=3817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501A KR100759916B1 (ko) 2005-10-21 2005-10-21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860A (ko) 2016-06-14 2017-12-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상황관제 시스템 및 관제방법
WO2023277550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6858A (ko) 2021-12-08 2023-06-16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상황 신속한 중증도 분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2923A1 (en) * 2007-07-17 2009-01-22 Walkingshaw Nathan 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US8971501B2 (en) 2009-04-13 2015-03-03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identify code hierarchy bias in medical priority dispatch systems
US8355483B2 (en) 2009-09-11 2013-01-15 Clawson Jeffrey J Stroke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335298B2 (en) 2009-09-14 2012-12-18 Clawson Jeffrey J Pandem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294570B2 (en) 2010-02-24 2012-10-23 Clawson Jeffrey J Burn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KR101222379B1 (ko) * 2010-05-19 2013-0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GB2489875A (en) 2011-01-19 2012-10-10 Jeffrey Johnson Clawson Meningitis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670526B2 (en) 2011-02-11 2014-03-11 Jeffrey J. Clawson Hate crime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712020B2 (en) 2012-09-06 2014-04-29 Jeffrey J. Clawson Pandemic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EP3279880B1 (en) 2013-01-31 2018-10-17 Jeffrey J. Clawson System and method for text messaging for emergency response
US8873719B2 (en) 2013-01-31 2014-10-28 Jeffrey J. Clawson Active assailant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9516166B1 (en) 2015-05-28 2016-12-06 Jeffrey J. Clawson Chemical suicide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US10657614B2 (en) 2015-12-23 2020-05-19 Jeffrey J. Clawson Locator diagnostic system for emergency dispatch
US9877171B2 (en) 2016-04-08 2018-01-23 Jeffrey J. Clawson Picture/video messaging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AU2019256700A1 (en) 2018-04-19 2020-11-26 Jeffrey Clawson Expedited dispatch protocol system and method
KR101959375B1 (ko) * 2018-09-28 2019-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호소를 선택하여 선택된 구호소에 환자들을 할당하는 방법
KR102402697B1 (ko) * 2019-09-04 2022-05-27 주식회사 온택트헬스 최적 이송 병원 결정 방법 및 서버
WO2021045535A1 (ko) * 2019-09-04 2021-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 이송 병원 결정 방법 및 서버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10471B2 (en) 2021-04-23 2024-02-20 Priority Dispat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KR20230001281A (ko) * 2021-06-28 2023-01-04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N114093223A (zh) * 2021-11-22 2022-02-25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推演卡牌及利用其进行化学灾害医学救援推演的方法
CN116805521B (zh) * 2023-08-22 2023-11-14 南通大学附属医院 面向历史信息的医院档案监控平台与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39A (ko) * 2002-10-28 2004-05-07 (주)메드 밴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050004553A (ko) * 2003-07-03 2005-01-12 정경우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39A (ko) * 2002-10-28 2004-05-07 (주)메드 밴 원격응급진단장치
KR20050004553A (ko) * 2003-07-03 2005-01-12 정경우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응급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860A (ko) 2016-06-14 2017-12-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어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상황관제 시스템 및 관제방법
WO2023277550A1 (ko) * 2021-06-28 2023-01-05 서울대학교병원 응급환자 객관적 중증도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6858A (ko) 2021-12-08 2023-06-16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응급상황 신속한 중증도 분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37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916B1 (ko)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Allanson et al. Causes of perinatal mortality and associated maternal complications in a South African province: challenges in predicting poor outcomes
Barden-O'Fallon et al. Rapid assessment of Ebola-related implications for reproductive, maternal, newborn and child health service delivery and utilization in Guinea
Rathi et al. The current state of teleophthalmology in the United States
Salzberg et al. Mortality surveillance method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deaths in child health and mortality prevention surveillance network sites
Greenlees et al. Paper 6: EUROCAT member registrie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Duffy et al. Standardizing definitions and reporting guidelines for the infertility core outcome set: an international consensus development study
Souza et al. The development of a simplified, effective, labour monitoring-to-action (SELMA) tool for better outcomes in labour difficulty (BOLD): study protocol
Lindley et al. Contraceptive use and unintended pregnancy in wom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Edvardsson et al. Increasing possibilities–increasing dilemmas: a qualitative study of Swedish midwives' experiences of ultrasound use in pregnancy
Deboutte et al. Cost‐effectiveness of caesarean sections in a post‐conflict environment: a case study of Bunia,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Duke et al. The utility of using an existing birth defects surveillance program to enhance surveillance data on stillbirths
D'Aprano et al. Challenges in monitoring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remote Aboriginal health services: clinical audit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practice
Williams et al. Accuracy of stroke identification by paramedics in a metropolitan prehospital setting: a cohort study
Chagolla et al. The importance of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safe triage for pregnant wom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Garssen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patients in and after the acute admission ward to improve clinical pathway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ptimal-AAW)
US20200075157A1 (en) Healthcare tracking system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patient experience
Oliveira et al.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ostpartum care in Family Health Strategy
JP2003203118A (ja) 治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治験情報処理装置,治験情報管理方法並びに治験情報管理プログラム
Aditya et al. Review and design of a midwife prenatal kit for examinations in developing regions
TWI704509B (zh) 病人意外風險評估系統及方法
Uwamungu et al. A Quality Improvement Study Project to Improve Post Cesarean Section Surgical Site Infection Surveillance in a District Hospital in Kigali City
Snaifer et al. Obstetric Ultrasound Screening in a Rural Area of Lebanon One Small Step With a Promising Major Impact
Mabasa et al. Utilisation of partogram at a district in the North West Province, South Africa
Hadi et al. The Effect of Work Discipline and Supervision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cs and Statistics Communication Service Employees West Bandung Re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