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379B1 -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379B1
KR101222379B1 KR1020100047096A KR20100047096A KR101222379B1 KR 101222379 B1 KR101222379 B1 KR 101222379B1 KR 1020100047096 A KR1020100047096 A KR 1020100047096A KR 20100047096 A KR20100047096 A KR 20100047096A KR 101222379 B1 KR101222379 B1 KR 10122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patient
transport
medical
cons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537A (ko
Inventor
김관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3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응급환자 관리방법은, 응급환자를 이송중인 응급수송수단으로부터 응급환자 상태 정보와 이송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한 후, 선정된 병원에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한다. 이에 의해, 응급환자에 적합하면서도 병원으로 응급환자가 빠른 시간 안에 이송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MEDICAL EMERGENCY PATIENT TRANSPORT/CO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응급환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급환자에 대한 진료와 이송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사람은 크든 작든 간에 각종 질병 또는 그 이외의 경우로 병원을 방문하게 된다. 일부에서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환자의 상태가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적절한 전문가들의 도움이 필요하고 시간적으로 절박한 경우도 발생하여 적당한 전문가나 시설이 있는 곳으로 이송해야만 할 때가 있다.
그리고 이송 중에도 환자의 상태는 변동하여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송 중인 차량, 선박, 비행체 내에 모든 필요한 전문가나 장비가 준비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안전장비 혹은 부족한 장비나 인원으로 이송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송수단이나 주위의 사정으로 인하여 이송시간이 길어지고 원하는 목표지점에 도착할 때까지 안전이 위협을 받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보 없이 예상된 의료시설에 도착하여도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다시 다른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하는 경우도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할 최상의 의료시설을 정하고 향후의 치료 등에 대하여 미리 준비하는 한편,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환자가 회복하기 위한 최상의 처치를 최단 시간 내에 준비하여 최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최단거리의 의료기관을 선택하도록 관리하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 중에도 실시간으로 응급환자에 대한 협진 정보를 공유하여, 응급환자 처치 계획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여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은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응급수송수단에 구비된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구비된 촬영수단으로 획득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이송상황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응급수송 단말기(400)가 응급수송수단의 종류, 응급수송수단의 위치 및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이송상황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병원의 병원 서버(200)로 응급환자의 처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원격에서 협진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의료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의료인이 휴대한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를 통해 응급환자의 원격 협진 수락 메시지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를 통해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에 상기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상기 응급환자의 협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협진 정보를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와 상기 병원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원격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협진 수락 메시지가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거나 원격 협진 불가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송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정된 병원 및 의료인을 변경하여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의료인,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응급수송수단으로 전달할 것을 선정된 상기 병원 서버(200) 또는 다른 병원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진 정보는, 상기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응급환자 상태 정보 외에, 상기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된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고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응급환자 발생 시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및 협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최단시간 내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를 이송하는 동안에도 도착 이전에 미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즉시 치료행위를 할 수 있게 준비할 뿐만 아니라, 이송 도중에도 치료에 참여하여 비록 제한된 장비와 물자를 최대한 동원하고 필요시에는 중간에 필요 장비나 치료수단을 공급하도록 하여 환자의 진료의 질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협진 의료인의 단말기를 통해 진료 기록, 진료 결과, 기록 영상물 및 환자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응급환자의 진단 또는 치료 등의 진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송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응급환자에게는 보다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이송상황에 따라, 가장 최단거리 내의 해당질병의 치료병원을 선택받으며, 다시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여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는 일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송 중에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미리 준비함으로서 도착즉시 치료를 이행할 수 있게 하며, 환자의 진료 시, 협진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최상의 협진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진료를 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지역의 질 높은 의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어서 국가 의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즉시 모든 의료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성면에서도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의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에 의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과정의 상세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의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의료 시스템은,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 병원 서버들(200-1, 200-2, ... 200-M),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 및 환자 단말기(500)가 네트워크(N)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수송수단을 통해 이송중인 응급환자가 처치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되도록 관리한다. 또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원격에서 협진할 최적의 의료인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의료인이 휴대한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원격 협진 정보를 요청한다.
병원 서버들(200-1, 200-2, ... 200-M)은 각기 다른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들이다. 즉, 병원 서버-1(200-1)은 "A"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이고, 병원 서버-2(200-2)은 "B"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이며, ... , 병원 서버-M(200-M)은 "M"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이다.
병원 서버들(200-1, 200-2, ... 200-M)에는 응급환자 처치에 필요한 의료진, 의료시설,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들이 응급환자의 유형별로 리스트화 되어 있으며, 필요사항들의 현재 구비상태를 나타낸 정보가 DB화 되어 있다. 그리고 이 DB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며, 필요시에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 처치가 가능한 병원들을 응급환자 유형별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은 각기 다른 의료인들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들이다. 즉, 의료인 단말기-1(300-1)은 "a" 의료인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이고, 의료인 단말기-2(300-2)는 "b" 의료인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이고, ... , 의료인 단말기-N(300-N)은 "n" 의료인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은 동영상 촬영/전송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은 의료인들의 말과 행동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을 휴대하는 의료인들은 반드시 같은 병원에 소속되어 있을 것을 요하지 않는다. 즉, "a" 의료인과 "b" 의료인 모두가 "A" 병원에 소속되어 있을 수도 있고, "a" 의료인은 "A" 병원에 "b" 의료인은 "B" 병원에 각각 소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있는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단말기이다.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GPS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응급수송수단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파악된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다수의 촬영/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현재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응급수송수단 주변의 교통상황을 촬영하여 생성한 동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환자 단말기(500)는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이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환자를 구조한 응급구조원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도 포함한다.
네트워크(N)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 병원 서버들(200-1, 200-2, ... 200-M),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 및 환자 단말기(500) 상호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망과 무선망 모두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시스템에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가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기(500)로부터 응급환자 이송/협진 요청이 수신되면(S605),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610).
S605단계에서의 '응급환자 이송/협진 요청'은, 1) 응급환자를 처치할 수 있는 적합한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줄 것과, 2) 적합한 의료인들을 통해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원격에서 협진하여 줄 것에 대한 요청이다.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받은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구비된 촬영수단으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615). 이에 따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수신/보유하게 된다.
응급환자 상태 정보는,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마련된 촬영수단을 통해, 1) 응급환자를 직접 촬영하거나, 2) 응급환자와 함께 응급수송수단에 탑승한 보호자의 진술 내용을 촬영하거나, 3) 응급수송수단 안에서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응급구조원의 진술 내용을 촬영하거나, 4) 응급환자, 보호자 및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2인 이상을 함께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응급환자 상태 정보 외에도,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이송상황 정보를 요청한다(S620).
이송상황 정보를 요청받은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이송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송상황 정보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625). 이에 따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이송상황 정보를 수신/보유하게 된다.
이송상황 정보는, 1) 응급수송수단의 종류, 2) 응급수송수단의 위치 및 3)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 등을 포함한다.
1) 응급수송수단의 종류란 응급수송수단이 차량, 선박, 헬기, 항공기 중 어느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2) 응급수송수단의 위치는 현재 응급수송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로, 도 1에 도시된 의료 시스템의 경우는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획득가능하다.
3)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은, 현재 응급수송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그 주변에 대한 교통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 도 1에 도시된 의료 시스템의 경우는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구비된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응급수송수단 주변의 교통상황을 촬영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가능하다.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S615단계에서 수신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와 S625단계에서 수신한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한다(S630).
구체적으로 S630단계에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1)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참고하여 응급환자를 처치하기에 적합한 병원들을 후보병원들로 선정하고, 2)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후보병원들 중 하나를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으로 최종적 선정하게 된다.
후보병원들은 응급환자의 상태 정보를 참고로 선정하는데, 예를 들면, 응급환자가 외상과 골절이 심한 경우에는 외과진료가 가능한 병원들을 후보병원으로 선정하고, 응급환자가 복통을 호소한다면 내과진료가 가능한 병원들을 후보병원으로 선정하게 된다.
후보병원 선정시에는 병원에 소속된 의료인에 대한 정보를 더 참고할 수 있다. 즉, 후보병원 선정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처치할 수 있는 의료인이 현재 병원 내에 있고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처치할 수 있는 상황인지 참고한다.
또한, 후보병원 선정시에는 병원에 마련된 의료시설, 의료장비에 대한 정보를 더 참고할 수 있다. 즉, 후보병원 선정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 처치에 필요한 의료시설(예를 들면, 사용가능한 잔여 수술실), 의료장비(예를 들면, 이송중인 응급환자가 수술이 필요한 상황인데 이 수술에 요구되는 의료장비)가 마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참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보병원 선정시에는 병원에 마련된 의료물자에 대한 정보를 더 참고할 수 있다. 즉, 후보병원 선정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 처치에 필요한 의료물자(예를 들면, 이송중인 응급환자가 수혈이 필요한 상황인데 응급환자에 수혈할 수 있는 혈액이 마련되어 있는지) 정보를 더 참고할 수 있다.
이후,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는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후보병원들 중 응급수송수단이 도착할 수 있는 시간, 해당 병원의 응급환자 처치등급을 종합하여 가장 적합한 병원을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으로 최종 선정한다.
이후,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S630단계에서 선정된 병원에 마련된 병원 서버(200)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한다(S635).
한편, S635단계에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받은 병원 서버(200)는 응급환자 처치가 가능하다면, 응급환자 처치 수락 메세지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로 전송한다(S640). 그리고, 병원 서버(200)는 응급환자 처치에 필요한 절차들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S635단계에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받은 병원 서버(200)가 마련된 병원에서 응급환자 처치가 불가능하다면, 상기 병원 서버(200)는 응급환자 처치 불가 메세지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다시 선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선정된 후보병원들 중 응급환자 처치 불가 메시지를 전송한 병원 다음으로 응급수송수단이 빨리 도착할 수 있는 후보병원을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으로 다시 선정한다.
또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S615단계에서 수신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원격으로 협진할 의료인들을 선정한다(S645).
예를 들면, 응급환자가 외상과 골절이 심한 경우에는 외상과 골절 담당의 외과의사들을 원격 협진 의료인으로 선정하고, 응급환자가 복통을 호소한다면 복통 담당의 내과의사들을 원격 협진 의료인으로 선정한다.
이때, 원격 협진 의료인들은 응급환자 처치를 수락한 병원에 소속된 의료인들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중인 응급환자를 원격에서 협진한 의료인이, 병원에 도착한 응급환자를 직접 진료하도록 하여, 응급환자에 대해 동일 의료인에 의한 진료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주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다. 원격 협진 의료인들은 응급환자 처치를 수락한 병원이 아닌 다른 병원에 소속된 의료인들로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원격 협진 의료인들은 다수로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단독으로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S645단계에서 선정된 의료인이 휴대하고 있는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의 협진 정보를 요청한다(S650).
한편, S650단계에서 응급환자의 원격 협진이 가능하다면, 의료인 단말기(300)를 통해 응급환자 원격 협진 수락 메세지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로 전송한다(S655).
그러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660). 그리고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665).
의료인 단말기(300)에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상기 응급환자의 협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협진 정보를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와 병원 서버(200)로 전송한다(S670).
S670단계에서 상기 협진 정보가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전달되도록 한 것은 응급환자에 대한 즉각적인 진료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S670단계에서 상기 협진 정보가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병원 서버(200)로 전달되도록 한 것은 응급환자의 병원 도착 이후 진료에 참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 처치를 수락한 병원에 대한 정보 및 응급환자를 원격으로 협진할 의료인들에 대한 정보를 환자 단말기(500)로 보내줄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들 간에 상기 협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주 빠른 단시간 내에 진단결과, 진료계획, 치료, 이송계획을 등을 수립할 수 있고, 이송 중에도 실시간으로 응급환자의 상태를 점검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거나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고 도착할 병원에서 미리 준비할 수 있게 통보하기 때문에, 도착 후에 준비함으로써 치료의 시기가 늦어지는 등의 단점을 미리 보완하여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S670단계에서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협진 정보는 동화상(동영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S665단계에서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는 응급환자 상태 정보 외에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된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정보를 의료인 단말기(300)에 더 전송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는, 현재 응급환자에 사용/투약할 수 있는 의료장비/의료물자에 따라 협진 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응급환자에 대한 협진 정보 입력 시,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현재의 응급환자 상태와 함께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된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정보를 함께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S660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협진 수락 메시지가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거나 원격 협진 불가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환자를 협진할 의료인을 다시 선정하게 된다.
한편,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의료인,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응급수송수단으로 전달할 것을 병원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데, 요청하는 병원 서버는 S635단계에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한 병원 서버가 아닌 다른 병원 서버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현재 응급수송수단이 위치한 지역에서 가까운 장소에 위치한 병원 서버에 의료인,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중 어느 하나를 응급수송수단으로 전달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의료 시스템에서 가장 중추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N)에 액세스하여, 궁극적으로는 병원 서버들(200-1, 200-2, ... 200-M), 의료인 단말기들(300-1, 300-2, ... 300-N),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 및 환자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입력부(120)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수단이고, 디스플레이(150)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결과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저장부(140)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이 응급환자 이송/협진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술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 이송상황 정보 및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과 협진을 관리하는데,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과정의 상세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환자 단말기(500)로부터 응급환자 이송/협진 요청이 수신되면(S705),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S710). 수신된 응급환자 상태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 이송상황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S715). 수신된 이송상황 정보도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이후,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130)는 S710단계에서 수신/저장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응급환자 상태 정보와, S715단계에서 수신/저장된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한다(S720).
그리고 제어부(130)는 S720단계에서 선정된 병원에 마련된 병원 서버(200)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한다(S725).
삭제
만약,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S725단계에서 응급환자 처치를 요청한 병원 서버(200)로부터 응급환자 처치 불가 메세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다시 선정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S710단계에서 수신/저장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원격으로 협진할 의료인들을 선정한다(S730).
그리고,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S730단계에서 선정된 의료인이 휴대하고 있는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의 협진 정보를 요청한다(S7350).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S735단계에서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응급환자 원격 협진 수락 메세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제공한다(S740).
반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S735단계에서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응급환자 원격 협진 불가 메세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응급환자를 원격 협진할 의료인을 다시 선정하게 된다.
한편, 응급환자 상태 정보와 이송상황 정보는,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어부(130)로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응급환자 상태 정보와 이송상황 정보를 수신 받아, 응급환자 처치 병원 및/또는 응급환자 원격 협진 의료인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745).
응급환자 처치 병원 변경은, 응급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나 변경된 경우나 응급환자 처치 병원까지의 교통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다른 병원에서 응급환자를 처치하는 것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등에 필요하다.
그리고, 응급환자 원격 협진 의료인 변경은, 응급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나 변경되어 다른 의료인이 원격 협진을 하는 것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등에 필요하다.
응급환자 처치 병원 및/또는 응급환자 원격 협진 의료인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하면(S745-Y), 제어부(130)는 응급환자 처치 병원 및/또는 응급환자 원격 협진 의료인을 변경하게 된다(S750).
지금까지,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병원은 의료기관의 일종으로 병원은 다른 종류의 의료기관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서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상태 정보가 직접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여 보유하고 있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이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 실시예에서는 의료인 단말기(300)에서 병원 서버(200)로 원격 협진 정보가 직접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의료인 단말기(300)가 협진 정보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이 상기 협진 정보를 병원 서버(200)로 전달하는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부터 획득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는데, 이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은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가 아닌 교통상황 센터 서버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교통상황 정보 제공 사이트로부터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힌편, '응급환자 이송/협진 요청'은 환자 단말기(500)로부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있는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된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를 통해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100)으로 응급환자 이송/협진 요청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입력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
200 : 병원 서버
200-1, 200-2, ... 200-M : 병원 서버들
300 : 의료인 단말기
300-1, 300-2, ... 300-N : 의료인 단말기들
400 : 응급수송수단 단말기
500 : 환자 단말기
N : 네트워크

Claims (11)

  1.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응급수송수단에 구비된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구비된 촬영수단으로 획득한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에 이송상황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응급수송 단말기(400)가 응급수송수단의 종류, 응급수송수단의 위치 및 응급수송수단의 교통상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이송상황 정보를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송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병원의 병원 서버(200)로 응급환자의 처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응급환자를 원격에서 협진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의료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의료인이 휴대한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를 통해 응급환자의 원격 협진 수락 메시지를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이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를 통해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에 상기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응급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한 상기 응급환자의 협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협진 정보를 상기 응급수송수단 단말기(400)와 상기 병원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 응급환자 원격 협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상기 의료인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협진 수락 메시지가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거나 원격 협진 불가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송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선정된 병원 및 의료인을 변경하여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는 의료인,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응급수송수단으로 전달할 것을 선정된 상기 병원 서버(200) 또는 다른 병원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진 정보는,
    상기 응급환자의 과거 진료기록과 응급환자 상태 정보 외에, 상기 응급수송수단에 마련된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고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병원의 병원 서버(200)로 응급환자의 처치를 요청하는 단계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송상황 정보 외에, 처치할 병원에 마련된 의료인, 의료장비 및 의료물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고하여, 상기 응급환자를 처치할 병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47096A 2010-05-19 2010-05-19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KR10122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96A KR101222379B1 (ko) 2010-05-19 2010-05-19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096A KR101222379B1 (ko) 2010-05-19 2010-05-19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37A KR20110127537A (ko) 2011-11-25
KR101222379B1 true KR101222379B1 (ko) 2013-01-15

Family

ID=4539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096A KR101222379B1 (ko) 2010-05-19 2010-05-19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552B1 (ko) * 2017-09-06 2019-04-24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병원 사이의 환자 전원을 관리하는 방법
KR102646224B1 (ko) * 2018-08-31 2024-03-08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1045535A1 (ko) * 2019-09-04 2021-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 이송 병원 결정 방법 및 서버
US20210265048A1 (en) * 2020-02-21 2021-08-26 Tinuum, Llc Device implemented patient transfer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s
KR20220122291A (ko)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응급 데이터 실시간 공유를 통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636922B1 (ko) * 2023-03-31 2024-02-14 이성남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74A (ja) 2001-02-22 2002-09-06 Sony Corp 救急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70043337A (ko) * 2005-10-21 2007-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1A (ko) * 2007-04-25 2009-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74A (ja) 2001-02-22 2002-09-06 Sony Corp 救急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70043337A (ko) * 2005-10-21 2007-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도 분류 및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응급의료정보 시스템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551A (ko) * 2007-04-25 2009-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37A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379B1 (ko) 응급환자 이송/협진 관리방법
US9801036B2 (en) Initial rescu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and system
Latifi et al. Telemedicine and telepresence for trauma and emergency care management
JP4861847B2 (ja) 診療情報配信装置
CN103648387B (zh) 医用图像控制系统以及便携终端
KR10126850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JP2012027565A (ja) 救急患者治療支援システム
JP2015032060A (ja) 医療支援システム
JP2006271763A (ja) 医療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通信方法
Wiweko et al. Overview the development of tele health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 in Indonesia
CN105046071A (zh) 一种基于云的移动医疗系统
JP201614899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装置
JP6334886B2 (ja)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クラウドサーバ
KR20090001551A (ko) 응급 의료자원 관리장치 및 시스템
Vidul et al. Telemedicine for emergency care management using WebRTC
JP5684760B2 (ja) 医療支援装置及び医療支援方法
Zhang et al. 5G‐based remote magnetically controlled capsule endoscopy for examination of the stomach and small bowel
JP6071547B2 (ja) 救急業務総合支援システム
JP6362942B2 (ja) 医療情報検索装置
WO2019187600A1 (ja) 内視鏡用プロセッサ装置、内視鏡管理システム、及び内視鏡データ収集サーバ
JP2006276922A (ja) 救急システムおよび患者情報共有方法
JP2013156852A (ja) Dicom用ゲートウェイ
CN108388783A (zh) 基于互联网共享用工模型的电子身份系统及使用方法
JP6576615B2 (ja) 検査データの保管管理装置、後発検査機器、および、検査データの管理システム
CN110459281B (zh) 一种急诊患者生命体征数据的采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